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584B1 -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 Google Patents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584B1
KR101377584B1 KR1020120083121A KR20120083121A KR101377584B1 KR 101377584 B1 KR101377584 B1 KR 101377584B1 KR 1020120083121 A KR1020120083121 A KR 1020120083121A KR 20120083121 A KR20120083121 A KR 20120083121A KR 101377584 B1 KR101377584 B1 KR 10137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sensible
sensible heat
heat exchanger
s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051A (ko
Inventor
전범수
Original Assignee
(주)대영공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공조시스템 filed Critical (주)대영공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8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5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14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waste air or from vap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덕트에 설치되는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현열소자를 여러 겹으로 적층시 그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가 잘못된 방향이 아닌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환기덕트의 배기덕트와 급기덕트가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판상체의 대향되는 일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판상체의 전면에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에 의하여 제1 섹션부와 제2 섹션부 및 제3 섹션부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섹션부와 제3 섹션부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상향의 파상부가, 상기 제2 섹션부에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하향의 파상부가 형성되어 서로 적층되는 현열소자에 있어서, 상기 현열소자의 제1 섹션부와 제2 섹션부가 접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각 현열소자를 적층시 상기 각 섹션부에 형성된 파상부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되는 정위치 셋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Sensible heat exchangers used in ventilation ducts sensible device settings Device}
본 발명은 환기덕트에 설치되는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현열소자를 여러 겹으로 적층시 그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가 잘못된 방향이 아닌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구비되는 환기덕트의 배기덕트와 급기덕트가 교차되는 지점에 배기덕트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와 급기덕트를 통하여 급기되는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막대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배기덕트와 급기덕트의 교차되는 지점에 구비되는 현열교환기는, 동절기에 배기되는 따뜻한 실내 공기가 급기되는 차가운 외부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하절기에는 배기되는 실내의 차가운 공기가 급기되는 외부의 따뜻한 공기와 열전달이 이루어져, 즉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실내공조 시스템의 공조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렇게, 환기덕트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현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현열소자는 배기공기가 통과되는 배기채널과, 그 배기채널과 상하 교대로 배치되어 배기채널의 배기 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급기공기가 급기되는 급기채널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기채널이나 급기채널의 경우에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판상체로, 즉 통상의 골파지 형태인 상하면에 배기공기와 급기공기가 통과되는 삼각형인 파상형(波狀形)의 급기 또는 배기공기가 통과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현열소자인 배기채널이나 급기채널의 경우, 배기공기나 급기공기가 통과하는 거리가 짧아 열교환 효율이 낮은 단점, 즉 유입에서 배출되는 걸리가 짧아 열교환되는 시간이 짧아 그리 높은 효율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도 급기공기나 배기공기의 통과되는 경로를 길게하여 열교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137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열소자의 배기공기와 급기공기의 경로를 굴곡형으로 형성한 것이 제안된 바, 이러한 현열소자는 배기층의 배기로와 급기층의 급기로를 각각의 라이너에 의해 구획되도록 하면서 배기공기나 급기공기가 통과되는 중간에 격벽을 형성하여 공기가 흐르는 경로를 굴곡되게 형성시켜, 열교환 면적을 넓게 하도록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개특허에 있어서는 그 현열소자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함은 물론 라이너를 포함하여 급기층과 배기층으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성은 그리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914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판상체의 대향되는 일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판상체의 전면에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에 의하여 제1 섹션부와 제2 섹션부 및 제3 섹션부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섹션부와 제3 섹션부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상향의 파상부가, 상기 제2 섹션부에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하향의 파상부가 형성되는 현열소자를 제시한 바 있다.
그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급기나 배기되는 과정에서 오랜시간 잔류함과 아울러 최대한의 넓은 접촉면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열교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한 공개특허의 경우, 동일한 구조가 여러 겹으로 겹쳐져 현열교환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현열소자를 서로 겹쳐지도록 적층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섹션부에 형성되는 각 파상부의 방향이 잘못 고정되어 급기 및 배기가 이루어지는 않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다시 말해서, 제1 섹션부와 제3 섹션부의 각 파상부를 거쳐 급기 또는 배기되고 제2 섹션부의 파상부를 통하여 급기 또는 배기되어 지는 데, 상기 각 현열소자를 겹쳐지게 적층하는 과정에서 파상부의 방향을 잘못 위치시킴에 따라 오히려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13744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91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9140호의 "확덕트용 현열교환기 소자"를 토대로 개량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현열소자를 여러 겹으로 적층시 그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가 잘못된 방향이 아닌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층시 작업자로 하여금 혼동없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셋팅시켜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열소자를 셋팅시 테두리 부분의 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긴밀한 밀착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기덕트의 배기덕트와 급기덕트가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판상체의 대향되는 일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되고, 상기 판상체의 전면에 제1 구획부와 제2 구획부에 의하여 제1 섹션부와 제2 섹션부 및 제3 섹션부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섹션부와 제3 섹션부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상향의 파상부가, 상기 제2 섹션부에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하향의 파상부가 형성되어 서로 적층되는 현열소자에 있어서, 상기 현열소자의 제1 섹션부와 제2 섹션부가 접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각 현열소자를 적층시 상기 각 섹션부에 형성된 파상부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되는 정위치 셋팅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위치 셋팅수단은, 각 모서리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 섹션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와, 상기 제2 섹션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 결합부는, 제2 섹션부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섹션부의 파상부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밀착면과, 상기 밀착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陷入)되게 형성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부는, 제2 섹션부의 파상부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턱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 결합턱으로 형성하되, 상기 분할 결합턱 사이에는 제1 섹션부의 파상부가 더 연장되는 파상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현열소자를 여러 겹으로 적층시 그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가 잘못된 방향이 아닌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열소자를 적층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편리하면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적층이 이루어짐에 따라 열교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열교환기의 제작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현열소자를 적층시 작업자로 하여금 혼동없이, 즉 돌출되는 부분과 돌출되지 않은 부분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 인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셋팅시켜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를 정확한 위치로 위치시키면서 적층 효율성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현열소자를 셋팅시 테두리 부분의 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긴밀한 밀착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현열소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고 높은 고정력을 가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적인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층된 상태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열교환기가 환기덕트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적층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층된 상태의 요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열교환기가 환기덕트에 설치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 공기의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기덕트(200)의 배기덕트(210)와 급기덕트(220)가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현열교환기(100)를 구성하는 판상체의 대향되는 일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112) 사이에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현열소자의 변부에 형성된 결합턱이 삽입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적층하고자 하는 다른 현열소자의 변부에 형성된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결합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판상체의 전면에 일정 폭을 가지는 정사각형의 크고 작은 제1 구획부(115)와 제2 구획부(115a)에 의하여 제1 섹션부(116)와 제2 섹션부(117) 및 제3 섹션부(118)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섹션부(116)와 제3 섹션부(118)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급기로 또는 배기로가 형성되는 상향의 파상부(116a)(118a)가, 상기 제2 섹션부(117)에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급기로 또는 배기로가 형성되는 하향의 파상부(117a)가 형성되어 서로 적층되는 현열소자(110)에 있어서,
본 발명은, 현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현열소자를 여러 겹으로 적층시 그 현열소자에 형성된 파상부가 잘못된 방향이 아닌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현열소자(110)의 제1 섹션부(116)와 제2 섹션부(117)가 접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각 현열소자(110)를 적층시 상기 각 섹션부(116)(117)(118)에 형성된 파상부(116a)(117a)(118a)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되는 정위치 셋팅수단(1)을 구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1, 3 섹션부(116)(118)에 형성되는 상향의 파상부(116a)(118a)는 같은 방향으로, 제2 섹션부(117)에 형성되는 하향의 파상부(117)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어 짐에 따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다른 현열소자를 적층시키고자 할 때 급기 또는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파상부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위치해야 하는 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파상부의 방향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적층시켜야 했으나 본 발명의 정위치 셋팅수단(1)에 의하여 작업자가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각각의 현열소자를 적층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위치 셋팅수단(1)은, 각 모서리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 섹션(117)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10)와, 상기 제2 섹션부(117)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른 현열소자에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10)가 결합되는 삽입부(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정위치 셋팅수단은 서로 대향되는 모서리에 형성되는 돌출 결합부와 삽입부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적층하고자 하는 현열소자의 돌출 결합부를 삽입부로 위치시킴에 따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고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현열소자에 형성된 각 파상부의 방향이 트러지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위치시켜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출 결합부(10)는, 제2 섹션부(117)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섹션부(116)의 파상부(116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삽입부의 결합면과 접촉되는 평면 형태의 밀착면(12)과, 상기 밀착면(12)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되어 다른 현열소자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20)와 결합되는 삽입홈(1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삽입부(20)는, 제2 섹션부(117)의 파상부(117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져 상기 밀착면과 밀착되는 평면 형태의 결합면(22)과, 상기 결합면(22)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삽입홈(14)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돌출 결합부에 다른 현열소자에 형성된 삽입부를 위치시켜 삽입부의 삽입돌기가 돌출 결합부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파상부의 방향이 잘못 위치하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자연스럽게 셋팅되는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현열소자를 적층시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정확한 위치로 위치시켜 적층이 이루어질 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개의 현열소자를 적층시 간단하고 편리하면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현열교환기로의 제작작업 또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져 제작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따른 적층된 상태의 개략적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현열소자의 테두리 부분의 변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결합턱과 결합홈이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길게 형성된 결합턱과 결합홈으로 인해 휨 등과 같이 쉽게 변형되거나 더욱더 긴밀한 밀착 고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턱(114)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 결합턱(114a)으로 형성하되, 상기 분할 결합턱(114a) 사이에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섹션부(116)의 파상부(116a)가 더 연장되는 파상 연장부(116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다른 현열소자의 결합홈으로 결합되는 결합턱을 여러 개로 분할시킨 분할 결합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분할 결합턱 사이에는 휨 등과 같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섹션부의 파상부가 연장되어 형성된 파상 연장부를 형성함에 따라 적층시에 테두리 부분의 변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여러 개의 분할 결합턱에 의한 더욱더 긴밀한 밀착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1 : 정위치 셋팅수단
10 : 돌출 결합부 12 : 밀착면
14 : 삽입홈 20 : 삽입부
22 : 결합면 24 : 삽입돌기
100 : 현열교환기 110 : 현열소자
112 : 돌기 113 : 결합홈
114 : 결합턱 114a : 분할 결합턱
115 : 제1 구획부 115a : 제2 구획부
116 : 제1 섹션부 116a,117a,118a : 파상부
116b : 파상 연장부 117 : 제2 섹션부
118 : 제3 섹션부 200 : 환기덕트
210 : 배기덕트 220 : 급기덕트

Claims (5)

  1. 삭제
  2. 환기덕트(200)의 배기덕트(210)와 급기덕트(220)가 교차되는 지점에 열교환을 위해 구비되는 현열교환기(100)를 구성하는 판상체의 대향되는 일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112) 사이에 결합홈(113)이 형성되며, 대향되는 타측 변부에 표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된 결합턱(114)이 형성되고, 상기 판상체의 전면에 제1 구획부(115)와 제2 구획부(115a)에 의하여 제1 섹션부(116)와 제2 섹션부(117) 및 제3 섹션부(118)로 구획되되, 상기 제1 섹션부(116)와 제3 섹션부(118)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상향의 파상부(116a)(118a)가, 상기 제2 섹션부(117)에는 급기 또는 배기되는 하향의 파상부(117a)가 형성되어 서로 적층되는 현열소자(110)에 있어서,
    상기 현열소자(110)의 제1 섹션부(116)와 제2 섹션부(117)가 접하는 각 모서리 부분에 각 현열소자(110)를 적층시 상기 각 섹션부(116)(117)(118)에 형성된 파상부(116a)(117a)(118a)의 방향이 어긋나지 않고 급기 또는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확한 방향으로 셋팅되어 적층되는 정위치 셋팅수단(1)을 구비하되,
    상기 정위치 셋팅수단(1)은 각 모서리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 섹션부(117)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결합부(10)와, 상기 제2 섹션부(117)로부터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부(10)는, 제2 섹션부(117)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제1 섹션부(116)의 파상부(116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밀착면(12)과, 상기 밀착면(12)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되게 형성되는 삽입홈(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0)는, 제2 섹션부(117)의 파상부(117a)의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결합면(22)과, 상기 결합면(22)으로부터 하향으로 함입되어 상기 삽입홈(14)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부에 형성되는 결합턱(114)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분할 결합턱(114a)으로 형성하되, 상기 분할 결합턱(114a) 사이에는 제1 섹션부(116)의 파상부(116a)가 더 연장되는 파상 연장부(116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KR1020120083121A 2012-07-30 2012-07-30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KR10137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21A KR101377584B1 (ko) 2012-07-30 2012-07-30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21A KR101377584B1 (ko) 2012-07-30 2012-07-30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51A KR20140016051A (ko) 2014-02-07
KR101377584B1 true KR101377584B1 (ko) 2014-03-27

Family

ID=5026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21A KR101377584B1 (ko) 2012-07-30 2012-07-30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51A (ko) 2017-09-29 2019-04-08 전희준 환기 덕트용 현열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851A (ja) * 2003-06-26 2005-01-20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
KR100958485B1 (ko) * 2001-12-18 2010-05-1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열교환기 판, 판 패키지, 그리고 판형 열교환기
KR20100059140A (ko) * 2008-11-26 2010-06-04 전범수 환기덕트용 전열교환기 소자
KR100991946B1 (ko) * 2010-04-22 2010-11-04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485B1 (ko) * 2001-12-18 2010-05-17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열교환기 판, 판 패키지, 그리고 판형 열교환기
JP2005016851A (ja) * 2003-06-26 2005-01-20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
KR20100059140A (ko) * 2008-11-26 2010-06-04 전범수 환기덕트용 전열교환기 소자
KR100991946B1 (ko) * 2010-04-22 2010-11-04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51A (ko) 2017-09-29 2019-04-08 전희준 환기 덕트용 현열 열교환기
KR101971934B1 (ko) * 2017-09-29 2019-04-24 전희준 환기 덕트용 현열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51A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6517B2 (ja) 熱交換素子
JP2008249291A (ja) 熱交換素子
US10215498B2 (en) Air guide-integrated evaporation coo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377584B1 (ko) 환기덕트용 현열교환기의 현열소자 셋팅장치
TWI421460B (zh) Heat exchange element
JP7333875B2 (ja) 全熱交換素子および換気装置
JP2003130571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17062094A (ja) 熱交換素子
EP2851643B1 (en) Stacked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heat exchange ventilation device
KR101730890B1 (ko) 열회수용 플라스틱 열교환기
EP41601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unter-flow total heat exchanger
KR20090004796A (ko) 전열교환기 및 전열교환기의 제조방법
JP2005291618A (ja) 全熱交換素子及び全熱交換器
US11187470B2 (en) Plate fin crossflow heat exchanger
JP6537760B1 (ja) 熱交換素子及び熱交換換気装置
KR101971934B1 (ko) 환기 덕트용 현열 열교환기
KR20100059140A (ko) 환기덕트용 전열교환기 소자
JP5818749B2 (ja) 全熱交換素子および全熱交換装置
JP6392659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25946B1 (ko) 급배기 덕트의 연결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의 열교환기 조립체
JP4675224B2 (ja) 空気調和機
JP6658779B2 (ja) 熱交換装置
JP6967407B2 (ja) 放熱シート
CN203454889U (zh) 一种板翅式热交换器芯体及板翅式热交换器
CN114485223A (zh) 一种具有瓦楞结构的全热交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