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506B1 -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506B1
KR101374506B1 KR1020110142311A KR20110142311A KR101374506B1 KR 101374506 B1 KR101374506 B1 KR 101374506B1 KR 1020110142311 A KR1020110142311 A KR 1020110142311A KR 20110142311 A KR20110142311 A KR 20110142311A KR 101374506 B1 KR101374506 B1 KR 10137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yrrh
extracting
alcohol
oi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793A (ko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이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섭 filed Critical 이영섭
Priority to KR102011014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5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11B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by hot pr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을 저비용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추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본 발명의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은
1cm이하의 크기로 분쇄된 몰약 45∼55중량%와 알콜 45∼55중량%를 용기에 넣고 7∼9시간 침적시키는 제1단계와, 제1단계후 교반기에 의해 몰약과 알콜을 반응시켜 몰약으로부터 오일성분과 수지성분을 분리시키는 제2단계와, 제2단계후 65∼75℃의 열을 가하여 알콜을 증발시키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 의해 알콜이 증발된 몰약 30중량%에 물 70중량%를 첨가한 다음 90∼105℃의 열을 가하여 증류방식에 의해 향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향이 추출된 몰약을 160kg/㎠미만으로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 제5단계, 또는 160kg/㎠이상으로 압착하여 몰약으로부터 농축액을 추출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omitted}
본 발명은 몰약으로부터 용매에 의해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개발한 의약품중에 가장 강력한 항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스테로이드(코리티코스테로이드)는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결막염, 근육강화, 피부질환, 관절염치료 등에 효과가 탁월하지만, 과다사용 또는 장기복용 등으로 인해 얼굴이 붓거나, 안면홍조, 모세혈관 확장, 골다공증 유발, 백내장, 목이나 등에 지방이 차오르는 버팔로 증상 등의 부작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근래에는 비스테로이드성치료제 개발에 전세계가 몰두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미르나무(일명 몰약)로부터 오일과 향의 추출 개발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몰약은 나무로서 가시가 있고, 잔가지들이 엉키듯 자유롭게 뻗은 굵고 단단한 소교목 또는 관목이다.
몰약나무는
학명 : Commiphora molmol[Commiphora myrrha]
과명 : 감람과(橄欖科, Burseraceae)
이름 : 미르, 머르, 멀, 몰약
(Myrrh, Gum Myrrh, Myrrha, Somali myrrh)
성분 : 천연고무수지
색상 : 담황색 또는 암갈색
향기 : 발삼향, 약간의 매운향, 가벼운 사향과 유사
구성 : 수교(樹膠, 고무)-약65%, 수지-약25%, 휘발성 정유-약9%
주요성분 : 테르펜유, 알데히드계, 페놀계, 거걸스테론, 회분 등
주산지 : 소말리아, 이디오피아, 리비아, 이란, 수단, 모로코 등
이러한 몰약은 피부질환, 호흡기질환, 근골격계질환, 구강질환, 여성질환, 순환기 및 신경계질환 등에 효과가 있으며, 천연방부제, 화장품의 향료, 아로마테라피 등에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을 적절히 추출하여 사용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추출 기술이 발달되지 않아 몰약나무 분말을 그대로 복용하거나 또는 다른약과 함께 섞어 환(丸)으로 만들어 복용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몸의 흡수율이 매우 낮아 큰 효능을 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을 저비용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 추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본 발명의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은
1cm이하의 크기로 분쇄된 몰약 45∼55중량%와 알콜 45∼55중량%를 용기에 넣고 7∼9시간 침적시키는 제1단계와,
제1단계후 교반기에 의해 몰약과 알콜을 반응시켜 몰약으로부터 오일성분과 수지성분을 분리시키는 제2단계와,
제2단계후 65∼75℃의 열을 가하여 알콜을 증발시키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 의해 알콜이 증발된 몰약 30중량%에 물 70중량%를 첨가한 다음 90∼105℃의 열을 가하여 증류방식에 의해 향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향이 추출된 몰약을 160kg/㎠미만으로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 제5단계,
또는 160kg/㎠이상으로 압착하여 몰약으로부터 농축액을 추출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의 추출이 매우 저렴하게 추출이 가능하며, 의약품, 화장품, 아로마 테라피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몰약 즉, 미르나무를 1cm이하의 크기를 갖는 알갱이 또는 분말로 분쇄한 다음 용기에 투입하여 알콜에 7∼9시간 정도 침적시키는데, 이때 몰약 45∼55중량%와 알콜 45∼55중량%를 넣어 침적시킨다.
침적과정은 알콜에 의해 몰약에 들어있는 오일과 수지성분을 연화시키거나 용해시켜 추출이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몰약의 주요 구성성분은 오일(9%), 나무수지(25%), 고무수지(60%)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주요성분으로는 탄화수소계의 테르펜(Terpene류-Pinen, Limonene, Sesquiterpene 등), 알데히드계(Cinnamaldehyde), 페놀계(Eugenol), 거걸스테론(Guggulsterone), 회분(Ash) 등이다.
테르펜은 장뇌, 박하뇌, 비타민A 등이 있으며, 항균효과를 가진다. 신체에 흡수되어 신체의 활성도를 높이고,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하며,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갖는다.
특히, 생리활동을 촉진시켜 오감을 만족시킴으로 정서적인 안정에 큰 효과가 있다.
피넨은 식물의 정유속에 존재하는 물질로 테르펜류의 주성분을 이루며, 방향(芳香)물질로서 자율신경계에 진정작용을 하게 되고, 인공향료의 원료, 살충제, 비누의 향료 등에 사용된다.
리모넨은 테르펜류 화합물의 하나로 레몬 비슷한 향기가 나며, 그 향은 기관기를 이완시켜 호흡을 고르게 하고, 기관지 염증 등의 호흡기 질환과 염증성 피부질환에 효과가 탁월하다.
세스퀴테르펜은 몰약의 오일에 다량 포함된 물질로서, 시상하부, 뇌하수체, 편도선, 감정상태 등에 큰 효과를 가져사 항균 및 항진균효과, 면역증강, 항알레르기, 항경련, 소염 등의 효과가 있다.
시나믹 알데히드는 강력한 피부자극물질로서 주로 화장품에 많이 사용되며, 충치예방에 사용되고, 특유의 달콤한 향 때문에 음료와 향료에 많이 사용된다.
유게놀은 클로브 향이 나는 착향료이며 근육계 질환,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으며, 강력한 항균성을 가지고 있다.
시나믹 알데히드는 유게놀과 마찬가지로 항균성을 가진다.
거걸스테론은 식물성 스테로이드로서, 콜레스테로을 낮추고 체지방을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면역력을 높여주고 관절염 등의 증상을 완화시켜 준다.
회분은 골격과 치아조직 등 체조직의 구성에 관여하고, 심장박동, 근육의 수축성 조절, 신경의 자극전달, 체액의 산-알칼리 평형에 관여하며, 대사조절작용, 효소나 호르몬의 주요 구성요소이다.
나무수지는 부패하지 않으며, 세균 발육을 저지하는 특성을 가지며, 고무수지는 화장수 또는 통증 완화제로 주로 쓰인다.
또한 몰약에는 탄닌, 소금, 황산염, 안식향산염, 말산에스테르, 초산칼륨, 포름산, 아세트산 등의 많은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탄닌은 식물체 성분에 들어있는 독성분인 알카로이드 성분과 결합하여 인체에 흡수되지 않고 체외로 배출시킨다,
예를들면, 담배에 들어있는 니코틴과 결합하여 몸에 흡수시키지 않고 체외로 배출시키며, 중금속 등과도 결합하여 배출시킨다,
또한, 균체에 침투해 단백질과 결합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병원균을 죽이게 되며, 이외에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알콜에 의해 이러한 성분을 갖는 오일과 수지가 연화되며, 알콜에 침적된 상태의 몰약을 교반기에 의해 1시간 정도 저속교반(40rpm)을 행하게 된다.
이는 곧 연화되거나 용해된 오일과 수지성분이 쉽게 몰약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65∼75℃의 열을 가하여 알콜성분을 휘발시켜 추출하게 되며, 휘발된 알콜은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이때, 알콜을 따로 분리시켜 증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원심분리기에서 고속회전시킴으로써 몰약과 알콜이 분리되고, 열에 의해 쉽고 빠르게 알콜의 증발이 가능하다.
알콜의 증발후 건조된 상태의 오일과 나무수지가 분리된 몰약분말만이 남게 되며, 향을 추출하기 위해 물을 첨가하는데 몰약 30중량%에 물 70중량%를 혼합한 다음 90∼100℃의 열을 가하여 증류방식에 의해 향기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향기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피넨, 리모넨, 시나믹 알데히드, 유게놀의 향이며, 그에 해당하는 약리작용을 하게 된다.
향이 추출된 몰약은 탈수기에서 남아있는 물기가 탈수되어 제거된 다음 압착이 행해져서 오일과 농축액이 추출되는데, 먼저 130∼160kg/㎠미만으로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하고, 필요에 따라 160kg/㎠이상으로 압착하여 농축액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농축액의 추출할 때 고압력에 의한 자체열에 의해 온도가 높아져서 농축액의 추출이 쉬워진다.

Claims (2)

1cm이하의 크기로 분쇄된 몰약 45∼55중량%와 알콜 45∼55중량%를 용기에 넣고 7∼9시간 침적시키는 제1단계와,
제1단계후 교반기에 의해 몰약과 알콜을 반응시켜 몰약으로부터 오일성분과 수지성분을 분리시키는 제2단계와,
제2단계후 분리되어 알콜을 함유한 오일성분과 수지성분을 원심분리기에 의해 회전시켜 알콜을 분리하고, 65∼75℃의 열을 가하여 알콜을 증발시킨 후, 증발된 알콜을 회수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 의해 알콜이 증발된 몰약 30중량%에 물 70중량%를 첨가한 다음 90∼100℃의 열을 가하여 진공상태에서 증류방식에 의해 향을 추출하는 제4단계와,
향이 추출된 몰약을 탈수기에서 탈수한 다음 160kg/㎠미만으로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 제5단계와,
향과 오일이 추출된 몰약을 160kg/㎠이상으로 압착하여 몰약으로부터 농축액을 추출하는 제6단계로 구성된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삭제
KR1020110142311A 2011-12-23 2011-12-23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KR10137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11A KR101374506B1 (ko) 2011-12-23 2011-12-23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11A KR101374506B1 (ko) 2011-12-23 2011-12-23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93A KR20130073793A (ko) 2013-07-03
KR101374506B1 true KR101374506B1 (ko) 2014-03-14

Family

ID=4898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311A KR101374506B1 (ko) 2011-12-23 2011-12-23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161B1 (ko) * 2013-10-30 2014-10-29 주식회사 해피콜 몰약수지 용액과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 몰약 수용액을 포함하는 제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05B2 (ja) * 1989-01-31 2000-04-2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コーヒーフレーバーの製剤化方法
JP2004160216A (ja) * 2002-10-24 2004-06-10 Hiromi Imanaka 液状消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5305B2 (ja) * 1989-01-31 2000-04-2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コーヒーフレーバーの製剤化方法
JP2004160216A (ja) * 2002-10-24 2004-06-10 Hiromi Imanaka 液状消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93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llar The directory of essential oils
US20070134195A1 (en) Topical Analgesic for Sensitive Skin
WO2013048235A2 (en) A medicinal herbal ointment
JPH0757734B2 (ja)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JP6412901B2 (ja) 組成物の製造方法
JPH0757733B2 (ja)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CN102858355A (zh) 时钟基因Bmal的表达调节剂
CN105496824A (zh) 一种长效安神香水
Edwards The Aromatherapy Companion: Medicinal Uses/Ayurvedic Healing/Body-Care Blends/Perfumes & Scents/Emotional Health & Well-Being
CN105287737A (zh) 一种多功效水溶性复合植物精油喷雾的研制方法
CN104224925B (zh) 一种驱蚊止痒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6562469A (zh) 电子烟烟液
KR101374506B1 (ko) 몰약으로부터 향과 오일, 그리고 농축액 추출방법
CN112891504A (zh) 一种以生姜药渣为基材的四季护肤防疫生姜膏及制备方法
CN103735466B (zh) 一种高良姜纯露保健漱口剂及其制备方法
US9056065B1 (en) Hair composite
KR102194210B1 (ko) 애완동물의 멀미, 오심 및 구토의 예방 또는 치료용 방향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599022A (zh) 鸡蛋花牙膏
CN106421511A (zh) 一种芦荟抑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320388B (zh) 一种植物源驱蚊止痒乳液
CN104739952A (zh) 具有促进伤口愈合作用的复方茶树精油
CN107137501A (zh) 一种治疗脚气、脚臭的中药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Nersisyan et al. OBTAINING AND DEVELOPING SEVERAL QUALITY INDICATORS OF BAY LAUREL LEAF ETHER OIL IN ARTSAKH
Govindaraj Extraction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 Review
CN108044746A (zh) 天然防虫驱蚊木制品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