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135B1 -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6135B1
KR101376135B1 KR1020130129275A KR20130129275A KR101376135B1 KR 101376135 B1 KR101376135 B1 KR 101376135B1 KR 1020130129275 A KR1020130129275 A KR 1020130129275A KR 20130129275 A KR20130129275 A KR 20130129275A KR 101376135 B1 KR101376135 B1 KR 10137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hydrogel
hydrogel particles
liposome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9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호
김성열
Original Assignee
(주) 화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화천 filed Critical (주) 화천
Priority to KR1020130129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135B1/ko
Priority to PCT/KR2014/010180 priority patent/WO2015065009A1/ko
Priority to CN201480056353.1A priority patent/CN10565820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입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유용성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제조하고,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이렇게 제조된 리포좀을 수상(water-phase)에 함유하는 W/O 에멀젼을 얻은 후, 수상만 선택적으로 고분자 가교화함으로써 하이드로젤 가교망에 리포좀을 물리적으로 고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된 후에도 계면활성제나 염에 의해서 하이드로젤 막이 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함입된 리포좀이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안정하게 포접되어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hysical encapsulation method of liposome containing bio-active material into the hydrogel particles and Cosmetics thereof}
본 발명은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hytospingosine Cyclic Phosphate HCl, 이하 'PCP'라 함)과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hytospingosine-1-Phosphate, 이하 'P1P'라 함)같은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과 같은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제조한 후, 본 발명의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리포좀을 W/O 에멀젼(water-in-oil)의 수상(water-phase)에 함입시키고, 상기 수상(water-phase) 내에서만 선택적으로 고분자 중합반응을 통해 가교(cross-linking)시킴으로써, 하이드로젤의 가교구조 내에 리포좀을 물리적으로 고정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 함유 하이드로젤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된 후에도 계면활성제나 염에 의해서 하이드로젤 막이 깨어지지 않기 때문에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이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안정적으로 포접되고, 리포좀 구조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리포좀 고유의 약물 안정화 능력과 역물 전달 능력이 다양한 외부 환경 변화에서도 변화없이 발휘되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과 의약외품 등에 활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의 전달체로 리포좀을 사용하는 기술은, 메타크릴산과 n-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단량체로 구성된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를 약물 전달체로 활용하는 방법(등록특허 제0654102호, 공개특허 제2011-0114202호), 폴리락트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폴리머좀을 활용하는 방법(공개특허 제2011-0029951호, 공개특허 제2011-0013147호, 공개특허 제2012-0043286호), 유용성 물질이 고분자 입자내 존재하는 액정과 함께 혼합되어 있는 액정 가교 고분자 캡슐을 활용하는 방법(등록특허 제0825834호) 및 통상의 교반기로 균질화한 다음, 고압유화기로 고 밀집 다중캡슐 공법을 활용하는 방법(공개특허 제2007-0074223호, 등록특허 제0810164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으로는,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피토스핑고신 유도체로는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hytospingosine Cyclic Phosphate HCl, PCP)를 들 수 있는데, 그 구조식은 도 1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PCP 활성성분의 주요한 생리 활성 특징은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섬유아세포내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자외선 및 방사선에 의한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어, 주름개선화장품에 사용 가능하며, 탈모의 예방, 치료 및 육모에 효과가 있다. 그 특징은 국제특허 출원번호 PCT KR2003/002789호 및 등록특허 제1003532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PCP의 경우, 화학적으로 안정하나 난용성 물질이므로 리포좀에 도입시키면 결정형성을 통한 석출현상 없이 장기간 안정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기존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3532호에)서 언급되었던 피토스핑고신 포스테이트의 리포좀 제법에서 확인될 수 있듯이,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성분이 통상적인 지질-콜레스테롤 기반의 리포좀에 함입되는 경우,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화장료 제형이나 각종 염이 함유된 수용액 제형에서 리포좀의 막이 깨어지고 미셀로 돌아가기 때문에 활성성분의 안정화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도 2 참조).
즉, 미셀(micelle) 내부에서는 활성성분의 고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쉽게 변성되거나 결정화되어 버리므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에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리포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화장료 사용 중에 리포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의 전달체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에는 다른 예로 레티놀 및 레티놀 유도체가 포함되는 데, 피부의 광노화로 인한 표피와 진피 조직의 변화(예를 들면, 주름살이 생기고 피부가 누르스름해지며,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탄력성이 감소되는 현상 등)를 방지하게 위하여 레티노이드(비타민 A)가 사용되고 있다.
피부보호 화장료에 사용되는 레티노이드로는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에스테르의 일종인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와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 레티놀은 인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내인성 화합물로서 상피의 조직의 분화와 성장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레티놀은 레티노익 애씨드(Retinoic acid)등의 다른 레티노이드 성분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안전성을 가지고 있어 피부개선 화장료의 원료로서 적합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 상기 레티놀을 함유하는 피부보호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A인 레티놀은 여드름의 치료효과가 높아 피부연고제 형태의 많은 제품들이 생산되어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레티놀의 여드름 치유효과만이 아니라 광노화 방지 및 일광에 손상된 피부의 치료 등의 광범위한 효능을 응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레티놀은 피부주름 방지 및 개선효과, 여드름 치유효과에 매우 우수함에도 제품의 사용시 대기중의 공기, 산소, 수분 또는 열에 의하여 쉽게 산화되거나 변형되어 변색, 변취, 역가감소로 효과가 떨어지고, 소량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피부자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화장료에서 이의 사용이 극히 제한되었다(공개특허 제2003-0021709호). 따라서 이와 같은 레티놀의 안정화를 위해 다양한 항산화제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항산화제들을 사용한 방법은 레티놀을 안정화하여 변색, 변취, 역가 유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여전히 많은 한계를 보여 왔다(공개특허 제2009-0122770호).
이러한 레티놀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키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인지질 에멀젼을 이용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인지질 에멀젼은 유용성물질과 수용성물질을 동시에 함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인지질 에멀젼은 인산 지방 에스테르, 글리세롤 지방 에스테르,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 에톡실화 지방 에테르 또는 에톡실화 지방 에스테르, 수크로즈 에스테르 혹은 수크로즈 에테르를 활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주로 이들은 경피흡수 촉진제로 알려져 있는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혹은 지방산 등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지질 에멀젼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앞서 살펴본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성분과 유사하게, 오일, 계면활성제, 물 등의 다수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화장품 제형에서는 상평형을 잃어버려 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을 지니고 있어, 실질적으로 화장품 제형에 도입하기에는 여전히 안정성이 실질적으로 검증되지 못한 상황이다.
피부의 노화에 효과적인 물질로 상기 레티놀 및 그 유도체와 함께 이데베논(Idebenone)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데베논은 살아있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이면서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 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주로 관여하는 코엔자임 Q1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화학물질로서, 화학명은 2,3-디메톡시-5-메틸-6-(10-히드록시데실)-1,4-벤조퀴논[dimethoxy-5-methyl-6-(10-hydroxy decyl)-1,4-benzoquinone]이고 분자량은 338.44이며, 주로 화학적인 합성방법으로 얻어져 정제된 노란색의 결정성 파우더 물질로 알려져 있다
기 공지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이러한 이데베논을 제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 응용한 의약품 및 화장품이 노화에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여러 학술논문에 보고된 바 있다.(A controlled study of 2 doses of idebeno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biology, 1997; Idebenone improves cerebral mitochondrial oxidative metabolism in a patient with MELAs, Neurology, 1996; Oral administration of idebenone, a stimulator of NGF synthesis, Neuroscience letter, 1993;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MELAS), pathological study and successful therapy with coenzym Q10 and idebenone, Journal of Neuroscience, 1989 등 참조)
또한, 이데베논은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내 세포에너지인 ATP(Adenosinetriphosphate)의 생성에 관련된 ETC(Electron Transfer Chain)에 관여하여 세포활성화에 효과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활성산소군(ROS, Reactive Oxygen Species)의 형성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의학적으로는 신경성장인자(NGF, Nerve Growth Factor)를 촉진하여 노화로 인해 문제가 되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질환 인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 및 간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 역시 보고되고 있어, 향후 이데베논을 사용한 화장품이나 의약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체 유용성 활성 물질 중의 하나인 이데베논은 퀴논(Quinone)기, 포화탄화수소(Saturated hydrocarbon) 및 수산(Hydroxyl)기와 같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높은 극성으로 낮은 녹는점(Melting point)을 가지고 있어, 유화계에서는 안정화가 어렵고 피부 침투도 용이치 않아 실제 화장료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이데베논은 일단 용해를 시켜 유화입자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종래 유화기법 및 유화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역가 보존성에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이데베논을 나노 캡슐 입자로 제조할 경우, 일반 마이크로(Micro)크기의 액적(droplet)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나노입자는 물리적으로 그 층이 매우 얇아 이데베논과 같이 극성이 높은 물질인 경우에는 입자 주변의 연속상(Continuous phase)에서 용해성(Solubility)를 갖고 있어 오스트왈드라이프닝(Ostwald ripening) 현상에 의해 안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그 자체의 이데베논 분자구조는 단단한 벽돌(Brick)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라틴(Keratin)과 상기 케라틴 지지체를 마치 시멘트(Cement)와 같이 부착하여 주는 세포간지질성분으로 형성된 피부를 통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주름개선 효과를 피부에 제공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데베논은 제형 안정성뿐만 아니라, 피부 내로 효율적인 약물전달에 있어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공개특허 제2007-0074223호, 등록특허 제0810164호).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의 다른 예로 난용성 발모 및 육모성분이 포함되는데,피리미딘의 여러 유도체인 4-피롤리딘2,6-디아미노피리미딘1-옥사이드 (4-Pyrrrolidinyl2,6-diaminopyrimidine 1-oxide),디아미노피리미딘(Diaminopyrimidine),2,4-디아미노-6-피페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iperidino-pyrimidine-3-oxide,미녹시딜)등이 관련된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미국특허제5,034,387호,한국특허 제10-2005-0097502호,제10-2006-0113076호 및 제10-2006-0088196호). 피리미딘 유도체들은 일반적으로 칼륨통로 개방효과와 혈관확장에 따른 혈형촉진 등으로 모발성장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4-피롤리딘2,6-디아미노피리미딘1-옥사이드를 포함한 피리미딘 유도체들은 제형내 안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데, 안정도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결정으로 석출되거나 변성에 의해 변색이 되는 단점이 많다.
이상의 종래 기술과 이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섬유아세포 증식, 콜라겐 합성, 자외선등에 의한 세포 사멸억제, 탈모의 예방, 치료 및 육모에 효과가 있는 PCP, P1P, 피부의 노화 혹은 광노화 등에 효과가 있는 레티놀 및 그 유도체 및 이데베논 및 피리미딘 유도체 등의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들을, 오일, 계면활성제, 물 등의 다수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화장품 제형에서는 상평형을 잃어버려 안정성이 감소되며, 고유의 구조를 유지할 수 없어 각 생체 유용성 활성물질이 갖는 고유의 효능을 충분히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공통적으로 존재해왔다.
이러한 생체 유용성 활성물질 또는 유효성분의 안정화 방법으로 상기 유효성분과 외부자극 요인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캡슐화를 통한 차단 방법이 제안된바 있으며(등록특허 제422760호), 상기 유효성분들을 내부에 포접(Inclusion, 한쪽 입자가 크고 망상,층상등 구조를 갖고 있을 경우, 다른 작은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들이 망상, 층상 구조속에 끼어있는 현상)할 수 있는 재료로 고분자를 사용한 계면축중합, 스프레이 드라이, 코아세르베이션, 용매증발 등의 캡슐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캡슐화 방법들을 통해 상기 생체 유용성 활성물질은 소수성 고분자에 포접시키고, 수용성물질은 친수성 고분자에 포접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포접 후 상기 유효성분들이 수용성 또는 소수성 상(phase)으로 확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포접율 자체를 높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등록특허 제0654102호 공개특허 제2011-0114202호 공개특허 제2011-0029951호 공개특허 제2011-0013147호 공개특허 제2012-0043286호 등록특허 제0825834호 공개특허 제2007-0074223호 등록특허 제0810164호 PCT KR2003/002789호 등록특허 제1003532호 공개특허 제2009-0122770호 등록특허 제 422760호 미국특허 제5,034,387호 한국특허 제10-2005-0097502호 한국특허 제10-2006-0113076호 한국특허 제10-2006-0088196호
A controlled study of 2 doses of idebenone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biology, 1997. Idebenone improves cerebral mitochondrial oxidative metabolism in a patient with MELAs, Neurology, 1996. Oral administration of idebenone, a stimulator of NGF synthesis, Neuroscience letter, 1993.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MELAS), pathological study and successful therapy with coenzym Q10 and idebenone, Journal of Neuroscience, 1989.
본 발명에서는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인 피리미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함으로써,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된 리포좀이 어떠한 환경 요인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그 구조와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리포좀에 안정화된 활성성분의 유출을 차단시킬 수 있는 소재 가공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상기 다양한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시럽 및 팩 등의 통상적인 기초화장료의 제형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물리적으로 하이드로젤 입자에 포접하는 방법은, i)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 1-10 중량%, 수용성 단량체 10-30 중량%, 개시제 0.01-5 중량%, 가교제 0.01-3 중량% 및 나머지를 정제수로 포함하는 100 중량%의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을 제조하는 단계; ii) 계면활성제 1-10 중량% 및 나머지를 오일로 포함하는 100 중량%의 오일 혼합물(Outter Fluid)를 제조하는 단계; iii) 모세관을 사용하여 상기 오일 혼합물을 상기 분산 혼합물의 흐름 내에 흘려 공급함으로써 W/O(water in oil)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W/O 에멀젼의 수상(water phase)에서 중합 및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피이지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oxide) diacrylate 및 N,N'-methylenebis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용성 단량체는, 이중결합을 갖는 수용성 아크릴계 단량체,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폴리올,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sodium styrene sulfate, poly(ethylene oxide) acrylate,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은,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hytospingosine Cyclic Phosphate HCl),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hytospingosine -1-phosphate, P1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티놀 또는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인, 4-피롤리딘2,6-디아미노피리미딘1-옥사이드(4-Pyrrrolidinyl2,6-diaminopyrimidine 1-oxide)과 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Diaminopyrimidin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리미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분산 혼합물에는 폴리올이 추가로 10-30 중량%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올은 삼투압을 유지하여 후속 단계에서 제조되는 W/O 에멀젼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리포좀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화장품용 리포좀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hydrogenated Soy PC, 및 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idylchol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지질을 5-30 중량% 포함하며, 하이드로젤 입자의 크기는 1-1,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단계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상기 활성 성분이 리포좀 벽막의 사이에 패킹되거나 내부 수상 코어(water phase core)에 봉입될 수 있도록 고압력 호모 믹서(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50-100,000 Psi의 통과압력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iii)단계에서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의 유속은 시간당 200 ㎕이하가 바람직하며, 상기 오일 혼합물(Outter Fluid)의 유속은 시간당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iii)단계에서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의 유속과 오일 혼합물(Outter Fluid)의 유속의 비는 1:10 ~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 단계의 개시제는 열 개시제 또는 광 개시제일 수 있으며, iv) 단계의 중합반응은 단량체와 개시제에 의해 진행되며, 가교제에 의한 가교반응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중합반응이 열 개시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70 oC에서 3시간 이상 반응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 개시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자외선을 1 ~ 10 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 개시제로는 2-hydroxy-2-methylpropiophen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가교제는 피이지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oxide) diacrylate 또는 N,N'-methylenebisacrylamide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피토스핑고신 유도체는,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hytospingosine Cyclic Phosphate HCl),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hytospingosine-1-phosphate,P1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은, 4-피롤리딘2,6-디아미노피리미딘1-옥사이드(4-Pyrrrolidinyl2,6-diaminopyrimidine 1-oxide), 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Diaminopyrimidin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중결합을 갖는 수용성 단량체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나, 수용성 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폴리올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sodium styrene sulfate 등의 음이온성 단량체 또는 poly(ethylene oxide) acrylate,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등의 비이온성 단량체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언급된 어느 하나의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이 포접된 에멀젼 하이드로젤 입자를 포함하고, 또 다른 실시 형태로는 이러한 상기 리포좀이 포접된 에멀젼 하이드로젤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하이드로젤 전달체는 계면활성제 혹은 염이 존재하는 용액 조건의 제형에서도 리포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리포좀 고유의 약물 안정화 능력과 약물전달 능력을 어떠한 환경에서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리포좀-하이드로젤 전달체는 항노화, 광노화 방지, 탈모의 예방, 치료 및 육모 등에 효과가 있는 다양한 화장품과 의약외품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CP)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포좀과 이들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젤 입자의 도식적인 그림이다.
도 2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리포좀이 미셀(Micelle)로 전환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W/O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에 리포좀을 포접하는 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왼쪽 이미지에서는 coaxial jett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리포좀 함유 W/O 에멀젼이 관찰되고, 오른쪽 이미지에서는 회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W/O 에멀젼을 관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젤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왼쪽: 광중합 후 얻은 하이드로젤 입자, 오른쪽: FITC dextrin (40K gmol-1) 캡슐화하여 얻은 하이드로젤 입자)
도 5는 하이드로젤 입자의 가교망 크기(mesh size)를 결정하는 그래프이다(x축:하이드로젤 고분자의 characteristic ratio, y축: 가교망의 평균 크기)
도 6은 형광분자가 포함된, 리포좀 함유 하이드로젤 입자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왼쪽: 하이드로젤 입자의 광학현미경 이미지, 중간: FITC dextrin (40K gmol-1)을 함유하는 하이드로젤 입자의 형광현미경 이미지, 오른쪽: Texas red를 함유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형광현미경 이미지)
도 7은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리포좀의 포접하기 위하여 지표성분*(비타민류)의 함량을 UV-vis 스펙트럼을 통하여 측정한 결과이다(MeOH: 용매 베이스라인, 0.0025%의 비타민성분의 MeOH에서 흡광 스펙트럼과 동일 농도를 함유하는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의 조성물의 흡광스펙트럼 비교)
본 발명은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인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인 피리미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안정하게 리포좀에 함유시킨 후, 그 효능을 안정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인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인 피리미딘 유도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고, 상기 주성분을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hydrogenated Soy PC, 및 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idylchol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지질에 용해시켜 고압력 호모 믹서(마이크로플루다이져)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생체 유용성 활성 물질이 함유된 리포좀을 제조한 후, 용매 및 다른 첨가제를 혼합하여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과 오일 혼합물(Outter Fluid)을 각각 제조한다.
상기 리포좀에는 양친매성 지질이 5-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준비된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과 오일 혼합물(Outter Fluid)을 각각 적절한 유속으로 흘려주면서 혼합하는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W/O(water in oil) 에멀젼을 제조한 후, 적절한 중합 및 경화 과정을 사용하여 수상(water phase)에서만 선택적으로 수용성 단량체의 중합 및 가교반응을 통해 하이드로젤 입자를 제조하게 된다. 즉,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제조한 후, 상기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이 화장료 내에서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W/O 에멀젼을 템플레이트(template)로 이용하여 하이드로젤로 포접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요한 기술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에는 필요에 따라 폴리올을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W/O 에멀젼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제시되는 활성성분 함유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는 부피기준 평균 입자 크기, d(0.5, volume)로 1-1,000 마이크로미터이며, 리포좀을 보호하여 수상에 존재하는 각종 리포좀의 구조를 변형 또는 파괴시킬 수 있는 외부 불안 요소(계면활성제, 염, pH, 용매 등)들로부터 리포좀을 안정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기술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갖는 통상의 의미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재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후술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유용성 활성성분은 원료 특징이 서로 상이하고 기능을 발휘하고자 하는 화장품의 성질에 맞게 적절히 함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는 리포좀-하이드젤 입자 내에서 활성성분의 함량 범위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다.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이 함입된 리포좀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예로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으로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CP)를 사용하였고, 이를 리포좀화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1261388호에 제시된 캡슐화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양친매성 지질로 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idylcholine을 사용하였다.
리포좀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함량은 0.1-10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1중량% 함유될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리포좀에는 양친매성 지질이 5-30 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활성성분인 PCP가 리포좀 벽막의 사이에 패킹이 될 수 있도록 고압호모믹서(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통과시키는 단계를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등록특허 제1261388호에 기술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활성성분은 본 실시예 1의 PCP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리포좀의 제조에 사용된 리피드 성분과 리포좀 구조체도 본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포좀이 포접된 W/O 에멀젼의 제조
앞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은, 원하는 농도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 수용성 단량체 10-30중량%, 개시제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3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2중량%, 가교제 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1-3중량% 및 나머지를 정제수로 포함하는 100중량%의 분산 혼합물을(Dispersion Fluid)을 제조하는 제1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수용성 단량체로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가교제로 N,N'-methylenebisacrylamide, 및 광 개시제로 2-hydroxy-2-methylpropiophenone이 사용되었다.
또한, 계면활성제 1-10중량% 및 나머지를 오일로 포함하는 100중량%의 오일 혼합물(Outer Fluid)을 제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오일 혼합물(Outer Fluid)의 흐름에 모세관을 사용하여 상기 활성성분 함유 리포좀을 포함하는 분산 혼합물을 흘려보내는 흐름 유체 혼합 기술을 사용하여 W/O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분산 혼합물과 오일 혼합물은 각각 시간당 100-5,000㎕의 범위에서 유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1:5의 유량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한 리포좀을 포함하는 W/O 에멀젼으로부터 하이드로젤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 형성된 W/O 에멀젼의 수상(water-phase)에는 리포좀,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수용성 단량체, 개시제 및 가교제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어, 개시제를 통한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통해 하이드로젤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사용되는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중합조건을 열중합 혹은 광중합 등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열 개시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70℃에서 3시간 이상 중합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 개시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실온에서 자외선을 1분에서 10분간 조사하여 중합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반응을 거친 후, 연속상의 오일을 알코올을 이용하여 녹이고 원심분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통상 5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오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알코올의 종류는 사용된 오일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친수성 단량체로 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가교제로 N,N'-methylenebisacrylamide을 사용하였으며, 광 개시제로 2-hydroxy-2-methylpropiophenone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최종 하이드로젤 입자는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저장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포접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용성 형광지표분자(예를 들면 dextran 등)를 하이드로젤 입자에 도입한 후, 형광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하이드로젤 입자는 포접능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하이드로젤 입자의 가교망 크기 결정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입자의 가교망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 Peppas-Merrill 이론식을 이용하였다(J. Polym. Sci. Polym. Chem., 1976,14,441-457).
Figure 112013098121403-pat00001
여기에서 Mc: molecular weight between crosslinking points, Mn: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before cross-linking, υ: specific volume of polymer, V1: molar volume of the swelling agent, χ: Flory interaction parameter, υ2,r:polymer volume fraction after crosslinking but before swelling, υ2,s:polymer volume fraction after equilibrium swelling 이다.
상기의 이론식을 기반으로 고분자 특성비(characteristic ratio)을 결정하여 가교망의 크기를 계산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하이드로젤의 가교망은 50-70 Å의 범위임을 확인하였다 (도 5).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리포좀의 크기가 50-100 nm 수준임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가교망 크기는 리포좀의 외부 유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교망 사이에 물리적으로 리포좀이 고정화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리포좀 고유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리포좀 - 하이드로젤 입자 내의 활성성분 확인
본 발명으로 제조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에 대해서, 리포좀이 하이드로젤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리포좀에 함유된 활성성분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먼저, 하이드로젤 입자 내부에 리포좀의 포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용성 형광지표분자(Texas red)를 함유한 리포좀을 제조한 후, 이러한 리포좀을 포접하는 하이드로젤 입자를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고, 입자 내부에 형광지표성분의 존재를 형광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도 6 참조).
또한, 리포좀에 도입된 활성성분의 포접수준과 유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리포좀에 모델 활성성분인 비타민 A를 도입하고 이 리포좀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젤 입자에 고정화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하이드로젤 입자에 포함된 활성성분의 함량을 UV-Vis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계산상의 농도와 측정농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도입된 활성성분이 그대로 하이드로젤 입자 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으로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CP)을 함유하는 리포좀이 포함된 하이드로젤 입자에서도 계산된 농도 대비 90% 이상이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과정 중에서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의 유출은 미미한 수준으로 발생되며, 리포좀에 도입된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의 유출 역시 동일한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의미한다.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의 제형 적용 실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의 다양한 제형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을 이용한 대표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를 함유하는 가용화제형의 조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함량 단위는 중량%이고, 제조된 조성물의 점도는 약 3,000cps였으며, 상기 점도는 Brookfield (DV II+ Pro)를 사용하여 30, 12rpm, Spindle #62에서 측정되었다.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는 1중량%의 PCP를 함유하고 있다.
성분명 비교예 1 실험예 1
글리세린 5 5
프로필렌글라이콜 4 4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 - 1
포접되지 않은 PCP 0.01 -
에탄올 10 1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5 0.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이렇게 제조된 시료를 실온과 40℃ 오븐에서 각각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 시료를 취하여 LC-MS 분석(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이하 'LC-MS'라 함)을 통하여 활성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가용화 제형에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에 도입된 활성성분의 안정도가 높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조성 저장온도 (℃) 활성성분 변성율 (%)
15일 후 30일 후 60일 후 120일 후
비교예1 25 100 100 100 100
40 100 100 98 98
실험예1 25 100 100 100 100
40 100 100 100 99
(2)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를 함유하는 유화제형의 조성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각각의 유상과 수상은 70℃에서 완전 용해시키고, 7,000rpm에서 5분간 유화시켜 불투명겔 형태의 로션을 제조하였으며, 로션의 점도는 약 4,000cps이다.
성분명 비교예2 실험예2
스테아릭애씨드 2 2
세틸알코올 2 2
라놀린알코올 2 2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7 7
사이클로메치콘 5 5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익산 에스테를 2 2
글리세린 3 3
프로필렌글라이콜 5 5
트리에탄올아민 1 1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 - 1
포접되지 않은 PCP 0.01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5 0.15
방부제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상기 제조된 시료를 실온과 40℃ 오븐에서 각각 보관한 후, 일정기간 뒤 시료를 취하여 LC-MS 분석을 통하여 활성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유화 제형에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에 도입된 활성성분의 안정도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조성 저장온도 (℃) 활성성분 변성율 (%)
15일 후 30일 후 60일 후 120일 후
비교예2 25 100 100 100 100
40 100 100 100 99
실험예2 25 100 100 100 100
40 100 100 100 98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의 가교망에 물리적으로 고정하면, 리포좀의 구조를 외부 환경인자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음을 광학이미지 분석과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가용화 제형과 유화 제형에서 제조된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의 안정도가 장기간 유지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LC-MS분석 조건은 표5와 같다. 분석 조건을 잡기 위하여, 포접되지 않은 PCP 표준물질을 메탄올과 테트라하이드로퓨린을 7:3 비율로 하여 준비하였으며, 리비교예와 실시예의 조성물은 분석 전 단계로 1시간 동안 초음파처리(sonication) 하였다.
항목 분석조건/사양
LC 시스템
컬럼
인젝터볼륨
유속(Flow rate)
이동상(Mobile phase)
컬럼오븐온도
검출기(Detector)
Agilent 1200 HPLC
ZORBAX Eclipse XDB-C18, 150x4.6mm,5
20 ㎕
0.5㎖/min.
Methanol : Water = 70%:30%
30 ℃
UV 254 ㎚
MS 시스템
이온화모드
스프레이볼테이지
모세관온도
모세관볼테이지
Agilent 6460 Series Triple Quadrupole(MS)
ESI positive/negative
5Kilovoltage
275 ℃
15Voltage
이는 본 발명의 예에서 보듯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 리포좀이 가지고 있는 구조 불안정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다양한 화장료 제형에 리포좀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리포좀-하이드로젤 입자 시스템은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리포좀을 보호하고 있다가 피부에 물리적으로 도포하는 과정에서 하이드로젤 상이 깨지면서 리포좀이 피부표면에 유출된다. 이어서, 리포좀은 기존 기능을 발휘하며, 피부 표피층 뿐만 아니라 내표피층까지 전달되어 피부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방사선으로부터 피부 보호효과 증가, 피부의 장벽강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성분은 피부 노화를 개선하거나 지연해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반 피부 외용제, 의약외품의 피부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갖는다.

Claims (10)

  1. i)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 1-10 중량%, 수용성 단량체 10-30 중량%, 개시제 0.01-5 중량%, 가교제 0.01-3 중량% 및 나머지를 정제수로 포함하는 100 중량%의 분산 혼합물(Dispersion Fluid)을 제조하는 단계;
    ii) 계면활성제 1-10 중량% 및 나머지를 오일로 포함하는 100 중량%의 오일 혼합물(Outter Fluid)를 제조하는 단계;
    iii) 모세관을 사용하여 상기 오일 혼합물을 상기 분산 혼합물의 흐름 내에 흘려 공급함으로써 W/O(water in oil)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상기 W/O 에멀젼의 수상(water phase)에서 중합 및 가교 반응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는, 피이지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 oxide) diacrylate 및 N,N'-methylenebis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수용성 단량체는, 이중결합을 갖는 수용성 아크릴계 단량체, 한쪽 또는 양쪽 말단에 이중결합을 갖는 폴리올,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sodium styrene sulfate, poly(ethylene oxide) acrylate,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생체 유용성 활성성분은, 피토스핑고신 사이클릭 포스페이트 에이치씨엘(Phytospingosine Cyclic Phosphate HCl), 피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hytospingosine -1-phosphate, P1P)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토스핑고신 유도체; 레티놀(Retinol: Vitamin A alcohol), 레티날(Retinal: Vitamin A aldehyde), 레티닐 아세테이트(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Retinyl linoleate),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Retinyl palmit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레티놀 또는 그 유도체; 세라마이드; 이데베논(Idebenone); 난용성 발모 또는 육모 성분인, 4-피롤리딘2,6-디아미노피리미딘1-옥사이드(4-Pyrrrolidinyl2,6-diaminopyrimidine 1-oxide)과 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Diaminopyrimidine ox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리미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2-Diole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 1,2-Distearoyl-sn-glycero-3-phosphocholine, hydrogenated Soy PC, 및 1, 2-dipalmitoyl-sn-glycero-3-phosphatidylchol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양친매성 지질을 5-3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 입자의 크기는 1-1,000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리포좀은, 상기 활성 성분이 리포좀 벽막의 사이에 패킹되거나 내부 수상 코어(water phase core)에 봉입될 수 있도록 고압력 호모 믹서(마이크로플루다이져)를 50-100,000 Psi의 통과압력으로 통과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단계의 개시제는 열 개시제 또는 광 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포좀이 포접된 하이드로젤 입자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리포좀이 포접된 에멀젼 하이드로젤 입자.
  10. 제9항에 기재된 리포좀이 포접된 에멀젼 하이드로젤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29275A 2013-10-29 2013-10-29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75A KR101376135B1 (ko) 2013-10-29 2013-10-29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CT/KR2014/010180 WO2015065009A1 (ko) 2013-10-29 2014-10-28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480056353.1A CN105658204A (zh) 2013-10-29 2014-10-28 将含有活性成分的脂质体物理性地包合在水凝胶粒子的方法及含有其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9275A KR101376135B1 (ko) 2013-10-29 2013-10-29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135B1 true KR101376135B1 (ko) 2014-03-19

Family

ID=5064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9275A KR101376135B1 (ko) 2013-10-29 2013-10-29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76135B1 (ko)
CN (1) CN105658204A (ko)
WO (1) WO20150650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223A (ko) * 2015-12-24 2017-07-04 코웨이 주식회사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6358A (zh) * 2017-09-06 2017-12-22 苏州大学 一种脂质体增强型水凝胶及其应用
CN108210937A (zh) * 2018-02-08 2018-06-29 上海应用技术大学 吡咯烷基二氨基嘧啶氧化物β-环糊精基包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467464A (zh) * 2018-04-02 2018-08-31 常熟理工学院 含壬二酸可见光固化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08619171A (zh) * 2018-05-05 2018-10-09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含蛋黄油/脂质体的电磁屏蔽医用凝胶材料的制备方法
CN112168753A (zh) * 2020-09-30 2021-01-05 云南贝泰妮生物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屏障修护功效的活性粒子及其制备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007A (ko) * 1997-07-18 2001-03-15 추후보정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서방용 생분해성 마크로머
KR100852944B1 (ko) 2007-02-15 2008-08-19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제조방법
KR20120037639A (ko) * 2010-10-12 2012-04-20 (주) 화천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의 효능극대화를 위한 캡슐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30039058A (ko) * 2011-10-11 2013-04-19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6140A2 (en) * 2003-04-25 2004-11-11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ic delivery of growth arresting, lipid-derived bioactive compounds
FR2950807B1 (fr) * 2009-10-06 2012-02-03 Lvmh Rech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liposomes encapsules dans un compose oxazolidin-2-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007A (ko) * 1997-07-18 2001-03-15 추후보정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서방용 생분해성 마크로머
KR100852944B1 (ko) 2007-02-15 2008-08-19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겔 나노입자의제조방법
KR20120037639A (ko) * 2010-10-12 2012-04-20 (주) 화천 소듐폴리감마글루타메이트의 효능극대화를 위한 캡슐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30039058A (ko) * 2011-10-11 2013-04-19 주식회사 제닉 에멀젼화된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6223A (ko) * 2015-12-24 2017-07-04 코웨이 주식회사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5803B1 (ko) * 2015-12-24 2023-07-14 코웨이 주식회사 하이드로젤 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8204A (zh) 2016-06-08
WO2015065009A1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6135B1 (ko) 활성성분이 함유된 리포좀을 하이드로젤 입자에 물리적으로 포접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Ourique et al. Improved photostability and reduced skin permeation of tretinoin: development of a semisolid nanomedicine
Mir-Palomo et al. Inhibition of skin inflammation by baicalin ultradeformable vesicles
Clares et al. Nanoemulsions (NEs), liposomes (LPs) and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 for retinyl palmitate: Effect on skin permeation
Manconi et al. Nanodesign of new self-assembling core-shell gellan-transfersomes loading baicalin and in vivo evaluation of repair response in skin
Waghule et al. Nanostructured lipid carriers as potential drug delivery systems for skin disorders
Lacatusu et al. Synergism of plant extract and vegetable oils-based lipid nanocarriers: Emerging trends in development of advanced cosmetic prototype products
EP1937204B1 (en) Cationic polymer nanoparticles encapsulating an active ingredients,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Mirtaleb et al. Advances in biological nano-phospholipid vesicles for transdermal delivery: A review on applications
Boskabadi et al. Topical gel of vitamin A solid lipid nanoparticles: a hopeful promise as a dermal delivery system
US20090191277A1 (en) Protein nanoparticles
Shegokar What nanocrystals can offer to cosmetic and dermal formulations
Dev et al. Emulgels: a novel topical drug delivery system
Casarini et al. Innovative hydrogel containing polymeric nanocapsules loaded with phloretin: Enhanced skin penetration and adhesion
Tachaprutinun et al. Comparison of the skin penetration of Garcinia mangostana extract in particulate and non-particulate form
Singh et al. Niosomes-a novel tool for anti-ageing cosmeceuticals
Lalotra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nanotechnology-based innovations in topical drug delivery for the treatment of skin cancer
JP2010524860A (ja) 薬剤の皮膚送達用ナノ粒子コーティングカプセル製剤
Anwar et al. Transfersomal gel containing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Kuntze) leaves extract: increasing in vitro penetration
EP3568123B1 (de) Einbringen von schwer und/oder nicht wasserlöslichen wirkstoffen mittels auf lipiden basierenden nanopartikeln/vesikeln in ein hydrophiles aus cellulose bestehendes dreidimensionales netzwerk
KR101671727B1 (ko) 피부 지질 복합체를 이용한 이데베논 매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크림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Yücel et al. Ethosomal (−)-epigallocatechin-3-gallate as a novel approach to enhance antioxidant, anti-collagenase and anti-elastase effects
KR100757043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양이온성 고분자나노캡슐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han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 nanoemulgel for transdermal delivery of feboxostat: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in vivo evaluation
Kaur et al. Solid lipid nanoparticles in dermaceutic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