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876B1 -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876B1
KR101563876B1 KR1020150012378A KR20150012378A KR101563876B1 KR 101563876 B1 KR101563876 B1 KR 101563876B1 KR 1020150012378 A KR1020150012378 A KR 1020150012378A KR 20150012378 A KR20150012378 A KR 20150012378A KR 101563876 B1 KR101563876 B1 KR 101563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dmi
video
main controller
audio
ed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305A (ko
Inventor
박영준
박명신
Original Assignee
(주)비앤에스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에스미디어 filed Critical (주)비앤에스미디어
Publication of KR2015011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3Desk with integrated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Landscapes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호환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자 교탁 시스템 및 전자교탁 시스템 내부에서의 EDID 우선순위 결정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고,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교탁 시스템 및 복수개의 HDMI형 및 RGB형 표시장치가 장착된 전자 교탁 시스템 내부에서의 EDID 우선 순위 결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Method for determination a priority of EDID of a teaching desk}
본 발명은 전자 교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교탁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 장치들의 호환성을 개선할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ler)가 장착된 전자 교탁 시스템 및 전자 교탁 시스템 내에서 이.디. 아이. 디(EDI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이하 'EDID' 라 칭함) 우선 순위 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탁은 학교, 학원 및 기업체 등에서 교사나 강사들이 다수의 피교육생을 대사으로 교육 혹은 강의할 때, 책이나 보조 기자재를 놓는 두는 탁자를 말한다. 보통은 나무 재질로 제작되나 경우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종래에는 교탁이 단순히 교사나 강사가 참고로 하기 위한 책이나 보조 기자재를 올려놓는 역할만을 담당했으나 최근에는 각종 교육 기자재의 개발로 인해 모니터나 컴퓨터, 프로젝터, 마이크, 스피커 등 다양한 교육 장비 기자재가 설치된 전자 교탁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교탁은 모니터가 설치되고, 기타 교육용 기자재가 함께 설치되어 강의 편리함을 도와주고 있다. 한편, 전자 교탁에 장착되는 컴퓨터 프로젝터, 모니터, 스피커 및 마이크와 같은 전자 장치는, 대부분 장치 내부에서 사용되는 음성 및 영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진화하는 추세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많은 영상 및 음성 전자 장치는 아날로그 음성 및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장치 내부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 교탁에서 호환성이 떨어져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전자 교탁 내부에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그 내부 신호가 디지털 HDMI 신호이든 아날로그 RGB 신호이든 모두 사용 가능하게 하여 전자 교탁 내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의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자 교탁 내부에 사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그 내부 신호가 디지털 HDMI 신호이든 아날로그 RGB 신호이든 영상 및 음성이 디지털 형태 혹은 아날로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전자교탁 내의 메인 컨트롤러에서의 EDID 우선 순위 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양태에 의한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은, 복수개의 전자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콘솔(Console)과, 상기 콘솔 내부에 장착되고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고,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콘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PC)와, 상기 콘솔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제1 표시장치들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콘솔 외부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들과, 상기 콘솔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파워 앰프 및 상기 파워 앰프에 연결되고 상기 콘솔 외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파워 앰프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오디오 출력단자와 연결된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표시장치들은, 피디피(PDP) 장치, 엘시디(LCD)장치 및 디지털 프로젝터(projector) 및 아날로그 프로젝터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내는 것은, 컨트롤러 내부에 있는 알지비 먹스(RGB Mux), 그래픽 디지타이져/HDMI 리시버, 오디오 먹스(Audio MUX), 오디오 A/D 컨버터(Audio A/D Converter),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 비디오 D/A 컨버터(Video D/A Converter), HDMI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오디오 D/A 컨버터(Audio D/A Converter)를 통해 변환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서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내는 것은, 컨트롤러 내부에 있는 그래픽 디지타이져/HDMI 리시버, 오디오 먹스(Audio MUX), 오디오 A/D 컨버터(Audio A/D Converter),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 비디오 D/A 컨버터(Video D/A Converter), HDMI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오디오 D/A 컨버터(Audio D/A Converter)를 통해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른 양태에 의한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EDID) 우선순위 결정 방법은, 상기 상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표시장치로 HDMI형 표시장치들과, RGB형 표시장치들을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HPD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표시장치와 주고 받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DDC를 통해 상기 표시장치들의 EDID 신호를 읽는 단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복수개의 HDMI 표시장치 중에서 해상도가 낮은 첫번째 HDMI 표시장치의 EDID을 읽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첫번째 HDMI 표시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 HDMI 표시장치의 EDID을 읽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HDMI 표시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RGB 표시장치만 연결된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내부 메모리의 디폴트로 저장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RGB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RGB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콘솔 내부에서 전자 장치가 연결되는 메인 컨트롤러에서 전자 장치의 사용 신호가 디지털 음성/영상 신호이든, 아날로그 음성/영상 신호이든 이를 내부에서 변환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영상/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는 전자 교탁 시스템에서 내부에 설치된 전자 장비가 디지털 음성/영상 신호를 사용하든지, 아니면 아날로그 음성/영상 신호를 사용하든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자 교탁에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전자 교탁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자장치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개인용 컴퓨터에서 HDMI형 표시장치로 영상 신호를 보낼 때 해상도가 맞지 않아 영상 출력이 나오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RGB 표시장치인 경우 음성신호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에 적용되는 메인 컨트롤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메인 컨트롤러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의 EDID 우선 순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Flowchart)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 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예컨대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내부에 복수개의 전자 장치를 장작하는 것이 가능한 콘솔(Console, 102)을 포함한다. 상기 콘솔(102)은 전자 교탁 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상기 콘솔(102) 내부에 장착되고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고,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콘솔(102)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PC, 106)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개인용 컴퓨터(106)는 랩 톱형(Lap Top type)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및 태블렛 PC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상기 콘솔(102)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강의자에 의해 음성 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로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118A, 118B)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 장치는, 강의자의 동선의 폭을 확장시키기 위해 콘솔(102) 내부에 무선 마이크 장치를 포함시킬 경우, 유선 마이크(118A)가 사용될 수도 있고, 일반적인 유선 마이크 혹은 무선 마이크(118B)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유선 마이크는 콘덴서(Condenser type) 마이크 혹은 다이나믹(dynamic type) 마이크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상기 콘솔(102)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 연결된 제1 표시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표시장치(110)는, 강의자가 콘솔(102)에서 참고로 사용할 수 있는 모니터로서, 태블릿형(tablet type) 모니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 연결되어 상기 콘솔(102) 외부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들(112A, 112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장치(112A, 112B)는, 교육생이 쉽게 볼 수 있는 대형 화면 형태이면 어느 장치이든 사용이 가능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피디피(PDP) 장치, 엘시디(LCD) 장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전자 칠판, 혹은 디지털/아날로그형 프로젝터(projector)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표시장치(112A, 112B)는 강의실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100)은, 상기 콘솔(102)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 연결된 파워 앰프(114) 및 상기 파워 앰프(114)에 연결되고 상기 콘솔 외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피커(1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워 앰프(114)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의 오디오 출력단자(audio out)에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에 적용되는 메인 컨트롤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컨트롤러(200)의 입력단에는 복수개의 아날로그(analog) 영상 신호(RGB IN 1, RGB IN 2)가 들어올 수 있는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개수를 예시적으로 2개로 표시하였으나, 필요하다면 그 개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200)의 입력단에는 복수개의 디지털(digital) 영상/음성 신호(HDMI IN 1, HDMI IN 2)가 들어올 수 있는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HDMI IN 1, HDMI IN 2 단자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하나의 케이블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00)의 입력단으로 아날로그 영상신호(RGB IN 1, RGB IN 2)가 들어오면, RGB MUX(202), Graphic Digitizer/HDMI Receiver(204)와, 메인 프로세서에 해당하는 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206)에서 신호를 변환한 후, 아날로그 신호는 Video D/A Converter(208)를 거쳐 출력단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단자(RGB OUT 1, RGB OUT 2)로 이미지를 내보낸다. 상기 출력단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단자(RGB OUT 1, RGB OUT 2)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인 프로젝터 등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출력해야 할 영상 신호가 디지털 영상신호이면, 입력단에서 Graphic Digitizer/HDMI Receiver(204)로 신호를 보내고 여기서 신호를 변환한 후, 메인 프로세서인 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206)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 업무를 처리하고, HDMI Transmitter(210)를 거쳐 출력단의 디지털 영상 신호 단자(HDMI OUT 1, HDMI OUT 2)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내보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메인 프로세서인 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206)에서 아날로그 영상 신호와 디지털 영상신호를 각각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메인 컨트롤러(200)의 출력단으로 아날로그와 디지털 각각의 영상신호영상신호들을 동시에 분리해서 내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메인 컨트롤러(200)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가 내부에서 사용하는 영상 신호가 디지털 신호이든지, 아날로그 신호이든지 모두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메인 컨트롤러(200)의 입력단에는 복수개의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RGB AUDIO IN 1, RGB AUDIO IN 2) 및 복수개의 다른 아날로그 음성신호(HDMI AUDIO IN 3, HDMI AUDIO IN 4)가 들어올 수 있는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다른 아날로그 음성신호(HDMI AUDIO IN 3, HDMI AUDIO IN 4)는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PC)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영상 신호를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로(200)에 연결하였을 때, 별도로 음성 입력 신호를 연결하여야 하는데 이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인 컨트롤러(200)의 입력단으로 아날로그(analog) 음성 신호(RGB AUDIO IN 1, RGB AUDIO IN 2) 및 복수개의 다른 아날로그 음성신호(HDMI AUDIO IN 3, HDMI AUDIO IN 4)가 들어오면, Audio MUX(212), Audio A/D Converter(214)를 거쳐 I2S(Integrated Inter-chip Sound)라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206)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Audio D/A Converter(216) 및 Volume Control(218)를 거쳐 두 개의 음성 출력단자(AUDIO OUT 1, AUDIO OUT 2)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Digital Video & Audio Process(206)에서 음성 신호를 처리한 후, 두 개의 음성 출력단자(AUDIO OUT 1, AUDIO OUT 2)로 음성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출력단의 디지털 신호 단자(HDMI OUT 1, HDMI OUT 2)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즉 AUDIO OUT 1, AUDIO OUT 2, HDMI OUT 1, HDMI OUT 2 네 곳으로 아날로그/디지털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Volume Control(218)에 마이크 장치(MIC IN 1, MIC IN 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음성 출력 단자(AUDIO OUT 1, AUDIO OUT 2) 중 하나에는 파워 앰프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는,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컨트롤러(200) 내부에 있는 알지비 먹스(RGB Mux, 202), 그래픽 디지타이져/HDMI 리시버(204), 오디오 먹스(Audio MUX, 212), 오디오 A/D 컨버터(Audio A/D Converter, 214),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 206), 비디오 D/A 컨버터(Video D/A Converter, 208), HDMI 트랜스미터(Transmitter, 210) 및 오디오 D/A 컨버터(Audio D/A Converter, 216)를 통해 변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메인 컨트롤러(200)에서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는,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내는 것이 가능하며, 이것은, 컨트롤러(200) 내부에 있는 그래픽 디지타이져/HDMI 리시버(204), 오디오 먹스(Audio MUX, 212), 오디오 A/D 컨버터(Audio A/D Converter, 214),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프로세서(Digital Video & Audio Processor, 206), 비디오 D/A 컨버터(Video D/A Converter, 208), HDMI 트랜스미터(Transmitter, 210) 및 오디오 D/A 컨버터(Audio D/A Converter, 216)를 통해 변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메인 컨트롤러의 전면부를 보여주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D 부분을 확대한 확대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아래의 도면은 메인 컨트롤러의 사시도이고, 위의 도면은 메인 컨트롤러의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메인 컨트롤러의 후면에는 전자 교탁에 연결되는 각종 오디오 및 비디오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함께 메인 컨트롤러의 전면에는 ①전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② 통신단자(COM Port) 동작 표시등, ③ 릴레이(Relay Port) 동작 표시등, ④ 영상신호(VGA/HDMI) 동작 표시등, ⑤ 적외선 신호(IR signal) 입력창, ⑥ 랜 포트(LAN Port) 동작 표시등 및 ⑦ 리셋(reset) 스위치 등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서 아날로그 신호 (RGB 1, 2) 및 디지털 신호(HDMI 1, 2)가 입력되고, 이와 함께, 아날로그 신호 (RGB 1, 2) 및 디지털 신호(HDMI 1, 2)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신호(VGA/HDMI) 동작 표시등을 마련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자 교탁 시스템의 EDID 우선 순위 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Flowchart)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먼저 상술한 도1 내지 도 4와 같은 전자 교탁 시스템을 준비(S100)한다. 이때, 제1 표시장치로는 HDMI형 표시장치, 예컨대 엘.시.디(LCD) 모니터, 태블렛 PC, 디지털 신호기반 프로젝터 등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표시장치로는 RGB형 표시장치 예컨대 아날로그 신호기반 프로젝터 혹은 모니터 등이 사용(S110)될 수 있다. 이어서 전자교탁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에서 표시장치들로 HPD(Hot Plug Detect, 이하 'HPD') 출력 신호를 보내고 받는 송수신(S120)을 진행한다.
상기 HPD 출력 신호는, HDMI 케이블 어댑터에 존재하는 하나의 핀(pin)으로서, 개인용 컴퓨터의 출력단에 어떤 표시장치가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하드웨어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통상 송신측에서는 2.0V 이상, 수신측에서는 2.4V 이상의 전압이 감지되면 인식하게 된다.
이어서, 개인용 컴퓨터에서 DDC(Display Data Channel, 이하 'DDC')를 통해 표시장치들의 EDID 신호를 읽는다(S130). 상기 DDC는 표시장치의 정보를 어뎁터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송수신 장치간의 디지털 통신 규격이다. 따라서 표시장치인 모니터는 제조사에 의해 표시할 수 있는 모드 정보를 담은 메모리인 ROM을 포함한다. ROM에 포함된 데이터는 EDID으로 불리는 포멧(format)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포멧은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 의해 공개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전자 교탁 시스템에 도 2와 같이 2개의 HDMI 표시장치와, 2개의 RGB 표시장치가 연결된 경우,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하나의 해상도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연결된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갖는 4개의 표시장치 중에서 어떤 표시장치의 EDID을 참조하여 출력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4개의 표시장치가 전자 교탁 시스템의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으면, 해상도가 낮은 첫번째 HDMI형 표시장치의 EDID를 읽어서 영상을 출력(S140)한다. 그 이유는 만약 제1 표시장치에 해상도가 개인용 컴퓨터의 해상도보다 높은 경우,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전자 교탁 시스템의 사양서를 통해 복수개의 HDMI형 해상도를 갖는 표시장치가 있으면, 첫번째 출력단자에 해상도가 낮은 표시장치를 연결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첫번째 표시장치의 출력단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 표시장치의 EDID를 읽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 EDID을 읽어가며 영상을 출력(S150)한다. 마지막으로 HDMI형 표시장치가 모두 연결되지 않은 경우, 메인 컨트롤러의 메모리에 디폴트로 저장된 EDID을 읽어서 개인용 컴퓨터에서 영상을 출력(S160)한다. 이것은 RGB형 표시장치의 출력인 경우, 음성 신호가 출력단에 포함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EDID의 우선순위 결정방법은, 본 발명과 같이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고,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내 메인 컨트롤러를 갖는 전자 교탁 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에러를 줄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전자 교탁 시스템, 102: 콘솔(console),
200: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ler), 106: 개인용 컴퓨터(PC),
110: 제1 표시장치, 112: 제2 표시장치,
114: 파워 앰프(power AMP), 116: 스피커,
118: 마이크 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복수개의 전자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콘솔(Console); 상기 콘솔 내부에 장착되고 입력단의 RGB 영상/음성 신호를 RGB 영상/음성 신호와 HDMI 영상/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고, 입력단의 HDMI 영상/음성 신호를 HDMI 영상/음성 신호와 RGB 영상 및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동시에 내보낼 수 있는 메인 컨트롤러; 상기 콘솔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PC); 상기 콘솔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제1 표시장치들;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콘솔 외부에 설치된 제2 표시장치들; 상기 콘솔에 장착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파워 앰프; 및 상기 파워 앰프에 연결되고 상기 콘솔 외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환성을 개선한 전자 교탁 시스템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표시장치로 HDMI형 표시장치들과, RGB형 표시장치들을 사용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를 통해 HPD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표시장치와 주고 받는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서 DDC를 통해 상기 표시장치들의 EDID 신호를 읽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가 복수개의 HDMI 표시장치 중에서 해상도가 낮은 첫번째 HDMI 표시장치의 EDID을 읽어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첫번째 HDMI 표시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두번째 HDMI 표시장치의 EDID을 읽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개인용 컴퓨터에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컨트롤러에 HDMI 표시장치가 연결되지 않고 RGB 표시장치만 연결된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내부 메모리의 디폴트로 저장된 EDID을 읽어가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EDID) 우선순위 결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GB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RGB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EDID) 우선순위 결정 방법.
KR1020150012378A 2014-03-21 2015-01-26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KR101563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3634 2014-03-21
KR1020140033634 2014-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305A KR20150110305A (ko) 2015-10-02
KR101563876B1 true KR101563876B1 (ko) 2015-10-28

Family

ID=543414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379A KR101565490B1 (ko) 2014-03-21 2015-01-26 전자교탁 시스템의 dvi 표시장치 연결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KR1020150012378A KR101563876B1 (ko) 2014-03-21 2015-01-26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379A KR101565490B1 (ko) 2014-03-21 2015-01-26 전자교탁 시스템의 dvi 표시장치 연결시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65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2212B1 (ko) 2014-06-12 2022-10-11 소니그룹주식회사 인터페이스 회로 및 정보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7441A (ja) * 2012-02-02 2012-08-02 Toshiba Corp 拡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683B1 (ko) * 2009-08-31 2010-02-26 스피나 시스템즈 주식회사 통합 신호 처리 기능을 가진 메인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교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7441A (ja) * 2012-02-02 2012-08-02 Toshiba Corp 拡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306A (ko) 2015-10-02
KR101565490B1 (ko) 2015-11-03
KR20150110305A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491B2 (en) Multi-scre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US7536483B2 (en) Computer system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unctionality, and computer device and video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reof
US10262626B2 (en) Electronic interactive system and setting method thereof
EP3169075A1 (en) Audio and video playback device
WO2013027655A1 (ja) 信号変換装置、信号変換方法および端末装置
US10204067B2 (en) Data transfer device of display equipment and data transfer method
KR100688981B1 (ko) 미디어 재생장치와 그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미디어재생시스템
US11895437B2 (en) Video conference system
KR101563876B1 (ko) 전자교탁 시스템의 이.디.아이.디 우선순위 결정 방법
EP1845589A1 (en) Computer system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signal output functionality, and computer device and video signal transmitting device thereof
TWM536826U (zh) 轉換裝置及其轉換系統
KR200474007Y1 (ko) 영상 및 음성의 출력이 가능한 2단 독서대
JP3135333U (ja) 同時使用可能なコードレスタッチ装置
KR101369390B1 (ko) Av 입력신호 판단기능을 구비한 영상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101375606B1 (ko) 전자칠판
CN211015468U (zh) 电脑装置
TW201438462A (zh) 視訊播放裝置及視訊顯示裝置
CN203433505U (zh) 与显示屏同步显示的平板电脑
CN220292070U (zh) 一种dp版本判断电路及具有其的连接设备
TWI822519B (zh) 顯示器設備
CN219164621U (zh) 数据交互装置及电子设备
CN214851827U (zh) 一种在班班通设备上使用的扩音系统
US20240114207A1 (en) Media docking device and media transfer method
KR200406324Y1 (ko) 이 러닝 a/v시스템
JP2011082717A (ja) 増幅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