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45U -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45U
KR20200002345U KR2020190001545U KR20190001545U KR20200002345U KR 20200002345 U KR20200002345 U KR 20200002345U KR 2020190001545 U KR2020190001545 U KR 2020190001545U KR 20190001545 U KR20190001545 U KR 20190001545U KR 20200002345 U KR20200002345 U KR 20200002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block
source lamp
function modul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배욱
정우정
윤종근
안대영
박준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욱성미디어
Priority to KR2020190001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345U/ko
Publication of KR20200002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8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physical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certain areas located on the lighting device, e.g. a touch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의 미디어 원초신호 감지/재생 입출력 기능요소인 손필기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광원램프, 마우스 기능모듈을 스탠드형태의 일체형 기구에 장착시켜 원격 과외학습과 업무협의 시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게 하는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얼굴보고 듣고 말로 설명하는 것에 더하여 손필기와 그림그리기, 문서상의 위치 지적하는 기능에 의한 의사소통 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손필기카메라 블록; 마이크 블록; 스피커-이어폰 블록; 광원램프 블록; 마우스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원초신호 감지/재생 블록들과 코덱블록간의 미디어 감지/재생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버스 방식으로 통합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마이크 블록과 스피커-이어폰 블록의 케이스 구비와 광원램프 밝기제어 터치패드 내장인 스탠드받침대 블록; 상기 손필기카메라 블록과 광원램프 블록의 케이스 구비와 손필기 지면과의 거리, 각도 제어 수단인 스탠드 머리 블록; 상기 광원램프 블록 및 손필기카메라 블록과 광원램프 터치패드 및 케이블 버스 블록 간의 신호선을 내장하고 스탠드 머리블록과 스탠드 받침대 블록을 연결하는 지지대 블록을 포함하는 스탠드 형태의 일체형 장치모습을 특징으로 하며, 마이크와 스피커의 거리가 고정되어 에코처리가 쉬워지고 스피커가 가까워 잘 들리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The united multifunctional I/O device for telepresence communication media sensing/playback with the CODEC related control possible}
본 고안은 원격화상으로 상대측과 의사소통을 할 경우에 보고, 듣고, 말하고, 글쓰고 그림그리고, 문서상의 위치 지적하는 것을 편리하고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일체형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 손필기카메라, 스피커, 광원램프, 마우스를 모두 일체형 장치에 장착시켜 화자 가까이에 위치케 함으로 말소리와 손필기 모습이 실시간으로 잘 감지 전달되고 상대 말소리가 잘 재생되어 들리도록 하고, 얼굴영상과 손글씨도 역광이나 그림자 영향없이 알맞은 밝기로 보일 수 있게 조절 가능한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화상 의사소통 장비의 미디어 입출력 장치는 영상카메라, 마이크, 스피커가 각각 따로 있거나 마이크가 영상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미디어 입출력 장치로는 얼굴보고 대화만 하는 단순 화상회의가 아닌, 원격화상 과외학습이나 원격협업과 같이 얼굴 보고 손필기 하고 그림 그리면서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럴 수 없어서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오디오 컨퍼런스용 장비를 원격화상 장비의 입출력 장치로 활용하여도 이것 또한 손필기와 그림을 그릴 수 없는 불편함은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실물화상기를 입출력장치로 사용하여도 코덱에 의해 영상카메라, 마이크와 연동 정합 조절이 되지 않아 동기 문제로 얼굴보면서 자연스럽게 손글씨 쓰고 그림 그리면서 설명하는데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입력장치 모두 광원램프가 없어서 역광 또는 그림자로 인해 얼굴영상이나 손글씨가 어둡게 보여 의사소통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고, 오디오 컨퍼런스용 장비를 제외한 나머지의 경우 마이크와 스피커 간 거리가 설치에 따라서 변할 수 있음으로 인해 에코제거에 난애함이 커지고, 화자와 스피커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어서 말소리를 정확히 듣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원격화상 의사소통시스템의 특성상 미디어 입출력장치의 상태가 잘 못 세팅되어 있으면 상대측에서 그 영향이 나타나는 관계로 원격지에서 상대측의 입출력장치 세팅을 할 수 있으면 편리한데, 상기한 기존의 입력장치들이 코덱과 연동되어 있지 않아서 원격지에서 상대측의 마이크 온오프 및 게인 조절, 스피커 온오프 및 볼륨 조절, 광원램프 온오프 및 밝기 조절이 필요하고 또 중요한 원격과외 서비스의 경우에는 사용법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에게 방법을 설명하고 조절케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원격화상으로 의사소통을 하는데 있어서 주요 의사소통 수단인 보고 말하고 글쓰고 그림그리고 듣고 문서상의 위치를 지적하기 위한 원초정보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코덱에 전송하고 또한 코덱에서 온 소리정보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 손필기카메라, 스피커, 이어폰, 광원램프, 마우스 연결모듈를 모두 장착시킨 스탠드 형태의 일체형 장치를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의 의사 전달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 원음감지 센서와 원음/전기신호 변환 전자회로 모듈, 코덱블록과의 마이크 신호 정합 모듈로 구성되는 마이크 블록; 카메라 필기인지 센서와 빛/전기신호 변환 전자회로 모듈, 코덱블록과의 카메라 신호 정합모듈로 구성되는 스피커-이어폰 원음 진동기와 전기신호 원음 변환 전자회로 모듈, 코덱블록과의 스피커 신호 정합모듈로 구성되는 스피커 블록; 광원램프와 전류조절 저항가변기 전자 회로 모듈, 코덱 블록과의 광원램프 신호정합모듈로 구성되는 광원램프 블록; 마우스포인터 위치감지 센서와 마우스포인터 블록; 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미디어 원초신호 감지출력 블록들과 코덱블록 간의 미디어 감지 출력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버스 방식으로 통합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 블록과 스피커-이어폰 블록의 케이스 구비와 광원램프 밝기제어 터치패널 내장인 스탠드 받침대 부; 상기 필기인지 카메라 블록과 광원램프 블록의 케이스 구비와 손필기 지면과의 거리, 각도 제어 수단인 스탠드 머리 부; 상기 광원램프 블록과 밝기제어 터치패드 간의 신호선을 내장하고 필기인지 카메라 블록과 멀티미디어 케이블 버스 블록간의 신호선을 내장하고 필기인지 카메라 블록과 멀티미디어 케이블 버스 블록 간의 신호선을 내장하고, 스탠드 머리블록과 스탠드 받침대 블록을 연결하고 스탠드 머리블록의 높이와 각도,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하는 지지대 부를 포함하며 스탠드 형태의 일체형 장치모습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원격화상 과외시스템, 교육시스템, 회의시스템, 협업시스템, 상담시스템과 원격 영상진료, 심리치료 시스템의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로 활용되어 보고 말하고 손글씨 쓰고 그림 그리고 듣고 지적하는 것을 동시에 할 수 있어서 의사전달과 이해가 상대적으로 편리해지고 쉬우며, 원격으로 마이크 온오프 및 게인 조절, 스피커 온오프 및 볼륨 조절, 광원램프 온오프 및 밝기 조절 가능하고 에코 제거가 쉽고 말소리가 가깝게 들리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의 일체형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의 일체형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의 병렬 동작 제어처리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와 코덱 블록과의 동작관계를 보인 원격 라이브 과외학습 시스템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일체형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를 연동 제어하는 원격 라이브 과외학습 네트워크 관계 블록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장치는 원격화상 과외학습 시스템의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로서 원격화상 과외학습을 위한 주기능을 수행하는 코덱박스에 영상카메라, 화면 출력모니터와 같이 연결되어 화상 과외학습 의사소통에 필요한 원초 정보를 감지하여 코덱박스에 제공하고 얼굴영상과 손글씨를 적당한 밝기로 볼 수 있게하고, 코덱박스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소리정보를 재생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카메라 장치는 강의학습자의 모습영상을 감지 제공하고, 화면출력 모니터 장치는 강의학습자 모습을 출력하고, 본 고안장치는 말소리, 손글쓰기, 그림그리기, 문서상의 위치 지적하고, 상대측과 손글씨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원초 아널로그 정보를 감지-변환-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전달되어 오는 말소리 정보를 재생 출력한다.
본 고안은 스탠드 형태의 외형과 구조를 취하는 일체형 장치인데, 마우스 라인홀(11)이 뚫린 스탠드 받침대 케이스(10), 마이크홀(21)과 스피커홀(22) 광원램프 터치패드(23)가 위치한 스탠드 받침대커버(20), 스탠드 머리케이스(30), 광원램프 빛 투과유리(40)와 손필기 카메라 홀(41)이 위치한 스탠드 머리커버(40), 스탠드 지지대(50), 일단에 감지/재생 신호커넥터(61)가 연결된 감지신호 케이블(60)로 외형체가 이루어지고, 스탠드 지지대(50)의 양끝을 스탠드 받침대커버(20)와 스탠드 머리케이스(30)에 끼워 조립되고, 감지신호 케이블(60)을 스탠드 받침대케이스(10)에 끼워 일체형 장치가 조립된다. 이 외형체 속에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와 소리 재생, 밝기제어, 마우스 유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모듈들이 2개의 회로기판(70,80)에 나뉘어 탑재되어 내장되는데, 소리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센스(211)와 소리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 A/D 변환기(212), 마이크 신호 회로와 코덱박스(300)를 신호 정합시키는 마이크/코덱 접속기(213)로 구성되는 마이크 기능 모듈(210)과, 소리 전기신호를 감지하여 말소리 진동을 재생하는 스피커-이어폰 진동기(231)와 스피커-이어폰 디지털 신호를 원음 아널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스피커-이어폰 D/A변환기(232), 스피커-이어폰 신호와 코덱박스(300)를 신호 정합시키는 스피커-이어폰/코덱 접속기(233)로 구성되는 스피커-이어폰 기능모듈(230)을 하나의 회로기판(70)에 탑재하여 스탠드 받침대케이스(10)에 내장되고, 빛의 밝기와 색상을 감지하는 카메라센스(221)와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A/D 변환기(222), 카메라 신호 회로와 코덱박스(300)를 신호 정합시키는 카메라/코덱 접속기(223)로 구성되는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220)과, 빛을내는 광원램프(241)와 광원램프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저항가변기(242), 광원램프 회로와 코덱박스(300)를 신호 정합시키는 광원램프/코덱 접속기(243)로 구성되는 광원램프 기능모듈(240)을 하나의 회로기판(80)에 탑재하여 스탠드 머리케이스(30)에 내장된다.
상기 스탠드 머리케이스(30)에 내장된 회로기판에 탑재된 카메라 기능모듈(220) 및 광원램프 기능모듈(240)과 코덱박스(300)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선은 스탠드지지대(50) 관을 통해 마이크 기능모듈(210)과 스피커-이어폰 기능모듈(230)이 탑재된 스탠드 받침대케이스(10) 내장 회로기판의 신호연결 커넥터로 내려와서 감지신호 케이블(60)과 감지/재생 신호커넥터(61)를 통해 코덱박스(300)로 연결되고 이 신호선 중 광원램프 밝기 조절 신호선은 광원램프 밝기조절 터치패드(23)에 연결된다.
상기 스탠드 받침대케이스(10)에 내장된 회로기판에 탑재된 마이크 기능모듈(210) 및 스피커-이어폰 기능모듈(230)과 코덱박스(300)간의 데이터 및 제어 신호선은 동회로기판의 신호연결 커넥터에서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220) 및 광원램프 기능모듈(240) 신호선과 통합되어 감지신호 케이블(60)과 감지/재생 신호 커넥터(61)를 통해 코덱박스(300)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장치 관련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장치 블록(200)과 감지/재생 입출력장치 제어 하드웨어 기능블록(340) 및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50)을 통하여 말소리, 손글쓰기, 그림그리기 그리고 마우스 포인터위치 정보가 상대측으로 전송되는 과정은 통신망(400)에 접속되어 있는 본 고안의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장치(200)와 영상카메라(314) 및 제어 하드웨어 기능블록(313) 및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1), 화면모니터(316) 및 모니터 제어 하드웨어 기능블록(315) 및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2)을 포함하고 있는 코덱 박스들(300a, 300b) 간에 신호접속이 되고 콜신호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져 상대측이 받으면 콜셋업이 완료되고 다음에 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통신망(400)상에 상대측 장치 주소로 하드웨어 접속 콜신호를 보내면 상대측 장치의 물리적 정합 기능블록(301)을 통한 데이터 링크 엑세스 기능블록(302)에서 신호접속을 위한 기본환경을 정립하고 호설정/해지 기능블록(303)에서 신호접속을 완료한다. 이어서 코덱 제어블록(360)의 내부처리 쓰레드 제어 기능블록(304)에서 반입 데이터 스트림 처리 쓰레드를 배정 및 제어하여 통신망 버퍼링 기능블록(306)으로 통신망큐 블록(305)을 통한 콜신호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지고 통신망정합 하드웨어 기능블록(312)과 통신망정합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0)을 거쳐서 콜신호 셋업이 완료된다.
콜신호 셋업이 되면 이어서 코덱박스(300)의 영상카메라 제어 하드웨어 기능블록(313) 및 영상카메라 제어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1)과 감지/재생장치 제어 하드웨어 기능블록(340) 및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50)의 프로그램 제어에 따라 영상카메라(314), 마이크(210), 손필기카메라(220), 마우스(250) 등의 감지장치로부터 원초정보가 반입되는데, 코덱 박스(300)의 영상카메라 제어 하드웨어(313) 및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1) 조건이 실시간 원초정보 반입상태이면 강사측이나 학생측의 얼굴밝기와 색상 원초정보가 영상카메라(314) 센스를 통하여 반입되고 이 원초정보 아널로그 신호를 영상카메라 A/D 변환기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내부 멀티미디어 버스(100)를 통하여 코덱박스(3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코덱박스(300)의 마이크 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41) 및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51) 조건이 실시간 원초음원 반입상태이면 강사측이나 학생측 원초음원 정보가 마이크센스(211)를 통해 집음되고 이 원초정보 아널로그 신호를 마이크 A/D변환기(21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코덱 접속기(213)를 거쳐 미디어 케이블버스(101)를 통하여 내부 멀티미디어 버스(100)를 태워 코덱박스(300)로 이동시킨다. 또한 코덱박스(300)의 스피커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43) 및 소프트웨어 기능모듈(253) 조건이 "온" 이면 상대측 마이크 모듈(210)를 통하여 반입되는 말소리 크기를 판단하여 이 제어기능 모듈(343,353)의 제어 레지스터 값 조절에 의해 스피커 출력 볼륨을 조절한다. 또한 코덱박스(300)의 마우스포인터 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45) 및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55) 조건이 위치포인터 정보 반입상태이면 강사측이나 학생측의 마우스포인터가 가리키는 화면상의 택스트나 이미지의 위치 X,Y 좌표 연속정보를 반입하여 상대측으로 전송하고 자기측 화면에도 제어레지스터 시간정보값에 따라 일정 길이로 포인터 유지하여 지적위치, 의미를 알수 있게하는데 활용한다. 또한 코덱박스(300)의 손필기카메라 제어 하드웨어(342) 및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52) 조건이 실시간 원초정보 반입상태이면 강사측이나 학생측의 손필기나 교과서, 문제집 등의 밝기와 색상 원초정보가 손필기카메라 센스(221)를 통하여 반입되고 이 원초정보 아널로그 신호를 손필기카메라 A/D변환기(222)에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미디어 케이블 버스(101)를 통하여 내부 멀티미디어 버스(100)를 태워 코덱박스(300)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코덱박스(300)의 광원램프 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44) 및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54) 조건이 "온" 이면 손필기카메라 모듈(220)을 통하여 반입되는 손필기 또는 문서의 밝기를 판단하여 이 제어 기능모듈(344,354)를 통하여 광원램프(241)의 밝기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미디어 감지 입출력 장치에 의해 반입되는 미디어 데이터와 손필기 카메라 모듈(220)을 통하여 들어오는 광원 밝기정보가 상기 콜셋업 데이터 처리와 같은 패스를 거쳐 상대측 코덱박스(300)의 비디오 버퍼링 기능블록(307)과 오디오 버퍼링 기능블록(308)을 통한 후 범용 인스트럭션 처리 하드웨어 기능블록(309), 시스템 수행체계 처리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17),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 처리 하드웨어 기능블록(310), 멀티미디어 스트림 처리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18),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복원처리 하드웨어 기능블록(311), 멀티미디어 데이터 압축/복원 처리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19), 통신망 정합 하드웨어 기능블록(312), 통신망 정합 소프트웨어 기능블록(320)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해서 모니터 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15)과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22), 그리고 스피커제어 하드웨어 기능모듈(343)과 소프트웨어 기능모듈(353)의 제어 하에 모니터(331)와 스피커(230)로 얼굴영상, 말소리, 손필기 및 그림그리기 그리고 마우스 위치 포인터가 동시에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코덱박스(300)의 제어상태에 따라 미디어 감지/재생 장치가 원초 미디어 신호를 감지-변환-환원 또는 재생하고 코덱박스(300)는 이들 데이터들을 압축/복원 처리하고 전송/반입하여 정보화 하는데, 원격화상 라이브 과외학습 시스템의 구성품으로서의 본고안의 동작상태를 통신망 관계도에 접속되어 있는 2개의 본 고안장치를 활용하여 과외학습하는 동작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콜셋업 처리과정을 거쳐 본 고안장치의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동작 준비상태가 되면, 상기 감지방법과 처리과정을 통해 강사와 학생측의 영상카메라(321a, 321b)가 각각 강사와 학생 영상을 감지하여 상대측 모니터(331a, 331b)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강사와 학생측의 본 고안장치(200a, 200b)가 각각 강사와 학생의 말소리와 손필기, 문제풀기, 그림그리기 동작 영상을 감지하여 상대측 본 고안장치(200a,200b)의 스피커, 모니터(331a.331b)를 통하여 출력된다. 문제집 글자나 손글씨가 잘 보이는 밝기로 광원램프 밝기를 조절하고, 상대측의 문제풀이 과정에서 지적 설명할 부분이나 문제집 예문에서 지적 설명할 경우에 화면에 보이는 지적위치에 마우스포인터로 밑줄, 동그라미 등을 그으면서 설명할 수 있어서 과외학습 시 필요한 미디어 감지/재생장치 중 영상카메라(314)를 제외한 주요 감지요소 모듈들을 일체형 스텐드 장치에 내장시켜 이용할 수 있어서 감지요소 모듈이 분리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다루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 손필기카메라, 스피커-이어폰, 광원램프, 마우스를 스탠드형태의 일체형 장치에 탑재한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를 원격 라이브 화상 과외/교육 시스템과 원격화상 협업 시스템, 원격화상 상담 시스템의 미디어 입출력 장치로 사용하여 종이 연습장에 손필기로 문제풀고 그림그리며 설명할 수 있고, 책, 참고서, 신문 등 오프라인 컨텐츠도 이용할 수 있고, 마이크와 스피커 거리가 일정하여 에코제거가 쉽고, 스피커가 이용자 가까이에 있어서 말소리를 편하게 명확히 들을 수 있고, 광원램프로 역광이나 그림자로 인한 인지장애 없이 얼굴과 학습자료, 풀이내용을 알맞은 밝기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원격화상 과외학습 장비의 마이크, 손필기카메라, 스피커-이어폰, 광원램프, 마우스 유무선 연결모듈을 장착한 스탠드 형태의 일체형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 기능모듈과 스피커 기능모듈, 광원램프 밝기조절 터치패드, 마우스 연결모듈을 탑재한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스탠드 받침대 케이스 부;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과 광원램프 기능모듈을 탑재하는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스탠드 머리케이스 부;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이나 광원램프 기능모듈에서 코덱박스로 연결되는 신호선과 광원램프 밝기조절 터치패널로 가는 신호선을 내장하고, 스탠드 받침대 케이스와 스탠드 머리케이스를 이어서 스탠드 머리케이스를 지탱해주며, 손글쓰기 지면과 손필기카메라와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부; 마이크 기능 모듈, 스피커 기능모듈,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 광원램프 기능모듈, 마우스 연결모듈과 코덱박스 연결 신호선을 내장하는 케이블 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화상 의사소통 시스템의 스탠드 형태의 일체형 원격화상 의사소통 미디어 원초신호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2. 원격화상 과외학습 장비의 손필기카메라, 광원램프를 장착한 스탠드 형태 자바라 구조의 손글쓰기 및 그림그리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과 광원램프 기능모듈을 탑재하는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스탠드 머리케이스부;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이나 광원램프 기능모듈에서 코덱 또는 중앙처리 장치로 연결되는 신호선과 광원램프 밝기조절 터치패드로 가는 신호선을 내장하고, 스탠드 받침대케이스와 스탠드 머리케이스를 이어서 스탠드 머리케이스를 지탱해주며, 손글쓰기 지면과 손필기카메라와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부; 손필기카메라 기능모듈, 광원램프 기능모듈과 코덱 또는 중앙처리 장치 연결 신호선을 내장하는 케이블 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덱 또는 중앙처리 장치 신호 정합 연동의 손필기카메라 및 광원램프 포함의 원격화상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 입력 장치
KR2020190001545U 2019-04-15 2019-04-15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KR202000023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45U KR20200002345U (ko) 2019-04-15 2019-04-15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45U KR20200002345U (ko) 2019-04-15 2019-04-15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45U true KR20200002345U (ko) 2020-10-26

Family

ID=7300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45U KR20200002345U (ko) 2019-04-15 2019-04-15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3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689A (ko) * 2021-08-31 2023-03-07 (주)이어존 실물화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689A (ko) * 2021-08-31 2023-03-07 (주)이어존 실물화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4605B2 (en) Binaural recording for smart pen computing systems
US20080180519A1 (en) Presentation control system
Vorwerk et al. WAPUSK20-A Database for Robust Audiovisual Speech Recognition.
CN111010529A (zh) 可多人实时批注的视频会议方法及系统
KR20200002345U (ko) 코덱 연동제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원격 의사소통 미디어 감지/재생 입출력 장치
US7365766B1 (en) Video-assisted apparatus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CN211289676U (zh) 用于辅助学习的台灯和系统
Wald Hearing disability and technology
JP7095356B2 (ja) 通信端末及び会議システム
KR101063204B1 (ko) 무선 어학 교육 시스템
CN110597122A (zh) 一种嵌入式多媒体的控制系统
JP6172770B2 (ja) 要約筆記支援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要約筆記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S6128287A (ja) 電話を利用した情報伝達装置
CN111405135A (zh) 智能辅助学习设备
CN111221384A (zh) 一种台式翻译机和翻译系统
RU2660600C2 (ru) Способ общения глухих (слабослышащих) со слышащими
CN210662412U (zh) 一种用于在线学习的智能台灯
JP3216150U (ja) 音響装置
KR20010096010A (ko)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강의 시스템 및 인터넷 서비스
JP2006139138A (ja) 情報端末及び基地局
US10299050B2 (en) Mobile audio receiver
JP2007072054A (ja) 語学学習システム
JP2002156894A (ja) 遠隔教育方法及び遠隔教育システム
WO2017219638A1 (zh) 信号转接设备及投影系统
KR101562618B1 (ko) 교실내 청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