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747B1 -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 Google Patents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747B1
KR101375747B1 KR1020110141038A KR20110141038A KR101375747B1 KR 101375747 B1 KR101375747 B1 KR 101375747B1 KR 1020110141038 A KR1020110141038 A KR 1020110141038A KR 20110141038 A KR20110141038 A KR 20110141038A KR 101375747 B1 KR101375747 B1 KR 10137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urnace
mold flux
curtain
temperat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276A (ko
Inventor
유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4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7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4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open-ended moulds
    • B22D11/055Coo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6Refining the metal
    • B22D11/117Refining the metal by treating with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 용해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용해로의 토출구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토출구와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막고 상기 용해로 내부 온도를 토출구까지 유지할 수 있는 보온 커튼 방식의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이다.

Description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Smelting furnace for mold flux of thermal curtain type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by the s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 용해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용해로의 토출구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토출구와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막고 상기 용해로 내부 온도를 토출구까지 유지할 수 있는 보온 커튼 방식의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연속 주조 장치에서 제조되는 주편(슬라브, 빌렛, 블룸, 랭크 등을 총칭)은 래들(ladle)로부터 액체상태의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를 거쳐 주형(mold)을 통과하면서, 주형에서의 냉각작용에 의해 고체 상태의 응고쉘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용강이 냉각된 응고쉘은 그의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롤에 의해 안내를 받으면서 스프레이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2차 냉각수에 의해 응고가 진행되어 완전한 고체 상태의 주편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철강의 연속 주조 조업 중 용강이 주형 내에 공급될 때 용강뿐만 아니라 부자재인 몰드 플럭스도 투입된다.
몰드 플럭스는 일반적으로 분말 혹은 과립과 같은 고체 상태로 투입되어 주형 내에 공급된 용강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용융되어 용강과 주형 사이의 열전달을 제어하고 윤활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주형에서의 윤활작용을 위해 공급되는 몰드 플럭스는 균일한 분포 및 윤활능의 향상 등을 위하여 액상의 상태로 주형에 공급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분말 혹은 과립과 같은 고상의 원료를 배합비를 맞추어서 용해로에 장입시킨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용해시킨 뒤 주형에 공급하게 된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몰드 플럭스 용해로(10)는 몰드 플럭스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파우더 형태의 몰드 플럭스(MF)를 파우더 투입기(13)를 통해 수용, 용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용해로(10) 둘레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토치와 같은 가열 수단을 포함하며 배기관(12)을 통해 증기를 배출한다.
이때, 상기 용해로(10)에서 용융된 몰드 몰럭스(MF)는 토출구(11)를 통해 배출된 후 배출 노즐(20)과 주입 노즐(30)을 통해 주형(M)으로 투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몰드 플럭스 용해로(10)는 한국 공개 특허 제2010-0074904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종래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 장치로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MF)는 출탕되는 배출 노즐(20)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출탕되는 몰드 플럭스(MF)가 외부에 노출되면서 열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출 노즐 주위(20)에 가열관을 삽입하는데, 이를 가열하기 위한 에너지 소모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해로(10)와 배출 노즐(20)를 조립할 때, 누출이 없도록 고가의 백금 관을 이용하여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백금 관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MF)가 외부 공기와의 열 전달에 의해 열 손실이 발생하므로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MF)의 높은 응고 온도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배출 노즐(20)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MF)시 용해로(10) 내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토출구(11) 통로를 통해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이 들어오게 되어 용해로(10) 내부의 용융 물질이 오염되는 한편 토출구(11)측 내부 온도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여 종래와 달리 백금 관등을 사용하는 배출 노즐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배출 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보온 커튼에 의해 토출구가 밀폐되어 종래와 달리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구 근방의 온도 하락을 방지할 수 있는 몰드 플럭스 용해로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스(G)를 용융 몰드 플럭스(MF)측으로 분출하는 보온 커튼 장치(100)를 포함하는 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는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구(11) 일측에 장착되는 판체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가스(G)가 주입되는 주입구(130)와, 상기 본체(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130)와 연통되어 상기 가스(G)가 상기 토출구(11)측으로 분출되는 노즐(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20)에 부착되는 가스 유량 조절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G)를 가열하는 열 교환 유닛(2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열 교환 유닛(200)은 상기 가스(G)를 저장하는 저장조(210)와, 상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G)를 가열한 후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측으로 상기 가스(G)를 투입하는 열 교환부(220)와, 상기 저장조(210) 또는 열 교환부(22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이용하여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구(11)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용해로 토출 방법(S100)으로서,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상기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제2단계(S120)를 수행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용융 몰드 플럭스의 재료인 파우더가 투입되는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단계(S11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는 경우 아래의 3단계(S130)를 수행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동작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단계(S130)를 수행하고 상기 파우더 투입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아래의 5단계(S150)를 수행하는 제4단계(S140)와, 상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6단계(S160)를 수행하고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하는 제5단계(S15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유지하는 제6단계(S160)와, 연속 주조 공정의 주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여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하고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6단계(S16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17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8단계(S180)를 포함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경우 토출구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여 종래와 달리 백금 관등을 사용하는 배출 노즐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되고 배출 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온 커튼에 의해 토출구가 밀폐되어 종래와 달리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토출구 근방의 온도 하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해로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온 커튼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 교환 유닛을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속 주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해로는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구(11, 도 1참조, 이하 동일함)에 설치되는 보온 커튼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보온 커튼 발생 장치(100)은 상기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MF)측으로 가스(G)를 분출하여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MF)를 주위 공기와 차단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고가의 배출 노즐(20, 도 1참조, 이하 동일함)을 사용하는 한편 주위 공기와의 열 전달에 의해 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열 손실에 의해 배출 노즐(20)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MF) 토출시 용해로(10) 내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토출구(11) 통로를 통해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이 들어오게 되어 용해로(10) 내부의 용융 물질이 오염되는 한편 토출구(11)측 내부 온도가 하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온 커튼 장치(100)에 의해 상기 토출구(11) 및 용융 몰드 플럭스(MF)를 밀폐하여 외부 공기 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한편 토출구(11)측 내부 온도의 하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달리 고가의 배출 노즐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온 커튼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가스(G)의 유동에 의해 일종의 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온 커튼에 사용되는 가스(G)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상기 보온 커튼은 상기 용융된 몰드 플럭스와 접촉하므로 상기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가스(G)의 온도는 상기 용융된 몰드 플럭스(MF)와 같은 온도이거나 높은 온도이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보온 커튼 발생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 일 측에 장착되는 판체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로 가스(G)가 주입되는 주입구(130)와, 상기 본체(1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130)와 연통되어 상기 가스(G)가 상기 토출구측으로 분출되는 노즐(1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130)와 연통되는 파이프 형상이거나 혹은 상기 본체(110) 내부에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입구(130)에 하나의 노즐(120)이 연결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나의 주입구(130)에 여러 개의 노즐(12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을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 개 배치할 수 있으며 2줄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의 줄로 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온 커튼 장치(100)는 토출구측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보온 커튼 발생 장치(100)가 다른 구성이나 형상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노즐(120)에 부착되어 상기 노즐(120)을 통해 분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1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의 출탕되는 양에 따라 상기 보온 커튼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노즐(120)에 부착되는 유량 조절부(140)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상기 유량 조절부(140)가 상기 노즐(120) 외주연에 한 쌍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상기 유량 조절부(140)의 경우 상기 노즐(120)의 개방부 면적을 조절하는 유량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자세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G)는 상기 용융된 몰드 플럭스(MF)와 같은 온도이거나 높은 온도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열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G)를 가열하는 열 교환 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상기 가스(G)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열 교환 유닛(200)은 상기 가스(G)를 저장하는 저장조(210)와, 상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G)를 가열한 후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측으로 상기 가스(G)를 투입하는 열 교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 교환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으로서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 일측에 부착된 교환부 본체(221)와 상기 가스(G)가 유동하며 열을 흡수하는 유동 경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 교환부(220)에 의해 상기 가스(G)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조(210) 또는 열 교환부(22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스(G)의 온도를 적정 범위 이내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210)에 설치되는 밸브(V)나 펌프(P)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열 교환기(220)를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CON)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 또는 몰드 플럭스 용해로(10)를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는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와 열 교환 유닛(200)이 상호 이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열 교환 유닛(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구(11, 도 1참조)측으로 분출되는 가스(G)를 가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와 열 교환 유닛(200)이 다른 구성을 가지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온 커튼 장치(100)를 이용하여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구(11)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용해로 토출 방법(S100)으로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방법은 우선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S110)를 수행한다.
상기 제1단계(S110)는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운전을 시작한 후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가 적절한 온도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즉,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상기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제2단계(S12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단계(S120)는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용융 몰드 플럭스(MF)의 재료가 되는 파우더가 투입되는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단계(S11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는 경우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동작하는 제3단계(S130)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어 용융 몰드 플럭스(MF)가 형성된 후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구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3단계(S130)수행 후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S140)를 수행한다.
상기 제4단계(S140)에서는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지 않는 경우 제3단계(S130)를 수행하여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계속 구동하고 상기 파우더 투입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아래의 5단계(S15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5단계(S150)는 상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6단계(S160)를 수행하고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6단계(S160)는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유지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는 정상 조업 중이므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계속 작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6단계(S160) 수행 후 연속 주조 공정의 주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여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하고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6단계(S16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170)를 수행한다.
즉, 연속 주조 공정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 조업 중이므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유지하는 제6단계(S160)를 수행한다.
만일 주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조업이 종료된 것이므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8단계(S180)를 수행한다.
즉, 제5단계(S150)에서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혹은 상기 제7단계(S170)에서 주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8단계(S180)를 수행하는 것이다.
MF : 몰드 플럭스 M : 주형
100 : 보온 커튼 발생 장치 110 : 본체
120 : 노즐 130 : 주입구
140 : 유량 조절부

Claims (6)

  1. 몰드 플럭스를 용융하여 수용하는 용해로(10);
    상기 용해로(10)에 구비되어 용융된 몰드 플럭스(MF)를 배출하는 토출구(11); 및
    상기 용해로(10) 외부에 설치되어 가스(G)를 분출하여 상기 토출구(11)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보온 커튼 장치(100)를 포함하며,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는,
    상기 토출구(11) 상측의 상기 용해로(10) 외부에 장착되는 판체 형상의 본체(110);
    상기 본체(1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로 상기 가스(G)가 주입되는 주입구(130);
    상기 본체(1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주입구(130)와 연통되어 상기 가스(G)가 상기 토출구(11)측으로 분출되는 노즐(120); 및
    상기 노즐(120)에 부착되어 상기 노즐(120)의 개방부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가스 유량 조절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 일측에 장치되어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가스(G)를 가열하는 열 교환 유닛(200)을 더 포함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유닛(200)은 상기 가스(G)를 저장하는 저장조(21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G)를 가열한 후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측으로 상기 가스(G)를 투입하는 열 교환부(220)와,
    상기 저장조(210) 또는 열 교환부(22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에 연결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
  6. 제1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기재된 보온 커튼 장치(100)를 이용하여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토출구(11)에 보온 커튼을 형성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용해로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S100)으로서,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지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상기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제2단계(S120)를 수행하는 제1단계(S11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용융 몰드 플럭스의 재료인 파우더가 투입되는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단계(S110)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파우더가 투입되는 경우 아래의 3단계(S130)를 수행하는 제2단계(S12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를 동작하는 제3단계(S13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에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파우더 투입이 중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3단계(S130)를 수행하고 상기 파우더 투입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아래의 5단계(S150)를 수행하는 제4단계(S140)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인 경우 아래의 6단계(S160)를 수행하고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10)의 온도가 정상 온도가 아닌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하는 제5단계(S15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유지하는 제6단계(S160)와,
    연속 주조 공정의 주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하여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 아래의 8단계(S180)를 수행하고 상기 주조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6단계(S160)를 다시 수행하는 제7단계(S170)와,
    상기 보온 커튼 장치(100)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8단계(S180)를 포함하는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20110141038A 2011-12-23 2011-12-23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KR10137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38A KR101375747B1 (ko) 2011-12-23 2011-12-23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038A KR101375747B1 (ko) 2011-12-23 2011-12-23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276A KR20130073276A (ko) 2013-07-03
KR101375747B1 true KR101375747B1 (ko) 2014-03-19

Family

ID=4898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038A KR101375747B1 (ko) 2011-12-23 2011-12-23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7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330A (ja) * 1998-06-11 2002-06-18 ライテンプ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KR100749026B1 (ko) * 2006-06-23 2007-08-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KR20110098083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330A (ja) * 1998-06-11 2002-06-18 ライテンプ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温度制御方法及び温度制御装置
KR100749026B1 (ko) * 2006-06-23 2007-08-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KR20110098083A (ko) * 2010-02-26 2011-09-01 주식회사 포스코 용기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276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86156A (zh) 一种用于定向凝固的冷却方法及装置
KR101375747B1 (ko) 보온 커튼 방식의 몰드 플럭스 용해로와 이를 이용한 연속 주조 방법
JP4870110B2 (ja) 鋼板冷却装置
CN116552792B (zh) 一种具有膨胀节的飞行器喷射冷却系统
JP5422958B2 (ja) 金属粉末製造装置
JP7435540B2 (ja) 粒銑製造装置および粒銑製造方法
KR101003202B1 (ko) 강판 냉각장치
KR101267340B1 (ko) 연주공정에서의 스트랜드 크랙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7050412A (ja) 金型および冷却機構
KR101292673B1 (ko) 플라즈마 히터를 구비한 몰드 플럭스 용해 장치
TWI445582B (zh) 於金屬材料射出成型中防止熔融金屬洩漏方法
KR101316912B1 (ko) 연속 주조 장치의 침지노즐
KR102312324B1 (ko) 냉각매체 분사장치
KR101307155B1 (ko) 몰드플럭스 주입장치
KR101263979B1 (ko) 냉각 장치가 구비된 노즐 텝
JP2010214433A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101334929B1 (ko) 냉각수 내부 저장형 노즐
JP5332772B2 (ja)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100831350B1 (ko) 플럭스 공급장치
KR101867682B1 (ko) 냉각장치
KR101496165B1 (ko) 주편 냉각용 수조
KR101532337B1 (ko) 가열소재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방법
KR101368433B1 (ko) 용융물 주입 장치
KR101482453B1 (ko) 수평식 스트립 캐스팅장치
KR102265199B1 (ko) 냉각매체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