KR101377637B1 -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37B1
KR101377637B1 KR1020140002256A KR20140002256A KR101377637B1 KR 101377637 B1 KR101377637 B1 KR 101377637B1 KR 1020140002256 A KR1020140002256 A KR 1020140002256A KR 20140002256 A KR20140002256 A KR 20140002256A KR 101377637 B1 KR101377637 B1 KR 10137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nterruptible power
control input
power supply
disturbanc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일
김석균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2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두 단계의 제어기 설계를 필요로 하는 듀얼루프 제어기법 대신 원루프(one-loop) 제어기법에 따른 모델예측제어기(MPC)를 제공한다. 또한, 부하 변동(load variations)에 의해 야기되는 미지의 외란(unknown disturbance)과 플랜트 모델의 불일치(plant-model mismatch) 등 모델 오차와 기타 불확실성의 영향을 추정하는 외란관측기(DOB)를 도입하고,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면서도 원하는 정상상태 추정치와의 추종오차를 최소화하여 제어입력의 제한조건(input constraints)하에서 전역 안정도(global stability)를 보장하는 모델예측제어기(MPC)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 제어를 위해 원하는 정상상태 추정치와의 추종오차를 최소화하는 원루프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적용하고, 부하 변동과 모델 오차에 의한 불확실성을 보상하기 위한 외란관측기(DOB)를 도입함으로써,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면서도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안정도를 보장하며,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odel-predictive control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ith steady-state estimation}
본 발명은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모델 오차와 기타 불확실성의 영향을 추정하는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DOB)를 사용함으로써, 아우터루프(outer-loop) 제어를 위한 별도의 비례적분(proportional integral, PI) 제어기를 사용함이 없이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전압 정상상태(steady-state) 추종 오차를 없앨 수 있는 모델예측제어(model predictive control) 기법을 제안한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상용전원의 정전 및 전압 변동에 민감한 산업용 첨단 장비, 컴퓨터, 사무용기기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무정전전원장치(UPS)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주요 기능은 선형 및 비선형 부하와 부하변동에 상관없이 일정 주파수 및 일정전압의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출력전압이 모든 부하 및 부하변동에 대해서 안정되고 우수한 제어성능과 고조파 억제성능을 가져야 한다.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부하는 대부분 컴퓨터와 같은 직류부하(DC load)의 다이오드 전파 정류기로서, 이런 비선형 부하들은 고조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압과 전류가 왜곡되므로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다양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깨끗한 정현파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무정전 전원장치(UPS) 적용시, 제어입력 전압제한과 부하변동하에서 다른 상태변수들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출력전압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은 전류제어 루프인 인너루프(inner-loop)와 전압제어 루프인 아우터루프(outer-loop)를 포함하는 듀얼루프 방식(dual-loop strategy)으로 제어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인너루프(inner-loop)의 전류제어기는 폐루프 성능(closed-loop performance)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전류제어기 설계를 위해 비례적분(proportional-integral, PI) 제어, 데드비트(deadbeat) 제어,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1
제어,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2
-설계(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3
-synthesis) 등 다양한 제어기법이 적용되었다. 한편, 아우터루프(outer-loop)의 전압제어기는 전통적인 비례적분(PI) 제어기법이 적용되었다.
듀얼루프 제어기법에서 아우터루프에 적용되는 비례적분(PI) 제어의 역할은 인너루프 제어에 사용하는 모델의 오차 및 기타 불확실성 때문에 생기는 정상상태 추종오차를 비례적분(PI) 제어의 적분기능을 이용해서 없애는 것이다. 그러나, 듀얼루프 제어기법에서는 제어기 설계가 두 개의 단계로 나누어지고, 인너루프에 대한 안정도 분석도 아우터루프의 비례적분(PI) 제어기 사용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안정도로 연결되지 못하는 단점이 생기게 된다.
아래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한 비특허문헌1은 제어입력의 제한이 없는 경우 인너루프를 전역 안정화(globally stabilize)하는 비례적분(PI) 제어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기는 제어입력 제한을 고려하지 않았고, 제어입력의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폐루프 성능을 최적화하지 못하고 폐루프 안정도(stability)도 보장하지 못한다.
비특허문헌2는 인너루프 제어를 위해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4
제어기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제어방법은 모델 불확실성에 대한 폐루프 강인성(robustness)을 확보하고 폐루프 성능을 최적화하지만, 여전히 제어입력 제한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 전역 안정도(global stability)가 아닌 지역적 안정도(local stability)만을 보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외에, 비특허문헌3과 비특허문헌4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제어를 위해 듀얼루프 제어방식이 아닌 모델예측제어(model predictive control)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안정도에 관한 해석이 없으며, 출력 리플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출력 리플이 커지면 실제 적용을 위해서 샘플링 주기가 매우 짧아져야 하므로 일반적인 보통 사양의 하드웨어로는 구현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기술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델 오차와 기타 불확실성의 영향을 추정하는 외란관측기(DOB)를 사용하고 정상상태 추정치와의 추종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아우터루프 제어를 위한 별도의 비례적분(PI) 제어기를 사용함이 없이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전압 정상상태 추종오차를 없애고,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면서도 제어입력 제한하에서 안정도를 보장하는 모델예측제어(MPC) 기법을 제안한다.
N. M. Abdel-Rahim and J. E. Quaicoe, "Analysis and design of a multiple feedback loop control strategy for single-phase voltage-source UPS i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11, no.4, pp.532-541, July 1996.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5
T.S. Lee, S.-J. Chiang, and J.-M. Chang. " loop-shaping controller designs for the single-phase UPS inverter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16, no.4, pp.473-481, July 2001. P. Cortes, J. Rodriguez, S. Vazquez, and L. G. Franquelo. "Predictive control of a three-phase UPS inverter using two steps prediction horizon," In 2010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Technology (ICIT), 2010. P. Cortes, G. Ortiz, J. I. Yuz, J. Rodriguez, S. Vazquez, and L. G. Franquelo.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n inverter with output LC filter for UPS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56, no.6, pp.1875-1883, June 20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두 단계의 제어기 설계를 필요로 하는 듀얼루프 제어기법 대신 원루프(one-loop) 제어기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부하 변동(load variations)에 의해 야기되는 미지의 외란(unknown disturbance)과 플랜트 모델의 불일치(plant-model mismatch) 등 모델 오차와 기타 불확실성의 영향을 추정하는 외란관측기(DOB)를 도입하고,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면서도 원하는 정상상태 추정치와의 추종오차를 최소화하여 제어입력의 제한조건(input constraints)하에서 전역 안정도(global stability)를 보장하는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6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7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8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009
로 정의하고, 부하전류(load current)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0
를 고려하여 유도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4
라 하고,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5
에 대해 주어진 출력전압 기준신호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6
라 할 때,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7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8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019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0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DOB);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1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2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3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4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5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model predictive controller, MPC);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6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7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8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029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1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4
,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5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7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8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039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0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1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2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3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4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b-c 프레임(a-b-c frame)에서,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의 동역학(dynamics)이 (E1), (E2)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5
(E1)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6
(E2)
(E1), (E2)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7
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 사이의 저항값(resis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8
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induc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049
는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3
는 각각 a-b-c 프레임(frame)에서의 3상(three-phase)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3상 입력전압(input voltage), 3상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3상 부하전류(load current)의 벡터로서 (E3)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4
라 하면 상기 입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5
는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8
에 대하여 (E4)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5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2
(E3)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4
(E4)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가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5
과 주파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6
에 대하여 (E5)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7
(E5)
a-b-c 프레임(frame)에서 표시된 시스템인 (E1), (E2)에 (E6)의 변수변환(variable transformation)을 적용하여, (E1), (E2)가 변환되어 d-q 프레임에서 표시된 시스템이 (E7), (E8)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6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0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3
(E6)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4
(E7)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8
Figure 112014001893460-pat0007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3
(E8)
(E6)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4
는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의 벡터를 의미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5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output voltage)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6
는 d축 및 q축 부하전류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7
는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 전압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8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의 벡터를 의미하며, (E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08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0
는 각각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 2×2 제로행렬(zero matrix)을 의미하며,
샘플링 주기(sampling period)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1
라 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2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3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4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과 이산화된 d축 및 q축 부하전류를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6
로 정의하여, 연속시간 상태방정식 (E7), (E8)을 이산화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E9), (E10)이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7
(E9)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09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0
(E10)
부하전류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1
를 고려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을 (E11)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2
(E11)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3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4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5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6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DOB);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7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8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109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0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1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model predictive controller, MPC);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2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3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4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5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7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E12), (E13)로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8
(E12)
Figure 112014001893460-pat0011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0
(E13)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1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2
(E14)
(E14)에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3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4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5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6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7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8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29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0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란관측기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1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2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3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4
를 출력하는 단계;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5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6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7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8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39
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0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1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2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3
의 정상상태 값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5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8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149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0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1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2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3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4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5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6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7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8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 제어를 위해 정상상태 추정치와의 추종오차를 최소화하는 원루프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적용하고, 부하 변동과 모델 오차에 의한 불확실성을 모두 보상하기 위한 외란관측기(DOB)를 도입함으로써, 적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면서도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안정도를 보장하며,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무정전 전원모듈에 포함된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와 이에 연결된 부하를 보인 도면.
도 2는 제어입력 제한조건을 나타내는 집합
Figure 112014001893460-pat00159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0
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4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1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2
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5는 저항성 부하 적용시 a-프레임의 출력전압 응답과 출력전류 응답을 보인 도면.
도 6은 저항성 부하 적용시 d-q 프레임에서의 출력전압 추적성능을 보인 도면.
도 7은 저항성 부하 적용시 제어입력의 노옴(norm)을 보인 도면.
도 8은 저항성 부하에 대한 정상상태 전압응답, 전류응답, THD 해석결과를 보인 도면.
도 9는 저항-인덕터 부하에 대한 정상상태 전압응답, 전류응답, THD 해석결과를 보인 도면.
도 10은 저항-인덕터 부하 적용시 a-프레임의 정상상태 전압응답과 전류응답을 보인 도면.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상용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교류전원 입력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스위치로 이루어져 정류부에서 변환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 인버터부를 거쳐 입력된 교류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교류전원은 3상 저항성 부하에 입력된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입력측에서 나오는 역류 고조파 부분을 제거하는 입력 필터부,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상기 정류부, 정전시 상용 교류전원을 대체할 수 있는 비상용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상기 인버터부의 후단과 바이패스 부분을 담당하여 서로 인터록이 되게하는 고정 스위치부 및 비상전원 공급용 스위칭 역할을 수행하는 출력비상 바이패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는 6개의 IGBT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3개의 인덕터(inductor)와 3개의 커패시터(capacitor)로 이루어진 LC필터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무정전 전원장치의 무정전 전원모듈(100)에 포함된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와 이와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입력받는 부하(load)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3
는 매우 작은 임피던스(impedance)를 가지므로 이상적인 전압원(ideal voltage source)으로 간주한다. 도 1에 키르히호프 법칙(Kirchhoff's law)을 적용하면,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동력학(dynamics)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4
(1)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5
(2)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69
는 각각 a-b-c 프레임(frame)에서의 3상(three-phase)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3상 입력전압(input voltage), 3상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3상 부하전류(load current)의 벡터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3
(3)
입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4
는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7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79
(4)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는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0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1
는 상수(constant)로 가정된 기준신호 주파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2
(5)
상기와 같이 a-b-c 프레임(frame)에서 표시된 시스템을 d-q 프레임(d-q frmae)에서 표시된 시스템으로 변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변수변환을 적용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5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8
(6)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189
는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의 벡터를 의미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0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1
는 d축 및 q축 부하전류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2
는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 전압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3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의 벡터를 나타낸다.
(6)을 적용하면, (1)과 (2)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4
(7)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8
Figure 112014001893460-pat0019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3
(8)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4
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 사이의 저항값(resis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5
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induc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6
는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의미하며(도 1 참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8
는 각각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 2×2 제로행렬(zero matrix)을 나타낸다.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09
는 모든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2
에 대하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즉,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3
의 모든 고유치의 실수부(real parts of the eigenvalues of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4
)는 음의 값을 갖는다.
d축 및 q축 제어입력 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6
로 이루어진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7
는 물리적인 조건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육각형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8
내로 제한되어야 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19
(9)
(9)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0
는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을 의미한다.
이후, 모델예측제어기(MPC) 설계과정을 간략화하기 위해 다소 보존적(conservative)이지만 집합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1
대신 (10)으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 집합을 고려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2
(10)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10)에서 정의된 집합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3
는 (9)에서 정의된 집합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4
에 포함된 최대원(the largest circlein the set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5
)의 집합이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6
는 만족할만한 근사화라 할 수 있다.
연속시간 상태방정식 (7)은 샘플링 주기(sampling period)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7
라 할 때, 다음과 같이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으로 이산화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8
(11)
Figure 112014001893460-pat0022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3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6
(12)
여기서,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7
가 안정하므로,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8
도 안정하다.
이산화된 제어입력 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239
의 제한조건(constraint)은 (9)에서 정의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0
에 의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1
와 같이 표현되나, 앞서 설명했듯이 설계과정을 간략화하기 위해 완화된 조건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2
을 고려한다.
부하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3
의 변화는 상태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므로,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4
(1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루프(one-loop) 제어기법에 따른 모델예측제어기(130)와, 부하변동 및 모델 불일치 등의 불확실성을 추정하기 위한 외란관측기(140)를 포함한다.
먼저, 외란관측기(140) 설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13)의 조건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5
라 하고, (11)의 플랜트 모델 불일치에 의한 외란이 미지의 상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6
로 나타내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7
(14)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8
로 정의하면, (14)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49
(15)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0
(16)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4
(17)
(15), (16), (17)로부터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외란관측기(DOB)를 고려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5
(18)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6
(19)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7
(20)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8
Figure 112014001893460-pat00259
는 외란관측기 이득(gain)을 나타낸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2
라 하면, (18), (19), (20)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3
(21)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4
(22)
(15), (16)에서 (21), (22)를 빼면, 다음과 같은 오차 동역학(error dynamics) 방정식을 얻는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5
(23)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6
(24)
외란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7
는 칼만 필터링(Kalman fil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23)에서 가상의 부가적인 노이즈(virtual additive noise)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8
를 고려하고, (24)에서 가상의 부가적인 노이즈
Figure 112014001893460-pat00269
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0
(25)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1
(26)
(25), (26)에 칼만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면, 외란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2
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3
(27)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4
는 (28)로 주어지는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5
(28)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6
는 측정 노이즈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7
는 가상의 부가적인 외란의 공분산 행렬을 나타낸다. 칼만 필터링 방법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7)로 주어지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8
는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79
의 안정도를 보장하며, 두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0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1
는 본 발명에서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 이용되어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3
가 되도록 선택된다.
다음으로, 원루프 제어방식에 따른 모델예측제어기(130)의 설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모델예측제어 기법은 제어대상의 모델을 이용하여 원하는 변수의 미래값 또는 예측값을 반영하는 비용함수를 최적화하는 제어값을 적용하는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모델예측제어기(130)의 제어목표(control objective)는 제어입력 제한조건(input constraint)인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4
를 만족하면서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5
를 추종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6
(29)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폐루프 시스템의 정상상태 조건(steady-state condition)을 고려하고,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problem)의 해(solution)로부터 모델예측제어기(130)를 구한다. 이 모델예측제어기(130)를 적용한 폐루프 시스템이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전역적으로 안정(globally asymtotically stable)함을 설명하고, 외란관측기(140)의 적분 기능(integral action)에 의해 플랜트 모델 불일치로 인한 정상상태 오차(steady-state error)가 제거됨을 설명한다.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7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8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28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0
라 하면, (14)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1
(30)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2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3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4
는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5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6
의 정상상태 값을 의미한다. 제어목표 (29)를 만족하기 위하여,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7
는 정상상태 방정식 (30)에서 만족되어야 한다. 이 조건을 적용하여, (30)을 다시 정리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uniquely) 결정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8
(31)
Figure 112014001893460-pat0029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2
(32)
또한,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3
는 다음을 만족해야 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4
(33)
(31)에서 주어지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5
가 (33)의 조건을 만족하면,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6
는 추종이 가능한 유효한 기준신호이다.
이제, 위에서 고려한 정상상태 조건을 고려하고 외란관측기(140) (18), (19), (20)을 이용하여, 제어입력 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7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8
로 수렴하도록 하는 모델예측제어기(130)를 설계한다.
오차 상태(error state)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309
로 정의하고, 이산시간 상태방정식 (14)를 이용하여 정리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0
(34)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1
는 현재의 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2
와 현재의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3
를 이용하여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4
에서 예측된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5
에서의 오차를 나타낸다.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6
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7
도 마찬가지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34)를 이용하여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8
를 예측할 수는 없으므로, (34)를 다음과 같이 수정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19
(35)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0
는 정상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1
의 추정값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2
를 외란관측기(140) (18), (19), (20)에 의해 생성된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3
의 추정값이라 할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4
(36)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5
(37)
(35)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정의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6
(38)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7
는 주어진 정방행렬(square matrix)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8
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29
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0
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1
의 추정값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2
(39)
또한, (3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3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4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5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6
인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이다. (38)의 비용함수를 이용하여, (40)의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을 고려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7
(40)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8
라 하면, (38)의 비용함수는 (41)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39
(41)
(40)에서 제어입력 제한이 없다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0
의 조건으로부터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제어입력(unconstrained optimizer)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1
는 (42)로 주어진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2
(42)
만약,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3
이면, (40)의 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4
는 (42)로 주어지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5
와 동일하다. 한편,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6
이면, (40)의 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7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8
의 경계와
Figure 112014001893460-pat00349
의 레벨집합(level set)의 접점(tangential point)이 된다. 제어입력 제한조건 영역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0
는 원(circle)으로 주어지나, 비용함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1
의 레벨집합은 타원(ellipsoidal)이 될 것이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2
의 경계와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3
의 레벨집합(level set)의 접점을 구하는 것이 관건이다.
만약, 다음의 (43)으로 주어지는 조건을 만족하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5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제어입력 제한조건 영역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6
와 비용함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7
의 레벨집합이 모두 원(circle)이 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8
(43)
도 4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59
의 두 원소(elemnet)인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1
에 대하여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2
평면에서, 제어입력 제한조건 영역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3
와 비용함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4
의 레벨집합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5
가 모두 원일 경우의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6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7
의 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4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69
의 경계와 두 점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1
를 연결하는 직선과의 교점으로 주어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43)의 조건을 만족하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3
가 존재하는 경우에 (40)의 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4
에 대한 최종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5
(44)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6
(45)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7
이다.
(43)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40)의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의 해로 주어지는 (44), (45)의 모델예측제어기(130)는 온라인 상에서 수치적인 최적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8
Figure 112014001893460-pat00379
에 속하는지 여부만을 판단하여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 (44), (45)와 외란관측기(140) (18), (19), (20)을 적용한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안정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46)으로 주어지는 방정식의 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0
를 고려해야 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1
(46)
여러 파라미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4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5
에 대해 (46)을 만족하는 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6
가 (43)을 만족하는지 체크하여, (46)과 (43)을 모두 만족하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7
를 구해야 한다. (46)과 (43)을 모두 만족하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8
를 구하면, (44), (45)로 주어지는 모델예측제어기(130)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를 보장한다.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389
는 안정하므로, 어떠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0
에 대해서도 (46)을 만족하는 해는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양의 상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1
는 하나의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와 외란관측기(140)를 적용한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에 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외란관측기(140) (18), (19), (20)의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2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3
가 안정하도록 선택하고 비용함수 (38)의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4
를 적당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5
에 대해 (46)과 (43)을 만족하도록 선택하면,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 (44), (45)와 외란관측기(140) (18), (19), (20)을 적용한 폐루프 시스템은 전역적으로 점근 안정하다(globally asymptotically stable). 이와 같은 사항은 양의 정칙 함수(positive definite function)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6
가 단조적으로 감소(decreas monotonically)하는 것으로부터 증명할 수 있다. 즉, 제안된 모델예측제어기(130)에 의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7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8
가 제로(zero)로 수렴하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399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0
는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1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2
로 수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에 의해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29)의 제어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3
가 달성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44), (45)로 주어지는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를 실제 적용할 경우, 정상상태 오차(steady-state error)가 제거됨을 설명한다.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상태값들을 고려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6
(47)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7
를 외란관측기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8
의 정상상태값이라 하면, 외란관측기(140)의 적분 효과(integration effect)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409
를 보장한다. 이 때, 외란관측기(140)의 상태 추정식 (18)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0
(48)
(48)은 (49), (50)과 동일하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1
(49)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2
(50)
대응되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3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4
이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6
라 하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7
(51)
(48)을 이용하면, (51)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8
Figure 112014001893460-pat00419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0
(52)
(52)는 (53)을 의미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1
(53)
이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2
가 존재하도록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3
가 풀 컬럼 랭크(full column rank)를 갖는다고 가정하면, (48)로부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4
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5
(54)
(37)과 (39)의 정의를 이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6
(55)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7
(56)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8
이라 하면, (55)과 (56)으로부터 (57)이 성립하므로, (58)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29
(57)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0
(58)
(54)에서 (58)을 뺀 후 (53)에 대입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1
(59)
(49)에서 (55)를 빼면 다음이 성립한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2
(60)
(60)이 성립하므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3
라 하면 (59)는 다음의 (61)과 동일하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4
(61)
따라서, (61)은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5
의 역행렬이 존재(invertible)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한 모델예측제어기(130)에 의해 정상상태 오차가 제거됨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6
의 역행렬이 존재(invertible)하면, 실제 무정전 전원장치(UPS) 적용시에 부하 변동(load variations)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가 존재해도 정상상태 오차가 제거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130)와 외란관측기(140)의 설계과정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3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0
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서, 부하 변동(load variation)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에 영향받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확보와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tuning parameters)로 이용된다.
(44), (45)의 제어입력은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150)를 통해 구현된다.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는 제어입력을 입력받아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실제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출력한다.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와, 출력전압 제어에 이용되는 여러 측정신호 및 제어신호의 프레임간 좌표변환을 위한 좌표변환부에 관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출력 제어장치를 정리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1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2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3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4
로 정의하고, 부하전류(load current)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5
를 고려하여 유도된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49
라 하고,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0
에 대해 주어진 출력전압 기준신호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1
라 할 때,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2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3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4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5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140);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6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7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8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59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0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1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2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3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4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6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31), (32)와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모델예측제어기(130)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7
를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8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469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0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1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2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3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4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5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6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7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8
사이의 추적오차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479
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0
를 현재의 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1
와 현재의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2
를 이용하여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3
에서 예측된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4
에서의 추적오차를 나타낸다고 하면, 미래 추적오차 방정식은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5
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6
가 정상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7
의 추정값으로서 (36), (37)과 같이 정의되며, 외란관측기(140)에서 생성된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8
를 이용한 추적오차 추정값의 방정식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489
이라 할 때, 모델예측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0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1
로 정의된 비용함수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2
로 주어지는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의 해로 얻어지며,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3
는 주어진 정방행렬(square matrix)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4
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5
로 정의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6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7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8
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499
의 추정값으로서 (39)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0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1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2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류검출부(110);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3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압검출부(120); 모델예측제어기(130)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4
를 입력받아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5
는 무정전 전원모듈(100), 외란관측기(140) 및 모델예측제어기(130)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closed-loop system)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a-b-c 프레임(a-b-c frame)에서,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동역학(dynamics)이 (1), (2)로 주어지고, (1), (2)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6
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 사이의 저항값(resis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7
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induc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8
는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0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2
는 각각 a-b-c 프레임(frame)에서의 3상(three-phase)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3상 입력전압(input voltage), 3상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3상 부하전류(load current)의 벡터로서 (3)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3
라 하면 상기 입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4
는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7
에 대하여 (4)로 주어지며,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가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8
과 주파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19
에 대하여 (5)로 주어지며, a-b-c 프레임(frame)에서 표시된 시스템인 (1), (2)에 (6)의 변수변환(variable transformation)을 적용하여, (1), (2)가 변환되어 d-q 프레임에서 표시된 시스템이 (7), (8)로 주어지며, (6)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0
는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의 벡터를 의미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1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output voltage)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2
는 d축 및 q축 부하전류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3
는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 전압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4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의 벡터를 의미하며, (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6
는 각각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 2×2 제로행렬(zero matrix)을 의미하며, 샘플링 주기(sampling period)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7
라 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8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29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0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과 이산화된 d축 및 q축 부하전류를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2
로 정의하여, 연속시간 상태방정식 (7), (8)을 이산화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11), (12)이라 하고, 부하전류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3
를 고려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을 (14)라 할 때,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4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5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6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7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140);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8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39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0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1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2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3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4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5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6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8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31), (32)로 유일하게 결정되며, 모델예측제어기(130)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549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10)에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0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1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2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3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4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5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6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7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외란관측기(140)의 상태방정식이 (18), (19), (20)으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8
Figure 112014001893460-pat00559
의 추정값이라 하면,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0
는 (28)로 주어지는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로 얻어지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1
에 대해 (27)로 주어지며, (27), (2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3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4
는 측정 노이즈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5
는 가상의 부가적인 외란의 공분산 행렬을 나타내며,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6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7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 이용되어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69
가 되도록 선택되며,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0
는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1
의 안정도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2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3
사이의 추적오차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4
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5
를 현재의 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6
와 현재의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7
를 이용하여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8
에서 예측된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579
에서의 추적오차를 나타낸다고 하면, 미래 추적오차 방정식은 (34)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0
가 정상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1
의 추정값으로서 (36), (37)로 정의되며, 외란관측기(140)에서 생성된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2
를 이용한 추적오차 추정값의 방정식을 (35)라 할 때, 모델예측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3
는 (38)로 정의된 비용함수에 대해, (40)의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의 해로 얻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4
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5
의 추정값으로서 (39)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6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7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8
Figure 112014001893460-pat00589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모델예측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0
는 (44), (45), (42),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1
로 주어지며, (42)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2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4
에 대해 (46), (43)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5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6
는 부하 변동(load variation)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에 영향받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확보와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tuning parameters)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는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7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류검출부(110);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8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압검출부(120); 모델예측제어기(130)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599
를 입력받아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0
는 무정전 전원모듈(100), 외란관측기(140) 및 모델예측제어기(130)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을 정리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은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1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2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3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4
로 정의하고, 부하전류 및 플랜트 모델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5
를 고려하여 유도된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이산시간 상태방정식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09
라 하고, 임의의 양의 상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0
에 대해 주어진 출력전압 기준신호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1
라 할 때, 외란관측기(140)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2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3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4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5
를 출력하는 단계; 모델예측제어기(130)에서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6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7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8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619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0
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1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2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3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4
의 정상상태 값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6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31), (32)와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모델예측제어기(130)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7
를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8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629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0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1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2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3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4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5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6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은 외란관측기(140)의 상태방정식이 (18), (19), (20)으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7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8
의 추정값이라 하면,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639
는 (28)로 주어지는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로 얻어지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0
에 대해 (27)로 주어지며, (27), (2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2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3
는 측정 노이즈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4
는 가상의 부가적인 외란의 공분산 행렬을 나타내며,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5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6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 이용되어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8
가 되도록 선택되며, 외란관측기(140)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649
는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0
의 안정도를 보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은 모델예측제어기(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1
는 (44), (45), (42),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2
로 주어지며, (42)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3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5
는 (36), (37), (39)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6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8
에 대해 (46), (43)을 만족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659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0
는 설계 파라미터로서, 부하 변동(load variation)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에 영향받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확보와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tuning parameters)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은 전류검출부(110)에서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1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전압검출부(120)에서 무정전 전원모듈(100)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2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에서 모델예측제어기(130)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3
를 입력받아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4
는 무정전 전원모듈(100), 외란관측기(140) 및 모델예측제어기(130)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된다.
도 5 내지 도 10은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무정전 전원모듈(100)에 본 발명에서 제안한 모델예측제어기(130)와 외란관측기(140)를 적용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무정전 전원모듈(100)의 파라미터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5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150)의 펄스폭변조(PWM) 스위칭 주파수(switching frequency)는 10 kHz로 선택하였다. 제안된 모델예측제어기(130)는 샘플링 주기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6
로 하여 디지털신호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MS320F28335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비용함수 (38)의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7
는 파라미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8
로 하여 (46)을 만족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669
인 (43)을 만족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0
제어입력 가중치 파라미터(control weight parameter)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1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2
로 선택하고, 외란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3
는 공분산 행렬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4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5
를 단위행렬(identity matrices)로 설정하여 (27), (28)로부터 다음과 같이 계산되었다.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6
실제 적용결과, 전반적인 성능은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7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8
의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저항성 부하(resistive load)의 저항값이
Figure 112014001893460-pat00679
이고, RMS(root mean square)
Figure 112014001893460-pat00680
인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681
를 적용한 경우의 폐루프 성능을 설명한다. 도 5는 a-b-c 프레임(frame)에서의 출력 전류 응답과 함께 전압 레귤레이션(regulation) 성능을 보인 것이다. 도 6과 도 7은 도 5에 대응되는 d-q 프레임에서의 출력전압 추적 성능(output voltage tracking performance)과 제어입력의 노옴(control input norm)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정상상태 전압응답 및 전류응답,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THD(total harmonic distortion) 해석결과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저항성 부하에 대하여 출력전압의 정상상태 오차가 없고, 그에 대응하는 THD 값(value)이 만족스러운 수준(1.2%)임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델예측제어기를 적용하여 저항성 부하에서 왜곡이 거의 없는 원하는 교류전압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보여준다.
위와 동일한 설정에 대하여,
Figure 112014001893460-pat00682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683
인 저항-인덕터 부하(resistive-inductive load)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도 9는 a-b-c 프레임에서의 정상상태 전압응답 및 전류응답, 그리고 그에 대응하는 THD 해석결과를 보인 것으로, 출력전압이 오프셋 오차(offset error) 없이 성공적으로 레귤레이션 (regulation)되고 THD 값도 만족스러운 수준(1.2%)임을 보여준다. 도 10은 저항-인덕터 부하의 적용시 예상한 대로, 출력전압과 출력전류 사이에 약간의 위상 왜곡(slight phase distortion)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100: 무정전 전원장치의 무정전 전원모듈
110: 전류검출부
120: 전압검출부
130: 모델예측제어기(MPC)
140: 외란관측기(DOB)
150: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SVPWM)

Claims (13)

  1.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4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5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6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을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7
    로 정의하고, 부하전류(load current)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8
    를 고려하여 유도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Figure 112014016656452-pat00689
    ,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0
    ,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1
    ,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2
    라 하고,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3
    에 대해 주어진 출력전압 기준신호를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4
    라 할 때,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5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6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7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8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DOB);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16656452-pat00699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0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1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2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3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model predictive controller, MPC);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4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5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6
    ,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7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8
    ,
    Figure 112014016656452-pat00709
    라 하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4
    를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이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0
    ,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1
    ,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2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3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4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5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6
    의 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7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8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719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720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721
    Figure 112014016656452-pat00722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3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4
    사이의 추적오차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5
    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6
    를 현재의 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7
    와 현재의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8
    를 이용하여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729
    에서 예측된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0
    에서의 추적오차를 나타낸다고 하면, 미래 추적오차 방정식은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1
    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2
    가 정상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3
    의 추정값으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5

    상기 외란관측기에서 생성된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6
    를 이용한 추적오차 추정값의 방정식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7
    이라 할 때,
    상기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8

    Figure 112014001893460-pat00739
    로 정의된 비용함수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0
    로 주어지는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의 해로 얻어지며, 여기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1
    는 주어진 정방행렬(square matrix)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2
    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3
    로 정의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4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5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6
    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7
    의 추정값으로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8
    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49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0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로 이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1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2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압검출부;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3
    를 입력받아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4
    는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 상기 외란관측기 및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closed-loop system)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4. a-b-c 프레임(a-b-c frame)에서,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의 동역학(dynamics)이 (E1), (E2)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5
    (E1)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6
    (E2)
    (E1), (E2)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7
    은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 사이의 저항값(resis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8
    은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인덕터의 인덕턴스(inductance),
    Figure 112014001893460-pat00759
    는 상기 필터부에 포함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3
    는 각각 a-b-c 프레임(frame)에서의 3상(three-phase) 인덕터 전류(inductor current), 3상 입력전압(input voltage), 3상 커패시터 출력전압(capacitor output voltage), 3상 부하전류(load current)의 벡터로서 (E3)으로 정의되며,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을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4
    라 하면 상기 입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5
    는 상기 인버터부의 스위치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8
    에 대하여 (E4)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6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2
    (E3)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3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4
    (E4)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가 임의의 양의 상수(positive constant)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5
    과 주파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6
    에 대하여 (E5)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7
    (E5)
    a-b-c 프레임(frame)에서 표시된 시스템인 (E1), (E2)에 (E6)의 변수변환(variable transformation)을 적용하여, (E1), (E2)가 변환되어 d-q 프레임에서 표시된 시스템이 (E7), (E8)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7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0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3
    (E6)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4
    (E7)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7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8

    Figure 112014001893460-pat0078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2
    ,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3
    (E8)
    (E6)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4
    는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의 벡터를 의미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5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output voltage)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6
    는 d축 및 q축 부하전류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7
    는 d축 및 q축 제어입력(control input) 전압의 벡터,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8
    는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에 대한 기준신호의 벡터를 의미하며, (E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79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0
    는 각각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 2×2 제로행렬(zero matrix)을 의미하며,
    샘플링 주기(sampling period)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1
    라 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2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3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4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과 이산화된 d축 및 q축 부하전류를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5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6
    로 정의하여, 연속시간 상태방정식 (E7), (E8)을 이산화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discrete-time state equation)을 (E9), (E10)이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7
    (E9)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0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0
    (E10)
    부하전류 및 플랜트 모델의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1
    를 고려한 이산시간 상태방정식을 (E11)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2
    (E11)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3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4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5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6
    를 출력하는 외란관측기(disturbance observer, DOB);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7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8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819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0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1
    를 출력하는 모델예측제어기(model predictive controller, MPC);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2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3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4
    ,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5
    의 정상상태 값(steady-state value)을 각각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6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7
    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E12), (E13)로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8
    (E12)
    Figure 112014001893460-pat00829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0
    (E13)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1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2
    (E14)
    (E14)에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3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4
    의 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5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6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7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8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39
    Figure 112014001893460-pat00840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란관측기의 상태방정식이 (E15), (E16), (E17)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1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2
    의 추정값이라 하면,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3
    (E15)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4
    (E16)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5
    (E17)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6

    (E18)로 주어지는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로 얻어지는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7
    에 대해 (E19)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8
    (E18)
    Figure 112014016656452-pat00849
    (E19)
    (E18), (E19)에서,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0
    ,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1
    이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5
    는 2×4 제로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6
    는 4×4 단위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7
    는 4×2 제로행렬이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2
    는 측정 노이즈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3
    는 가상의 부가적인 외란의 공분산 행렬을 나타내며,
    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4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5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 이용되어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6
    ,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7
    가 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8
    는 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859
    의 안정도를 보장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0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1
    사이의 추적오차를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2
    라 하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3
    를 현재의 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4
    와 현재의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5
    를 이용하여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6
    에서 예측된 이산시간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7
    에서의 추적오차를 나타낸다고 하면, 미래 추적오차 방정식은 (E20)으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8
    (E20)
    Figure 112014001893460-pat00869
    가 정상상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0
    의 추정값으로서 (E21), (E22)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1
    (E21)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2
    (E22)
    상기 외란관측기에서 생성된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3
    를 이용한 추적오차 추정값의 방정식을 (E23)이라 할 때,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4
    (E23)
    상기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5
    는 (E24)로 정의된 비용함수에 대해, (E26)의 제한된 최적화 문제(constrained optimization problem)의 해로 얻어지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6
    (E24)
    (E24)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7
    는 주어진 정방행렬(square matrix)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8
    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879
    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0
    는 정상상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1
    의 추정값으로서 (E25)로 정의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2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3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4
    (E25)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5
    (E26)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6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7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로 이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8

    Figure 112014001893460-pat00889
    (E27)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1
    (E28)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2
    (E29)
    로 주어지며,
    (E2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3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5
    에 대해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6
    (E30)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7
    (E31)
    (E30), (E31)을 만족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8
    Figure 112014001893460-pat00899
    는 부하 변동(load variation)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에 영향받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확보와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tuning parameters)로 이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900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류검출부;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901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전압검출부;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902
    를 입력받아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903
    는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 상기 외란관측기 및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closed-loop system)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10. 직류전원, 인버터부, 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화된 d축 및 q축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4
    와 이산화된 d축 및 q축 커패시터 출력전압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5
    를 이산화된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6
    로 정의하고, 이산화된 d축 및 q축 제어입력을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7
    로 정의하고, 부하전류 및 플랜트 모델 불확실성을 반영하는 외란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8
    를 고려하여 유도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이산시간 상태방정식을
    Figure 112014016656452-pat00909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0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1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2
    라 하고, 임의의 양의 상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3
    에 대해 주어진 출력전압 기준신호를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4
    라 할 때,
    외란관측기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5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6
    ,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7
    를 입력받아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8
    를 출력하는 단계;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16656452-pat00919
    ,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0
    ,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1
    ,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2
    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3
    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 기준신호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4
    에 대해 제어 목표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5
    를 달성했을 때의 정상상태(steady-state) 조건으로부터 주어지는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6
    ,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7
    의 정상상태 값을 각각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8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29
    라 하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8
    를 2×2 단위행렬(identity matrix)이라 하면, 인덕터 전류와 제어입력의 정상상태 값은 다음과 같이 유일하게 결정되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0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1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2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는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3
    를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된 직류전압(dc voltage)이라 할 때,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4
    로 정의된 집합에 대해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5
    로 주어지는 제어입력 제한조건하에서,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6
    의 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7
    의 추정값, 상기 외란추정값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8
    를 이용하는 비용함수(cost function)를 최적화(optimization)하는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939
    를 계산하여 출력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observer gain)은 외란의 추정오차(estimation error)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0
    는 상기 상태변수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1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2
    사이의 추적오차가 0으로 수렴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란관측기의 상태방정식이 (E15), (E16), (E17)로 주어지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3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4
    의 추정값이라 하면,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5
    (E15)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6
    (E16)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7
    (E17)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8

    (E18)로 주어지는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의 해로 얻어지는
    Figure 112014016656452-pat00949
    에 대해 (E19)로 주어지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0
    (E18)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1
    (E19)
    (E18), (E19)에서,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2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3
    이고,
    Figure 112014016656452-pat00999
    는 2×4 제로행렬(zero matrix),
    Figure 112014016656452-pat01000
    는 4×4 단위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1001
    는 4×2 제로행렬이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4
    는 측정 노이즈의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를 나타내며,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5
    는 가상의 부가적인 외란의 공분산 행렬을 나타내며,
    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6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7
    는 설계 파라미터(design parameters)로 이용되어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8
    ,
    Figure 112014016656452-pat00959
    가 되도록 선택되며,
    상기 외란관측기의 관측기 이득
    Figure 112014016656452-pat00960
    는 행렬
    Figure 112014016656452-pat00961
    의 안정도를 보장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예측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2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3
    (E27)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5
    (E28)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6
    (E29)
    로 주어지며, (E28)에서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7
    이고,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8
    ,
    Figure 112014001893460-pat00969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0
    ,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1
    ,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2
    이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3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4
    ,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5
    에 대해 (E30), (E31)을 만족하며,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6
    (E30)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7
    (E31)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8
    Figure 112014001893460-pat00979
    는 설계 파라미터로서, 부하 변동(load variation) 및 플랜트 모델의 차이(plant-model mismatch)에 영향받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 확보와 성능을 조정하기 위한 튜닝 파라미터(tuning parameters)로 이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전류검출부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
    Figure 112014001893460-pat00980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전압검출부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전압
    Figure 112014001893460-pat00981
    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단계;
    공간벡터 펄스폭변조부에서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982
    를 입력받아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의 상기 인버터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측기 이득과 상기 제어입력
    Figure 112014001893460-pat00983
    는 상기 무정전 전원모듈, 상기 외란관측기 및 상기 모델예측제어기를 포함하는 폐루프 시스템의 안정도(stability)가 보장되도록 설계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방법.
KR1020140002256A 2014-01-08 2014-01-08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KR10137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6A KR101377637B1 (ko) 2014-01-08 2014-01-08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56A KR101377637B1 (ko) 2014-01-08 2014-01-08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637B1 true KR101377637B1 (ko) 2014-03-25

Family

ID=5064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56A KR101377637B1 (ko) 2014-01-08 2014-01-08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3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413B1 (ko) 2014-07-11 2016-03-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CN107872166A (zh) * 2017-10-25 2018-04-03 中国矿业大学 一种分立电感式并联交错逆变器的模型预测控制策略
KR20180095754A (ko) * 2017-02-17 2018-08-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레벨 인버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적용한 무정전 전원 장치
KR101904310B1 (ko) * 2016-08-26 2018-10-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불평형 부하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
CN109149961A (zh) * 2018-09-03 2019-01-04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一种供电系统及提高供电系统稳定性的方法
CN110045610A (zh) * 2019-04-18 2019-07-23 中国地质大学(武汉) 逆变器改进型多步模型预测控制方法、设备及存储设备
KR102050395B1 (ko) * 2018-08-30 2019-11-29 현대위아(주) 고전압 인버터의 전류 측정장치
CN110868111A (zh) * 2019-10-22 2020-03-06 北方工业大学 基于离散空间矢量调制的永磁同步电机模型预测控制方法
CN112018809A (zh) * 2020-08-14 2020-12-01 长安大学 一种单相并网逆变器定频模型预测电流控制方法
KR20210046433A (ko) * 2019-10-18 2021-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및 커패시터를 함께 이용하는 양방향 컨버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078036A (ko) * 2019-12-18 2021-06-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란관측기 기반의 모델예측제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22108287A1 (ko) * 2020-11-20 2022-05-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고정밀 위치 제어를 위한 강인한 최적 외란 관측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143339A (ko) * 2021-04-16 2022-10-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전압 측정이 없는 계통 연계 인버터 제어 시스템
EP4092896A1 (en) * 2021-05-18 2022-11-23 INTEL Corporation Computational current sensor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413B1 (ko) 2014-07-11 2016-03-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직류/직류 변환기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KR101904310B1 (ko) * 2016-08-26 2018-10-0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불평형 부하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
KR20180095754A (ko) * 2017-02-17 2018-08-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레벨 인버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적용한 무정전 전원 장치
KR101938383B1 (ko) * 2017-02-17 2019-01-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3레벨 인버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적용한 무정전 전원 장치
CN107872166A (zh) * 2017-10-25 2018-04-03 中国矿业大学 一种分立电感式并联交错逆变器的模型预测控制策略
CN107872166B (zh) * 2017-10-25 2019-11-08 中国矿业大学 一种分立电感式并联交错逆变器的模型预测控制策略
KR102050395B1 (ko) * 2018-08-30 2019-11-29 현대위아(주) 고전압 인버터의 전류 측정장치
CN109149961A (zh) * 2018-09-03 2019-01-04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北京民用飞机技术研究中心 一种供电系统及提高供电系统稳定性的方法
CN110045610A (zh) * 2019-04-18 2019-07-23 中国地质大学(武汉) 逆变器改进型多步模型预测控制方法、设备及存储设备
KR102338330B1 (ko) 2019-10-18 2021-12-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및 커패시터를 함께 이용하는 양방향 컨버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210046433A (ko) * 2019-10-18 2021-04-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및 커패시터를 함께 이용하는 양방향 컨버터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868111A (zh) * 2019-10-22 2020-03-06 北方工业大学 基于离散空间矢量调制的永磁同步电机模型预测控制方法
KR102397309B1 (ko) * 2019-12-18 2022-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란관측기 기반의 모델예측제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78036A (ko) * 2019-12-18 2021-06-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란관측기 기반의 모델예측제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018809B (zh) * 2020-08-14 2022-03-08 长安大学 一种单相并网逆变器定频模型预测电流控制方法
CN112018809A (zh) * 2020-08-14 2020-12-01 长安大学 一种单相并网逆变器定频模型预测电流控制方法
WO2022108287A1 (ko) * 2020-11-20 2022-05-2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고정밀 위치 제어를 위한 강인한 최적 외란 관측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220143339A (ko) * 2021-04-16 2022-10-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전압 측정이 없는 계통 연계 인버터 제어 시스템
KR102570542B1 (ko) 2021-04-16 2023-08-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계통전압 측정이 없는 계통 연계 인버터 제어 시스템
EP4092896A1 (en) * 2021-05-18 2022-11-23 INTEL Corporation Computational current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637B1 (ko) 정상상태 추정치와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출력 제어장치 및 출력 제어방법
Lu et al. An enhanced state observer for DC-link voltage control of three-phase AC/DC converters
Pan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current control schemes for LCL-type grid-connected inverter based on a general mathematical model
Cisneros et al. Global tracking passivity-based PI control of bilinear systems: Application to the interleaved boost and modular multilevel converters
Saxena et al. An MPC based algorithm for a multipurpose grid integrated solar PV system with enhanced power quality and PCC voltage assist
JP6059757B2 (ja) 系統電圧抑制制御装置及び系統電圧抑制制御方法
Kim et al. Disturbance-observer-based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output voltage regulation of three-phase inverter for uninterruptible-power-supply applications
Nguyen et al. Improved model predictive control by robust prediction and stability-constrained finite states for three-phase inverters with an output $ LC $ filter
Wang et al. Improved linear ADRC for hybrid energy storage microgrid output-side converter
Zhou et al. Time delay compensation-based fast current controller for active power filters
Kale et al. Chattering free robust control of LCL filter based shunt active power filter using adaptive second order sliding mode and resonant controllers
Gholami‐Khesht et al. Low computational burden grid voltage estimation for grid connected voltage source converter‐based power applications
Liu et al. Predictive direct power control for three‐phase grid‐connected converters with online parameter identification
Li et al. Observer-based adaptive control for single-phase UPS inverter under nonlinear load
Luo et al. Control system design of a three-phase active front end using a sliding-mode observer
KR101527446B1 (ko) 모델예측제어 기법을 이용한 출력제어방식을 적용한 무정전 전원장치 및 그 제어방법
Razi et al. Multi-loop control of UPS inverter with a plug-in odd-harmonic repetitive controller
Lu et al. A reduced-order enhanced state observer control of dc-dc buck converter
KR102397309B1 (ko) 외란관측기 기반의 모델예측제어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Mohanraj et al. A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in distributed generation network using adaptive distributed power balanced control (ADPBC)
Yongchang et al. Comparative study of model predictive current control and voltage oriented control for PWM rectifiers
Karthik et al. A variable step size robust normalized least mean absolute third‐based control scheme for a grid‐tied multifunctional photovoltaic system
Zhou et al. Load current observer based feed-forward DC bus voltage control for active rectifiers
Ahmed et al. Autonomous adaptive sensorless controller of inverter-based islanded-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Roy et al. Robust adaptive direct power control of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