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960B1 -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960B1
KR101371960B1 KR1020120142954A KR20120142954A KR101371960B1 KR 101371960 B1 KR101371960 B1 KR 101371960B1 KR 1020120142954 A KR1020120142954 A KR 1020120142954A KR 20120142954 A KR20120142954 A KR 20120142954A KR 101371960 B1 KR101371960 B1 KR 101371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nformation
estimating
vehicle
dioxid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래
양기태
서유찬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실내 탑승자의 수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풍기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 입력 전압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도어 및 윈도우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통풍구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수단;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하는 음압 측정수단;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 및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정보와 상기 음압 측정수단이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이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농도 추정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ESTIMATING DENSITY OF CARBON DIOXIDE INSIDE VEHICLE AND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실내 탑승자의 수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고원인 중에서 졸음운전으로 인한 사고율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졸음운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차실내 이산화탄소량도 졸음운전을 하게 하는 한가지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이산화탄소량은 2000㏄급 차량의 경우 그 기준값이 1000ppm이나 실제 성인의 경우 차량의 창문을 닫고 약 20분 정도 운행하면 이보다 높은 2000ppm 정도로 이산화탄소량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처럼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졸음운전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껌을 씹거나 일정거리 이상 운행 후 안전운행을 위해 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로 인한 졸음운전은 운전자가 이러한 원인을 자각하기 전에 졸음운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안전운행에 상당히 높은 위험성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행중 차실내 이산화탄소량을 추정하고, 이 추정값과 미리 저장된 이산화탄소량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디셔너라든가 창문을 통해 외기를 유입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에 의한 졸음운전을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하지만,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함에 있어, 단순히 탑승자의 수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정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추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실내 탑승자의 수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수단;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하는 음압 측정수단;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 및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정보와 상기 음압 측정수단이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이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농도 추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에 있어서, 정보 저장수단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음압 측정수단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하는 단계; 탑승자 감지수단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농도 추정수단이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정보와 상기 음압 측정수단이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이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실내 탑승자의 수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는, 정보 저장부(10), 주행정보 수집부(20), 음압 측정부(30), 탑승자 감지부(40), 농도 추정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정보 저장부(10)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데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각종 정보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의 초기값, 단위 시간별 탑승자 1인당 이산화탄소 발생량, 직전에 추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단위 시간별 1인당 이산화탄소 발생변화비, 단위 시간별 실내온도에 따른 1인당 이산화탄소 발생변화비, 음압(dB)에 따른 1인당 이산화탄소 발생변화비, 차량의 통풍구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이산화탄소의 누출량, 송풍기 전압에 따른 단위 시간당 이산화탄소의 누출량, 차량의 속도에 따른 단위 시간당 이산화탄소의 누출량, 도어 및 윈도우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이산화탄소의 누출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전 단계가 없는 초기 단계인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의 초기값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주행정보 수집부(20)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풍기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 입력 전압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도어 및 윈도우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통풍구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한다. 이때, 차량 통신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모스트(MOST)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음압 측정부(3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한다. 즉, 탑승자가 말을 하고 있는지, 말을 하고 있다면 얼마나 큰 소리로 말을 하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탑승자 감지부(40)는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한다. 이때, 탑승자 감지부(40)는 영상 인식을 통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할 수도 있고, 초음파를 통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통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농도 추정부(50)는 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정보 수집부(20)가 수집한 주행정보와 음압 측정부(30)가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탑승자 감지부(40)가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한다.
즉, 농도 추정부(50)는 하기의 [수학식 1]를 통해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한다.
[수학식 1]
Y(i+1)=Y(i)+{a*b(Y(i))*c(T(i))*d(dB)*N(human)-α(Intake)-β(BLWR)-γ(Speed)-δ(Door)}
Y(i) : i 시간에서의 차실내 CO2 농도 추정값(Y(0)=초기값)
a : 단위 시간별 탑승자 1인당 CO2 발생량,
b(Y(i)) : Y(i) CO2 농도에서의 단위시간별 1인당 CO2 발생변화비,
c(T(i)) : 경과시간(i)에서의 실내온도(T(i))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d(dB) : 음압(대화량) dB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N(human) : 탑승자 특성(대인/소인)에 따른 승객수,
α(Intake) : 차량의 송풍구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β(BLWR) : 송풍기 전압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γ(Speed) : 차량의 속도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δ(Door) : Door 및 Window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i : 경과시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정보 저장부(10)는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201).
이후, 주행정보 수집부(20)가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풍기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 입력 전압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도어 및 윈도우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통풍구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등을 수집한다(202).
이후, 음압 측정부(30)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대화량)을 측정한다(203).
이후, 탑승자 감지부(40)가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한다(204).
이후, 농도 추정부(50)가 정보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정보 수집부(20)가 수집한 주행정보와 음압 측정부(30)가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탑승자 감지부(40)가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한다(205).
여기서, 탑승자가 말을 하지 않으면 음압 측정부(30)는 음압을 측정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농도 추정부(50)는 음압 측정부(30)의 측정 결과를 배제한 채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한다.
또한, 라디오나 음악이 켜져 있는 경우에도 음압 측정부(30)의 측정 결과를 배제한 채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정보 저장부 20 : 주행정보 수집부
30 : 음압 측정부 40 : 탑승자 감지부
50 : 농도 추정부

Claims (14)

  1.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수단;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주행정보 수집수단;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하는 음압 측정수단;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탑승자 감지수단; 및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정보와 상기 음압 측정수단이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이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농도 추정수단
    을 포함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수단은,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에 대한 정보 및 이산화탄소의 누출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은,
    영상 인식을 통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은,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통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은,
    송풍기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 입력 전압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도어 및 윈도우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통풍구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모스트(MOST)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추정수단은,
    하기의 [수학식 A]를 통해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수학식 A]
    Y(i+1)=Y(i)+{a*b(Y(i))*c(T(i))*d(dB)*N(human)-α(Intake)-β(BLWR)-γ(Speed)-δ(Door)}
    Y(i) : i 시간에서의 차실내 CO2 농도 추정값(Y(0)=초기값)
    a : 단위 시간별 탑승자 1인당 CO2 발생량,
    b(Y(i)) : Y(i) CO2 농도에서의 단위시간별 1인당 CO2 발생변화비,
    c(T(i)) : 경과시간(i)에서의 실내온도(T(i))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d(dB) : 음압(대화량) dB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N(human) : 탑승자 특성(대인/소인)에 따른 승객수,
    α(Intake) : 차량의 송풍구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β(BLWR) : 송풍기 전압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γ(Speed) : 차량의 속도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δ(Door) : Door 및 Window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i : 경과시간
  8. 정보 저장수단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차량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음압 측정수단이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탑승자의 음압을 측정하는 단계;
    탑승자 감지수단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단계; 및
    농도 추정수단이 상기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이 수집한 주행정보와 상기 음압 측정수단이 측정한 탑승자별 음압 정보 및 상기 탑승자 감지수단이 감지한 탑승자의 수를 이용하여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단계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에 대한 정보 및 이산화탄소의 누출량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감지단계는,
    영상 인식을 통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감지단계는,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통해 차실내 탑승자의 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단계는,
    송풍기의 작동 여부 및 작동시 입력 전압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도어 및 윈도우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통풍구의 오픈 여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정보 수집수단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모스트(MOST)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 추정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B]를 통해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방법.
    [수학식 B]
    Y(i+1)=Y(i)+{a*b(Y(i))*c(T(i))*d(dB)*N(human)-α(Intake)-β(BLWR)-γ(Speed)-δ(Door)}
    Y(i) : i 시간에서의 차실내 CO2 농도 추정값(Y(0)=초기값)
    a : 단위 시간별 탑승자 1인당 CO2 발생량,
    b(Y(i)) : Y(i) CO2 농도에서의 단위시간별 1인당 CO2 발생변화비,
    c(T(i)) : 경과시간(i)에서의 실내온도(T(i))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d(dB) : 음압(대화량) dB에 따른 1인당 CO2 발생변화비,
    N(human) : 탑승자 특성(대인/소인)에 따른 승객수,
    α(Intake) : 차량의 송풍구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β(BLWR) : 송풍기 전압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γ(Speed) : 차량의 속도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δ(Door) : Door 및 Window 오픈에 따른 단위 시간당 CO2 누출량.
    i : 경과시간
KR1020120142954A 2012-12-10 2012-12-10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1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54A KR101371960B1 (ko) 2012-12-10 2012-12-10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954A KR101371960B1 (ko) 2012-12-10 2012-12-10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960B1 true KR101371960B1 (ko) 2014-03-10

Family

ID=5064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954A KR101371960B1 (ko) 2012-12-10 2012-12-10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9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1011A (zh) * 2020-10-23 2021-03-05 武汉欣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驻车后车内生命迹象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154A (ja) 2005-02-25 2006-09-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換気装置
JP2008247094A (ja) 2007-03-29 2008-10-16 Denso It Laboratory Inc 車両用空調装置、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車載機器制御装置および車載機器の制御方法
JP2009192230A (ja) 2008-02-12 2009-08-27 Denso Corp 車両用二酸化炭素濃度検出装置
KR20120066394A (ko) * 2010-12-14 2012-06-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154A (ja) 2005-02-25 2006-09-0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換気装置
JP2008247094A (ja) 2007-03-29 2008-10-16 Denso It Laboratory Inc 車両用空調装置、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車載機器制御装置および車載機器の制御方法
JP2009192230A (ja) 2008-02-12 2009-08-27 Denso Corp 車両用二酸化炭素濃度検出装置
KR20120066394A (ko) * 2010-12-14 2012-06-22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1011A (zh) * 2020-10-23 2021-03-05 武汉欣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驻车后车内生命迹象的方法及装置
CN112441011B (zh) * 2020-10-23 2022-08-16 武汉欣叶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驻车后车内生命迹象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41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hicle HVAC control using portable devices
CN108725136B (zh) 车载空调调节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8122556B (zh) 减少驾驶人语音唤醒指令词误触发的方法及装置
CN108569097A (zh) 车辆空调内循环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车辆
ES2403104T3 (es) Análisis observable a distancia para un sistema de ascensor
JP2012242214A (ja) 異音検査方法及び異音検査装置
US20170004848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CN111305695B (zh) 用于控制车辆的方法和装置
CN109044072A (zh) 一种汽车窗帘的自动控制方法、装置及汽车
CN111186277A (zh) 车内空气质量监控方法及监控装置
KR101371960B1 (ko) 차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469076B1 (ko) 주행 특성 및 환경에 따른 배출 오염량 추정을 통한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CN109591548B (zh) 一种控制汽车乘员舱内co2浓度的方法
CN115052761B (zh) 一种检测轮胎异常的方法和装置
KR20230112105A (ko) 사용자 상호 작용 체계에 의해 촉진되는 호흡 샘플 내의 중독성 물질의 결정 및 분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14943A (ko) 주행 환경 연동 운전자 감정 판단 방법 및 시스템
KR20190116776A (ko) 이산화탄소 농도를 이용한 차량의 탑승 인원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3157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8090083A5 (ko)
US10967707B2 (en) Automatic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KR101170608B1 (ko) 차량 윈도우의 디포깅 제어 방법
CN205749213U (zh) 一种车辆空气检测系统
KR101188473B1 (ko) 가변식 에어 익스트랙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110486902B (zh) 一种新风机的二氧化碳浓度测算方法及装置、新风机
CN111261190A (zh) 一种识别声音的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