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591B1 -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 Google Patents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591B1
KR101372591B1 KR1020110137190A KR20110137190A KR101372591B1 KR 101372591 B1 KR101372591 B1 KR 101372591B1 KR 1020110137190 A KR1020110137190 A KR 1020110137190A KR 20110137190 A KR20110137190 A KR 20110137190A KR 101372591 B1 KR101372591 B1 KR 10137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body
roll
rotational force
power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0056A (ko
Inventor
한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3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9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0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7Rolls;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축에 연계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롤몸체와 일측은 상기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롤몸체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제공되는 제2 롤몸체 및 상기 제1 롤몸체와 제2 롤몸체사이에 위치하며 연결토록 제공되는 회전력 전달부 및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외측 둘레에 따라 조립되고, 고온소재의 이동시 상기 회전력 전달부가 받게 되는 부하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롤베어링의 조립불량 또는 주편의 정하중으로 인해 롤베어링이 결손되어 궁극적으로 핀치롤의 파손되는 경우에 핀치롤의 교체를 용이토록 하고 핀치롤 일부의 교체만으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단가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Multi dividing Pinch roll for segment of contious casting}
본 발명은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연속주조공정 중 롤베어링의 조립불량 등으로 롤에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 롤 일부만을 교체토록 하여 단가 절감 및 교체 작업능률을 향상토록 구성된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continuous casting process)은 일정한 형상의 주형에 용강을 연속적으로 주입하고, 주형 내에서 반응고된 주편을 연속적으로 주형의 하측으로 인발하여 슬래브(slab), 블룸(bloom), 빌릿(billet)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연주공정이 수행되는 일반적인 연속주조기(이하, '연주기'라 함)의 개략적인 구성과, 연주기에 구비되는 세그먼트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연주기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molten steel)이 담기는 래들(ladle; 2)과, 래들(2)에 연결되는 주입노즐을 통해 용강을 공급받고, 이를 일시 저장하는 턴디쉬(tundish; 3)와, 턴디쉬(3)에 일시 저장된 용강을 전달받아 일정한 형상으로 초기 응고시키는 주형(mold; 4) 및 주형(4)의 하부에 구비되어 미응고된 주편(5)을 냉각시키면서 일련의 성형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수의 세그먼트(segment; 10)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냉각라인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를 참고하면,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장착되는 핀치롤(10)의 형상을 볼 수 있다. 상기 핀치롤(10)은 일측이 구동축(14)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의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1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10)의 중앙부에는 상기 핀치롤(10)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연속주조용 세그먼트로 이동되는 주편(5)으로 인해 받게되는 하중을 보완토록 롤베어링(1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롤베어링(16)은 주편의 이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의 핀치롤(11,12)보다 높이가 낮게 제공된다.
그런데 간혹 롤베어링(16)의 조립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주편(5)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에 롤베어링(16)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핀치롤(10)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지게 되며, 결국 핀치롤(10) 전체를 교체해야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핀치롤(10)의 교체단가비용을 증가시키며 작업자에 의한 교체작업의 효율면에서도 좋은 않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롤베어링의 조립불량 또는 주편의 정하중으로 인해 롤베어링이 결손되어 궁극적으로 핀치롤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 핀치롤의 교체를 용이토록 하고 핀치롤 일부의 교체만으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단가비용을 절감토록 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은 연속주조 세그먼트에 제공되되, 다분할되고 서로 회전력이 전달되며 대상물을 이송토록 하는 제1,2 롤몸체 및 상기 제1,2 롤몸체의 경계부에 제공된 회전력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는 상기 제1 롤몸체와 제2 롤몸체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롤몸체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몸체로 전달토록 제공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롤몸체에 제공되고 냉각매체가 이동토록 통로가 구비된 원통형 체결돌기 및 상기 제2 롤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결합토록 제공되는 체결홈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롤몸체에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동력전달부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 롤몸체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반경에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홈을 교대로 구비된 제1 동력전달블럭 및 상기 제2 롤몸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과 돌기가 구비되어 연계되며 회전력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제2 동력전달블럭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외측 둘레에 따라 조립되고, 고온소재의 이동시 상기 회전력 전달부가 받게 되는 부하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연결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지지부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베어링유닛과 상기 회전력 전달부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유닛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링 및 싱기 베어링유닛의 상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유닛를 상부에서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블럭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롤몸체와 제2 롤몸체의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온소재로 인해 가열될 시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매체 통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롤베어링의 조립불량 또는 주편의 이동시 발생되는 정하중에 의한 결손으로 인해 핀치롤의 파손시 핀치롤의 일부만을 교체토록 하여 교체작업의 능률을 향상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롤의 일부만을 교체하기 때문에 핀치롤 교체시 발생되는 단가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세그먼트가 배치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핀치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핀치롤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에서 제2 롤몸체와 제1 롤몸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가 완전히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연결지지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롤베어링의 조립불량 또는 주편의 하중으로 인한 결손으로 인해 핀치롤의 파손발생시 교체 용이하고 일부의 교체만으로도 재사용이 가능하며 교체 단가비용을 절감토록 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핀치롤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에서 제2 롤몸체와 제1 롤몸체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연결부가 완전히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 연결지지부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연속주조 세그먼트 다분할 핀치롤(100)의 일 실시예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축에 연계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롤몸체(120)와 일측은 상기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제공되는 제2 롤몸체(130) 및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사이에 위치하며 연결토록 제공되는 회전력 전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분할 핀치롤(100)은 기본적으로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하나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에 장착된 다분할 핀치롤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에 연결된 상기 제1 롤몸체(120)이다.
상기 제1 롤몸체(120)의 일단은 구동축(14)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1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고온소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롤몸체(120)에서 상기 구동축(14)과 연계된 부분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롤몸체(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롤베어링(15)이 설치된다.
상기 롤베어링(15)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의 일단에 구비되는 부분이고, 반대측에 배치된 롤베어링(13)과 연계하여 다분할 핀치롤(1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그 사이로 고온소재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연계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며 고온소재를 이동토록 제공되는 상기 제2 롤몸체(130)이다. 상기 제2 롤몸체(130)의 일측은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의 일단에 장착된다.
더하여, 또다른 하나는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를 연결하는 연결부(110)이며,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체결부(210) 및 상기 체결부(2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롤몸체(1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몸체(130)로 전달토록 제공되는 동력전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 위치하는 원통형 체결돌기(211) 및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돌기(211)에 결합토록 상기 체결돌기(212)의 형상에 대응토록 형성된 체결홈(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23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차 호의 길이가 증대되는 부채꼴 형태의 복수의 돌기(232)와 홈(233)을 교대로 구비된 제1 동력전달블럭(231) 및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235)과 돌기(236)가 구비되어 연계되며 회전력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제2 동력전달블럭(2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롤몸체(120)의 일측에는 원통형 체결돌기(21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돌기(211)는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돌기(21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체결홈(215)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211)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서 돌출되어 제공되며, 상기 체결홈(215)은 상기 제2 롤몸체(130)에서 안쪽으로 들여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돌기(211)는 상기 제2 롤몸체(130)의 안쪽으로 일정범위까지 미끄러지며 들어와 상기 체결홈(215)에 결합되며 연계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211)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체결링(21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링(212)은 상기 체결홈(215)에 단단히 밀착되어 상기 체결돌기(211)와의 결합력을 유지토록 제공된다. 상기 체결링(212)의 재질은 고무 등의 마찰력을 가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은 상기 제1 롤몸체(120)에서 상기 체결돌기(211)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은 상기 체결돌기(211)에서 내부에서 외부로 갈수록 점차 호의 길이가 증대되는 복수의 돌기(232)와 홈(233)을 교대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롤몸체(130)에 가공되어 제공되는 제2 동력전달블럭(234)은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돌기(232)와 홈(2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교대로 홈(235)과 돌기(236)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돌기(211)가 상기 체결홈(215)에 미끄러져 들어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과 제2 동력전달블럭(234)은 연결되게 되고 상기 제1 롤몸체(120)가 상기 구동축(14)으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맞물리는 상기 복수의 돌기와 홈은 클러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체결부(210)와 동력전달부(230)가 연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롤몸체(12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돌기와 맞물린 홈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제2 롤몸체(130)도 함께 회전한다. 이때 연속주조용 세그먼트의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에 의해 본 발명의 다분할 핀치롤(100) 상부로 고온소재가 이동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다분할 핀치롤(100)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조립되고, 고온소재의 이동시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가 받게 되는 부하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연결지지부(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지지부(300)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베어링유닛(310)와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유닛(310)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링(320) 및 싱기 베어링유닛(310)의 상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유닛(310)를 상부에서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블럭(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유닛(310)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부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내륜베어링(311)와 상기 내륜베어링(311)의 상단에서 둘레에 따라 장착되고 중앙돌기(313c)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복수의 볼(313b)이 구비된 듀얼베어링(313) 및 상기 듀얼베어링(313)의 상단에서 둘레에 따라 장착되는 외륜베어링(3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에 접촉하여 외측 둘레에 따라 상기 베어링유닛(3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유닛(310)의 가장 하단, 즉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에 접촉되는 위치에는 상기 내륜베어링(311)이 설치된다.
상기 내륜베어링(311)의 하단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원형의 형상으로 가공되며, 상단은 상기 듀얼베어링(313)에 설치된 복수의 롤(313b)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륜베어링(311)의 상부에는 상기 듀얼베어링(313)이 설치된다. 상기 듀얼베어링(313)은 중앙부와 양단으로 회전바(미도시)가 복수로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회전바가 상기 복수의 롤(313b)의 회전축을 관통하며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롤(313b)은 상기 회전바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에 접촉 연결되어 있는 내륜베어링(311)도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듀얼베어링(313)의 상부에는 외륜베어링(315)이 설치된다. 상기 외륜베어링(315)의 하단은 상기 듀얼베어링(313)에 구비된 롤(313b)이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돌출부가 있어 상기 듀얼베어링(313)에서 중앙돌기(313c)를 지지해주며, 양단으로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복수의 롤(313b)이 위치할 수 있게끔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 베어링유닛(310)의 양측으로 상기 지지링(320)이 장착된다. 상기 지지링(320)은 상기 베어링유닛(310)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의 양단에 밀착되며 제공된다. 그에 따라 상기 베어링유닛(310)가 회전 중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320)과 베어링유닛(310)의 상단으로는 지지블럭(330)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블럭(330)은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보다 낮은 높이를 형성하는데, 이는 고온소재의 이동시 상기 지지블럭(330)에 부딪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지지부(300)에 의해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 롤몸체(120)에서 상기 구동축(14)으로 받은 회전력을 원활히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인 다분할 핀치롤(100)은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의 내부에 위치하며, 고온소재로 인해 가열될 시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매체 통로(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매체 통로(14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10)에서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 제공되는 상기 체결돌기(211) 중앙부에 원형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롤몸체(130)의 체결홈(215)에 중앙에 형성된 원형홀에 연계되면서 일측에서 공급되는 냉각매체가 내부를 이동하면서 고온소재의 이동에 의해 가열된 핀치롤을 냉각토록 한다.
이상의 사항은 연속주조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10...연결부 120...제1 롤몸체
130...제2 롤몸체 140...냉각매체 통로
200...회전력 전달부 210...체결부
211...체결돌기 215...체결홈
230...동력전달부 231...제1 동력전달블럭
234...제2 동력전달블럭 300...연결지지부
310...베어링유닛 320...지지링
330...지지블럭

Claims (7)

  1. 연속주조 세그먼트에 제공되되, 다분할되고 서로 회전력이 전달되며 주편을 이송토록 하는 제1,2 롤몸체(120,130);
    상기 제1,2 롤몸체(120,130) 경계부에 제공된 회전력 전달부(200);
    상기 제1 롤몸체와 제2 롤몸체의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온소재로 인해 가열될 시 냉각토록 제공되는 냉각매체 통로(140); 및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조립되고, 고온소재의 이동시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이 받게 되는 부하에 의한 파손을 방지토록 제공되는 연결지지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와 제2 롤몸체(130)를 결합토록 제공되는 체결부(210); 및
    상기 체결부(2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롤몸체(120)의 회전력을 상기 제2 롤몸체(130)로 전달토록 제공되는 동력전달부(230); 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21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 제공되고 상기 냉각매체 통로(140)를 연결하는 통로가 구비된 원통형 체결돌기(211); 및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돌기(2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결합토록 제공되는 체결홈(215);
    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몸체에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동력전달부보다 돌출 형성되는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30)는,
    상기 제1 롤몸체(120)에 위치하고 내부에서 외부로 반경에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232)와 홈(233)을 교대로 구비된 제1 동력전달블럭(231); 및
    상기 제2 롤몸체(130)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동력전달블럭(231)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235)과 돌기(236)가 구비되어 연계되며 회전력을 전달토록 제공되는 제2 동력전달블럭(234);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300)은,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베어링유닛(310);
    상기 회전력 전달부(200)의 외측 둘레에 따라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유닛(310)의 양측을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링(320); 및
    싱기 베어링유닛(310)의 상단 둘레에 따라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유닛(310)를 상부에서 지지토록 제공되는 지지블럭(330);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7. 삭제
KR1020110137190A 2011-12-19 2011-12-19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KR10137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90A KR101372591B1 (ko) 2011-12-19 2011-12-19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190A KR101372591B1 (ko) 2011-12-19 2011-12-19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56A KR20130070056A (ko) 2013-06-27
KR101372591B1 true KR101372591B1 (ko) 2014-03-11

Family

ID=4886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190A KR101372591B1 (ko) 2011-12-19 2011-12-19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5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457U (ja) * 1983-07-28 1985-02-19 川崎製鉄株式会社 兼用型連続鋳造装置の鋳片引抜き装置
JPH08174169A (ja) * 1994-12-21 1996-07-09 Kawasaki Steel Corp ツインキャスト型連続鋳造装置の鋳片引抜き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46410A (ja) * 1999-02-26 2000-09-12 Ntn Corp 連続鋳造設備のロール支持装置
JP2002172452A (ja) * 2000-09-22 2002-06-18 Sms Demag Ag 特にローラ・ハース炉のための冷却可能な炉ローラ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457U (ja) * 1983-07-28 1985-02-19 川崎製鉄株式会社 兼用型連続鋳造装置の鋳片引抜き装置
JPH08174169A (ja) * 1994-12-21 1996-07-09 Kawasaki Steel Corp ツインキャスト型連続鋳造装置の鋳片引抜き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0246410A (ja) * 1999-02-26 2000-09-12 Ntn Corp 連続鋳造設備のロール支持装置
JP2002172452A (ja) * 2000-09-22 2002-06-18 Sms Demag Ag 特にローラ・ハース炉のための冷却可能な炉ローラ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056A (ko)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14898A1 (en) Slab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CN101374618B (zh) 双辊铸机
US9782824B2 (en)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KR102208553B1 (ko) 알루미늄 인고트 연속주조장치
KR101372591B1 (ko) 세그먼트용 다분할 핀치롤
US10661336B2 (en) Casting mold supporting structure
EP3517231A1 (en) Molds, mold sets and casting apparatus
KR20090067620A (ko) 롤 냉각 장치
KR101264605B1 (ko) 고온소재 가이드 롤 장치
KR200330991Y1 (ko) 플렉시블 베어링을 이용한 미니밀 세그먼트의 셀 타입가이드롤
JP2012240058A (ja) 連続鋳造設備のガイドロールセグメント
CN102873292B (zh) 引导辊
CN214517468U (zh) 一种便于维护的铸铁机
CN105636722A (zh) 用于连续铸造的轧制线组件
KR20140002097A (ko)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연속주조기
JP5909000B1 (ja) 鋳型支持構造、鋳造機、鋳造物の製造方法および鋳型
US20120012273A1 (en) Operating method for twin-roll casting machine, and side weir supporting device
CN112808963A (zh) 一种大型离心铸造机的离心铸型的轴向定位装置
KR101482331B1 (ko) 가이드 롤러
KR101858834B1 (ko) 세그먼트 롤 장치
JP2014015999A (ja) 固定装置、転がり軸受固定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用固定装置を適用した連続鋳造用ロール装置
JP2008069823A (ja) 自動調心ころ軸受および連続鋳造設備のローラ支持構造
KR20130055856A (ko) 고온소재 가이드 롤 장치
KR101246254B1 (ko) 브랜딩 리클레이머용 가이드롤러
KR20150073305A (ko)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