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991B1 -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 Google Patents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991B1
KR101371991B1 KR1020080079492A KR20080079492A KR101371991B1 KR 101371991 B1 KR101371991 B1 KR 101371991B1 KR 1020080079492 A KR1020080079492 A KR 1020080079492A KR 20080079492 A KR20080079492 A KR 20080079492A KR 101371991 B1 KR101371991 B1 KR 101371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wiper
windshield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754A (ko
Inventor
김증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9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9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위치로 이동할 때 INT(intermittent) 신호 라인이 접지(ground; GND)를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멀티 펑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앞유리 열선을 동작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즉,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로우 또는 하이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INT 신호 라인이 접지를 유지하면 앞유리 열선이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멀티 펑션 스위치, 와이퍼, 앞유리 열선 스위치, 센터 패시어

Description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Multi function switch having front deicer switch}
본 발명은 멀티 펑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앞유리 열선을 동작시키는 구조를 구현하여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된 경우 앞유리 열선이 자동으로 동작하고, 와이퍼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앞유리 열선 동작을 자동으로 중지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와이퍼 스위치는 주로 눈비가 올 때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유리 또는 뒷유리를 닦는 와이퍼를 작동하는 스위치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앞유리 또는 뒷유리 와셔액을 분사하는 스위치도 자동차용 와이퍼 스위치에 함께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가동 콘택트 및 고정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멀티 펑션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0)를 이루는 스위치 커버(11)와 스위치 바 디(12) 사이에 스위치 레버(13)의 끝단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13)를 조향 핸들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해당하는 작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위치 레버(13)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와이퍼의 ON/OFF 작동 등의 와이퍼 움직임을 조작하고, 스위치 레버(13)를 전방 방향으로 당길 경우에 와셔액을 분사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13)에 구비된 미들 노브(14)를 회전시킬 경우에 와이퍼가 간헐적으로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하고, 끝단의 조작 노브(15)를 회전시킬 경우에 뒤쪽 유리의 와이퍼 작동 및 와셔액 분사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가동 콘택트 및 고정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13)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치 레버(13) 끝단부(2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22)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와이퍼 가동체(22)에 구비된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23b)도 함께 움직이면서 스위치 바디(12)에 구비된 고정단자(24)와 접촉 부분이 변경되면서 와이퍼 작동 모드가 변경 및 선택된다.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는 MIST 모드, INT(intermittent) 모드(또는 자동(auto) 모드) 등을 위해 사용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23b)는 LO 모드, OFF 모드, HI 모드 등을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MIST 모드는 안개, 이물질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릴 때 와이퍼를 작동시키고, OFF 모드는 와이퍼를 정지시키고, INT(intermittent) 모드는 약한 비가 내려 간헐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키고, LO 모 드, HI 모드는 강한 비가 내려 연속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고정단자(24)는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와 접촉하는 MIST 접점(24a), INT 접점(24b), IG 접점(24c, 24d)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23b)와 접촉하는 HI 접점(24e), LO 접점(24f, 24g), PARK 접점(24h, 24i), IG 접점(24j)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OFF 모드일 때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는 IG 접점(24c, 24d)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23b)는 PARK 접점(24h) 및 LO 접점(24g)에 접촉한다.
OFF 모드에서 MIST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13)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13) 끝단부(2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22)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는 IG 접점(24d) 및 MIST 접점(24a)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23b)는 LO 접점(24f) 및 PARK 접점(24i)에 접촉한다.
MIST 모드에서 OFF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13)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13) 끝단부(2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22)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신호용 가동 콘택트(23a)는 IG 접점(24c, 24d)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24b)는 PARK 접점(24h) 및 LO 접점(24g)에 접촉한다.
또한, 와이퍼 모터 제어 방식은 직접 구동 방식, 간접 구동 방식, 통신 방식 등이 있다. 여기서, 직접 구동 방식은 멀티 펑션 스위치가 와이퍼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대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멀티 펑션 스위치 패턴 접점 용량이 커야 하고, 와이퍼 정지 위치가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다. 간접 구동 방식은 멀티 펑션 스위치 중 MIST 모드 및 INT 모드의 경우 BCM(Body Control Module)에 신호를 보내 BCM이 와이퍼 모터를 제어하고, LO 모드 및 HI 모드의 경우 와이퍼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구동한다. 통신 방식은 멀티 펑션 스위치가 BCM에 신호를 전송하여 BCM이 모터를 제어하므로 멀티 펑션 스위치 패턴 접점 용량이 적어도 되고, 주로 사용하는 통신은 LIN(Local Interface Network)을 이용한다.
한편, 앞유리 열선(front deicer) 및 뒷유리 열선(Rear HTD)은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 신호를 BCM에서 받아 타이머(약 15분)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앞유리 열선 및 뒷유리 열선은 센터 패시어(center fascia) 내에 구비된 각각의 스위치에 의해 구동된다.
차량의 제어 시스템이 복잡해짐에 따라 센터 패시어 내 스위치 등의 증가로 인해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고 제조 원가도 절감하기 위해 앞유리 열선 스위치와 뒷유리 열선 스위치를 통합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통합 스위치 하나를 작동할 때 앞유리 열선과 뒷유리 열선이 동시에 작동하므로 전기 부하 소비가 커 연비 및 배터리 충방전에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뒷유리 열선의 경우 운전자 시인성 향상을 위해 빙결 해제 및 성애, 습기 제어가 목적이기 때문에 뒷 유리판 전체에 열선이 분포하지만, 앞유리 열선은 와이퍼(wiper) 빙결 해제 목적으로 유리판 하단 부에만 열선이 분포된다. 따라서, 기능이 서로 다른 열선을 동시에 작동시키면 앞유리 열선의 경우 불필요한 작동 영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센터 패시어의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삭제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스위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유리 열선을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와이퍼가 정상 동작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작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퍼가 결빙되어 구속될 때에만 작동하고 결빙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전기 부하 소비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충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는 스위치 커버와 스위치 바디 사이에 스위치 레버의 끝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와이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에 부착되고, 신호용 가동 콘택트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분이 변경되어 복수의 와이퍼 구동 모드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동 접점을 구비하는 고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는 와이퍼가 구속되어 구동 전류 경로가 차단된 경우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열선 접점을 구비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열선 접점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파크(park) 접점 에 접속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INT 접점이 상기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어 접지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파크 접점에서 상기 열선 접점 및 상기 신호용 가동 콘택트를 통해 상기 INT 접점으로 상기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INT 접점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고,
상기 열선 접점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하이 및 로우 접점이 상기 전원용 가동 콘택트에 접속할 때 상기 신호용 가동 콘택트에 접속한다.
본 발명은 기존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의 회로를 변경하지 않고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추가하여 센터 패시어의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삭제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스위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유리 열선을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와이퍼가 정상 동작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작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퍼가 결빙되어 구속될 때에만 작동하고 결빙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전기 부하 소비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충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개시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로우(low) 또는 하이(high) 위치로 이동할 때 INT 신호 라인이 접지(ground; GND)를 유지하는 경우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멀티 펑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앞유리 열선을 동작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즉,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로우 또는 하이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INT 신호 라인이 접지를 유지하면 앞유리 열선이 자동으로 동작하고 INT 신호 라인에 전원(12V)이 인가되면 앞유리 열선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도록 구현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멀티 펑션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30)를 이루는 스위치 커버(31)와 스위치 바디(32) 사이에 스위치 레버(33)의 끝단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33)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앞뒤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해당하는 작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 레버(33)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 와이퍼의 ON/OFF 작동 등의 와이퍼 움직임을 조작하고, 스위치 레버(33)를 앞쪽 방향으로 당길 경우에 와셔액을 분사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33)에 구비된 미들 노 브(34)를 회전시킬 경우에 와이퍼가 간헐적으로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하고, 끝단의 조작 노브(35)를 회전시킬 경우에 뒤쪽 유리의 와이퍼 작동 및 와셔액 분사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 레버(33)는 끝단에 신호용 가동 콘택트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를 구비한다.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MIST 모드, INT 모드(또는 자동(auto) 모드) 등을 위해 사용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LO 모드, OFF 모드, HI 모드 등을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MIST 모드는 안개, 이물질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릴 때 와이퍼를 작동시키고, OFF 모드는 와이퍼를 정지시키고, INT 모드는 약한 비가 내려 간헐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키고, LO 모드, HI 모드는 강한 비가 내려 연속적으로 와이퍼를 작동시킨다.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33)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치 레버(33) 끝단부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와이퍼 가동체에 구비된 신호용 가동 콘택트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도 함께 움직이면서 스위치 바디(32)에 구비된 고정단자와 접촉 부분이 변경되면서 와이퍼 작동 모드가 변경 및 선택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바디(32)에 구비된 고정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스위치 바디(32)에 구비된 고정단자는 신호용 가동 콘택트와 접촉하는 MIST 접점(44a), INT 접점(44b), IG 접점(44c, 44d), DI(deicer) 접점(44k, 44l)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와 접촉하는 HI 접점(44e), LO 접점(44f, 44g), PARK 접점(44h, 44i), IG 접점(44j)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DI 접점(44k)은 파크 접점(44g) 라인에 연결되고, 제 2 DI 접점(44l)은 INT 접점(44b) 라인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OFF 모드일 때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IG 접점(44c, 44d)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PARK 접점(44h) 및 LO 접점(44g)에 접촉한다.
OFF 모드에서 MIST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33)를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33) 끝단부(4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IG 접점(44d) 및 MIST 접점(44a)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LO 접점(44f) 및 PARK 접점(44i)에 접촉한다.
MIST 모드에서 OFF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33)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33) 끝단부(4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IG 접점(44c, 44d)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PARK 접점(44h) 및 LO 접점(44g)에 접촉한다.
한편, OFF 모드에서 LO 모드 또는 HI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 운전자가 스위치 레버(33)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33) 끝단부(4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INT 접점(44b) 및 DI 접점(44k) 또는 DI 접점(44k, 44l)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LO 접점(44f) 및 IG 접점(44j) 또는 IG 접점(44j) 및 HI 접점(44e)에 접촉한다. 이때, INT 접점(44b) 라인이 접지(ground; GND)를 유지하면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된 것으로 판단하여 앞유리 열선(deicer)이 작동하고, 와이퍼가 정상 동작하면 INT 접점(44b) 라인에 전원(12V)이 인가되어 앞유리 열선이 작동 해제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동작 전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여기서, 도 5a는 LO 모드에서 앞유리 열선이 작동하는 경우 파크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5b는 HI 모드에서 앞유리 열선이 작동하는 경우 파크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33) 끝단부(4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INT 접점(44b) 및 DI 접점(44k)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LO 접점(44f) 및 IG 접점(44j)에 접촉한다. 이때, INT 접점(44b) 라인이 접지(ground; GND)를 유지하면, 파크 신호는 파크 접점(44g)에서 제 1 DI 접점(44k) 및 IG 접점(44j)에 접촉하는 신호용 가동 콘택트를 통해 INT 접점(44b)으로 전달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앞유리 열선(front deicer)이 작동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멀티 펑션 스위치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위치 레버(33) 끝단부(41)에 연결된 와이퍼 가동체가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신호용 가동 콘택트는 DI 접점(44k, 44l)에 접촉하고, 전원용 가동 콘택트는 IG 접점(44j) 및 HI 접점(44e)에 접촉한다. 이때, INT 접점(44b) 라인이 접지(ground; GND)를 유지하면, 파크 신호는 파크 접점(44g)에서 제 1 DI 접점(44k) 및 제2 DI 접점(44l)에 접촉하는 신호용 가동 콘택트를 통해 INT 접점(44b)으로 전달되어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앞유리 열선(deicer)이 작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의 회로를 변경하지 않고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추가하여 센터 패시어의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삭제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스위치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유리 열선을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면 자동으로 동작하고, 와이퍼가 정상 동작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작동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퍼가 결빙되어 구속될 때에만 작동하고 결빙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여 전기 부하 소비를 감소시켜 불필요한 충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가동 콘택트 및 고정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멀티 펑션 스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스위치 바디(32)에 구비된 고정 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펑션 스위치의 동작 전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0: 스위치 본체 31: 스위치 커버
32: 스위치 바디 33: 스위치 레버
34: 미들 노브 35: 조작 노브
41: 끝단부 43a: 신호용 가동 콘택트
43b: 전원용 가동 콘택트 44: 고정 단자
44a: MIST 접점 44b: INT 접점
44c, 44d: IG 접점 44e: HI 접점
44f, 44g: LO 접점 44h: PARK 접점
44j: IG 접점 44k, 44l: DI 접점

Claims (5)

  1. 스위치 커버와 스위치 바디 사이에 스위치 레버의 끝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멀티 펑션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바디에 부착되고, 신호용 가동 콘택트 및 전원용 가동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분이 변경되어 복수의 와이퍼 구동 모드가 설정되는 복수의 구동 접점을 구비하는 고정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는 와이퍼가 구속되어 구동 전류 경로가 차단된 경우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를 형성하는 열선 접점을 구비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선 접점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파크(park) 접점에 접속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INT(intermittent) 접점이 상기 와이퍼가 결빙에 의해 구속되어 접지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파크 접점에서 상기 열선 접점 및 상기 신호용 가동 콘택트를 통해 상기 INT 접점으로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 상기 INT 접점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앞유리 열선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차단되고 상기 와이퍼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선 접점은 상기 복수의 구동 접점 중 하이 및 로우 접점이 상기 전원용 가동 콘택트에 접속할 때 상기 신호용 가동 콘택트에 접속하는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KR1020080079492A 2008-08-13 2008-08-13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KR101371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92A KR101371991B1 (ko) 2008-08-13 2008-08-13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492A KR101371991B1 (ko) 2008-08-13 2008-08-13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54A KR20100020754A (ko) 2010-02-23
KR101371991B1 true KR101371991B1 (ko) 2014-03-10

Family

ID=4209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492A KR101371991B1 (ko) 2008-08-13 2008-08-13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624B1 (ko) * 2014-12-23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통합형 전자식 변속레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243U (ko) * 1994-06-22 1996-01-19 차량용 다기능 와이퍼 스위치 레버
KR1998004716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와이퍼 시스템
KR19990006365U (ko) * 1997-07-25 1999-02-25 양재신 차량 전면유리의 해빙장치
JP2000225924A (ja) 1999-02-04 2000-08-1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ワイパの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243U (ko) * 1994-06-22 1996-01-19 차량용 다기능 와이퍼 스위치 레버
KR19980047165U (ko) * 1996-12-28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와이퍼 시스템
KR19990006365U (ko) * 1997-07-25 1999-02-25 양재신 차량 전면유리의 해빙장치
JP2000225924A (ja) 1999-02-04 2000-08-15 Tokai Rika Co Ltd 車両用ワイパの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754A (ko) 201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5955B2 (en) Washer controller and washer system for vehicle
JPH11211821A (ja) レーダアンテナの着雪着氷除去装置
KR101371991B1 (ko) 앞유리 열선 스위치를 포함하는 멀티 펑션 스위치
CN101708710B (zh) 一种洗涤液喷射时刻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360459B1 (ko) 와이퍼 스위치
KR100384037B1 (ko) 차량의 스노우 와이퍼 보호장치
US8973208B2 (en) Rear wiper system
KR200181298Y1 (ko) 윈드실드의 와셔액 가열장치
KR100489027B1 (ko) 차량의 와셔액 우선 간헐분사장치
KR200312956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와 차창의 물방울 제거장치
KR19980053222U (ko) 자동차의 성애제거시스템
KR200179761Y1 (ko) 물기 제거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0166326B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빗물제거장치
KR20040015455A (ko) 차량의 워셔액탱크
CN201036225Y (zh) 右舵车组合开关
KR20010019517A (ko)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
KR19990060178A (ko) 자동차용 와이퍼블레이드의 결빙물 제거 장치
KR19980042547U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 장치
KR20020009847A (ko) 자동 파킹회로를 구비한 차량용 와이퍼
KR19990009150A (ko)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17748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20070121094A (ko) 와이퍼 모터
KR19980021516A (ko) 와이퍼 노즐 자동 조절 장치
KR980007191U (ko) 열선을 갖춘 자동차의 전방유리
KR19980018826U (ko) 자동차의 성에 자동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