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919B1 -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Google Patents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3919B1 KR101373919B1 KR1020130079382A KR20130079382A KR101373919B1 KR 101373919 B1 KR101373919 B1 KR 101373919B1 KR 1020130079382 A KR1020130079382 A KR 1020130079382A KR 20130079382 A KR20130079382 A KR 20130079382A KR 101373919 B1 KR101373919 B1 KR 1013739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ixing
- main body
- fixing part
- cove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04—Guides for slivers, rovings, or yarns; Smoothing di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18—Supports for supply packag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 D01H13/16—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Monitoring the entanglement of slivers in drafting arrangements responsive to reduction in material tension, failure of supply, or breakage, of material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제직장치 기계(W)에 장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유동하는 실(Y)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절사 현상을 줄이기 위한 커버링 지지대를 구서함에 있어서, 상기 실(Y)이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유입공(11a)이 개재되는 가이드부(11)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직장치(W) 상에 안착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22)이 개재되는 절곡면(21)을 구비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고정부(20) 상에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여 제직장치(W) 상에 안착 고정되도록 구비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천을 제직하기 위한 섬유용 직기기계에서는 실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실의 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실 커버체를 구비하는데, 이는 실의 이동 및 사용에 있어서 주변장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해왔다.
도 1은 종래의 실 커버링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래의 실 커버체(1)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실 커버체(1)는 하나의 판재를 통해 중앙부(2)와 지지부(3)를 형성한 상태에서 섬유용 직기기계에 체결하여 실의 이동을 지지해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실 커버체(1)는 실의 장력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좌우 이동이 심하여 실의 절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절사현상이 밤새도록(장시간) 발생할 경우에는 끊어진 실이 섬유용 직기의 벨트를 타고 회전하면서 심하게 엉키고 제멋대로 감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섬유용 직기기계에 사용되는 실의 길이가 통상 9만 미터 내외(90.000m±30,000)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와 같이 절사된 상태로 실이 기계본체나 벨트 상에 감길 경우 기계 미 작동 내지 오작동에 의한 모터 등의 가열로 인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사례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이 빠르게 이동할 때 발생되는 미세진동에 의해 하부 지지부의 절곡된 부위에 미세 균열이 계속적으로 발생하여 절곡된 지지부가 파손되거나 휘어져 실의 절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처럼 종래의 지지대를 섬유용 제직장치 기계(W)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실(Y)의 이동 및 흔들림으로 인해 크랙(균열)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직물 제조에 제동이 자주 걸릴 뿐 아니라 직물 생산량의 저조로 이어지기에 1∼3개월 주기로 수시 교체비용 발생은 물론, 지지대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불편점이 있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7575호에 따르면, 「기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 권취지관(10)과 상기 권취 지관(10)에 밀착되어 권취 지관(10)을 회전시키는 회전드럼(11)과 상기 권취 지관(10)의 정면부에 설치되며 캠(12)의 구동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며 트레버스 얀가이드(13)가 고정된 트래버스 바(14)와 기체(1)의 중간 상 하부에 설치되며 스핀들 구동 롤러(21)(21')를 구비한 상하 커버링사 스핀들(20)(20')과 상기 스핀들 구동 롤러(21)(21')에 접촉되어 스핀들 구동 롤러(21)(21')를 구동시키는 밸트(22)(22')를 구비한 공지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트래버스 바(14)의 좌우 이동 속도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서보모터(100)와 상기 서보모터(100)의 회전수를 조절 제어하는 컴퓨터 (110)와 상기 기체(1)의 중간 상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사보호가이드 파이프 (130(130')와 상기 커버링사 스핀들 (20)의 직 하방에 설치되는 더블 커버링용 가이드 롤러(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커버링 복합기계」를 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다기능 커버링 복합기계는 사보호가이드 파이프 (130)(130')를 통하여 실의 이동 방향 및 다수의 실이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긴 하지만, 일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실이 전체적으로 맞닿아 실의 절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오랜 기간 사용할 경우 일체로 된 파이프 전체를 교체하해야 하는 불편점과 함께 비용부담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직물의 제직장치기계에 장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유동하는 실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절사 현상을 줄이기 위한 커버링 지지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실을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유입공이 개재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를 제직장치 부분에 안착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개재되는 절곡면을 구비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제직장치 부분에 안착 고정되게끔 한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고정부의 끝단에 일체의 직각된 형태로 이루어져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 외에, 고정부의 절곡면에 고정공을 형성한 뒤 볼트로 체결 고정시켜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보조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수단은 고정부의 체결공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고정부를 감싸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면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고정돌부를 개재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실 커버링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 실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직물의 제직장치(W) 기계에 장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유동하는 실(Y)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절사현상을 줄이기 위한 실 커버링 지지대에 관련되며, 도 2와 도 5에서와 같이 본체(10), 고정부(20), 지지수단(30)의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상기 실(Y)이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유입공(11a)이 개재되는 가이드부(11)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얇은 판재를 절곡하여 ‘ㄷ’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제직장치(W)에 유동하는 실(Y)을 수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동안 실(Y)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면서 다수개의 실(Y)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실(Y)을 수용하기 위해서 본체(10)의 상/하부 끝단에는 유입공(11a)을 가지는 가이드부(11)를 장착하는데, 직물지를 제직하는 속도가 빠르다 보니 실(Y)의 사용량과 이동속도 또한 비례한다. 그러므로 실(Y)의 안전한 이동을 위하여 본체(10)의 상/하부 끝단에 실(Y)이 통과하는 유입공(11a)을 가지면서 컨트롤하는 가이드부(11)를 설치하는데, 이러한 가이드부(11)는 ‘U'자형으로 제작되면서 본체(10)의 상하부 끝단과 고정되도록 본체(10)의 내부 방향으로 압착하여 돌출되게끔 돌부(10a)를 형성하고, 상기 돌부(10a)와 대응되게 가이드부(11)에 반구형태의 요홈(11b)을 형성하여 가이드부(11)가 본체(10) 상에 슬라이드 형태로 삽설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 본체(10)는 후술하는 고정부(20)와 결합된 형태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체(10)와 고정부(20)의 결합방법으로는 볼팅 체결방식 또는 리벳팅 체결방식 등으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조립할 수 있다. 볼팅 체결방식은 철골구조나 나무구조의 접합 부분을 볼트(B)로 조이는 방식으로서, 본체(10)와 고정부(20)의 결합을 위하여 접하는 양측으로 각각 관통공(13)과 결합공(23)을 형성하여 볼트(B)를 체결한다. 리벳팅 체결방식은 강철판이나 형강 등의 금속재료를 영구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막대모양 등의 리벳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본체(10)와 고정부(20)를 포개어 결합하는 양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가열한 리벳을 꽂아 넣고 머리 부분을 받친 후 기계나 해머 등으로 두들겨 변형시켜서 체결한다. 대체로 연강으로 만들지만 특수용도에는 합금강이나 경합금으로도 만들며, 리벳의 머리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작은 리벳을 박을 때는 가열하지 않고 상온에서의 가압 체결한다. 최근에는 용접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리벳팅 체결방식 대신에 용접방식으로 체결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직장치(W) 기계 상에 안착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22)이 개재되는 절곡면(21)을 구비한다. 고정부(20)는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 양측 중 어느 한쪽으로 연결되고, 제직장치(W) 상에 장착되어 체결 고정되는 체결공(22)이 개재되는 절곡면(21)을 가진다. 고정부(20)의 일측면은 본체(10)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면은 제직장치(W) 상에 고정하도록 체결공(22)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20)는 제직장치(W)와 밀착 체결되도록 2개의 체결공(22)을 형성하는데, 종래에는 제직장치(W)에 결합하기 위하여 1개의 체결공(22)으로만 구성되어 실(Y)의 장력이나 흔들림에 의해 절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절사현상이 밤새도록 발생할 경우 끊겨진 실이 제직장치(W)와 커버링 실 지지대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제멋대로 감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실(Y)의 길이가 통상 9만 미터 가량 되는데 이것이 절사되어 제멋대로 감길 경우에는 모터의 가열 및 화재위험이 다수 발생한다. 추가 설명하자면, 종래에는 미세진동에 의해 고정부(20)의 절곡된 부위인 절곡면(21)에 미세균열이 조금씩 발생되다가 급기야는 크랙(균열)이 발생하고, 진동이 더해지면 실(Y)의 좌우이동이 더욱 더 심해지고 종국에는 실(Y)의 절사현상이 발생한다. 즉, 제직장치(W)를 사용한 직물지의 가공 시에 실(Y)의 이동에 따른 진동 및 흔들림 현상이 상부 본체(10)가 아닌 고정부(20)에 전이되어 하부의 절곡면(21)에 균열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직물기계의 사용자 내지 보유자는 제직장치(W)에 사용되는 수많은 지지대의 균열현상을 일일이 확인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부서진 지지대가 있을 경우에는 그 하나의 지지대 교체는 물론,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지지대 전체를 교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수단(30)은 상기 고정부(20) 상에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제직장치(W) 상에 안착 고정되도록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지대는 제직장치(W)에 고정하여 움직임을 잡아주는 지지수단(30)이 없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20)상에서 2개의 체결공(2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상술한 종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지수단(30)이 더 추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끝단에 일체의 직각형태로 이루어져 견고한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안착부(35)를 구비한다. 지지수단(30)은 제직장치(W) 상에 안착하여 체결 및 고정하는 2개의 체결공(22)을 개재한 절곡면(21)을 구비하는 고정부(20)의 끝단에서 지지대의 지지력을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20)의 절곡면(21)을 형성하는 것처럼 일체화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곡한 안착부(35)를 구비한다. 절곡면(21)에 형성된 2개의 체결공(22)만으로 제직장치(W) 상에 체결해도 종래의 제품보다 사용성 뿐만 아니라 효율성 또한 크게 향상되지만,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체결공(22)의 구멍을 추가하는 것은 물론 체결공(22)과 연계하여 지지대의 지지력 향상과 실(Y)의 이동에 의한 진동을 최대한 잡아주기 위해 고정부(20)의 끝단에 절곡면을 추가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안착부(35)를 추가 형성한다. 즉, 체결공(22)으로 제직장치(W)에 체결을 하고, 체결공(22)을 구비하는 고정부(20)의 끝단에 일체화된 안착부(35)를 추가 구비하여 제직장치(W) 상의 수직 양면에 밀착 고정함으로서 실(Y)의 미세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이(轉移) 되더라도 지지력이 3~4배 이상 크게 배가된 상태이므로 종래의 지지대에 비해 지지력 향상은 물론, 고강도 및 고수명 등의 극대화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절곡면(21) 상에 고정공(2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공(25) 상에 볼트(B)로 체결 고정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보조부(37)를 더 구비한다. 상기에 설명한 고정부(20) 끝단에 일체의 직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안착부(35)는 고정부(20)와의 일체형으로 구성된 지지수단(30)인 반면, 절곡면(21) 상에 형성된 고정공(25)에 볼트(B)로 체결 고정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는 보조부(37)는 조립 및 분리형태의 지지수단(30)으로 구성된다. 보조부(37)는 안착부(35)와 마찬가지로 체결공(22)과 함께 사용하여 상술한 지지력 향상은 물론, 고강도 및 고수명의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체결공(22) 상에 체결 고정되고, 고정부(20)를 감싸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면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고정돌부(29a)(29b)를 개재하는 체결부(39)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안착부(35)와 보조부(37)외에 또 다른 방식을 접목할 수 있다. 즉, 실 지지대의 고정부(20)를 제직장치(W)에 결착할 수 있도록 볼트(B)를 삽입할 수 있는 체결공(22)상에 체결 고정되고, 이러한 고정부(20)를 감싸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양 측면과 하면에 각각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고정돌부(29a)(29b)를 개재하는 체결부(39)를 구비한다. 체결부(39) 또한 고정부(20)의 체결공(22)과 마주보고 볼트(B)를 체결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볼트구멍(미도시)을 구비한다. 고정부(20)에 체결한 것을 기준하여 본체(10)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에는 제직장치(W)의 일 측을 잡아서 고정할 수 있는 절곡단턱(38)을 가지고, 하부에는 절곡단턱(38)과 반대방향 즉,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20)의 양 측면과 하면을 모두 잡아주어 체결공(22)으로 볼트(B)를 체결할 시 고정력을 배가시키도록 고정돌부(29a)(29b)를 연장 돌출하여 구비한다. 간추려서 설명하면, 체결부(39)의 측면 하단부로 고정돌부(29a)(29b)를 형성하여 제직장치(W)와 고정부(20)가 밀착 체결되도록 고정부(20)의 상하좌우로의 움직임을 최대한 잡아주며, 상면에는 제직장치(W)의 또 다른 일면으로 절곡단턱(38)을 구비함으로써 고정돌부(29a)(29b)와 연계하여 실 지지대와 제직장치(W)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사용에 있어서, 먼저 실(Y)을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11)를 구비하는 본체(10)를 제직장치(W) 상에 안착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공(22)과 2차 절곡형상의 절곡면(21)을 구비하는 고정부(20)를 결합한다. 본체(10)와 고정부(20)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볼팅 체결방식이나 리벳팅 체결방식을 사용한다. 결합된 실 지지대의 고정부(20)를 제직장치(W)에 체결하도록 고정부(20)에 형성된 체결공(22)으로 볼트(B)를 삽입하여 완성한다. 여기에 고정부(20)의 끝단에 안착부(35)를 구비하여 체결공(22)과 연계하여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수단(30)으로 안착부(35)와 보조부(37)를 사용하되, 안착부(35)와 보조부(37)를 연계하여 복합적인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고정부(20)에 안착부(35)와 보조부(37)를 각각 구성하여 사용함을 기준으로 하지만, 지지수단(30)으로 안착부(35)와 보조부(37)를 함께 구비하여 제직장치(W)에 고정하면 상·하·측면을 모두 잡아주어 미세진동으로 인한 실(Y)의 절사현상 및 고정부(20)의 절곡면(21)이 균열되어 부러지는 빈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잦은 교체로 인한 직물지의 생산량 감소와 교체비용 증가, 지지대 전체의 교체 및 조립에 따른 불편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작용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착부(35)와 보조부(37) 외에 체결부(39)를 사용하여 고정부(20)와 제직장치(W)간에 지지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체결부(39)는 상기 고정부(20)의 체결공(22)에 마주하여 볼트(B)를 이용하여 제직장치(W)상에 체결되는 구조로서, 고정부(20)의 양 측면과 하면을 잡아주기 위해 동일한 위치의 체결부(39)상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고정돌부(29a)(29b)를 구비한다. 즉, 고정부(20)의 하부에 고정돌부(29a)(29b)를 포함하는 체결부(39)를 추가 구성하여 고정부(20)와 제직장치(W) 양쪽 모두를 체결 및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대 본체에 별도의 고정부를 부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서 절곡부위의 부러짐이나 크랙(crack) 등이 발생하더라도 즉시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정부의 결합 사용으로 강력한 지지력 증가와 함께 지지대 본체 상부의 진동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전달되더라도 지지력이 엄청 배가된 상태이기 때문에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대 본체 파손 등의 손실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가이드부
11a: 유입공 13: 관통공
20: 고정부 21: 절곡면
22: 체결공 23: 결합공
25: 고정공 29a, 29b: 고정돌부
30: 지지수단 35: 안착부
37: 보조부 38: 절곡단턱
39: 체결부 B: 볼트
Y: 실 W: 제직장치
11a: 유입공 13: 관통공
20: 고정부 21: 절곡면
22: 체결공 23: 결합공
25: 고정공 29a, 29b: 고정돌부
30: 지지수단 35: 안착부
37: 보조부 38: 절곡단턱
39: 체결부 B: 볼트
Y: 실 W: 제직장치
Claims (4)
- 직물의 제직장치 기계(W)에 장착하여 보빈으로부터 유동하는 실(Y)의 장력을 조절하면서 절사현상을 줄이기 위한 커버링 지지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실(Y)이 수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유입공(11a)이 개재되는 가이드부(11)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직장치(W) 상에 안착하여 체결 고정되도록 체결공(22)이 개재되는 절곡면(21)을 구비하는 고정부(20); 및
상기 고정부(20)에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여 제직장치(W)에 안착 고정되도록 구비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끝단에 일체의 직각형태로 이루어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안착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절곡면(21)에 고정공(25)을 형성하고, 고정공(25)에 볼트(B)를 체결 고정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보조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고정부(20)의 체결공(22)에 체결 고정되고, 고정부(20)를 감싸 이탈을 방지하도록 측면 하단부에 일체로 연장 돌출되는 고정돌부(29a)(29b)를 개재하는 체결부(39)를 구비할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382A KR101373919B1 (ko) | 2013-07-08 | 2013-07-08 |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382A KR101373919B1 (ko) | 2013-07-08 | 2013-07-08 |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3919B1 true KR101373919B1 (ko) | 2014-03-12 |
Family
ID=5064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9382A KR101373919B1 (ko) | 2013-07-08 | 2013-07-08 |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391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7747B1 (ko) * | 2020-05-15 | 2021-08-06 | 정주옥 | 끈 제조용 스핀들 뭉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8338A (ja) * | 1994-12-28 | 1996-07-23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ボビン受渡方法及び装置、ボビン収容装置並びに繊維機械 |
KR980008176U (ko) * | 1996-07-12 | 1998-04-30 | 정정근 | 구경이 조정되는 파마롯드 |
KR19990068550A (ko) * | 1999-06-01 | 1999-09-06 | 이상현 | 커버드사의장치및그제조방법 |
KR200460349Y1 (ko) | 2010-05-24 | 2012-05-21 | 정주옥 | 커버링 머신용 가이드롤러의 홀더 |
-
2013
- 2013-07-08 KR KR1020130079382A patent/KR1013739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8338A (ja) * | 1994-12-28 | 1996-07-23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ボビン受渡方法及び装置、ボビン収容装置並びに繊維機械 |
KR980008176U (ko) * | 1996-07-12 | 1998-04-30 | 정정근 | 구경이 조정되는 파마롯드 |
KR19990068550A (ko) * | 1999-06-01 | 1999-09-06 | 이상현 | 커버드사의장치및그제조방법 |
KR200460349Y1 (ko) | 2010-05-24 | 2012-05-21 | 정주옥 | 커버링 머신용 가이드롤러의 홀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7747B1 (ko) * | 2020-05-15 | 2021-08-06 | 정주옥 | 끈 제조용 스핀들 뭉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294361B (zh) | 一种纺织纱线导向张紧装置 | |
KR101373919B1 (ko) | 섬유기계용 커버링 실 지지대 | |
JP4953376B2 (ja) | テンプル装置 | |
KR102175484B1 (ko) | 직기용 위사안내공급장치 | |
KR101962264B1 (ko) | 수직 전회전 북집 | |
JP5106957B2 (ja) | 織機の綜絖枠の振動防止装置 | |
CN213673884U (zh) | 一种气流纺皮辊拆装装置 | |
KR20120002093U (ko) | 원형직기용 경사 장력조절기 | |
KR20230092709A (ko) | 구조물에 안전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장치 | |
CN111893604B (zh) | 一种具有纵向调节装置的捻线机用纱筒支撑机构 | |
KR101979765B1 (ko) | 실 공급대 | |
CN217231056U (zh) | 一种纱线倍捻用导线工具 | |
JP2017154825A (ja) | 主ロープロッド回転防止治具 | |
KR101582053B1 (ko) | 관권기용 텐션장치의 진동감쇄기구 | |
CN111876856B (zh) | 一种集成式捻线机用底部支撑传动装置 | |
CN218115778U (zh) | 用于单通道停止喂入的夹持装置 | |
CN210621098U (zh) | 一种防纱线抖动的经编机分纱机构 | |
JP3793241B2 (ja) | 分離型織機 | |
US2344212A (en) | Heddle frame support | |
JP6317239B2 (ja) | 仮撚加工機 | |
CN113481653B (zh) | 一种经编机动力机构安装结构 | |
CN104711711B (zh) | 用于精梳机的精梳锡林 | |
KR101227238B1 (ko) | 횡편기를 위한 직접 구동 보조 실 가이드 장치 | |
JP2008038290A (ja) | ブレードマシン用キャリヤー | |
CN215328568U (zh) | 一种单纱整经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