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920B1 - 콘형 크러셔 - Google Patents

콘형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920B1
KR101372920B1 KR1020120025684A KR20120025684A KR101372920B1 KR 101372920 B1 KR101372920 B1 KR 101372920B1 KR 1020120025684 A KR1020120025684 A KR 1020120025684A KR 20120025684 A KR20120025684 A KR 20120025684A KR 101372920 B1 KR101372920 B1 KR 10137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hydraulic oil
mantle core
core assembly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299A (ko
Inventor
하용간
Original Assignee
하용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용간 filed Critical 하용간
Priority to KR1020120025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920B1/ko
Priority to PCT/KR2012/002883 priority patent/WO2012141560A1/ko
Publication of KR2013010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2Centrifugal pendulum-type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0Disintegrating by 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한개 층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하부 내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콘케이브와, 하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케이브를 관통하여 상기 탑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 하로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선동운동을 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메인샤프트와 함께 선동운동을 하는 맨틀코어 조립체 및,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메인샤프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를 선동운동 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콘형 크러셔로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내부에는 유압유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착되며, 상기 유압유 통로와 누유없이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파쇄간격조절받침판; 및 상기 파쇄간격조절받침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가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측에 배열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압잭들;을 구비하며, 파쇄간격을 조절하는 데에 있어서 유압유가 누출될 염려가 없고, 맨틀코어 조립체와 메인샤프트가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콘형 크러셔{CONE TYPE CRUSHER}
본 발명은 콘형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형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콘형 크러셔는 골재산업이나 광물 가공산업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파쇄기로서, 쓰임새가 광범위하고 구조 및 종류도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콘형 크러셔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의 콘형 크러셔(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는, 메인샤프트 하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에 한 쌍의 베벨기어와 엑센트릭 스리브라고 불리는 편심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간부의 외주면에는 교환 가능한 라이너인 맨틀(mantle)을 장착한 맨틀코어(mantle core)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는 맨틀코어 위로 나와있고 메인샤프트 상단부에 가해지는 파쇄력의 경방향 분력(radial force)을 감당하는 구면 베어링이 결합되어 있고, 파쇄력의 수직 분력은 메인샤프트 하단부에 결합된 구면형 스러스트 베어링이 감당하며, 메인샤프트 하단부를 받치고 있는 구면베어링을 상하로 구동하는 유압장치가 파쇄간격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1은 메인샤프트 하단부를 상하로 구동하는 유압장치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크러셔의 수직방향 높이가 기형적으로 높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PCT국제특허 공개번호 WO2009/065995A1에 개시된 발명(이하, '종래기술2'라 함)은, 종래기술1과 비교했을 때, 메인샤프트 하단부를 상하로 구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없고, 메인샤프트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던 맨틀코어가 메인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별개로 움직일 수 있고, 메인샤프트는 소경부와 대경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메인샤프트의 대경부의 상면과 맨틀코어 내부 공동의 하면에 유압실린더처럼 작용하는 공간(이하, '유압공간'이라 함)이 설치되어 있고, 맨틀코어가 메인샤프트를 따라 유압력에 의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2는 수직방향 높이가 기형적으로 높은 종래기술1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2에 따르면, 메인샤프트의 하단부는 구면 스러스트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메인샤프트가 편심구동부에 의하여 선동운동(gyratory movement))을 하지만 상하로는 움직이지 않고, 메인샤프트에는 하단부로부터 상기 유압공간까지 유압유가 이동할 수 있는 유압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2에서 파쇄간격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유압유를 메인샤프트의 하단부로부터 도입해야 하는데, 고속으로 선동운동하는 메인샤프트와 구면 스러스트베어링 사이에서 고압의 유압유가 도중에 누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압공간까지 이동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유압유는 메인샤프트 하단부의 스러스트베어링을 통하여 누유되어 편심구동부와 기어를 윤활하는 윤활유에 혼입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기술2에서는 윤활유 자체를 유압유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유압유가 윤활유로 사용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먼지 등에 의하여 유압유가 지속적으로 오염될 뿐만 아니라, 전용 윤활유에 비하여 윤활성능이 확연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유압유가 새지 않도록 해주는 고무 등 탄성체로 만든 씨일이 메인샤프트 하단부의 심한 편심운동과 거친 접촉면, 그리고 먼지나 저널베어링 또는 기어 등에서 나온 금속성 마모물질에 의하여 급속도로 손상되어 상기 유압공간에 채워져 있는 유압유가 손상된 씨일을 통하여 누유되고, 유압이 유지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파쇄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종래기술2에 따르면, 메인샤프트와 맨틀코어의 상대회전운동이 비록 그 속도는 느리지만 강하게 일어나며, 맨틀코어 내면과 메인샤프트가 강한 마찰에 의하여 서로 표면을 파괴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표면이 파괴되면 거친 표면 때문에 오일 씰이 파손되어 유압유가 급속도로 누출되기 때문에, 맨틀코어의 내면은 반드시 윤활성 재질로 코팅을 하거나, 윤활성 재질로 된 라이너를 억지끼움 방식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맨틀코어는 매우 무겁고 크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고, 작업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되었으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맨틀코어 조립체를 갖는 콘형 크러셔로서, 가동시나 파쇄간격을 조절할 때에 유압유가 누출될 염려가 없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틀코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유압장치에 유압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유와 윤활유가 혼입될 염려가 없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장치의 씨일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틀코어 조립체와 메인샤프트가 서로 상대회전하지 않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틀코어 조립체의 내면에 코팅을 하거나 라이너를 삽입할 필요가 없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명이 현저하게 늘어난 콘형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한개 층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하부 내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콘케이브와, 하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케이브를 관통하여 상기 탑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 하로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선동운동을 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메인샤프트와 함께 선동운동을 하는 맨틀코어 조립체 및, 상기 메인샤프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를 선동운동하도록 구동하는 메인샤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콘형 크러셔로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내부에는 유압유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착되며, 상기 유압유 통로와 누유없이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파쇄간격조절받침판; 및 상기 파쇄간격조절받침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가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압잭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맨틀코어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맨틀코어 사이에 형성된 회전방지기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방지기구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키홈과, 상기 제1 키홈에 결합되는 키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맨틀코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키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 키홈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제2 키홈의 폭은 상기 키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키홈과 상기 키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경질의 가늘고 긴 판재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방지기구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스플라인과, 맨틀코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플라인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마모를 방지하고 먼지가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상면을 통해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보호커버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면에 설치된 그리스 씨일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을 수용하는 상부 베어링실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유압유 통로로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로타리조인트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타리조인트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원기둥형 함몰부 내에 절반이상 수용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유압유 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유 통로로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 도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베어링실의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하면 중앙에는 도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관 고정부에는 상기 유압유 도관과 외부 유압유 도입관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압유 도관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도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는 저항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선동운동의 초점은 상기 유압유 도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유압유 도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기 로타리씨일도관은 상기 선동운동의 초점이 위치한 곳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콘형 크러셔는, 상기 원기둥형 함몰부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로타리조인트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로타리조인트하우징의 상단부에는 결합용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단 밑면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812)이 형성되어 씨일이 끼워지고, 상부에는 대경의 원주형 공간, 하부에는 소경의 원주형 공간을 동심으로 형성하여, 상기 두 원주형 공간이 만나는 부위에는 계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선동운동의 초점이 위치한 곳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소경의 원주형 공간의 내면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842)이 형성되어 씨일(841)이 끼워지고 상기 로타리씨일도관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압잭들은, 밑면이 막혀 있는 폐관 형상의 램과, 상기 램보다 내경은 작고 길이는 길며 상기 램의 내부에 위치하는 밀대를 구비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는 그 밑면에 상기 유압잭들을 수납하는 유압잭 수용부를 갖고, 상기 밀대는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램의 밑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유압잭 수용부의 천정 하면에끼워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밀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대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유압잭 수용부의 천정 중앙부와, 상기 밀대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램 밑면 중앙부는, 상기 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형 크러셔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가동시나 파쇄간격을 조절할 때에 유압유가 누출될 염려가 없다.
둘째, 맨틀코어 조립체를 승강시키는 유압장치에 유압유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콘형 크러셔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유압유와 윤활유가 혼입될 염려가 없다.
넷째, 유압장치의 씨일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맨틀코어 조립체와 메인샤프트가 서로 상대회전 하지 않아서, 맨틀코어 조립체의 내면에 코팅을 하거나 라이너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여섯째, 콘형 크러셔의 수명이 현저하게 늘어난다.
일곱째, 종래기술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공정이 단순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부 베어링 및 로타리조인트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콘형 크러셔라는 용어는 콘 크러셔와 자이레토리 크러셔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 베어링 및 로타리조인트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콘 크러셔는 외곽이 대략 원통 형상인 메인 프레임(10)과, 깔때기를 잘라 뒤집어 맞붙인 형상으로 메인프레임(10)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한 개 층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탑프레임(20)과,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넓어지게 연장되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면서 탑프레임(20)의 내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콘케이브(30)와, 하단부는 메인프레임(10)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콘케이브(30)를 관통하여 탑프레임(20)에 수용되어 상, 하로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선동운동(gyratory movement)을 하는 메인샤프트(200)와, 메인샤프트(200)에 끼워져 메인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메인샤프트(200)와 함께 선동운동을 하는 맨틀코어 조립체(300)와, 탑프레임(20)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현수 베어링실(212)내에 수용되어 있으면서 메인샤프트(200) 상단부에 결합되어 메인샤프트(200)를 선동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현수베어링(222)과, 메인샤프트(200) 하단부와 결합하여 메인샤프트(200)를 선동운동하게 하는 메인샤프트 구동수단(260)과,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30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샤프트(200)에 고착되는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과, 상기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상기 메인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300)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유압잭(52)들과, 메인샤프트(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압유 통로(712, 713)로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로타리조인트(250)를 구비한다.
통상적인 콘형 크러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도 탑프레임(20)의 상부로부터 파쇄대상물이 공급되고, 메인샤프트(200) 및 메인샤프트(200)에 끼워진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선동운동을 하며, 콘케이브(30)와 맨틀(321) 사이에서 파쇄대상물이 파쇄되어 메인프레임(10)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사상이 더욱 분명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의 상기 구성 중, 상술한 통상적인 콘형 크러셔와 중복되는 내용은 되도록 생략하고, 차별화되는 구성들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샤프트(200)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유압유 통로(712)가 형성되고, 이 수직 유압유 통로(7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꺽인 수평 유압유 통로(713)가 형성된다. 이 유압유 통로들(712, 713)은 메인샤프트(200)에 형성될 수 있는 유압유 통로의 일례로서, 메인샤프트(200)의 내부에 유압유 통로가 형성되어 메인샤프트(200)의 상단과 외주면 모두에서 개구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과의 결합을 위한 단턱부(7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틀코어 조립체(30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원기둥형 구멍을 갖는 맨틀코어(320)와, 맨틀코어(320)에 장착되며 속이 빈 원뿔대 형상인 맨틀(321)과, 맨틀(321)을 맨틀코어(32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로크너트(234a)와, 메인샤프트보호커버(35)와, 그리스씨일(37)을 구비한다.
맨틀코어(320)의 밑면에는 후술할 유압잭들(52)을 수납하는 유압잭 수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유압잭 수용부(313)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기둥형 공간이 원주상에 형성될 수 있고, 이외에도, 함몰된 하나의 환형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320)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320) 사이에는 회전방지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방지기구의 일 예시로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인샤프트(200)의 외주면에는 제1 키홈(71)이 형성되고, 여기에 키(72)가 움직이지 않게 견고히 결합되고, 메인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맨틀코어(320)의 내면 상에 제2 키홈(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키홈(312)은 상기 키(72)에 끼워져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회전방지기구의 일 예시의 변형례로서, 제2 키홈(312)의 폭은 키(7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제2 키홈(312)과 키(72) 사이의 틈새에는 경질의 가늘고 긴 판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는 이러한 회전방지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메인샤프트(200)를 따라 승강하면서도 서로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회전방지기구로서 상기 예시 이외에도,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320)에 스플라인 가공을 하여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즉, 메인샤프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외주면에 제1 스플라인을 형성하고, 맨틀코어(32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플라인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 스플라인을 형성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홈(71)은 상기 제2 키홈(312)의 상하방향 기준으로 중간 부위에 위치하고 있어서 키(72)의 상면이 제2 키홈(312)의 상단부에 도달하기 전까지 맨틀코어(320)가 하강하거나 키(72)의 하면이 제2 키홈(312)의 하단부에 이르기 전까지 맨틀코어(320)가 상승할 수가 있다. 메인샤프트(200)의 마모를 방지하고, 먼지가 맨틀코어 조립체의(300)의 상면을 통해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 조립체(3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맨틀코어 조립체(300)의 상면에는 메인샤프트보호커버(35)가 볼트(352)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메인샤프트보호커버(35)는 바닥부에 플랜지를 가진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그 내경은 메인샤프트(200)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한편,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승강할 때 메인샤프트(200)에 묻은 먼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닦아낼 수 있도록 메인샤프트보호커버(35)의 상단부에는 더스트와이퍼(35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틀코어조립체(300)의 하면에는 그리스 씨일(37)이 볼트(371)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맨틀코어(320)의 원기둥형 구멍의 내부는 밀폐된 상태에 있고, 메인샤프트보호커버(35)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그리스 주입구(353)를 통해 그리스를 주입하여 메인샤프트(200)의 외경과 맨틀코어(320)의 원기둥형 구멍의 내면 그리고 키(72)와 제2 키홈(312)의 표면을 모두 윤활할 수 있다.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에 의하여 파쇄물의 파쇄가 일어나는 도중에, 메인샤프트(200)의 외경과 맨틀코어(320)의 내경의 직경차이 때문에 양자에는 서로 상대회전운동을 하려는 힘이 가해지지만, 키(72)는 제2 키홈(31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슬라이딩하기 때문에 양자간의 회전운동은 거의 무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샤프트(200)의 외경과 맨틀코어(320)의 내경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 및 마모가 현격하게 줄어든다.
다만 키(72)는 제2 키홈(312)과 강한 접촉을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키홈(312)을 키(72)의 넓이보다 넓게 가공하여 양자의 틈새에 경질의 가늘고 긴 판재(314)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샤프트(200)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으로서는 구면 베어링이 채용될 수 있으나, 현수 베어링(222)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은 맨틀코어 조립체(300)의 하방에 위치하고, 메인샤프트(200)에 고착되며, 메인샤프트(200)에 형성된 유압유 통로(712, 713)와 누유없이 연통되는 유로(513, 514, 515)가 내부에 형성된다.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은 두꺼운 워셔 형상이며, 중앙부에 단턱(511)이 형성된 원기둥형 결합구멍(5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511)에 메인샤프트(200)의 단턱부(711)가 맞닿을 때까지, 메인샤프트(200)를 결합구멍(512)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넣어,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과 메인샤프트(20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환형 유로(513)는, 메인샤프트(200)에 형성된 수평 유압유 통로(713)와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구멍(512)의 내면에 형성되고,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의 내부에는 이 환형 유로(513)와 연통되는 방사상 유로(514)가 형성되며, 이 방사상 유로(514)는 후술할 유압잭(52)의 밑바닥 중심부 아래까지 연장된다. 방사상 유로(514) 끝에서 수직상방에 있는 유압잭(52)의 밑면 중심을 향하여 수직 유로(515)가 형성된다.
유압잭들(52)은 메인샤프트(200)의 외측에 배열되고,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 위에 원형으로 배치되어 수직 유로(515)와 연통되며, 맨틀코어 조립체(300)를 하방에서 지지한다.
유압잭(52)은, 밑면이 막혀 있는 폐관 형상의 램(ram, 521)과, 램(521)보다 내경은 작고 길이는 길며 램(521)의 내부에 위치하는 밀대(526)와, 램(521)이 끼워지며 유압에 의하여 램(521)을 승강시키는 실린더(525)와, 상기 실린더(525)가 배치되는 밑판(522)을 구비한다.
밀대(526)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반구형을 비롯한 곡면으로 형성되고 맨틀코어 조립체(3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램(521)의 밑면과 상기 유압잭 수용부(313)의 천정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밀대(526)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유압잭 수용부(313) 천정의 중앙부와, 상기 밀대(526)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유압잭들(52)의 램(521)의 밑면 중앙부는, 상기 밀대(526)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램(521)이 실린더(525)로부터 많이 돌출해 있더라도 밀대(526)는 항상 램(521)의 밑면 중앙에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단지 램(521)만을 구비한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은 램(521)이 실린더(525)로부터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밑판(522)은 실린더(525)의 하방에 위치하며, 그 중심에 형성된 유압유 통로(523)를 통하여 유압유가 유압잭(52) 안으로 출입할 수 있고, 복수개의 결합볼트(524)에 의하여 파쇄간격조절받침판(51)에 고정된다.
유압유 통로(523)는 그 하방의 수직 유로(515)와 연통되며, 양자 사이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압유 통로(523)의 하부와 수직 유로(515)의 상부에 튜브(516)를 끼워 넣고, 유압유 통로(523)의 하단부에는 튜브(516)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 홈(518)을 형성하고, 여기에 오링(517)을 끼워 넣는다.
로타리 조인트(250)는 메인샤프트(20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실(212)에 위치하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원기둥형 함몰부(714)와, 상기 함몰부(714)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유의 통로가 되는 외부 유압유 도입관(84)과, 메인샤프트(200)의 수직 유압유 통로(712)로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 도관(82)과, 외부 유압유 도입관(84)과 유압유 도관(82) 사이를 연통시키며 양자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도관 고정부(83)와, 유압유 도관(82)과 수직 유압유 통로(712)를 연통시키며 상기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의 하부 중앙부에 결합되는 로타리씨일도관(843)을 구비한다.
로타리 조인트(250)가 위치하는 현수 베어링실(212)은, 상하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현수 베어링실 외통(216)과, 현수 베어링실 외통(216)의 상부를 덮는 덮개(214)를 구비한다. 현수 베어링실 외통(216)의 내주면에는 고정륜(224)이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샤프트(200)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회전륜(226)은 상기 고정륜(224)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선동운동을 하게 된다. 도 3에서 C로 표시된 곳은 메인샤프트(200)가 선동운동을 할 때 선동운동의 초점에 해당하는 곳으로서 이론적으로는 전혀 움직임이 없는 곳이다.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은, 상단부에 결합용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단 밑면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이 형성되어 씨일이 끼워지고, 상부에는 대경의 원주형 공간, 하부에는 소경의 원주형 공간을 동심으로 형성하여, 상기 두 원주형 공간이 만나는 부위에는 계단부(814)가 형성된다.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의 결합용 플랜지를 메인샤프트(200) 상단에 위치시키고 볼트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계단부(814)는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의 초점(C)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의 원주형 공간의 내면(811)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842)이 형성되어 씨일(841)이 끼워지게 되며, 원주형 공간의 내면(811)은 연청동 또는 황동 등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수 베어링실의 상부의 덮개(214)의 하면 중앙에는 도관 고정부(83)가 형성되고, 이 도관 고정부(83)의 하단부에는 유압유 도관(82)이 결합되며 측면에는 외부 유압유 도입관(84)이 결합된다.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의 중심부에는 원기둥형 공간인 함몰부가 형성되고, 가요성이 있는 유압유 도관(82)의 절반 이상이 이 함몰부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원기둥 형상의 공간은, 메인샤프트(200)가 선동운동을 할 때 유압유 도관(82)이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의 내면(813)과 접촉하지 않을 만큼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타리씨일도관(843)은 파이프 형상이며, 경질의 열처리 된 재질로 형성된다. 로타리씨일도관(843)의 상부는 하부에 비하여 직경이 작고 외경에 복수 개의 이탈방지턱(8431)이 형성되어 있고, 유압유 도관(82)의 하단부를 로타리씨일도관(843)의 상부와 체결한 상태에서 유압유 도관(82)의 하단부 외주면을 조일 수 있도록 조임파이프(844)를 결합한다. 따라서, 유압유의 압력이 강하더라도 유압유 도관(82)이 로타리씨일도관(843)에서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타리씨일도관(843)은 상기 원주형 공간의 내면(811)에 끼워진다.
유압유 도관(82)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도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는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철 등의 금속선을 외주면에 감아 보강한 고무재질의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유압유 도관(82)의 하단부는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을 추종해서 미소하게 움직일 수 있으나, 상단부는 도관 고정부(83)에 결합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로타리 조인트(250)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인샤프트(200)가 선동운동을 하며 크러셔가 파쇄물을 파쇄하면, 파쇄력에 의하여 유압잭(52)의 밀대(526)와 이에 연결된 램(521)을 아래로 밀어내는 압력이 발생한다. 이 압력은 메인샤프트(200)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유압유 통로(713)와 수직 유압유 통로(712)를 통해 로타리씨일도관(843)을 상방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에 형성된 소경의 원주형 공간의 내면(811)에 위치한 오링(841) 등의 씨일부재에 의하여 로타리씨일도관(843)의 외주면이 씰링되어 유압유가 누설되지 않으며, 유압유 도관(82)은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는 저항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로타리씨일도관(843)은 유압유 도관(82)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밀려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의 초점(C)이 유압유 도관(82) 상에 위치하도록 유압유 도관(82)을 배치하면 유압유 도관(82)의 굽힘이 최소화되어서 유압유 도관(82)의 수명이 길어지고,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이 원활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로타리조인트하우징의 계단부(814) 및 로타리씨일도관(843)은 이 선동운동의 초점(C)이 위치한 곳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로타리씨일도관(843)은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을 추종해서 선동운동을 하지만, 로타리씨일도관(843) 중에서 선동운동의 초점(C) 근방에 위치한 유압유 도관(82)과의 결합부는 단지 미소하게만 움직인다. 따라서 유압유 도관(82)이 메인샤프트(200)의 선동운동을 따라 미소한 운동을 하는 데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무리가 없다.
한편, 파쇄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맨틀(321)의 외경과 콘케이브(30)의 내경 사이의 직경 차이에 기인하여 메인샤프트(200)는 저속으로 회전하는데, 로타리씨일도관(843)은 약간의 선동운동만 할 뿐 회전하지 않는다. 즉, 메인샤프트(200)에 견고히 결합되어 있는 로타리조인트하우징(81)과 오링(841) 등 씨일부재만 저속회전하며, 로타리씨일도관(843)은 오링(841)과 느린 속도로 상대운동을 하더라도 오링(841)이 로타리씨일도관(843)을 지속적으로 씰링할 수 있으므로, 유압유의 압력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메인샤프트(200)를 선동운동하게 하는 메인샤프트 구동수단으로서, 메인샤프트(20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편심구동부(260)와, 이 편심구동부(260)에 연결된 풀리와, 이 풀리를 회전시키는 벨트를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형 크러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중복설명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점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제2 실시예는 메인샤프트 구동수단이 다르며, 현수 베어링(222)을 대신하여 통상적인 베어링(104)을 사용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제2 실시예의 메인샤프트 구동수단은, 저널형 베어링(91, 92)들을 장착한 엑센트릭 스리브(95)와, 한 쌍의 베벨형 기어(102, 103)를 구비하며, 메인샤프트(200) 하단부는 이들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파쇄력의 수직분력을 메인샤프트(200) 하단 저면에 부착된 구면형 스러스트베어링(93, 94)이 지지하게 되며, 이 때문에, 경방향 힘(radial force)만을 지지하는 통상적인 베어링(104)을 메인샤프트(200) 상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유압잭(52)을 이용하여 맨틀코어 조립체(300)를 승강하는 방식이나 로타리 조인트(250)를 이용하여 선동운동을 하는 메인샤프트(200)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콘형 크러셔가 암석 등의 파쇄물을 파쇄하면 유압잭(52)이 파쇄력을 안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으며, 누유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파쇄물이 원활하게 파쇄될 수 있다. 또한,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메인샤프트(200)와 함께 저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메인샤프트(200)와 맨틀코어(320)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없고, 이로 인해 마모가 적어져서 맨틀코어(320)의 내면을 윤활성 재질로 코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콘형 크러셔에 큰 금속조각과 같이 파쇄할 수 없는 이물질이 투입되었을 때에는, 유압라인에 연통된 유압유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릴리프 밸브(미도시) 등의 작동으로 맨틀코어 조립체(300)가 하강하여 파쇄간격을 크게하기 때문에, 이물질은 쉽게 배출될 수 있고 크러셔는 손상없이 원활하게 작동을 계속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5 : 메인샤프트보호커버 37 : 그리스 씨일
51 : 파쇄간격조절받침판 52 : 유압잭
71 : 제1 키홈 72 : 키
81 : 로타리조인트하우징 82 : 유압유 도관
83 : 도관 고정부 84 : 외부 유압유 도입관
200 : 메인샤프트 210 : 현수부
212 : 현수 베어링실, 상부 베어링 실 222 : 현수 베어링
250 : 로타리조인트 300 : 맨틀코어 조립체
312 : 제2 키홈 313 : 유압잭 수용부
320 : 맨틀코어 321 : 맨틀
513 : 환형 유로 514 : 방사상 유로
515 : 수직 유로 521 : 램
523 : 유압유 통로 525 : 실린더
526 : 밀대 712 : 수직 유압유 통로
713 : 수평 유압유 통로 714 : 함몰부
843 : 로타리씨일도관

Claims (14)

  1.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상부에 안착 설치되는 한개 층 또는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의 하부 내주면 상에 고정 장착되는 콘케이브와, 하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수용되고 상단부는 상기 콘케이브를 관통하여 상기 탑 프레임에 수용되어 상, 하로는 움직이지 않으면서 선동운동을 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메인샤프트와 함께 선동운동을 하는 맨틀코어 조립체 및, 상기 메인샤프트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메인샤프트를 선동운동하도록 구동하는 메인샤프트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콘형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내부에는 유압유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에 고착되며, 상기 유압유 통로와 누유없이 연통되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파쇄간격조절받침판; 및
    상기 파쇄간격조절받침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가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측에 배열되며, 상기 유로와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압잭들;을 구비하며,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가 접촉하는 구간에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경과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내경은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대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에 구비된 맨틀코어와 상기 메인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회전방지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기구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키홈과,
    상기 제1 키홈에 결합되는 키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맨틀코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키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 키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홈의 폭은 상기 키의 폭보다 넓고,
    상기 제2 키홈과 상기 키 사이의 틈새에 삽입된 경질의 가늘고 긴 판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기구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형성된 제1 스플라인과,
    상기 맨틀코어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플라인에 끼워져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제2 스플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마모를 방지하고 먼지가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상면을 통해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상면에 설치된 메인샤프트보호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면에 설치된 그리스 씨일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부 베어링을 수용하는 상부 베어링실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유 통로로 유압유를 공급하기 위한 로타리조인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타리조인트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된 원기둥형 함몰부 내에 절반 이상 수용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유압유 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유 통로로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유 도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어링실의 상부에는 덮개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의 하면 중앙에는 도관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관 고정부에는 상기 유압유 도관과 외부 유압유 도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유 도관은 원활하게 휘어질 수 있으면서도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는 저항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선동운동의 초점은 상기 유압유 도관 상에 위치하며,
    상기 유압유 도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로타리씨일도관은 상기 선동운동의 초점이 위치한 곳보다 하방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기둥형 함몰부에 끼워지는 파이프 형상의 로타리조인트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로타리조인트하우징의 상단부에는 결합용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단 밑면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812)이 형성되어 씨일이 끼워지고,
    상부에는 대경의 원주형 공간, 하부에는 소경의 원주형 공간을 동심으로 형성하여, 상기 두 원주형 공간이 만나는 부위에는 계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선동운동의 초점이 위치한 곳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소경의 원주형 공간의 내면에는, 누유방지를 위한 씨일홈(842)이 형성되어 씨일(841)이 끼워지고, 상기 유압유 도관의 하단에 결합되는 로타리씨일도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잭들은, 밑면이 막혀 있는 폐관 형상의 램과, 상기 램보다 내경은 작고 길이는 길며 상기 램의 내부에 위치하는 밀대를 구비하고,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는 그 밑면에 상기 유압잭들을 수납하는 유압잭 수용부를 갖고,
    상기 밀대는 상기 맨틀코어 조립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램의 밑면으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상기 유압잭 수용부의 천정 하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대의 상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유압잭 수용부의 천정 중앙부와, 상기 밀대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상기 램 밑면 중앙부는, 상기 밀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형 크러셔.
KR1020120025684A 2011-04-14 2012-03-13 콘형 크러셔 KR10137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84A KR101372920B1 (ko) 2012-03-13 2012-03-13 콘형 크러셔
PCT/KR2012/002883 WO2012141560A1 (ko) 2011-04-14 2012-04-16 콘형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684A KR101372920B1 (ko) 2012-03-13 2012-03-13 콘형 크러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99A KR20130104299A (ko) 2013-09-25
KR101372920B1 true KR101372920B1 (ko) 2014-03-13

Family

ID=4945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684A KR101372920B1 (ko) 2011-04-14 2012-03-13 콘형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38A1 (ko) * 2017-11-16 2019-05-23 삼영플랜트 주식회사 지능형 콘 크러셔의 윤활 시스템
CN116213006A (zh) * 2023-01-17 2023-06-06 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圆锥破碎机及其调节式动锥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596B1 (ko) * 2013-11-14 2014-06-03 정태현 오일 비산 방지용 콘크라샤
CN103920562B (zh) * 2014-03-10 2017-01-1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锁紧式圆锥制砂机及锁紧方法
CN103920563B (zh) * 2014-03-10 2016-09-14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缸液压锁双锁式圆锥破碎机及锁紧方法
CN103920564B (zh) * 2014-03-10 2016-09-14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多缸液压锁双锁式圆锥制砂机及锁紧方法
CN103920560B (zh) * 2014-03-10 2017-07-2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锁紧垫片及锁紧方法
CN103920561B (zh) * 2014-03-10 2017-05-24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压锁紧式圆锥破碎机及锁紧方法
CN104525304A (zh) * 2014-12-31 2015-04-22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圆锥破碎机的动锥旋摆结构
CN104525306A (zh) * 2014-12-31 2015-04-22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用于破碎石料的圆锥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2530A1 (en) 2004-04-26 2005-11-03 Metso Minerals (Tampere) Oy Hydraulically adjustable cone crusher
WO2009065995A1 (en) * 2007-11-20 2009-05-28 Metso Minerals Inc. Crush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2530A1 (en) 2004-04-26 2005-11-03 Metso Minerals (Tampere) Oy Hydraulically adjustable cone crusher
WO2009065995A1 (en) * 2007-11-20 2009-05-28 Metso Minerals Inc. Crush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8438A1 (ko) * 2017-11-16 2019-05-23 삼영플랜트 주식회사 지능형 콘 크러셔의 윤활 시스템
CN116213006A (zh) * 2023-01-17 2023-06-06 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圆锥破碎机及其调节式动锥总成
CN116213006B (zh) * 2023-01-17 2023-08-15 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圆锥破碎机及其调节式动锥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99A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920B1 (ko) 콘형 크러셔
FI117325B (fi) Hydraulisesti säädettävä kartiomurskain sekä murskaimen aksiaalilaakeriyhdistelmä
US9050601B2 (en) Cone-shaped crusher
EP2698206B1 (en) Cone-shaped crusher
EP0022232B1 (en) Cone crusher
EP2965818B1 (en) Cone shaped crusher
US6536693B2 (en) Rock crusher seal
CN104437728B (zh) 一种单缸式圆锥破碎机
JP2022528638A (ja) コーンクラッシャ
US7263925B1 (en) Hydraulic axial piston machine
KR101198584B1 (ko) 콘형 크러셔
CN204380755U (zh) 一种圆锥式破碎机
AU2010200018B2 (en) No-load bearing for a cone crusher
KR101289976B1 (ko) 콘형 크러셔
CN104525303B (zh) 一种圆锥式破碎机
KR101198484B1 (ko) 콘형 크러셔
RU2813751C2 (ru) Конусная дробилка
CN104475187A (zh) 单缸圆锥破碎机
RU2332595C1 (ru) Упорный подшипник винтового забойного двигателя
GB2444783A (en) Tapered piston cap in diaphragm actu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