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14B1 -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14B1
KR101377214B1 KR1020140020421A KR20140020421A KR101377214B1 KR 101377214 B1 KR101377214 B1 KR 101377214B1 KR 1020140020421 A KR1020140020421 A KR 1020140020421A KR 20140020421 A KR20140020421 A KR 20140020421A KR 101377214 B1 KR101377214 B1 KR 101377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ec
data
iso
xsl
sche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신민호
김인택
김석진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14B1/ko
Priority to PCT/KR2015/001481 priority patent/WO20151261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기차와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망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매핑을 지원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표준의 확장 및 변환에 따라 프로그램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게이트웨이 형식의 1:1 매핑 방법에 비해, 스키마 기반 매핑은 XSL 파일의 일부만 변경할 뿐 프로그램 코드는 수정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ISO/IEC 15118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전기차와 전력망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아닌 XSL 파일의 전달만으로도 매핑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이다.

Description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pping data based on the schema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기차와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망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매핑을 지원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제2011-0066695호 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IEC 61850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며, 다수의 IED와 통신하여 IED 데이터를 수집하는 IEC 61850 모듈; DNP 3.0 통신프로토콜로 통신하는 DNP 3.0 모듈; IEC 61850 프로토콜을 통해 취득한 정보와 DNP 3.0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취득한 정보를 서로 매핑해 주는 데이터 매핑 모듈; 및 데이터 매핑을 위한 로그정보의 처리 및 장치제어를 위한 프로세서, 메모리 및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정보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종래기술의 데이터 매핑 모듈은 DNP 3.0 프로토콜과 IEC 61850 프로토콜 사이에 프로토콜을 변환/역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모듈에 의하여 정보의 프로토콜을 변환한 후에 매핑이 이루어지는 전력정보 제공용 다기능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동일하게 현재 전기차 충전인프라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ISO/IEC 15118과 IEC 61850간 데이터 매핑 역시 게이트웨이 형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각각의 양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시스템 개발자가 프로그램 상에서 추출하여 지정하는 단순한 1:1 매핑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1:1 매핑방법은 매핑할 데이터 포인트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표준의 확장 및 변환으로 인한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매핑 구현 내용을 변경해야 함으로 확장성이 결여된다.
또한 데이터 매핑의 전 과정을 개발자에게 의존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실수가 시스템 전체에 치명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으며, 특정 시스템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성 확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기차와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망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데이터 매핑을 지원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은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가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각 계통의 XML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XSL 프로세서; 전기차 계통으로부터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거나,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ISO/IEC 15118로 변환된 상기 전력망 계통의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서버; 및 전력망 계통으로부터 IEC 61850 XML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XSL프로세서로 전달하거나, XSL 프로세서를 통해 IEC 61850로 변환된 상기 전기차 계통의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은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의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각 계통의 XML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XSL프로세서;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부터 변환되는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전기차 계통으로 전달함으로써 전기차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부터 변환되는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전력망 계통으로 전달함으로써 전력망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XSL 프로세서는 상기 XML 데이터를 EXI(Efficient XML Interchange)형태로 압축하는 인코딩 모듈 및 압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코딩 모듈로 구성되는 EXI컨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XSL 프로세서; 제1 서버; 제2 서버;를 포함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은 전기차와 전력망을 연결함으로써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전기차와 전력망 간의 원활한 데이터교환을 제공하는 전기차 충전장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XSL 프로세서는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의 XML 스키마를 저장하는 스키마부;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1 XSL 데이터와, 역으로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2 XSL 데이터를 저장하는 XSL부; 제1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스키마부에 저장된 XSL 스키마로부터 정의된 상기 XSL부의 제1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SL 데이터를 상기 XSL부에 저장된 제2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XSL 데이터는 상기 스키마부에 저장된 ISO/IEC 15118 스키마 데이터와 IEC 61850 스키마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한다.
그리고 XSL 프로세서를 통해 변환된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간 스키마 기반 XML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처리과정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은 (a) XSL 프로세서가 ISO/IEC 15118 서버로부터 전기차 계통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 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IEC 61850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역방향에 따른 IEC 61850과 ISO/IEC 15118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은 (a') XSL프로세서가 IEC 61850 서버로부터 전력망 계통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ISO/IEC 15118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표준의 확장 및 변환에 따라 프로그램 코드의 수정이 필요한 게이트웨이 형식의 1:1 매핑 방법에 비해, 스키마 기반 매핑은 XSL 파일의 일부만 변경할 뿐 프로그램 코드는 수정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ISO/IEC 15118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든 전기차와 전력망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아닌 XSL 파일의 전달만으로도 매핑이 가능하므로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전기차 충전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도면이며,
도 3은 XSL을 활용한 스키마 기반 매핑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5는 EXI 파일형식을 나타낸 예시도면이고,
도 6은 XML 파일형식을 나타낸 예시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은 제1 서버(110), XSL 프로세서(120), 데이터베이스(130), 제2 서버(140),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제1 서버(110)는 ISO/IEC 15118서버로서, ISO/IEC 15118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형식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기차의 ISO/IEC 15118 클라이언트와 통신함으로써, 전기차 충전시나리오에 따라 전기차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충전장치의 고유정보, 전력계통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을 전기차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XSL 프로세서(120)는 이기종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형식 데이터를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XSL 프로세서(120)는 스키마부(121), XSL부(122), EXI 컨버터부(123), 제1 변환부(124), 제2 변환부(125)를 포함한다.
스키마부(121)는 ISO/IEC 15118 통신프로토콜과 IEC 61850 통신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성 내역들이 정의된 ISO/IEC 15118 스키마 데이터와 IEC 61850 스키마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는 충전장치를 통해 전력망과 연계하여 전기차의 충전과 방전을 위한 정보들을 교환한다. 그러나 전기차와 충전장치는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을, 충전장치와 전력망은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충전장치는 서로 상의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기차와 전력망 사이의 원활한 정보교환을 위해 데이터 매핑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원활한 전기차 충방전을 위해서는 전기차에서 전력망으로 또는 역방향인 전력망에서 전기차로의 정보 전달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차와 전력망을 연결하는 충전장치에서의 상이한 두 프로토콜간 데이터 매핑이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차는 ISO/IEC 15118 형식으로 전기차의 상태정보, 전기차에서 선택한 충전방법, 충전종료 요청시간, 원하는 전기차 충전량, 전기차의 가용 최대/최소 저압 및 전류 등을 충전장치에 전송하고, 충전장치는 전기차로부터 수신한 정보 중 일부를 충전 스케줄 계획 및 기록을 위하여 IEC 61850 형식으로 전력망에 전송해야 한다. 이때, ISO/IEC 15118 형식으로 제공된 정보를 IEC 61850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표현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요소들을 각각 도출해야 한다.
ISO/IEC 15118 통신프로토콜은 전기차와 충전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로써, 효율성과 안전성 그리고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세계적인 전기차 제조사 및 전력 공급사들의 주도로 개발된 국제표준이다. ISO/IEC 15118은 기본적인 정보와 최소한의 안전을 위한 최대 가용 전류정보를 전송하는 Low-level 통신만 가능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충전기능 및 부가 서비스 지원을 위해서는 High-level 통신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High-level 디지털 통신을 지원하게 됨으로써 전기차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충전 시작/종료, 요금 지불, 인증 및 보안, 충전 제어 및 스케줄링, 부가 서비스 등)들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IEC 61850은 변전소 자동화를 위해 재정된 국제표준으로 전력망에 연계된 전력 장비(IED: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들 간의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모델 및 통신규약을 제공한다. IEC 61850은 전력망에 연계된 모든 전력장비간의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하고, 실시간 감시를 통한 설비 고장에 대한 사전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어플리케이션 모델과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분리함으로써 변전소 자동화에 필요한 모든 기능 정의 가능하고, 새로운 통신기술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XSL부(122)는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데이터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제1 XSL 문서와,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데이터를 ISO/IEC 15118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제2 XSL 문서를 저장하고, 제1 및 제2 XSL 문서는 스키마부의 각 통신프로토콜의 데이터 매핑 내역들이 테이블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XSL 문서는 15118-to-61850 XSL 파일이고, 제2 XSL 문서는 61850-to-15118 XSL 파일이다. 이러한 XSL 문서는 상기 스키마부에 저장되어 있는 ISO/IEC 15118 스키마 데이터와 IEC 61850 스키마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통신프로토콜의 데이터 매핑 내역들을 테이블로 정의한다.
부연설명하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파일은 인터넷상에서의 효율적인 정보공유를 위하여 제안된 차세대 인터넷 언어이다. ISO/IEC 15118과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에서는 상이한 전력기기간 데이터 교환 및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각 표준의 스키마에 맞는 XML 형식으로 기술된 데이터를 교환한다.
XSL(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은 하나의 스키마 형식에 따라 기술된 XML문서를 다른 스키마 형식의 XML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표준이다.
이러한 XSL을 활용하면 전기차로부터 전달되는 ISO/IEC 15118 스키마 형식의 XML문서를 IEC 61850 스키마 형식의 XML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XSL을 활용한 스키마 기반 매핑의 개념도이다. 서로 다른 스키마 형식으로 기술된 두 XML 문서간 실제적인 변환은 자바코드로 구현된 XSL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며, 변환을 위해서는 변환하고자 하는 XML 소스 파일과 변환방법이 기술되어 있는 XSL파일이 필요하다.
즉, 전기차에서 전력망으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기차로부터 보내진 ISO/IEC 15118 스키마 형식의 XML 파일과 15118-to-61850 XSL 파일이 필요하며, 반대로 전력망에서 전기차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력망으로부터 보내진 IEC 61850 스키마 형식의 XML 파일과 61850-to-15118 XSL 파일이 필요하다.
EXI 컨버터부(123)는 XML 데이터를 압축하여 EXI(Efficient XML Interchange) 형태로 인코딩하거나 역으로 EXI 형태의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여 XML로 디코딩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차의 ISO/IEC 15118 클라이언트와 제1 서버간의 ISO/IEC 15118 기반으로 작성된 XML 뿐만 아니라 EXI(Efficient XML Interchange)형식의 ISO/IEC 15118 메시지의 송수신 또한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여기서, EXI는 XML의 압축표준으로 파일크기 절감, 보안성 향상, 통신성능 향상 및 전력소모량 감소의 장점이 있다.
즉, 이러한 EXI 컨버터부는 인코딩 모듈(미도시)과 디코딩 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버와 ISO/IEC 15118 클라이언트는 EXI 파일형식의 ISO/IEC 15118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는 전기차와 충전장치간에 교환되는 ISO/IEC 15118 메시지 하나에 대한 EXI와 XML형식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6의 XML형식의 메시지를 EXI 표준에 따라 압축(Encoding)한 결과가 도 5이며, 도 5의 EXI 형식의 메시지를 다시 압축해제(Decoding)하면 도 6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서버에서는 EXI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EXI 형식으로는 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석이 가능한 XML 형식으로 압축해제를 수행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EXI의 XML로 압축해제에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써 Java로 개발된 OpenEXI를 활용하였다.
이때, EXI 컨버터부를 통해 압축 해제된 XML형식의 데이터는 역시 ISO/IEC 15118 기반의 데이터로써,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전력계통과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IEC 61850 스키마 기반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제1 변환부(124)는 제1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전기차 계통의 XML 데이터를 XSL부의 15118-to-61850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망 계통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 변환부(125)는 제2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전력망 계통의 XML 데이터를 XSL부의 61850-to-15118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계통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130)는 XSL 프로세서(120)를 통해 변환된 IEC 61850 데이터와 ISO/IEC 15118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ISO/IEC 15118과 IEC 61850 표준에 기술된 데이터모델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여기에는 IEC 61850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장치(EVSE)가 내부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전기적 데이터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제2 서버(140)는 IEC 61850 서버로서,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형식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력계통의 IEC 61850 클라이언트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때, 교환에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통해 수집하며, IEC 61850-7-2에 명시되어 있는 IEC 61850 서비스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각 구성의 단계별 처리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써, 전기차 충전 시나리오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ISO/IEC 15118 메시지에 대한 EXI 컨버터, XSL 프로세스의 변환과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인 전력망에서 전기차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계별 데이터 변환 처리과정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도 7은 ISO/IEC 15118 데이터의 IEC 61850 데이터로의 변환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왼쪽 상자는 ISO/IEC 15118 서버로부터 수신된 EXI 형식의 데이터를 EXI 컨버터를 통해 압축 해제하여 XML 형식으로 변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렇게 변환된 ISO/IEC 15118 데이터는 XSL 프로세서(120)의 제1 변환부(124)를 통해 오른쪽 상자와 같이 IEC 61850 통신 프로토콜 기반의 XML 형식으로 변환되며, 그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은 (a) XSL 프로세서가 ISO/IEC 15118 서버로부터 전기차 계통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 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IEC 61850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C 61850과 ISO/IEC 15118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은 (a') XSL프로세서가 IEC 61850 서버로부터 전력망 계통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ISO/IEC 15118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10 : 제1 서버 120 : XSL프로세서
121 : 스키마부 122 : XSL부
123 : EXI컨버터부 124 : 제1 변환부
125 : 제2 변환부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제2 서버 150 : 디스플레이

Claims (9)

  1.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가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각 계통의 XML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XSL 프로세서;
    상기 전기차 계통으로부터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거나,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ISO/IEC 15118로 변환된 상기 전력망 계통의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전력망 계통으로부터 IEC 61850 XML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XSL프로세서로 전달하거나,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IEC 61850로 변환된 상기 전기차 계통의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으로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2.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의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파일을 이용하여 상기 각 계통의 XML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XSL프로세서;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부터 변환되는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상기 전기차 계통으로 전달함으로써 전기차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1 서버; 및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XSL 프로세서로 전달하고,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부터 변환되는 IEC 61850 XML 데이터를 상기 전력망 계통으로 전달함으로써 전력망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XSL 프로세서는 상기 XML 데이터를 EXI(Efficient XML Interchange)형태로 압축하는 인코딩 모듈 및 압축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코딩 모듈로 구성되는 EXI컨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버는,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통신프로토콜 기반 XM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력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전기차의 ISO/IEC 15118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ISO/IEC 15118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버는,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통신프로토콜 기반 XM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망 계통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전기차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IEC61850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SL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통신프로토콜과 IEC 61850 통신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성 내역 정보들이 정의된 ISO/IEC 15118 스키마 데이터와 IEC 61850 스키마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키마부;
    상기 각 계통의 XML 데이터로 상호 변환할 수 있도록 상기 스키마부의 각 통신프로토콜 스키마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매핑 내역들이 정의되는 15118-to-61850 XSL 데이터 및 61850-to-15118 XSL 데이터를 저장하는 XSL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전기차 계통의 XML 데이터를 상기 XSL부의 15118-to-61850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력망 계통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및
    상기 제2 서버로부터 전달받는 전력망 계통의 XML 데이터를 상기 XSL부의 61850-to-15118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기차 계통의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SL 프로세서를 통해 변환된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와,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간 스키마 기반 XML 데이터를 상호 변환하는 처리과정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8.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에 있어서,
    (a) XSL 프로세서가 ISO/IEC 15118 서버로부터 전기차 계통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 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IEC 61850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
  9.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에 있어서,
    (a') XSL프로세서가 IEC 61850 서버로부터 전력망 계통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달받는 단계;
    (b') 상기 XSL 프로세서가 전기차 계통과 전력망 계통의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 매핑 내역이 정의된 XSL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전력망 계통의 IEC 61850 XML 데이터를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c') 상기 XSL프로세서가 상기 (b') 단계에서 변환된 전기차 계통의 ISO/IEC 15118 XML 데이터를 ISO/IEC 15118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IEC15118과 IEC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방법.
KR1020140020421A 2014-02-21 2014-02-21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7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21A KR101377214B1 (ko) 2014-02-21 2014-02-21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01481 WO2015126104A1 (ko) 2014-02-21 2015-02-13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421A KR101377214B1 (ko) 2014-02-21 2014-02-21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214B1 true KR101377214B1 (ko) 2014-04-02

Family

ID=5065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421A KR101377214B1 (ko) 2014-02-21 2014-02-21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77214B1 (ko)
WO (1) WO20151261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46B1 (ko) * 2018-09-05 2020-02-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기종 환경의 데이터 호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2200B2 (en) 2017-10-13 2019-09-10 Abb Schweiz Ag Reconfigurable extended 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s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 system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568A1 (ja) 2006-05-15 2007-11-22 Justsystems Corporation データ処理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01917067B (zh) 2010-08-13 2013-07-17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电力设备状态监测装置的集成方法
KR20130102404A (ko) * 2012-03-07 2013-09-17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선 통신 모뎀 및 전력선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32B1 (ko) * 2000-10-20 2004-05-03 박대흥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웹통관시스템 및 웹통관방법
JP5509596B2 (ja) * 2006-12-08 2014-06-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管理装置
KR101007619B1 (ko) * 2008-11-11 2011-01-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의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2568A1 (ja) 2006-05-15 2007-11-22 Justsystems Corporation データ処理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方法
CN101917067B (zh) 2010-08-13 2013-07-17 华北电力大学(保定) 一种电力设备状态监测装置的集成方法
KR20130102404A (ko) * 2012-03-07 2013-09-17 한국전기연구원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선 통신 모뎀 및 전력선 통신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946B1 (ko) * 2018-09-05 2020-02-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이기종 환경의 데이터 호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104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28880B (zh) 一种多源电力业务数据的数据结构格式的规整方法和系统
CN105354220B (zh) 一种智能变电站ied设备用户自定义配置文件的应用方法
US8332055B2 (en) Energy 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999314B1 (ko) 검침 데이터 수집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12187936B (zh) 车辆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车辆
CN104468938A (zh) 一种信息采集处理方法以及相关装置、移动终端和服务器
CN106603482A (zh) 自动生成can通讯协议代码的方法和装置
CN103516814A (zh) 一种大数据量的数据交换方法
CN109038473A (zh) 一种基于文件方式的继电保护装置定值整定和校核系统
CN103329125A (zh) 用于管理工业监督和控制系统中的通信的方法和系统
CN105760272A (zh) 基于插件的监控后台业务定制方法及其系统
EP4102776A1 (en) Log acquisi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301778A1 (en) Integrated head-end utility metering system
KR101377214B1 (ko) Iso/iec 15118과 iec 61850의 스키마 기반 매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69372A (zh) 一种用电采集主站物联网协议融合方法
KR101411128B1 (ko) 디바이스 에이전트와 그것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CN106022962B (zh) 扩展61850模型解析合并单元配置文件的改进方法
KR20110042880A (ko) 홈 네트워크 상의 전력기기들과 에너지서비스제공자의 서비스 포털서버와의 단일 접속 포인트를 제공하는 홈 에너지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20170116072A1 (en) Agent system for intelligent system management by digital subst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103516775B (zh) 一种实现设备间快速同步的方法及系统
KR101508914B1 (ko) openADR에서 메시지의 오버헤드 및 지연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03067368A (zh) 电力系统告警信息直传的协议及其实现方法
Willrett Standards for implementing smart charging
KR101696500B1 (ko)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EP2498062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evice Specific Data Over a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