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06B1 - 전자칠판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06B1
KR101375606B1 KR1020130024621A KR20130024621A KR101375606B1 KR 101375606 B1 KR101375606 B1 KR 101375606B1 KR 1020130024621 A KR1020130024621 A KR 1020130024621A KR 20130024621 A KR20130024621 A KR 20130024621A KR 101375606 B1 KR101375606 B1 KR 10137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s
sensitivity
sound
output
bla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진호
Original Assignee
진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진호 filed Critical 진진호
Priority to KR102013002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6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for light p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강의나 회의용으로 사용되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전자펜으로 판서하는 평판형태의 전도성 칠판부재(10)와, 칠판부재(10)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제1/제2스피커(20,30)와,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엠프(40)와, 제1/제2스피커(20,30)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이 입력되는 무선마이크(50)와, 무선마이크(50)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음향을 통신신호로 변환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기(60)와, 무선송신기(60)에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하는 제1/제2수신기(70,80) 및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수신되는 각각의 통신신호가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되어 음향이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제어하고, 전자펜에 의해 입력되는 판서가 칠판부재(10)에 출력되어서 현시되도록 칠판부재(1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칠판{ELECTRONIC BLACKBOARD}
본 발명은 실내에서 강의나 회의용으로 사용되는 전자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칠판은 회의나 강의 중에 화이트 보드에 판서한 내용을 그자리에서 자체 부착된 프린터로 인쇄 및 전송부를 통해서 컴퓨터 전송 및 편집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프리젠테이션 장비의 일종이다,
그리고 전자칠판은 사용자에 의해 문자, 기호 또는 그림등을 판서하는 화이트 보드와, 화이트 보드에 판서된 내용을 광학 신호로 읽어드리는 리드부와, 리드부에서 읽어드린 광학신호를 전기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부와,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하여, 전자칠판에 판서된 내용을 복사하였다가 프린터를 이용하여 인쇄하거나, 별도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전송 및 인쇄하여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의나 회의시에 강의 및 회의 사항을 인쇄하여 볼 수 있고,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인쇄하여 볼 수 있는 전자칠판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펜으로 판서되는 전자칠판(100)과, 전자칠판(100)에서 판서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컴퓨터(110)와 유선으로 접속하여 전자칠판(100)에 판서된 내용을 유선(RS-232)을 통해서 컴퓨터(110)에 전송하고, 컴퓨터(110)의 내용을 전자칠판(100)에 전송하며, 필요에 따라 전자칠판(100)에 판서 및 컴퓨터(110)에 저장된 판서된 내용을 프린트하여 언제든지 다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칠판(100)에 판서된 내용을 저장하는 서버(200)와 유선으로 접속하고, 서버(200)와 인터넷을 통해서 원거리에 다수의 컴퓨터(210)와 접속하여, 전자칠판(100)의 판서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서 원거리에 위치한 다수의 컴퓨터(210)에 디스플레이하고, 전자칠판(100)에 판서내용은 서버(200)에 저장하였다가 인터넷을 통해서 저장된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강의 내용을 다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전자칠판(100)은 모두 유선으로 컴퓨터 및 서버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어서 유선으로 연결됨에 따른 설치 및 장소의 제약을 받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따른 번거로운 제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칠판에 판서하면서 무선마이크를 이용하여 강의할 수 있으면서 무선으로 판서내용을 PC에 전달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은, 전자펜으로 판서하는 평판형태의 전도성 칠판부재(10)와, 칠판부재(10)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제1/제2스피커(20,30)와,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엠프(40)와, 제1/제2스피커(20,30)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이 입력되는 무선마이크(50)와, 무선마이크(50)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음향을 통신신호로 변환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기(60)와, 무선송신기(60)에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하는 제1/제2수신기(70,80) 및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수신되는 각각의 통신신호가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되어 음향이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제어하고, 전자펜에 의해 입력되는 판서가 칠판부재(10)에 출력되어서 현시되도록 칠판부재(1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90)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의 제1기준감도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감도체크부(91) 및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1기준감도보다 낮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음향이 높게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조절하는 출력조절부(9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감도체크부(91)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와 비교하기 위해 제1기준감도보다 높은 레벨로 설정된 제2기준감도를 미리 설정하고, 출력조절부(92)는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2기준감도보다 높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의 출력이 최소로 저하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전자칠판에 판서하면서 무선마이크를 이용하여 강의할 수 있으면서 무선으로 판서내용을 PC에 전달할 수 있어서, 유선에 의한 불편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전자칠판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칠판의 사용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칠판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펜으로 판서하는 평판형태의 전도성 칠판부재(10)와, 칠판부재(10)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제1/제2스피커(20,30)와,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엠프(40)와, 제1/제2스피커(20,30)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이 입력되는 무선마이크(50)와, 무선마이크(50)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음향을 통신신호로 변환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기(60)와, 무선송신기(60)에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하는 제1/제2수신기(70,80) 및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수신되는 각각의 통신신호가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되어 음향이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제어하고, 전자펜에 의해 입력되는 판서가 칠판부재(10)에 출력되어서 현시되도록 칠판부재(1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한다.
칠판부재(10)는 좌우로 길게 장방형의 판재형태로 형성되면서 다수의 IR센서(11)가 배열되어 있어서 전자펜이 판서하는 내용을 센싱할 수 있다. 그리고, IR센서(11)들은 센싱된 판서내용을 인식하는 좌표정보인식부(12)에 연결된다. 또한, 좌표정보인식부(12)에서 인식된 판서내용을 이미지로 출력하는 이미지출력부(13)도 평판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칠판부재(10)에 판서하면 판서하는 모양대로 이미지가 출력되어 강의나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칠판부재(10)는 USB단자(14)가 설치되고, USB단자(14)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USB단자(14)를 통해 접속되는 USB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판서내용이 칠판부재(1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칠판부재(10)는 강의실이나 회의실에 설치된 PC나 노트북는 무선통신을 통해 판서내용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칠판부재(10)와 PC나 노트북은 각각 무선통신장치(15)가 장착되어 있어서, PC나 노트북을 통해 무선으로 전달된 판서내용이 화면으로 출력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강의나 회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PC나 노트북을 통해 판서내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제1/제2스피커(20,30)는 칠판부재(10)의 양측에 설치됨에 따라 강의실이나 회의실 내부에 전체적으로 음향을 전달할 수 있다.
엠프(40)는 제1/제2스피커(20,30)들의 출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무선마이크(50)는 내부에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어 있고,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충전전류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향이 입력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송신기(60)는 무선마이크(5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을 통신신호로 변환해서 외부로 출력하도록 무선마이크(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내장되어 있다.
제1/제2수신기(70,80)는 제1/제2스피커(20,3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제1/제2수신기(70,80)는 무선송신기(60)에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제어부(90)는 칠판부재(10)와 제1/제2스피커(20,30)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이 탑재된 PCB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90)는 칠판부재(10)에서 인식되거나 USB단자(14)를 통해 인식되는 판서내용의 데이터와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수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분리하는 판서/음향 분리부(95)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판서내용은 칠판부재(10)를 통해 출력되어서 현시되고, 통신신호가 제1/제2스피커(20,30)를 통해 음향으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강사가 칠판부재(10)에 전자펜으로 판서를 하면서 무선마이크(50)를 통해 육성으로 강의를 하면, 강의에 참석한 참석자들은 칠판부재(10)나 PC나 노트북의 화면을 통해 판서내용을 확인하면서, 제1/제2스피커(20,30)를 통해 강사의 강의내용에 대한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의 제1기준감도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감도체크부(91) 및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1기준감도보다 낮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음향이 높게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조절하는 출력조절부(9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강사가 무선마이크(50)를 휴대한 상태로 제1/제2스피커(20,30)의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무선마이크(50)가 제1/제2스피커(20,30)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위치되면서 다른 제1/제2스피커(20,30)에서 멀어지게 되면, 감도체크부(91)가 제1/제2수신기(70,80)에 각각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를 제1기준감도 및 제2기준감도와 비교하여서 체크한다. 따라서, 무선마이크(50)가 제1스피커(20)에 가까이 위치되면 출력조절부(92)의 조절에 의해 제1스피커(20)의 출력보다 제2스피커(30)의 출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강사가 제1스피커(20)에 가까이 위치한 상태로 강의를 하면 강사의 육성과 함께 제1스피커(20)의 출력이 더해지게 되므로 제2스피커(30)의 출력을 높여서 보정하게 된다. 즉, 강사의 육성과 제2스피커(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스테레오로 들리게 될 수 있다.
또한, 감도체크부(91)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와 비교하기 위해 제1기준감도보다 높은 레벨로 설정된 제2기준감도를 미리 설정하고, 출력조절부(92)는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2기준감도보다 높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의 출력이 최소로 저하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강사가 무선마이크(50)를 휴대한 상태로 제1스피커(20)에 근접된 상태로 강의를 하면 제1스피커(20)를 통해 '삐-이'하는 하울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1스피커(20)의 출력을 최대로 저하시켜서 아울링에 의한 '삐-이'소리가 들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의실이나 강의실에서 사용되는 전자칠판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칠판부재
20,30 : 제1/제2스피커
40 : 엠프
50 : 무선마이크
60 : 무선송신기
70,80 : 제1/제2수신기
90 : 제어부
91 : 감도체크부
93 : 출력조절부

Claims (3)

  1. 전자펜으로 판서하는 평판형태의 전도성 칠판부재(10); 칠판부재(10)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음향을 출력하는 제1/제2스피커(20,30);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는 엠프(40); 제1/제2스피커(20,30)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이 입력되는 무선마이크(50); 무선마이크(50)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음향을 통신신호로 변환해서 외부로 송신하는 무선송신기(60); 무선송신기(60)에서 송신되는 통신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하는 제1/제2수신기(70,80);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수신되는 각각의 통신신호가 제1/제2스피커(20,30)에 각각 제공되어 음향이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제어하고, 전자펜에 의해 입력되는 판서가 칠판부재(10)에 출력되어서 현시되도록 칠판부재(10)를 제어하는 제어부(9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90)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레벨의 제1기준감도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감도체크부(91); 및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1기준감도보다 낮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에서 음향이 높게 출력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조절하는 출력조절부(92);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도체크부(91)는 제1/제2수신기(70,80)를 통해 각기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감도와 비교하기 위해 제1기준감도보다 높은 레벨로 설정된 제2기준감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출력조절부(92)는 감도체크부(91)를 통해 감도가 제2기준감도보다 높게 체크되는 제1/제2수신기(70,80)에 대응되는 제1/제2스피커(20,30)의 출력이 최소로 저하되도록, 엠프(40)를 통해 제1/제2스피커(20,30)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칠판.
  2. 삭제
  3. 삭제
KR1020130024621A 2013-03-07 2013-03-07 전자칠판 KR10137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21A KR101375606B1 (ko) 2013-03-07 2013-03-07 전자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621A KR101375606B1 (ko) 2013-03-07 2013-03-07 전자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606B1 true KR101375606B1 (ko) 2014-03-18

Family

ID=5064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621A KR101375606B1 (ko) 2013-03-07 2013-03-07 전자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03B1 (ko) * 2017-02-16 2017-06-0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9650A (ja) * 2008-03-27 2009-10-15 Nec Corp 出力音量自動制御装置、出力音量自動制御方法
KR101063205B1 (ko) * 2009-07-27 2011-09-07 최준수 전자 칠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9650A (ja) * 2008-03-27 2009-10-15 Nec Corp 出力音量自動制御装置、出力音量自動制御方法
KR101063205B1 (ko) * 2009-07-27 2011-09-07 최준수 전자 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703B1 (ko) * 2017-02-16 2017-06-0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인쇄회로기판 고정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6708B2 (en) Video conference system
US8289295B2 (en) Wireless multi-user touch control system
KR101375606B1 (ko) 전자칠판
JP2013201623A (ja)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通信制御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US11895437B2 (en) Video conference system
US20130084555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20130084553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EP26321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o way communication
CN205121439U (zh) 一种交互式智能平板
US9990076B2 (en) Touch screen apparatus
KR101563876B1 (ko)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KR200474007Y1 (ko) 영상 및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2단 독서대
KR101464238B1 (ko) 등기구를 이용한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152297B1 (en) Classroom system
US10299050B2 (en) Mobile audio receiver
KR101562618B1 (ko) 교실내 청음 시스템
CN219758968U (zh) 课堂互动教学系统
KR20200002345U (ko)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CN210927980U (zh) 一种用于公开课随身扩音器
CN209167962U (zh) 综合服务终端
CN108055499A (zh) 一种基于多媒体技术的会议系统
CN109254704A (zh) 一种磁触黑板及黑板笔
CN209785276U (zh) 一种教室信息化终端
CN220439065U (zh) 智能黑板及显示设备
CN210428886U (zh) 一种多功能多媒体教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