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3238B1 -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 Google Patents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3238B1
KR101373238B1 KR1020120056579A KR20120056579A KR101373238B1 KR 101373238 B1 KR101373238 B1 KR 101373238B1 KR 1020120056579 A KR1020120056579 A KR 1020120056579A KR 20120056579 A KR20120056579 A KR 20120056579A KR 101373238 B1 KR101373238 B1 KR 10137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gasket
double
type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384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6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2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8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ater or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수문이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도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서로 간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에 의해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함을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유단부 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한 쌍을 이루면서 여닫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각각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개스킷과;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을 압착하는 압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DOUBLE DOOE TYPE WATERTIGHT DOOR APPARATUS USING ASYMMETRICAL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도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서로 간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에 의해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문은 원자력발전소 등의 중요시설이나, 지하철, 건축ㅇ토목 구조물에서 침수가 예상되는 지하층 및 1층에 설치되어 침수를 방지하고 내부 시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와, 상기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를 지지하는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대하여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를 각각 여닫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경첩(13)과, 상기 제1도어(10a)와 제2도어(10b) 사이에서 틈새를 수밀하게 매워주는 제1개스킷(11)과, 상기 문틀(12)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12)과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제2개스킷(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가 대부분의 물을 차단하고 상기 제1도어(10a)와 제2도어(10b)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제1개스킷(11)이 메워주며, 상기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와 문틀(12)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제2개스킷(14)이 메워주어 집중호우 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침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외측에서 강력한 압력(P)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경우 도 2의 확대부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마주하고 있는 중간지점에서 제1도어(10a)와 제2도어(10b)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면서 제1개스킷(11)에 대한 압착이 해제되어 수밀함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또한, 경첩(13)이 결합된 제1도어(10a) 및 제2도어(10b)의 단부가 상기 경첩(13)에 의해 완고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제2개스킷(14)이 있는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변위되지 못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들뜨면서 제2개스킷(14)에 대한 압착이 해제되어 수밀함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도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서로 간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에 의해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자유단부 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한 쌍을 이루면서 여닫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각각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개스킷과;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을 압착하는 압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변형된 형태의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 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개스킷과;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을 압착하는 압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어는 자유단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빔은 "ㄷ"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제2도어에 비해 더 두꺼운 강판으로 이루어져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중간 높이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수평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이 결합된 상기 문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문틀과 상기 제1도어의 결합단부 사이, 상기 문틀과 제2도어의 결합단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제2개스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전방에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변위되려는 경향을 갖게 될 때 그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이를 흡수하면서 항복변형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허용하는 항복변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지 않고 상기 제2개스킷에 대한 압착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은,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영역에는 상기 항복변형부가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복변형부는 전방을 향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때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려는 경향에 대하여는 저항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복변형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슬릿의 개수 및 폭에 의해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의 설치개수는 많아지고 고정핀 간 설치간격은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 간 설치간격을 좁힌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도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서로 간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에 의해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강할수록 중간지점에 설치된 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면서 물의 침투를 더욱 견고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복변형부를 갖는 경첩에 의하여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극한상태에서도 들뜨지 않고 개스킷을 계속 압착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수밀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의 항복변형부가 전방을 향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때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는 것은 허용하면서 전방으로 들뜨려는 경향에 대하여는 저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첩의 항복변형부에 구비된 슬릿의 개수 및 폭을 변화시키는 구성에 의해 항복변형부의 변형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전 침수되었을 때의 깊이에 따라 가해지는 수압을 고려하여 고정핀의 단면적 및 설치간격, 경첩의 설치간격에 편차를 둔 구성에 의해 구조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각각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극한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11은 정수압에 따른 도어의 변형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6은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침수 깊이에 따른 수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7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8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만나는 중간지점에서 서로 간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에 의해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전방에서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개스킷을 지속적으로 압착하여 수밀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경첩의 일부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항복변형되면서 경첩이 결합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휘어질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전방에서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 경첩이 결합된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들뜨지 않고 개스킷을 계속 압착하여 수밀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평상시와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극한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한 쌍을 이루고 있는 제1도어(110a) 및 제2도어(110b)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 간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기 위해 설치되는 제1개스킷(112) 및 압착부재(111)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건물 벽체에 고정되는 문틀(120)과, 상기 문틀(120)에 대하여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경첩(130)과, 상기 문틀(120)과 제1도어(110a)의 결합단부 사이, 상기 문틀(120)과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제2개스킷(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목할 점은, 상기 제1도어(110a)가 상기 제2도어(110b)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한 독특한 비대칭 구조에 의하여,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개스킷(112)에 대한 압착부재(111)의 압착이 해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하고 오히려 더욱 강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관건은 전방에서 압력을 받아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변형될 때 상기 제1개스킷(112)에 대한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는 여부 보다는 상기 제1개스킷(112)에 대한 초기의 압착된 정도를 얼마나 틀림없이 유지하여 수밀함을 유지하느냐 하는 신뢰도의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된 것처럼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강성을 달리한 비대칭 구조라는 독특한 구성에 의해 그러한 신뢰도를 극대화한 것이다. 만일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강성이 같은 대칭 구조라면 전방에서 압력을 받아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변형될 때 상기 제1도어(110a)의 후방 변형량이 제2도어(110b)의 후방 변형량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만에 하나라도 상기 제1도어(110a)의 후방 변형량이 제2도어(110b)의 후방 변형량보다 큰 경우에는 제1개스킷(112)에 대한 압착부재(111)의 압착이 약해지면서 더 이상 수밀함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강성이 같은 대칭 구조에서는 좌편과 우편에서 수압의 변화가 변화무쌍하게 불균형해지는 상황에서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 중 어느 도어의 변형량이 클지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대칭 구조를 통하여 대칭 구조에서 비롯되는 불확실성을 제거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개스킷(112)은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 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압착부재(111)는 상기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112)을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ㄷ"단면의 수직보강빔(113)이 설치되어 제2도어(110b)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보강빔(113)의 전후폭은 상기 제1도어(110a)의 내부공간에 충만하게 채워질 정도의 너비로 형성되고, 좌우폭은 전방에서 가해질 압력을 고려한 설계치에 따라 다양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경우에 상기 수직보강빔(113)에 의하여 강성이 보강된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가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에 비해 후방으로 밀려 변형되는 변형량이 명확하게 적어야 한다는 조건은 언제나 충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가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변형실시예들을 통해 더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개스킷(112)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닫혔을 때 상기 압착부재(11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압착부재(111)와 함께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 간 중간지점의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도어(110a)의 타단부 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 제1개스킷(112)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면서 강도를 잃지 않는 치밀한 재질의 것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이 적당하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평상시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물론, 도 5와 같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전방에서 강력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때 제1개스킷(112)에 대한 압착부재(111)의 압착이 약해지거나 해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하게 되어 수밀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강성을 다르게 한 비대칭 구성에 의하여 쓰나미, 산사태, 폭발과 같이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휘어지는 정도로 강력한 압력이 가해지는 극한상태에서도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변형에 따른 거동을 용이하게 예측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주목할 점은, 상기 경첩(130)의 일부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항복변형되는 항복변형부(132c)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도 4와 같이 평상시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물론, 도 5와 같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전방에서 강력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면서 그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려는 경향을 갖게 될 때 그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이를 흡수하면서 항복변형되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완고하고 획일적이기만 했던 종래의 경첩이 설치되었을 때와는 달리 전방으로 들뜨지 않게 되어 제2개스킷(140)에 대한 압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문틀(120)은 극한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장 유리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작한다. 또한, 극한상태에서 문틀(12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이를 기존의 구조물에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계조건에 따라 위치 및 크기를 설계하고 에폭시바를 설치하는 등의 추가적인 사항이 고려되어야 한다. 신축 구조물의 경우에는 문틀(120) 중간에 에폭시를 주입하고 양쪽을 모르타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기존 구조물의 경우에는 기존 콘크리트벽에 철근 앵커링 후에 에폭시를 주입하고 양쪽을 모르타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개스킷(140)은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닫혔을 때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와 문틀(120) 사이에서 압착되어 수밀하게 틈새를 메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문틀(120)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 도어 안착홈(121)에 설치된다. 상기 제2개스킷(140)의 경우에도 제1개스킷(11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 및 문틀(12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탄성 및 유연성을 가지면서 강도를 잃지 않는 치밀한 재질의 것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등이 적당하다.
아래에서는 상기 항복변형부(132c)를 갖는 경첩(13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경첩(130)은 기본적으로 문틀(120)에 대하여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여닫이 가능하게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것처럼 극한상태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때 이를 흡수하면서 항복변형되는 항복변형부(132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지 않도록 차단하면서 후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적극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경첩(130)은 상기 문틀(120)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131)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재(1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재(131)와 제2결합부재(132)에는 각각 고정핀(135)에 의해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와 문틀(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핀(135)이 관통하는 복수의 핀공(132e)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핀공(132e)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더 넓은 단면적의 고정핀(135)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 및 문틀(120)에 대하여 상기 경첩(130)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135)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결합력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침수 깊이에 따라 증가되는 수압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재(132)는 그 일단부(132a)가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여닫이를 위하여 상기 제1결합부재(13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힌지(134) 결합되고, 타단부(132b)는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재(132)의 일단부(132a)와 타단부(132b) 사이의 중간영역에는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항복변형되는 항복변형부(132c)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주목할 점으로 상기 제2결합부재(132)의 항복변형부(132c)는 전방을 향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같은 항복변형부(132c)의 아치형 형태는 인장력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쉽게 변형을 허용하지만, 압축력에 대하여는 쉽게 변형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역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전방에서 강력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극한상태에 직면했을 때,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려는 경향(항복변형부에는 인장력으로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경첩(130)의 항복변형부(132c)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변형(늘어나면서 회전함)되면서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변위되도록 허용하지만, 반면에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려는 경향(항복변형부에는 압축력으로 작용함)에 대해서는 상기 경첩(130)의 항복변형부(132c)가 저항하면서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와 개스킷(14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 대해 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변형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개스킷(112)과 압착부재(111)가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후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개스킷(112)은 상기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 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압착부재(111)는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변형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도어(110a)는 상기 제2도어(110b)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된다.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변형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110b)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110a)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112)에 대한 압착부재(111)의 압착이 강하게 이루어진다.
이처럼 제1개스킷(112)과 압착부재(111)가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1변형실시예의 경우 제1개스킷(112)과 압착부재(111)가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전면에 설치되는 변형전 실시예에 비해 상기 압착부재(111)와 제1개스킷(112)의 설계가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전면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나름의 장점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110a)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수직보강빔(113)을 사용했던 변형전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도어(110a)의 두께를 제2도어(110b)의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도어(110a)는 제2도어(110b)의 비해 더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도어(110a)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별도의 수직보강빔(113)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제작할 때부터 서로 다른 강판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단점이 되기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11은 정수압에 따른 도어의 변형량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는, 제1도어(110a)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수직보강빔(113)을 사용했던 변형전 실시예와 달리 수직보강빔(113)을 사용하는 대신 수평보강빔(115)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도어(110a)의 중간 높이 지점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보강빔(115)이 설치되어 제2도어(110b)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강빔(115)은 제1도어(110a)의 중간 높이 지점이 아닌 다른 높이의 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제1도어(110a)의 전방이 완전히 침수되었다고 가정할 때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간 높이의 변형량이 최대가 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보강빔(115)은 제1도어(110a)의 중간 높이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보강빔(115)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10a)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변형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같이 변형된 구성에 의하면 제3실시예에 비해 상기 수평보강빔(115)이 제1도어(110a)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모든 높이에서 제1도어(110a)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변형실시예에 의한 경첩(130)은 항복변형부(132c)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132d)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상기 항복변형부(132c)에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132d)이 구비되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하게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그 변형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도 13에 도시된 항복변형부(132c)의 전방 변형량(D2)과,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항복변형부(132c)에 슬릿(132d)이 구비되지 않았을 때의 항복변형부(132c)의 전방 변형량(D1)을 서로 비교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양자를 비교하면 D2가 D1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슬릿(132d)의 개수 및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항복변형부(132c)의 변형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항복변형부(132c)에서 슬릿(132d)의 개수를 늘리거나 슬릿(132d)의 폭을 늘려주면 동일한 힘이 가해질 때 그 변형량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아래에서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제5변형실시예가 그 중 하나에 해당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변형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의 항복변형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경첩(130)은 제4변형실시예와 비교하여 항복변형부(132c)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132d)이 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상기 항복변형부(132c)에 형성된 슬릿(132d)이 더 넓은 폭의 것으로 형성되면 동일하게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그 변형량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를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더 넓은 폭의 슬릿(132d)을 구비한 항복변형부(132c)의 전방 변형량(D3)과,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그보다 좁은 폭의 슬릿(132d)을 구비한 항복변형부(132c)의 전방 변형량(D2)을 서로 비교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양자를 비교하면 D3이 D2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5변형실시예는 항복변형부(132c)에 구비된 슬릿(132d)의 개수 대신 폭을 넓게 한 경우이지만 폭 대신 슬릿(132d)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에서 침수 깊이에 따른 수압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에 도시된 선도(S)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침수시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에 가해지는 수압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물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높이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이 다르므로 경첩(130) 자체의 구성과 경첩(130)의 배치시 이에 대한 대책이 반영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제6변형실시예 내지 제8변형실시예는 그와 관련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6변형실시예는 상기 경첩(130)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130)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135)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와 문틀(120)에 대한 경첩(130)의 결합력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된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상기 경첩(130) 자체의 좁은 영역 내에서도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고정핀(135)을 사용한다면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와 문틀(120)에 대한 경첩(130)의 결합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같이 제6변형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 및 문틀(120)에 대하여 상기 경첩(130)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135)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침수 깊이에 따라 증가되는 수압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7변형실시예는 상기 경첩(130)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130)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135)의 설치개수는 많아지고 고정핀(135) 서로간의 이격은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이 제7변형실시예에 따른 구성 역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에 대하여 상기 경첩(130)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침수 깊이에 따라 증가되는 수압에 대비하여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8변형실시예에 의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8변형실시예는 경첩(130)의 배치방식을 변경한 것으로, 상기 경첩(130)이 상기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간격을 좁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장 하측의 경첩(130) 간 간격(L1)이 가장 좁혀져 있고 L2, L3, L4로 갈수록 점차 넓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이 제8변형실시예에 따르면 침수 깊이에 따라 증가되는 수압에 대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경첩(130)을 할당하여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제6변형실시예 내지 제8변형실시예의 구성은 함께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변형전 실시예로부터 제4실시예 및 제5변형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경첩(130)들은 가해지는 동일한 힘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변형량을 갖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를 확보하여 제1도어(110a)와 제2도어(110b)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a : 제1도어 110b : 방수문
111 : 압착부재 112 : 제1개스킷
113 : 수직보강빔 115 : 수평보강빔
120 : 문틀 130 : 경첩
131 : 제1결합부재 132 : 제2결합부재
132c : 항복변형부 135 : 고정핀

Claims (14)

  1. 자유단부 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한 쌍을 이루면서 여닫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각각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개스킷과;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 전면으로부터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을 압착하는 압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경첩이 결합된 상기 문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문틀과 상기 제1도어의 결합단부 사이, 상기 문틀과 제2도어의 결합단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제2개스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전방에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변위되려는 경향을 갖게 될 때 그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이를 흡수하면서 항복변형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허용하는 항복변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지 않고 상기 제2개스킷에 대한 압착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항복변형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슬릿의 개수 및 폭에 의해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2. 자유단부 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한 쌍을 이루면서 여닫이 가능하게 설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대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각각 여닫이 가능하도록 결합시켜주는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 후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개스킷과;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 후면으로부터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개스킷을 압착하는 압착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보강 처리되어, 전방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변형될 때 상기 제2도어의 자유단부가 상기 제1도어의 자유단부보다 후방으로 더욱 밀려 변형되면서 상기 제1개스킷에 대한 압착부재의 압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경첩이 결합된 상기 문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문틀과 상기 제1도어의 결합단부 사이, 상기 문틀과 제2도어의 결합단부 사이에서 압착되어 틈새를 수밀하게 메워주는 제2개스킷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전방에서 압력을 받아 후방으로 변위되려는 경향을 갖게 될 때 그 힘이 일정 크기 이상이면 이를 흡수하면서 항복변형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허용하는 항복변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지 않고 상기 제2개스킷에 대한 압착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항복변형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슬릿의 개수 및 폭에 의해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자유단부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빔은 "ㄷ"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제2도어에 비해 더 두꺼운 강판으로 이루어져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중간 높이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수평보강빔이 설치되어 제2도어에 비해 더 큰 강성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문틀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제1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중간영역에는 상기 항복변형부가 형성된 제2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항복변형부는 전방을 향해 볼록한 아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후방으로 볼록하게 변형될 때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가 전방으로 들뜨려는 경향에 대하여는 저항력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을 결합시켜주는 고정핀의 설치개수는 많아지고 고정핀 간 설치간격은 좁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결합단부를 따라 복수개가 상하방향으로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경첩 간 설치간격을 좁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KR1020120056579A 2012-05-29 2012-05-29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KR10137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579A KR101373238B1 (ko) 2012-05-29 2012-05-29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579A KR101373238B1 (ko) 2012-05-29 2012-05-29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84A KR20130133384A (ko) 2013-12-09
KR101373238B1 true KR101373238B1 (ko) 2014-03-12

Family

ID=4998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579A KR101373238B1 (ko) 2012-05-29 2012-05-29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737A1 (ko) * 2015-11-18 2017-05-26 황재호 힌지이동이 가능한 방압문
CN110259347A (zh) * 2019-06-19 2019-09-20 张�林 一种降噪防盗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273B2 (ja) * 2016-10-13 2021-03-17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71U (ja) * 1992-08-11 1994-03-04 段谷産業株式会社 扉用ヒンジ
KR20010038430A (ko) * 1999-10-25 2001-05-15 김헌출 방수성능을 갖는 접합부의 구조
JP2007137244A (ja) 2005-11-17 2007-06-07 Inoac Corp エアバッグドアのヒンジ構造
JP2011094332A (ja) 2009-10-28 2011-05-12 Howa Mach Ltd 両開き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71U (ja) * 1992-08-11 1994-03-04 段谷産業株式会社 扉用ヒンジ
KR20010038430A (ko) * 1999-10-25 2001-05-15 김헌출 방수성능을 갖는 접합부의 구조
JP2007137244A (ja) 2005-11-17 2007-06-07 Inoac Corp エアバッグドアのヒンジ構造
JP2011094332A (ja) 2009-10-28 2011-05-12 Howa Mach Ltd 両開き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6737A1 (ko) * 2015-11-18 2017-05-26 황재호 힌지이동이 가능한 방압문
US10443280B2 (en) 2015-11-18 2019-10-15 Jae Ho Hwang Pressure-tight door allowing movement of hinges
CN110259347A (zh) * 2019-06-19 2019-09-20 张�林 一种降噪防盗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384A (ko) 2013-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136B1 (ko) 건축물의 제진장치
KR101373238B1 (ko) 비대칭 구조를 적용한 이중도어 타입 방수문 장치
JP5428575B2 (ja) 地盤に施工する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105672532A (zh) 一种装配式剪力墙及其安装方法
KR101659572B1 (ko) 중앙자유단이 형성된 이중합성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A2794044C (en) Facing element for use in a stabilized soil structure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KR101297715B1 (ko) 회전축 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는 롤러모듈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타입 방수문 장치
JP4861096B2 (ja) 緊張材を用いた耐震補強架構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093322B1 (ko) 비내력벽을 갖는 건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부축벽 조립체
KR101284732B1 (ko) 항복변형부를 갖는 방수문용 경첩 및 이를 구비한 방수문 장치
KR101193849B1 (ko) 건축?토목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을 위한 탄소성 강재 댐퍼
JP6548455B2 (ja) 連続壁の止水構造
Palmisano Mitigation of progressive collapse by the activation of the elasto-plastic catenary behaviour of RC slab structures
Rosso et al. Influence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layouts on RC wall performance
JP2006194007A (ja) 鉛直力を低減した耐震壁及び鉛直力を低減した耐震壁の構築方法
KR101388478B1 (ko) 아치형 토류판
KR101975654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73240B1 (ko) 높은 수압에 대비하여 건물과의 접합부를 강화한 방수문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1994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파일벽 구조체
KR101396810B1 (ko) 건축물용 내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952186B1 (ko) 내진보강 슈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 방법
JP5979557B2 (ja) 浮体式仮締切り工の止水構造および浮体式仮締切り構造体
JP6474118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の耐震補強構造及び方法
Alatoum et al. Structural Performance of Different Forms of Corrugated Plate Shear Walls under Dynamic Lo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