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139B1 -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139B1
KR101372139B1 KR1020120009386A KR20120009386A KR101372139B1 KR 101372139 B1 KR101372139 B1 KR 101372139B1 KR 1020120009386 A KR1020120009386 A KR 1020120009386A KR 20120009386 A KR20120009386 A KR 20120009386A KR 101372139 B1 KR101372139 B1 KR 101372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washing
water
washing tank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259A (ko
Inventor
하상도
김석원
이나영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1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23L3/3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살균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세척장치가 개시된다. 피처리물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살균 세척방법은, 세척조에 수용된 세척수에 피처리물을 침지시키는 단계,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단계, 및 세척수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독제의 공급 및 초음파의 방사는 동시에 진행된다.

Description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TERILIZING AND WASHING}
본 발명은 살균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살균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인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소에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위해 인자가 있으며, 이 중 안전성에 가장 큰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위해 미생물이다.
대부분의 미생물은 비병원성으로 이들이 인체에 직접 장해를 주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일부 위해 미생물의 경우 식품의 신선도를 저하시키거나 변질을 일으키게 된다. 가령, 이러한 위해 미생물은 소량이 존재하더라도 장관계급성 염증, 식중독, 장친화성 바이러스성 질환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안전한 식품을 확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에 식품이 오염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식품 자체의 오염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오염된 식품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식품으로부터 오염된 위해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세척에 의한 제거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효율적일 수 있으나, 미생물, 화학물질 등 미세하거나 부착성이 강한 물질은 단순 세척에 의한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식품으로부터 오염된 위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도입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 국민들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웰빙과 관련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육식보다 채식, 가공식품보다 자연식품을 더 선호하는 추세로 시장이 변화되어 가고 있으며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대규모 레스토랑과 샐러드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시장이나 마트 등에서 구입하여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신선편의 식품의 소비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대형급식시설 및 대형 유통업체에서 대규모로 채소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소독 및 세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채소류에 잔류한 유해미생물과 농약 등 유해물질로 인해 각종 질병이 유발될 수 있고 감염자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7553호(2006.05.26.)와 같이, 유기농, 신선 편의식품 등과 같은 식품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식품 자체의 영양성분 및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살균 세척장치에 대한 일부 대책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살균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식품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식품 자체의 영양성분 및 품질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살균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물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살균 세척방법은, 세척조에 수용된 세척수에 피처리물을 침지시키는 단계,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단계, 및 세척수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독제의 공급 및 초음파의 방사는 동시에 진행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피처리물이라 함은 살균 및 세척 처리가 이루어지는 대상물로서, 통상의 식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용기 또는 장비들도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에 공급되는 소독제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 소독제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세척수는 세척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그 후, 피처리물에는 샤워수가 공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동시에 샤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샤워수가 공급되는 동안 세척수 중 일부는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물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살균 세척장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조,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소독제 공급부, 및 세척수 상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세척수에 피처리물이 침지된 상태에서 소독제가 공급됨과 동시에 초음파가 방사된다.
세척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세척조는 외부세척조, 및 외부세척조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부세척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독제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처리 환경에 따라 다양한 소독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소독제로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이 사용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로서는 세척수 상에 초음파를 방사 가능한 다양한 초음파 발생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초음파 발생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초음파 발생부는 복수개의 진동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진동자는 외부세척조 및 내부세척조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진동자를 내부세척조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자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진동자 중 적어도 일부는 소독제 투입구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초음파를 세척수 상에 방사할 때 세척수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기포에 의해 소독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소독제가 세척수 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한다.
세척조에는 세척조에 공급된 소독제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농도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농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독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척조에는 샤워수를 공급하기 위한 샤워수 공급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샤워수 공급부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세척조에서 세척수를 배출한 후 피처리물 상에 직접 샤워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동시에 샤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샤워수가 공급되는 동안 세척수 중 일부는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조의 내부에는 내부 트레이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피처리물은 내부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세척수에 침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살균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제 처리와 초음파 처리를 병용하여, 소독제 처리와 초음파 처리 중 어느 한가지만으로 처리할 경우보다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각종 미생물 및 세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살균 및 세척 처리시 피처리물의 영양성분 변화 및 상품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피처리물의 저장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유기농 및 신선편의식품의 살균 및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살균 및 세척 처리에 의한 영양성분 변화 및 상품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제 처리와 초음파 처리를 병용하되, 초음파에 의해 세척수에 투입된 소독제가 세척수 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함으로써, 살균 및 세척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제 및 초음파를 이용한 병용 처리가 완료된 후, 피처리물에 샤워수가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피처리물에 잔류될 수 있는 미생물 및 각종 잔류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제 및 초음파를 이용한 병용 처리와 동시에 샤워수가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살균 및 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에 의한 처리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장치는 세척조(100), 소독제 공급부(400) 및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며, 소독제 및 초음파를 동시에 이용하여 피처리물을 살균 및 세척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처리물이라 함은 살균 및 세척 처리가 이루어지는 대상물로서, 통상의 식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외 다른 용기 또는 장비들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100)는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세척조(100)가 하부 세척조(200) 및 상부 세척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 세척조(200)는 외부세척조(210) 및 내부세척조(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세척조(220)는 외부세척조(2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공되어 외부세척조(210)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세척조(200)의 일측에는 세척수 공급부(1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는 하부 세척조(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110)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미도시) 및 세척수 저장부와 하부 세척조(200)를 연결하는 세척수 연결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수 연결라인 상에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밸브 및 필터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세척조(200)의 외면에는 파장, 세기, 시간 및 온도 등에 관련된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0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부 상에는 각종 기능에 관련된 조절을 위한 조절부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소독제 공급부(400)는 하부 세척조(2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소독제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처리 환경에 따라 다양한 소독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독제로서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독제 공급부(400)는 소독제가 저장되는 소독제 저장부(미도시) 및 소독제 저장부와 하부 세척조(200)를 연결하는 소독제 연결라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소독제 연결라인에도 역시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부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세척조(200)의 저면에 두개의 소독제 투입구가 형성되며, 각각의 소독제 투입구를 통해 소독제가 동시에 투입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세척조의 측면에 소독제 투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소독제 투입구의 개수 및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세척수 상에 소독제가 공급됨과 동시에 세척수 상에 초음파를 방사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초음파 발생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복수개의 진동자(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진동자(500)가 하부 세척조(200)의 외부세척조(210) 및 내부세척조(220)의 사이에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진동자(500)를 내부세척조(22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진동자(50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등이 연결되기 때문에 내부세척조(220)의 외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세척조(210)와 내부세척조(220)의 사이에는 진동자 설치부(5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진동자(500)는 진동자 설치부(510) 상에 모듈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진동자 설치부를 배제하고 진동자가 내부세척조의 외면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동자(500)의 장착 위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진동자(500)는 내부세척조(220)의 저면 및 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진동자(500) 중 적어도 일부는 전술한 소독제 투입구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초음파를 세척수 상에 방사할 때 세척수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기포에 의해 소독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소독제가 세척수 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 세척조(200)에는 세척조(100)에 공급된 소독제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농도센서(70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농도센서(700)에서 측정된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독제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농도센서(70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신호에 따라 통상의 제어부(800)에 의한 제어에 의해 소독제 공급부(400)로부터의 소독제 공급이 조절 또는 중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 소독제의 공급량 뿐만 아니라, 소독제에 의한 처리시간 역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독제에 의한 처리 시간은 5분 이내로 설정될 수 있으나,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 처리 시간이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조(100)에는 샤워수를 공급하기 위한 샤워수 공급부(60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샤워수 공급부(600)는 상부 세척조(300) 상에 제공되어 하부로 샤워수를 공급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세척조 상에 샤워수 공급부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샤워수 공급부(600)는 샤워수가 저장되는 샤워수 저장부 및 샤워수 저장부와 상부 세척조(300)를 연결하는 샤워수 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라인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샤워노즐(6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워수 공급부(600)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세척조(100)에서 세척수를 배출한 후 피처리물 상에 직접 샤워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동시에 샤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샤워수가 공급되는 동안 세척수 중 일부는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샤워수 공급부에 의한 피처리물의 샤워 횟수, 다시 말해서, 샤워수가 분사되는 횟수는 피처리물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비교적 세척이 용이한 피처리물의 경우 1~2번 정도 샤워 공정이 진행될 수 있지만, 비교적 세척이 까다로운 피처리물의 경우에는 3번 이상 샤워 공정이 진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100)의 내부에는 내부 트레이(900)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피처리물은 내부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세척수에 침지될 수 있다. 상기 내부 트레이(900)는 통상의 망(net)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 트레이(900)의 재질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은, 세척조(100)에 수용된 세척수에 피처리물을 침지시키는 단계(S10), 상기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단계(S20), 및 상기 세척수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되, 상기 소독제의 공급 및 초음파의 방사는 동시에 진행된다.
또한, 전술한 농도센서(700)를 이용하여 세척수에 공급되는 소독제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S40)할 수 있으며, 소독제의 농도에 따라 소독제의 공급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상에 초음파의 방사가 진행되는 동안 소독제는 일정한 농도 조건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세척수는 세척조(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그 후, 피처리물에는 샤워수가 공급될 수 있다.(S50) 예를 들어, 상기 샤워수는 피처리물 상에 잔류될 수 있는 농약 또는 소독제 잔류 성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독제 및 초음파에 의한 피처리물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동시에 샤워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샤워수가 공급되는 동안 세척수 중 일부는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세척방법에 의한 처리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es),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크로노박터 사카자키(Cronobacter sakazakii)를 스테인리스(SUS) 재질의 용기에 각각 접종한 후, 진동자(500)에 37kHz, 1200W 조건으로 전압과 전력을 최대 100분간 공급하여 초음파 처리를 함과 동시에, 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를 0~200ppm 조건으로 사용하여 병용 처리한 경우 시너지 효과(synerge effec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초음파 및 소독제를 병용처리한 경우에는 초음파 또는 소독제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4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처리 조건별로 각 병원성 미생물별 감소값(reduction value)를 확인하여 각각의 최대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초음파(100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200ppm)의 조건으로 병용 처리할 경우 최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도 7과 같이, 세리우스균(Bacillus cereus)의 경우 초음파(80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100ppm)의 조건으로 병용 처리할 경우 최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초음파 및 소독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 value)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Synergy effect value = A - (B + C)
여기서, A는 초음파 및 소독제(차아염소산나트륨)의 병용 처리에 의한 대수 감소값(Log reduction)이고, B는 초음파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대수 감소값이며, C는 소독제(차아염소산나트륨)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대수 감소값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3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Escherichia coli),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es), 세리우스균(Bacillus cereus), 크로노박터 사카자키(Cronobacter sakazakii)를 양상추(Iceberg lettuce)에 각각 접종한 후, 진동자(500)에 37kHz, 1200W 조건으로 전압과 전력을 최대 100분간 공급하여 초음파 처리를 함과 동시에, 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를 0~200ppm 조건으로 사용하여 병용 처리한 경우 시너지 효과(synerge effect)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초음파 및 소독제를 병용처리한 경우에는 초음파 또는 소독제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초음파 및 소독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시너지 효과는 전술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처리 조건별로 각 병원성 미생물별 감소값(reduction value)를 확인하여 각각의 최대 시너지 효과를 보여주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이, 대장균(Escherichia coli)의 경우 초음파(80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50ppm)의 조건으로 병용 처리할 경우 최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고, 도 13과 같이, 크로노박터 사카자키(Cronobacter sakazakii)의 경우 초음파(100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200ppm)의 조건으로 병용 처리할 경우 최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세척조 200 : 하부 세척조
300 : 상부 세척조 400 : 소독제 공급부
500 : 진동자 600 : 샤워수 공급부
700 : 농도센서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피처리물을 살균 및 세척하기 위한 살균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수가 수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수에 소독제를 공급하는 소독제 공급부; 및
    상기 세척조로 상기 소독제가 투입되는 소독제 투입구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세척수 상에 초음파를 방사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에 피처리물이 침지된 상태에서 상기 소독제가 공급됨과 동시에 초음파가 방사되되, 상기 소독제는 상기 진동자에 의해 상기 세척수 상에 방사되는 초음파를 따라 상기 세척수 상에 퍼져나가며,
    상기 소독제 및 상기 초음파의 병용 처리에 의한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 value)는 하기 수학식[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장치.

    수학식[1]
    Synergy effect value = A - (B + C)
    (단, A는 초음파 및 소독제의 병용 처리에 의한 대수 감소값(Log reduction)이고, B는 초음파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대수 감소값이며, C는 소독제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대수 감소값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에 공급된 상기 소독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농도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상기 소독제의 공급량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샤워수를 공급하는 샤워수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장치.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수용되는 내부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피처리물은 상기 내부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세척수에 침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외부세척조; 및
    상기 외부세척조의 내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내부세척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외부세척조 및 상기 내부세척조의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세척장치.
KR1020120009386A 2012-01-31 2012-01-31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KR101372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86A KR101372139B1 (ko) 2012-01-31 2012-01-31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386A KR101372139B1 (ko) 2012-01-31 2012-01-31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259A KR20130088259A (ko) 2013-08-08
KR101372139B1 true KR101372139B1 (ko) 2014-03-12

Family

ID=4921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386A KR101372139B1 (ko) 2012-01-31 2012-01-31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81B1 (ko) 2021-05-31 2021-08-30 백동윤 스크린 바스켓의 협잡물 제거용 친환경 세척제 조성물 및 그 세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8443A (zh) * 2023-03-17 2023-06-23 郑州润丰蔬菜有限公司 一种豆粒自动洗泡、分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21A (ja) 2003-06-02 2004-12-24 Akiyasu Inaba 殺菌浄化装置
JP2005333842A (ja) * 2004-05-25 2005-12-08 Shinshokuken 食材洗浄殺菌装置及び食材洗浄殺菌法
KR20060057553A (ko) * 2006-04-24 2006-05-26 이화용 초음파살균세척기
KR100912752B1 (ko) 2008-08-01 2009-08-18 최재호 근류 약초의 보존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7521A (ja) 2003-06-02 2004-12-24 Akiyasu Inaba 殺菌浄化装置
JP2005333842A (ja) * 2004-05-25 2005-12-08 Shinshokuken 食材洗浄殺菌装置及び食材洗浄殺菌法
KR20060057553A (ko) * 2006-04-24 2006-05-26 이화용 초음파살균세척기
KR100912752B1 (ko) 2008-08-01 2009-08-18 최재호 근류 약초의 보존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681B1 (ko) 2021-05-31 2021-08-30 백동윤 스크린 바스켓의 협잡물 제거용 친환경 세척제 조성물 및 그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259A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tto et al. Physical methods for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surfaces
Bilek et al. Decontamination efficiency of high power ultrasound in the fruit and vegetable industry, a review
US20060102193A1 (en) Ultrasonic cleaning and washing apparatus for fruits and vegetables and a method for the use thereof
Alenyorege et al. Reduction of Listeria innocua in fresh-cut Chinese cabbage by a combined washing treatment of sweeping frequency ultrasound and sodium hypochlorite
US8048231B1 (en) Handheld sterilization device
JP2011522683A (ja) 超音波洗浄方法および装置
Katsigiannis et al. Cold plasma for the disinfection of industrial food‐contact surfaces: An overview of current status and opportunities
Park et al. Synergistic Effects of NaOCl and Ultrasound Combination on the Reduction of E s 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in Raw Laver
JP2002085036A (ja) 洗浄機
JP2002186472A (ja) 洗浄機
JP2011255271A (ja) 超音波洗浄装置
KR101372139B1 (ko) 살균 세척장치 및 방법
JP2018027025A (ja) 農産物のオゾン、エチレンガス処理装置及びその農産物の流通システム
US202002054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ith high-frequency acoustic waves
Doona et al. Combining sanitizers and nonthermal processing technologies to improve fresh-cut produce safety
KR101085458B1 (ko)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과채류의 복합살균소독방법
Pao et al. Produce washers
Chong et al. The possibilities of using ultrasonically activated streams to reduce the risk of foodborne infection from salad
EP2572587A1 (en) Method for sanitizing through ozonization and for packaging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WO2014193315A1 (en) Ultrasonic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and method
JPH02200142A (ja) 食品滅菌装置
US10258069B2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food or medical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JP2001017144A (ja) 洗浄機
Gökmen et al. Current approaches in water-assisted systems for foodborne microbial inactivation: A review
TWM496997U (zh) 氫氧氣消毒殺菌清洗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