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500B1 -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 Google Patents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500B1
KR101696500B1 KR1020120144127A KR20120144127A KR101696500B1 KR 101696500 B1 KR101696500 B1 KR 101696500B1 KR 1020120144127 A KR1020120144127 A KR 1020120144127A KR 20120144127 A KR20120144127 A KR 20120144127A KR 101696500 B1 KR101696500 B1 KR 10169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im
sep
operation center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6036A (ko
Inventor
안윤영
박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4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5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데이터를 프로토콜 유형 별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유형별로 분류된 제1 데이터를 CIM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DATA INTERWORKING GATEWAY STRUCTURE BASED ON CIM}
CIM 기반의 데이터의 연동을 지원하는 기술에 연관되며, 보다 특정하게는 스마트그리드에서 소비자단의 장치와 디스플레이들의 미터링 및 전력 정보 데이터를 표준 모델링 기법인 CIM 기반으로 운용센터에 전달하기 위해 CIM을 지원하지 않는 정보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장치의 데이터 연동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소비자단의 디바이스들의 미터링 및 전력 정보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를 통해서 운용센터에 수집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용센터는 소비자단의 장치 및 디바이스들의 정보 데이터의 연계를 위해 IEC 61968/61970 국제표준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공통정보모델) 기반 표준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을 채용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AMI에서 사용되는 장치나 디바이스들은 미터링이나 전력 정보를 운용 센터에 보내기 위한 표준화된 정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지만, CIM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단의 디바이스들의 미터링 및 전력 정보와 운용 센터와의 연계를 위해, AMI 디바이스들은 CIM으로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요구하게 된다.
일측에 따르면,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데이터를 프로토콜 유형 별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유형별로 분류된 제1 데이터를 CIM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이 되는 홈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인 상기 홈과 운용센터 사이의 AMI 블록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수요측 스마트 미터가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와 데이터 연동을 위한 AMI 장치들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의 가전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와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와 데이터 연동을 위한 AMI 장치들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의 가전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와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와 데이터 연동을 위한 AMI 장치들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CIM 연동 게이트웨이(100)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이해를 돕거나 및/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100)의 블록도이다. 상기 게이트웨이(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수요측인 홈의 디바이스들로부터 미터링 및 전력 정보인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00), 상기 수신된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홈의 디바이스들의 프로토콜의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120), 상기 유형별로 분류된 제1 데이터를 CIM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130),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송하는 송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에서 수요측의 장치들의 제1 데이터(미터링 및 전력 정보 데이터)를 CIM 기반으로 운용 센터에 전달하기 위해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의 장치들의 상기 제1 데이터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를 통해서 운용센터에 수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운용센터는 이러한 정보 데이터의 연계를 위해 IEC 61968/61970 국제표준 CIM(Common Information Model, 공통정보모델) 기반 표준모델링 기법 적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을 채용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AMI에서 사용되는 장치들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운용 센터에 전송하기 위해 표준화된 정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으나, CIM을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AMI 장치들은 CIM으로의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100)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상기 제1 데이터를 각각의 디바이스의 프로토콜 별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CIM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여 운영센터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이 되는 홈의 구조도이다. 상기 홈의 상기 제1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달하기 위한 AMI는 홈 디바이스(210, 220, 230, 240, 241, 및 242), 스마트 미터(250), 스마트 미터(250)와 상기 홈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201), 상기 홈 네트워크로부터 수집한 상기 제1 데이터를 CIM 기반으로 변환하여 운용센터로 전송하는 CIM 연동 게이트웨이(홈 서버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100)로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디바이스는 IHD(In-Home Display)(210), 가전(220), 자동 온도 조절 장치(230), 배터리(241) 및 태양광(242) 제어를 위한 PCS(Power Conditioning System)(2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디바이스는 제1 데이터 이를 테면, 전력 사용 정보를 상기 홈 서버(CIM 연동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상기 홈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미터는 상기 홈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상기 홈 서버(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홈 서버로부터 미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서버(CIM 연동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미터와 상기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데이터(미터링 및 전력 정보)를 CIM 기반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서버(CIM 연동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변환된 미터링 및 전력 정보인 제2 데이터를 상기 운용센터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홈 서버(CIM 연동 게이트웨이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운용센터로부터 상기 스마트 미터와 상기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직접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스마트 미터와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인 상기 홈과 운용센터 사이의 AMI 블록도(300)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 센터(320)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321) 및 AMI 헤드엔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홈(310)은 CIM 연동 게이트웨이(100) 및 홈 디바이스(30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302)가 홈(310)으로부터의 미터링 및 전력 정보를 운용센터에 전달하기 위해 홈(310)과 운용센터(32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운용 센터에 수집되는 수요 측의 디바이스들의 미터링 및 전력 정보는 AMI를 통해 수집될 수 있고, 상기 운용 센터는 이러한 정보 데이터의 연계를 위해 CIM 기반 표준 모델링 기법 적용하여 표준화된 데이터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정보를 수집한다.
일실시예에서, AMI에서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은 미터링 및 전력 정보를 상기 운영센터에 전송하도록 하기 위해 표준화된 정보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CIM를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CIM 기반의 연동을 위해 CIM 기반의 연동 게이트웨이가 필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서버는 도 2의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미터와 상기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미터링 및 전력 정보를 CIM 기반으로 변환할 수 있는 CIM 연동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센터로부터 상기 스마트 미터와 상기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영센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나 상기 홈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나 상기 홈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용센터는 관리하고 있는 홈으로부터 미터링 및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용센터는 상기 홈의 전체 전력 사용량, 전력 공급량 및 가격 정보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어 신호를 홈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수요측 스마트 미터(430)가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410)와 데이터 연동을 위한 AMI 장치들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마트 미터(430)는 미터링 데이터를 상기 운용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홈서버(CIM 연동 게이트웨이)(4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홈 서버는 상기 미터링 데이터를 CIM 기반의 표준 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운용센터로 전달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미터는 국제 표준(IEC 62056) 기반의 원격 검침용 프로토콜인 DLMS(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를 사용할 수 있고, IP 기반으로 전력량계가 다루고 있는 각종 데이터를 논리적인 객체로 모델링하고 이를 표준화된 자료구조로 데이터 메시지를 정의하며, 다양한 전송 매체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규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는 인터넷 프로토콜 위에 XML 기반으로 데이터 연계를 위해 CIM 표준모델링 기법 적용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IM 연동 게이트웨이는 DLMS 프로토콜을 지원하면서 미터링 데이터를 CIM 표준 모델 기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AMI 헤드엔드(4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수요측의 가전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530, 630)와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510, 610)와 데이터 연동을 위한 AMI 장치들의 프로토콜 스택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디바이스들(530, 630)의 전력 정보를 상기 운용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CIM 연동 게이트웨이(520, 6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CIM 연동 게이트웨이는 상기 전력 정보를 CIM 기반의 표준 모델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운용센터에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ZigBee에서 제정된 SEP(Smart Energy Profile)는 홈 네트워크 상에서 에너지의 관리 및 수요반응을 위한 무선 통신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이 자동화 기능 및 실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SEP는 전력회사와 에너지 공급자로 하여금 새로운 첨단 미터링 및 수요반응 프로그램을 구현하도록 하여 에너지 관리 및 효율성을 제고한다. 상기 운용센터의 상기 AMI 헤드엔드는 인터넷 프로토콜 위에 XML 기반으로 데이터 연계를 위해 CIM 표준모델링 기법 적용한 프로토콜 스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EP1.X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IP와 CIM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CIM 연동 게이트웨이에서 SEP 1.X를 지원하면서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된 전력 정보를 CIM 표준 모델 기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 디바이스에서 IP와 CIM 기반으로 표준화된 SEP 2.0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CIM 연동 게이트웨이에서 SEP 2.0 스택만 구현되면 운용센터와 프로토콜 변환 없이 연동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CIM 연동 게이트웨이(100)의 구조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미터(760)와 상기 홈 디바이스(750)로부터 수집되는 제1 데이터(미터링 및 전력 정보)는 상기 운용센터의 AMI 헤드엔드(77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운용센터로부터 받은 제어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CIM 연동 게이트웨이(100)는 홈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710), 홈 에너지 관리 기능(720), SEP2.0 처리 기능(730), 홈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740), , SEP 1.X 처리 기능(742), CIM-SEP 1.X 연동 기능(744), DLMS 처리 기능(746), CIM-DLMS 연동 기능(748)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내부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은 홈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이다. 이를 테면, Zigbee, WiFi, PLC 등의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SEP 2.0 처리 기능은 SEP 2.0을 지원하는 상기 홈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된 데이터는 상기 운용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홈 에너지 관리 기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SEP 1.X 처리 기능은 SEP 1.X를 지원하는 상기 홈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처리된 데이터는 CIM-SEP 1.X 연동 기능으로 전달되고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되어 상기 홈 에너지 관리 기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DLMS 처리 기능은 상기 스마트 미터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COSEM 객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상기 처리된 데이터는 CIM-DLMS 연동 기능으로 전달되어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되고 상기 홈 에너지 관리 기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에너지 관리 기능은 상기 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마트 미터 및 상기 홈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집되는 미터링 및 전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홈 내부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관리 기능, 및 정보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집 데이터를 상기 운용센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홈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은 상기 홈 에너지 관리 기능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미터링 및 전력 데이터를 상기 운용센터의 상기 AMI 헤드엔드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기능일 수 있다. 이를 테면, 초고속 통신망, 이동통신(CDMA, 3G, WCDMA, Wibro, LTE 등)과 같은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데이터를 프로토콜 유형 별로 SEP (Smart Energy Profile) 2.0, SEP (Smart Energy Profile) 1.X 및 DLMS (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유형별로 분류된 제1 데이터를 CIM (Common Information Model)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송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SEP 2.0인 경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하여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SEP 1.X인 경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CIM-SEP 1.X 연동 및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 처리하여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DLMS인 경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데이터를 CIM-DLMS 연동 및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 처리하여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전력사용 제어신호를 상기 운용센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운용센터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력사용 제어신호를 상기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미터의 미터링 데이터 및 상기 홈 디바이스의 전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및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또는 상기 홈 디바이스와의 내부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스마트 미터 및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한 제1 데이터를 프로토콜 유형 별로 SEP (Smart Energy Profile) 2.0, SEP (Smart Energy Profile) 1.X 및 DLMS (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를 CIM (Common Information Model) 기반의 제2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운용센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SEP 2.0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는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되어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되고,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SEP 1.X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는 CIM-SEP 1.X 연동 및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으로 처리되어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되며,
    상기 분류된 제1 데이터가 DLMS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는 CIM-DLMS 연동 및 IP 기반의 CIM 데이터 모델링 처리되어 상기 제2 데이터로 변환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전력사용 제어신호를 상기 운용센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미터 및 상기 홈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20144127A 2012-12-12 2012-12-12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KR10169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27A KR101696500B1 (ko) 2012-12-12 2012-12-12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27A KR101696500B1 (ko) 2012-12-12 2012-12-12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036A KR20140076036A (ko) 2014-06-20
KR101696500B1 true KR101696500B1 (ko) 2017-01-13

Family

ID=5112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127A KR101696500B1 (ko) 2012-12-12 2012-12-12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40A1 (ko) * 2020-05-11 2021-11-18 엘에스일렉트릭 (주) 전력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569A (ko) * 2016-10-28 2018-05-09 전자부품연구원 국제표준 iec62541 기반 ami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817B1 (ko) * 2005-11-17 2007-08-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웹 기반 시스템 관리 클라이언트, 서버 및 그 방법
US9282001B2 (en) * 2007-03-05 2016-03-08 Grid Net, Inc. Policy based utility networ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540A1 (ko) * 2020-05-11 2021-11-18 엘에스일렉트릭 (주) 전력 시스템의 데이터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036A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5274B2 (en) Energy 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Baraka et al. Low cost arduino/android-based energy-efficient home automation system with smart task scheduling
CN110460521A (zh) 一种边缘计算软网关
US9240934B2 (en) Monitoring the health of a home area network
US11567523B2 (en)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OADR) endpoint device
JP2012178154A (ja) 計器処理通信システム
WO2016164710A1 (en) Integrated head-end utility metering system
KR101696500B1 (ko) Cim 기반의 데이터 연동 게이트웨이 구조
Wiezorek et al. Multi‐location virtual smart grid laboratory with testbed for analysis of secure communication and remote co‐simulation: concept and application to integration of Berlin, Stockholm, Helsinki
JP2015104128A (ja) 先進的検針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サイト調査システム
KR20140076037A (ko) 수요측 분산 발전원 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211906B1 (ko) 네트워크 연결장치 및 방법
EP272880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ation of a Smart Energy Profile Using Data-Interchange Encoding
KR20140014816A (ko) 전기 사용 정보 알림 시스템
KR101435626B1 (ko)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KR20170117794A (ko) 국제 표준 프로토콜에 기반한 가정용 통합검침장치 및 그 방법
KR102405085B1 (ko) Usim을 이용한 계량기 자동검침시스템에서의 개방형 무선환경 채널구성방법 및 그 장치
AU2020284174B2 (en) Distributed energy resource registration
Hussain et al. IoT residential appliance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using MQTT protocol
KR101508914B1 (ko) openADR에서 메시지의 오버헤드 및 지연시간을 줄이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Ghatikar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grid standardization
Luntovskyy et al. Smart grid, Internet of Things and fog computing
JP2012234548A (ja) 非スマート電子ユーティリティメータからのメータデータに基づく補助値の計算
Melek et al. Smart Power Outlet
Ali et al. A comprehensive study of advancement of electrical power grid and middleware based smart grid communicatio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