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68B1 -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68B1
KR101376168B1 KR1020120034324A KR20120034324A KR101376168B1 KR 101376168 B1 KR101376168 B1 KR 101376168B1 KR 1020120034324 A KR1020120034324 A KR 1020120034324A KR 20120034324 A KR20120034324 A KR 20120034324A KR 101376168 B1 KR101376168 B1 KR 10137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distribution
flow path
modu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154A (ko
Inventor
최영화
Original Assignee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그린링크(주) filed Critical 블루그린링크(주)
Priority to KR1020120034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16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8Means to filter or treat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멤브레인 모듈에 일정량의 원수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원수 유입유로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분배부를 구비한 원수 유입모듈과;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수할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측면에 삽입 설치되는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수가 완료된 상기 원수가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배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외측 분배홀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유량의 차이가 내측 분배유로에서 보상되어 내측 분배홀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WATER PURIFYING FILTER HAVING FLUX DISTRIBUTION PART}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모듈에 일정량의 원수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불순물 등의 오염물질이 함유된 원수를 정화하여 정화수로 여과하는 정수장치에는 미세한 기공이 다량으로 형성된 얇은 막이 구비된 무기막 필터(멤브레인: Membrane)가 장착되어 있다.
정수장치에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는 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면서 각종 불순물 등은 필터의 미세기공에 막혀 진입하지 못하고 깨끗한 물만이 필터의 기공을 통과하여 배출됨으로써 정수 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때, 멤브레인 필터의 미세기공에 막혀 진입하지 못한 불순물 등은 필터 내부에 정체 농축되는데, 이러한 불순물이 일정 농도 이상 농축되게 되면 필터의 기공이 막아 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멤브레인 필터에 원수를 공급할 경우에 도 1과 같은 측면 공급 방식의 경우 원수 유입구와 가까운 부분에 유량이 집중되어 필터 전체적으로 고른 유량분배가 되지 않아 필터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 와 같이 멤브레인 모듈(200)의 외측으로 내측면(140) 및 외측면(130)으로 둘러싸인 분배유로(110)를 형성하고, 내측면(140)에 복수의 내측 분배홀(141)을 형성하여 유입된 원수가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200)에 분산 공급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원형의 분배유로(110)를 따라 빠르게 유입되는 원수가 내측면(140)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을 통하여 분산 공급될 때, 내측면(140)에 수직하게 천공(穿孔)된 내측 분배홀(141)의 형상에 의하여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순환 영역(145)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유동 구조는 공급되는 원수의 흐름을 방해하였는데, 원수 유입유로(150)와 가까운 내측 분배홀(141)에서는 유속이 빨라 이러한 현상이 두드러졌고, 원수 유입유로(150)와 먼곳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에서는 유속이 느려짐으로써 재순환 현상이 완화되었다. 즉, 종래의 기술은 원수 유입유로(15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에서는 원수의 공급량이 적고, 원수 유입유로(150)와 멀어질수록 원수의 공급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멤브레인 모듈(200)은 다공질의 막으로 형성된 필터로서, 원수의 공급이 법선(法線) 방향에서 이루어질수록 효율이 증가하나, 종래의 기술은 원수 유입유로(150)와 가까운 곳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에서는 원수의 유입 방향이 원수의 이동방향으로 치우쳐있어서 원수의 공급이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배유로를 외측 분배유로와 내측 분배유로로 구분하고, 외측 분배유로로 이동된 원수가 회귀되어 내측 분배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측 분배홀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회전 방향 속도벡터를 상쇄하여 멤브레인 모듈에 수직하게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 유입유로 방향에서 고속 저압으로 외측 분배유로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회귀시켜, 원수 유입유로 방향으로 저속 고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측 분배홀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유량의 차이를 내측 분배유로에서 보상되도록 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에 일정한 유량의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는, 일측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원수 유입유로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분배부를 구비한 원수 유입모듈과;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수할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측면에 삽입 설치되는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수가 완료된 상기 원수가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배출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 유입모듈은 상기 원수 유입유로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내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은 굴곡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수 유입모듈은 원판형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며 복수의 내측 분배홀이 형성된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하여 환형의 분배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분배부는 상기 원수 유입유로가 연통되는 상기 외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분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배유로를 분할하는 제1격벽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배유로를 외측 분배유로와 내측 분배유로로 구분하는 유로 분리막과, 상기 원수 유입유로가 연통되는 연통구를 분할하도록 상기 분배유로 상에 상기 원수 유입유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로 분리막의 판면에는 복수의 외측 분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분배유로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내측 분배유로로 회귀되도록 상기 제1격벽과 인접하는 상기 유로 분리막의 단부는 상기 제1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원수 회귀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분배홀과 상기 외측 분배홀은 각각 상기 내측면과 상기 유로 분리막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과 상기 유로 분리막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 분배홀 또는 상기 외측 분배홀은 인접한 원주상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 또는 외측 분배홀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로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는, 분배유로상에 삽입되어 분배유로를 외측 분배유로와 내측 분배유로로 구분하는 유로 분리막이 구비되고, 제1격벽에 의해 차단되는 분배유로의 끝단에 원수 회귀구가 형성됨으로써, 외측 분배유로로 이동된 원수가 원수 회귀구를 통해 회귀되어서, 외측 분배홀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회전 방향 속도벡터를 상쇄하여 내측 분배홀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에 수직하게 원수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 유입유로 방향에서 고속 저압으로 외측 분배유로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회귀시켜, 원수 유입유로 방향으로 저속 고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측 분배홀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유량의 차이가 내측 분배유로에서 보상되어 내측 분배홀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멤브레인 모듈의 측면에 원수를 공급하는 분배유로를 외측 분배유로와 내측 분배유로로 구분하고, 외측 분배유로로 이동된 원수가 회귀되어 내측 분배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외측 분배유로로부터 1차, 내측 분배유로로부터 2차적으로 원수를 공급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에 수직한 방향에 일정한 유량의 원수가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멤브레인 정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유량 분배 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공급 유량을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멤브레인 정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유량 분배 구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공급 유량을 시뮬레이션한 그래프이다.
도 1,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는 일측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유로(150)와 연통되고 원수 유입유로(150)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분배부(170)를 구비한 원수 유입모듈(100)과, 원수 유입모듈(100)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수할 수 있도록 원수 유입모듈(100)의 내측면에 삽입 설치되는 멤브레인 모듈(200)과, 멤브레인 모듈(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수가 완료된 상기 원수가 멤브레인 모듈(2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배출 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원수 유입 모듈(100)은 원수 유입유로(150)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내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유동하여 원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면(140)은 굴곡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수 유입 모듈(100)은 원판형의 하부면(120)과, 하부면(120)의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130)과, 하부면(120)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130)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며 복수의 내측 분배홀(141)이 형성된 내측면(140)과, 외측면(130)과 내측면(140)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하여 환형의 분배유로(110)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면(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배유로(110)는 원판형의 하부면(120)과, 하부면(120)의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130)과, 하부면(120)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되 외측면(130)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는 내측면(140) 및 외측면(130)과 내측면(140)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상부면(125)으로 둘러 쌓임으로써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외측면(130)은 하부면(120)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는 연통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통구에는 원수 유입유로(150)를 통하여 외부의 원수가 원수 유입 모듈(100)의 분배유로(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원수 유입유로(150)와 연통된다.
내측면(140)은 하부면(12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상술한 외측면(130)과 동심원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분배유로(110)의 폭이 일정하도록 하여 와류가 발생함을 방지함과 동시에 멤브레인 모듈(200) 측으로 일정량의 원수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내측면(140)에는 멤브레인 모듈(200)에 원수가 공급되도록 복수의 내측 분배홀(141)이 형성되는데, 내측 분배홀(141)은 하부면(12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그리는 구역을 하나의 원주(圓周)라 할 때,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분배홀(141)은 복수의 원주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내측 분배홀(141)은 인접한 원주상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의 원주상에 내측 분배홀(141)이 형성될 때 각 내측 분배홀(141)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원수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원수 유입유로(150)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분배유로(110)의 외측면(130) 일측으로부터 분배유로(110)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하여 분배유로(11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면(160)은 외측면(130)과 내측면(140)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외측면(130) 및 내측면(1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외측면(130)과 내측면(140) 사이의 이격 거리만큼의 폭을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에는 멤브레인 모듈(200)이 삽입되어 분배유로(110)와 멤브레인 모듈(200) 내부의 중공이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유량 분배부(170)는 원수 유입유로(150)가 연통되는 외측면(130)과 대향되는 분배유로(110) 상에 구비되어 분배유로(110)를 분할하는 제1격벽(171)과, 외측면(130)과 내측면(140)의 사이에 삽입되어 분배유로(110)를 외측 분배유로(111)와 내측 분배유로(112)로 구분하는 유로 분리막(172)과, 원수 유입유로(150)가 연통되는 연통구를 분할하도록 분배유로(110) 상에 원수 유입유로(150)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격벽(17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격벽(171)은 분배유로(110)의 끝단, 즉, 원수 유입유로(150)로부터 가장 먼 분배유로(110)상에 삽입되어 분배유로(110)를 좌우 양측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격벽(171)은 후술할 유로 분리막(172)에 의해 분배유로(110)가 외측 분배유로(111)와 내측 분배유로(112)로 구분될 때, 외측 분배유로(111)를 통해 이동된 원수가 제1격벽(171)에 가로막혀 내측 분배유로(112)로 회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차단벽의 역할을 한다.
유로 분리막(172)은, 분배유로(110)가 외측 분배유로(111)와 내측 분배유로(112)로 구분되도록 외측면(130)과 내측면(140)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유로 분리막(172)에는 내측 분배유로(112)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외측 분배홀(172a)이 형성되어 유입된 원수가 2단계에 걸쳐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내측 분배홀(141)과 외측 분배홀(172a)은 각각 내측면(140)과 유로 분리막(17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내측면(!40)과 유로 분리막(172)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배유로(110)의 끝단, 즉, 원수 유입유로(150)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의 대향측 분배유로(110)에 제1격벽(171)이 삽입되어 분배유로(110)가 좌우 양측으로 등분되고, 제1격벽(171)과 인접한 유로 분리막(172)의 단부에는 원수 회귀구(174)가 형성되어서 외측 분배유로(111)와 내측 분배유로(112)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원수가 2단계에 걸쳐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되는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수 유입유로(150)를 통해 유입된 원수는 외측면(130)과 유로 분리막(172)의 외주연이 형성하는 외측 분배유로(111)를 따라 이동하다가 유로 분리막(172)에 형성된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일부가 1차적으로 내측 분배유로(112) 및 멤브레인 모듈(2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외측 분배유로(111)를 따라 제1격벽(171)까지 이동된 원수는 제1격벽(171)에 의해 차단되어서, 유입 유속 및 압력에 의해 유로 분리막(172)에 형성된 원수 회귀구(174)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내측면(140)과 유로 분리막(170)의 내주연이 형성하는 내측 분배유로(112)를 따라 다시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내측면(140)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2차적으로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된다.
이때, 내측 분배유로(112)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회전방향 속도 벡터를 상쇄시키게 되는데,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는 제1격벽(171) 방향으로 치우쳐 있고, 내측 분배유로(112)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회전방향 속도벡터가 서로 상쇄되어 구심(求心)방향의 속도 벡터가 주(主)를 이루게 되어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되는 원수의 방향이 수직하게 형성됨으로써 멤브레인 모듈(200)에 효과적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 분배유로(111)를 따라 이동되는 원수는 원수 유입유로(150) 부근에서 고속 저압으로 형성되고, 원수 유입유로(150)와 멀어질수록 저속 고압으로 형성되어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1차 유입량에 차이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원수를 회귀시켜 내측 분배유로(112)를 따라 재공급함으로써, 내측 분배유로(112)를 따라 회귀된 원수가 원수 유입유로(150)와 가까워질수록 저속 고압으로 형성되도록 하여서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2차 공급시에는 동일한 수량의 원수가 멤브레인 모듈(200)을 통해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내측 분배유로(112)의 끝단, 즉, 제1격벽(171)이 형성된 반대편의 내측 분배유로(112)에는 제1격벽(171)에서 양측으로 회귀된 원수가 서로 뒤엉키지 않도록 격벽을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의 내측 분배유로(112)에는 내측 분배유로(112)를 등분할 수 있도록 제2격벽(17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격벽(173)은 원수 유입유로(150)로부터 외측 분배유로(111)로 공급되는 원수가 용이하게 분기될 수 있도록 유로 분리막(172)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유로 분리막(172)에 형성되는 외측 분배홀(172a)은 내측 분배홀(141)과 마찬가지로 하부면(120)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를 그리는 구역을 하나의 원주라 할 때,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분배홀(172a)은 복수의 원주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내측 분배홀(141)과 대응되도록 인접한 원주상에 형성된 외측 분배홀(172a)과 엇갈리게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측 분배홀(141)과 마찬가지로 외측 분배홀(172a)이 복수의 원주상에 형성될 때 각 외측 분배홀(171) 사이의 거리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원수의 흐름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원수 회귀구(174)는 제1격벽(171)과 인접한 유로 분리막(172)의 단부방향에 홀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격벽(171)과 인접한 유로 분리막(172)의 단부를 제1격벽(171)과 이격되도록 짧게 형성함으로써 제1격벽(171)의 측면과 유로 분리막(172)의 끝단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여 원수 회귀구(174)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의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의 공급 유량을 시뮬레이션한 그래프로서, 하나의 원주상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141)의 번호를 제1 격벽(171)으로부터 가까운 내측 분배홀(141)부터 순서대로 번호를 취하여 각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한 것으로서, 원수 유입유로(150)와 가장 먼 곳의 내측 분배홀(141)로부터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으로 순서대로 번호를 취하여 각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한 종래의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와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 에 의하면, 종래의 원수 공급 유량은 원수 유입유로(150)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본 발명의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에 의하면 각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이 일정하였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는, 분배유로(110)상에 삽입되어 분배유로(110)를 외측 분배유로(111)와 내측 분배유로(112)로 구분하는 유로 분리막(172)이 구비되고, 제1격벽(171)에 의해 차단되는 분배유로(110)의 끝단에 원수 회귀구(174)가 형성됨으로써, 외측 분배유로(111)로 이동된 원수가 원수 회귀구(174)를 통해 회귀된 후에,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회전 방향 속도벡터를 상쇄하여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200)에 수직하게 원수가 공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는,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에서 고속 저압으로 외측 분배유로(111)를 통해 공급된 원수를 회귀시켜, 원수 유입유로(150) 방향으로 저속 고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외측 분배홀(172a)을 통해 유입된 원수의 유량의 차이가 내측 분배유로(112)에서 보상되어 내측 분배홀(141)을 통해 멤브레인 모듈(200)에 공급되는 원수의 유량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원수 유입모듈 110 : 분배유로
120 : 하부면 130 : 외측면
140 : 내측면 141 : 내측분배홀
150 : 원수 유입유로 160 : 상부면
170 : 유량분배부 171 : 제1격벽
172 : 유로분리막 172a : 외측분배홀
173 : 제2격벽 174 : 원수 회기구
200 : 멤브레인 모듈 300 : 처리수 배출 모듈

Claims (8)

  1. 일측이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원수 유입유로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분배부를 구비한 원수 유입모듈과;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통과하면서 정수할 수 있도록 상기 원수 유입모듈의 내측면에 삽입 설치되는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상부에 구비되어 정수가 완료된 상기 원수가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처리수 배출 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모듈은 상기 원수 유입유로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내측면을 따라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은 굴곡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입모듈은 원판형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면의 외주연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외측면과, 상기 하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측면과 동심원상에 구비되며 복수의 내측 분배홀이 형성된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상단부 사이를 밀폐하여 환형의 분배유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면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분배부는 상기 원수 유입유로가 연통되는 상기 외측면과 대향되는 상기 분배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분배유로를 분할하는 제1격벽과,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배유로를 외측 분배유로와 내측 분배유로로 구분하는 유로 분리막과, 상기 원수 유입유로가 연통되는 연통구를 분할하도록 상기 분배유로 상에 상기 원수 유입유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격벽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분리막의 판면에는 복수의 외측 분배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분배유로로 유입된 원수가 상기 내측 분배유로로 회귀되도록 상기 제1격벽과 인접하는 상기 유로 분리막의 단부는 상기 제1격벽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원수 회귀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분배홀과 상기 외측 분배홀은 각각 상기 내측면과 상기 유로 분리막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면과 상기 유로 분리막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분배홀 또는 상기 외측 분배홀은 인접한 원주상에 형성된 내측 분배홀 또는 외측 분배홀과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KR1020120034324A 2012-04-03 2012-04-03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KR10137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24A KR101376168B1 (ko) 2012-04-03 2012-04-03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324A KR101376168B1 (ko) 2012-04-03 2012-04-03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154A KR20130112154A (ko) 2013-10-14
KR101376168B1 true KR101376168B1 (ko) 2014-03-19

Family

ID=4963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324A KR101376168B1 (ko) 2012-04-03 2012-04-03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1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726B1 (ko) * 2022-03-10 2022-08-08 (주) 삼진정밀 디스크 적층형 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459B2 (ko) * 1984-10-27 1991-03-22 Sharp Kk
JP2004050023A (ja) 2002-07-18 2004-02-19 Toray Ind Inc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6082036A (ja) 2004-09-17 2006-03-30 Toray Ind Inc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4536008B2 (ja) * 2003-09-29 2010-09-0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459B2 (ko) * 1984-10-27 1991-03-22 Sharp Kk
JP2004050023A (ja) 2002-07-18 2004-02-19 Toray Ind Inc 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4536008B2 (ja) * 2003-09-29 2010-09-01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2006082036A (ja) 2004-09-17 2006-03-30 Toray Ind Inc 中空糸膜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154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0336B (zh) 流体处理单元、流体处理组件以及流体处理装置
US20160303515A1 (en) Filter system and vessel for the filter system
EA201892681A3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деления потока
KR101376168B1 (ko) 유량 분배부를 구비한 정수필터
KR101807185B1 (ko)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CN102630630A (zh) 水污分离装置
KR20180011572A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용 클린 필터를 포함하는 조립체 및 그의 구성방법
RU2625854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реактора с нисходящим потоком
KR102010976B1 (ko) 카본필터
CN203829878U (zh) 一种用于净化空气的装置
US10913014B2 (en) Multiple rate filter underdrain lateral gas metering plate
JP2017197937A (ja) 水栓及び浄水カートリッジ
JP3192832U (ja) 浄水器用フィルターの芯材
CN211226610U (zh) 滤芯组件和超滤净水器
CN204830609U (zh) 气液分离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JP2017192893A (ja) 中空糸膜カートリッジ
KR102394715B1 (ko)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KR101385362B1 (ko) 삼투용 다공성 유출관
CN203829877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1799373B1 (ko)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JP5762898B2 (ja) 流動層装置
KR101001671B1 (ko) 스페이서
CN220125575U (zh) 一种净水器滤芯
CN203862052U (zh) 空气净化机构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