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556B1 - 전차 사격 표적기 - Google Patents

전차 사격 표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556B1
KR101371556B1 KR1020110146019A KR20110146019A KR101371556B1 KR 101371556 B1 KR101371556 B1 KR 101371556B1 KR 1020110146019 A KR1020110146019 A KR 1020110146019A KR 20110146019 A KR20110146019 A KR 20110146019A KR 101371556 B1 KR101371556 B1 KR 101371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arget
horizontal frame
horizontal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355A (ko
Inventor
윤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10146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5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1/00Targets; 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41J1/10Target stands; Target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차 사격 표적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고, 대향되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 수만큼 구비되어 하나의 상하 수평 프레임에 일 대 일로 설치되는 메시(mesh)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차 사격 표적기 {TARGET FOR TANK MARKSMANSHIP TRAINING}
본 발명은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고, 대향되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 수만큼 구비되어 하나의 상하 수평 프레임에 일 대 일로 설치되는 메시(mesh)를 포함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차 등에는 포를 탑재하고 있는데, 실전에서 포탄의 발사는 전차장 또는 포수가 각각의 조준경으로 목표물을 관측하여 포탄을 발사하거나, 목표물을 자동으로 추적하는 추적시스템에 의해 포탄을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전차를 통해 실전에서 최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격 훈련을 통해 승무원의 전투력을 증강하는 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차 사격 훈련용 종래의 표적판은 소정 크기를 갖는 타격판과 이 타격판을 수직하게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타격판은 일정 두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타격판의 전면에는 조준이 용이하게 하도록 전차 모형이 그려져 있다.
상기 포탄이 발사되어 타격판에 명중되는 경우 포탄의 충격에 의해 타격판이 부서지면서 고정대와 함께 뒤로 넘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주간 사격훈련 시에는 명중 여부를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으나, 야간 전투에 대비한 야간 사격 훈련시에는 표적판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주로 표적판 주변에 조명을 설치하거나 또는 플래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표적판은 명중시에 통째로 된 타격판 전체를 새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
즉, 종래의 표적판은 표적판에 전차포가 명중되었을 때, 표적판 전체가 무너져내려 사격훈련을 2~3시간 중단하고 표적판을 보수하거나, 여분의 표적판을 옮겨와 재장착한 후 사격훈련을 재실시해야 하므로, 2~3시간의 시간손실뿐만 아니라, 전체 훈련일정 및 훈련시간에 막대한 악영향을 미쳤다.
또한, 종래의 표적판은 타격판이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람이 강하게 불면 타격판이 바람의 압력을 전부 받게 되어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고, 대향되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 수만큼 구비되어 하나의 상하 수평 프레임에 일 대 일로 설치되는 메시(mesh)를 포함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은,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과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고, 대향되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 수만큼 구비되어 하나의 상하 수평 프레임에 일 대 일로 설치되는 메시(mes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일측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순서대로 차례로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는 수광센서와 발광센서가 순서대로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메시에는 전차 모형이 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수평 프레임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이 표적공간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인접된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은 ㄷ자 형상의 연결구와 나비볼트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되,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 양측의 배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에도 볼트공이 형성되어, 인접된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끼리 서로 맞대고, 그 맞댄 부위에 ㄷ자 형상의 연결구를 후방에서 끼운 상태에서 일치된 볼트공에 나비볼트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이 만나는 코너 부위는 ㄷ자 형상의 연결구와 나비볼트와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양측의 배면과 코너 프레임의 배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에도 볼트공이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사이에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프레임을 맞대고, 그 맞댄 부위 각각에 ㄷ자 형상의 연결구를 후방에서 끼운 상태에서 일치된 볼트공에 나비볼트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는,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어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는 메시(mesh);를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발광 및 수광센서를 이용하여 명중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제 서버에 전송하므로 주간이나 야간 사격훈련에 관계없이 명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이나 수직으로 다수의 프레임을 배열하여 조립하고 조립된 프레임으로 형성된 표적공간에 메시를 걸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함으로써, 포탄이 명중된 경우 명중된 부위의 프레임이나 메시만 교체하면 되므로 교체 비용이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강한 바람에도 메시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공기가 통과하므로 표적기 자체가 넘어질 염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의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프레임의 조립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평 프레임에 발광 및 수광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에 나타낸 수평 프레임의 배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차 사격 표적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차 사격 표적기(1)는 표적틀(10), 센서모듈(40), 메시(emsh)(50), 열선(60) 및 조립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표적틀(10)의 수평 프레임(11,12)과 수직 프레임(13,14)은 내부가 빈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센서모듈(40)이 구비되고 스테인리스 재질인 SUS로 제작된다.
상기 표적틀(10)은 다수의 수평 프레임(11,12)과 다수의 수직 프레임(13,14)으로 이루어지되, 수평 프레임(11,12)은 상하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13,14)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인접된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끼리, 또는 인접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11,13),(11,14),(12,13),(12,14))끼리는 조립수단(70)에 의해 조립되어 전체적으로 가로가 긴 장방형 형상을 하는 표적공간(15)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모듈(40)은 일측의 발광센서(41)에서 광을 발광하고 타측의 수광센서(42)에서 이 광신호를 수신하여 명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명중 여부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컨트롤박스(80)에 전송하여 미도시된 통제서버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모듈(40)은 발광센서(41) 및 수광센서(42)와, 유선/무선 통신모듈(45)과, 딥 스위치(43)와 FND 디스플레이(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50)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11,12)의 수만큼 구비되어 상하 수평 프레임(11,12)의 전면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15)에 설치되어 종래의 표지판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물망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어 바람에 의한 압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상기 메시(50)에는 사격 훈련시 조준이 용이하도록 전차 모형이 그려진다.
상기 하측 수평 프레임(12)은 하부의 지지구(16)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구(16)는 컨트롤박스(80)에 지지되며 상기 컨트롤박스(80)에는 제어와 통신을 위한 MCU와 통신모듈이 내장된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프레임의 조립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립수단(70)이 연결구(71)와 코너 프레임(72) 및 나비볼트(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71)와 코너 프레임(72)은 프레임(10)과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인 SUS로 제작되고, 나비볼트(73)는 플라스틱 중에서 특히 ABS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연결구(71)는 ㄷ자 형상을 하고, 코너 프레임(72)은 직각으로 절곡된 사각 파이프 형상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1,12) 양측의 배면에는 볼트공(17)이 다수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71)에도 볼트공(74)이 다수 형성되어 인접된 수평 프레임(11 또는 12) 간에는 연결구(71)와 나비볼트(73)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인접된 수평 프레임(11 또는 12) 간의 조립은 인접된 수평 프레임(11 또는 12)을 수평으로 맞댄 상태에서, ㄷ자 형상의 연결구(71)를 맞댄 부위에 후방에서 끼우고 수평 프레임(11 또는 12)의 볼트공(17)과 연결구(71)의 볼트공(74)을 서로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볼트공(17,74)에 나비볼트(73)를 2-3회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인접된 수직 프레임(13 또는 14) 간에도 상기한 방식으로 연결구(71)와 나비볼트(73)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인접된 수평 프레임(11 또는 12)의 맞댄 부위에 연결구(71)가 후방에서 끼워져서 연결구(71) 상하의 절곡부가 수평 프레임(11 또는 12)의 상하를 지지하기 때문에 수평 프레임(11 또는 12)이 여러 개 조립되더라도 아래로 처질 염려가 없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1) 및 수직 프레임(14) 일측의 배면과 코너 프레임(72)의 배면에 볼트공(17,75)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71)에도 볼트공(74)이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11)과 수직 프레임(14)이 만나는 4각 모서리는 코너 프레임(72)과 연결구(71)와 나비볼트(73)를 이용하여 조립한다.
서로 만나는 수평 프레임(11)과 수직 프레임(14) 간의 조립은 수평 프레임(11)과 수직 프레임(14) 사이에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프레임(72)을 맞댄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11)과 코너 프레임(72)이 맞댄 부위와 수직 프레임(14)과 코너 프레임(72)이 맞댄 부위에 ㄷ자 형상의 연결구(71)를 각각 후방에서 끼우고 수평 프레임(11)의 볼트공(17) 및 코너 프레임(72)의 볼트공(75)과 연결구(71)의 볼트공(74)을, 수직 프레임(14)의 볼트공(17) 및 코너 프레임(72)의 볼트공(75)과 연결구(71)의 볼트공(74)을 서로 일치시킨 후, 상기 일치된 볼트공((17,74),(75,74)에 나비볼트(73)를 2-3회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표적틀(10)의 조립 구조에 의해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에 포탄이 맞는 경우 포탄의 강한 충격량(76.5MN(Mega Newton))에 의해 나비볼트(73)가 뒤로 이탈되면서 조립 부위가 서로 떨어져 인접한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에서 분리되어 나머지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차포탄의 무게가 30Kg이고, 포구속도가 1,700m/s인 경우 충격물리량은 76,500KN이다.
나비볼트(73)의 원료인 ABS 수지의 인장강도가 350~550kgf/㎠이고, 폭은 20mm이며 나비볼트(73)의 수가 12개, 항복점이 0.6인 경우 수평항력은 7,761N이 된다.
이와 같이 전차포탄의 충격물리량이 나비볼트(73)의 나사산 수평항력의 약 10,000배에 달하므로 전차포탄에 의한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의 충격시 다른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표적틀(10)에 포탄이 명중되면 명중된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만 떨어져 나가고 표적틀(10)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포탄이 표적틀(10)에 명중시 해당 프레임(11,12,13,14)만 떨어져 나가 그 부분만 갈아 끼우면 되므로 보수시간이 5~10분이면 충분하고, 또한 표적틀(10)은 그대로 유지되어 명중감지 기능은 여전히 작동을 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평 프레임에 발광 및 수광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수평 프레임(11)에는 수평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발광센서(41) - 수광센서(42)의 순서로 차례대로 배열되고, 하측 수평 프레임(12)에는 상기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발광센서(41)와 수광센서(42)에 대응하여 수평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수광센서(42) - 발광센서(42)의 순서로 차례대로 배열된다.
이에 의해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발광센서(41)와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수광센서(42)가 하나의 광축을 이루거나,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발광센서(41)와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수광센서(42)가 하나의 광축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센서(41)와 수광센서(42)에는 각각 고유의 ID가 부여된다.
상기 발광센서(41)와 수광센서(42)의 배열로 포탄의 명중 여부를 알 수 있는 바, 상기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발광센서(41)에서 발광한 광신호가 그에 대응하는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수광센서(42)에 수신되는지, 그리고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발광센서(41)에서 발광한 광신호가 그에 대응하는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수광센서(42)에 수신되는지에 따라 명중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발광센서(41)에서 발광한 광신호가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수광센서(42)에 수신되지 않은 상태, 또는 하측 수평 프레임(12)의 발광센서(41)에서 발광한 광신호가 상측 수평 프레임(11)의 수광센서(42)에서 수신되지 않는 상태가 적어도 하나 있으면 포탄이 표적공간(15)에 명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11,12)에는 전원 공급과 유선/무선 통신모듈(45)의 탑재를 위한 PCB(46a,46b,46c)가 내장되는데, 양측의 PCB(46a,46c)는 전원 공급과 RS-418 통신을 위한 유선 통신모듈(45)이 탑재되고, 그 사이의 PCB(46b)에는 예를 들어 전원 공급과 27MHz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모듈(45)이 탑재된다.
상기 수평 프레임(11,12) 일측의 PCB(46a)는 인접된 다른 수평 프레임(11,12) 타측의 PCB(46c)와 전원선과 RS-485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며, 일측 PCB(46a)의 전원선은 같은 수평 프레임(11,12)에 내장된 발광센서(41) 및 수광센서(42)와 차례로 연결된 후 같은 수평 프레임(41,42)의 타측 PCB(46c)에 연결된다.
또한, 일측 PCB(46a)의 RS-485 통신선은 수광센서(12)와 차례로 연결된 후 같은 수평 프레임(11,12)의 타측 PCB(46c)에 연결되어 결국은 컨트롤박스(80)에 연결된다.
상기 중간의 PCB(46b)에 탑재된 무선 통신모듈(45)은 예를 들어 27MHz 대역을 통해 명중 여부를 컨트롤 박스(80)에 무선으로 전송한다.
상기 발광센서(41) 및 수광센서(42)의 배열과 그 명중 여부의 판단 및 PCB(46a,46b,46c)의 구성은 좌측 수직 프레임(13)과 우측 수직 프레임(1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에 나타낸 수평 프레임의 배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1,12)의 전면에는 양측에 걸림고리(18a)가 형성되어 메시(50)가 걸리고 수평 프레임(11,12)의 배면에는 중앙에 걸림고리(18b)가 형성되어 야간 사격을 위한 열선(60)이 걸리게 된다.
또한, 수평 프레임(11,12)의 배면에는 양측에 나비볼트(73)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공(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11,12)의 배면에는 센서모듈(40)의 딥 스위치(43)와 FND 디스플레이(44)가 구비되는 바, 딥 스위치(43)의 온/오프 조작으로 수평 프레임(11,12) 고유의 ID(숫자)를 부여하고, 이 딥 스위치(43)의 조작으로 부여되는 고유의 ID가 FND 디스플레이(44)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수평 프레임(11,12) 고유의 ID를 부여하고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프레임(11,12)에 고유의 ID가 부여되고 발광센서(41) 및 수광센서(42)에도 고유의 ID가 부여되어, 명중 여부를 컨트롤 박스(8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 때 고유의 ID도 같이 전송하기 때문에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명중 여부뿐만 아니라 어느 위치에 명중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수평 프레임(11,12)의 구성은 걸림고리(18a,18b)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수직 프레임(13,14)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와 같은 표적기(1)의 전체적인 구성에 의해 사격 훈련시에 발광센서(41)와 수광센서(42)가 하나의 광축을 이루어 발광센서(41)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광을 발광하고 그와 대응되는 수광센서(42)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다가 전차에서 사격된 포탄이 표적공간(15) 내부를 통과하는 경우 표적공간(15)에 설치된 메시가(50) 찢어지면서 그 포탄이 통과하는 구역의 수광센서(42)는 포탄에 의해 광이 차단되어 광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광을 수신하지 못한 수광센서(42)는 미수광 정보를 RS-485 통신이나 27Mhz 무선 통신으로 컨트롤박스(80)의 MCU를 통해 사격 통제서버에 전송하고, 사격 통제서버는 이를 보고 명중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미수광 정보에는 미수광 사실과 프레임(10) 및 수광센서(42)의 ID가 포함되어 명중 사실과 함께 표적공간(15)의 어느 위치에 명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모든 수광센서(42)에서 광을 수신하여 미수광 사실을 사격 통제서버에서 전송받지 못하는 경우, 명중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게 된다.
또한, 대응되는 각 수평 프레임(11,12)의 중간 상하로 열선(60)이 설치되는 바, 이 열선(60)에 전원이 공급되면 열선(60)이 가열되어 주위와 온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야간 사격시에 조준할 수 있는 기준이 되며, 이를 통해 야간에도 사격 훈련을 할 수 있어 조명을 설치하거나 또는 플래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주간이나 야간 사격시에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메시(50)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통과하기 때문에 표적기(1)가 넘어질 염려가 없다.
그리고 포탄이 표적틀(10)이나 메시(50)에 명중되는 경우 명중된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이 인접된 다른 수평 프레임(11,12)이나 수직 프레임(13,14)과 분리되고 해당 메시(50)만 찢어지므로 해당 프레임(10)이나 메시(50)만 바꾸어 교체하면 된다.
1: 표적기 10: 표적틀
11,12: 수평 프레임 13.14: 수직 프레임
40: 센서모듈 50: 메시
60: 열선 70: 조립수단

Claims (7)

  1. 수평 프레임은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고, 수직 프레임은 좌우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열되며, 조립수단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에 의해 장방형의 표적공간을 형성하는 표적틀;
    상기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어 일측에서 광을 발광하고 대향되는 타측에서 광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여 컨트롤박스에 전송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상하로 배열된 수평 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된 걸림고리에 걸리는 방식으로 표적공간에 설치되어 표적판 대용으로 사용되고, 대향되는 상하의 수평 프레임 수만큼 구비되어 하나의 상하 수평 프레임에 일 대 일로 설치되는 메시(mesh);를 포함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되, 일측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가 순서대로 차례로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에는 수광센서와 발광센서가 순서대로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에는 전차 모형이 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수평 프레임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열선이 표적공간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다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된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은 ㄷ자 형상의 연결구와 나비볼트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되,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 양측의 배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에도 볼트공이 형성되어, 인접된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끼리 서로 맞대고, 그 맞댄 부위에 ㄷ자 형상의 연결구를 후방에서 끼운 상태에서 일치된 볼트공에 나비볼트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7. 제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프레임이나 수직 프레임이 만나는 코너 부위는 ㄷ자 형상의 연결구와 나비볼트와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되, 수평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 양측의 배면과 코너 프레임의 배면에 볼트공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연결구에도 볼트공이 형성되어,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 사이에 직각으로 절곡된 코너 프레임을 맞대고, 그 맞댄 부위 각각에 ㄷ자 형상의 연결구를 후방에서 끼운 상태에서 일치된 볼트공에 나비볼트를 나사결합하여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차 사격 표적기.
KR1020110146019A 2011-12-29 2011-12-29 전차 사격 표적기 KR101371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19A KR101371556B1 (ko) 2011-12-29 2011-12-29 전차 사격 표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019A KR101371556B1 (ko) 2011-12-29 2011-12-29 전차 사격 표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55A KR20130077355A (ko) 2013-07-09
KR101371556B1 true KR101371556B1 (ko) 2014-03-06

Family

ID=4899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019A KR101371556B1 (ko) 2011-12-29 2011-12-29 전차 사격 표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9956B (zh) * 2022-04-15 2024-04-16 河北汉光重工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移动式自动报靶系统
KR102597807B1 (ko) * 2023-01-12 2023-11-06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차 사격훈련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500A (ja) * 1991-11-06 1993-05-21 Kyosan Electric Mfg Co Ltd 熱線可変走行標的
JP2001082898A (ja) * 1999-09-14 2001-03-30 Kyosan Electric Mfg Co Ltd 自動射撃評価装置
JP2005344955A (ja) * 2004-06-01 2005-12-15 Totoku Electric Co Ltd 着弾位置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6500A (ja) * 1991-11-06 1993-05-21 Kyosan Electric Mfg Co Ltd 熱線可変走行標的
JP2001082898A (ja) * 1999-09-14 2001-03-30 Kyosan Electric Mfg Co Ltd 自動射撃評価装置
JP2005344955A (ja) * 2004-06-01 2005-12-15 Totoku Electric Co Ltd 着弾位置計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355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818B2 (en) Durable target apparatus and method of on-target visual display
US9448043B2 (en) Interactive target and system for long range shooting
CN201211429Y (zh) 多人多编队真人cs模拟野战激光对抗系统
CN204255183U (zh) 激光电子靶及打靶系统
US10488159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hooting sports
CN100567879C (zh) 热成像型互动射击训练系统
US20150268013A1 (en) Shooting target
KR101371556B1 (ko) 전차 사격 표적기
CN109780940B (zh) 一种基于拟态射击训练靶场的射击训练方法
KR101032124B1 (ko) 마일즈 기능을 갖는 사거리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의 교전 시스템
CN212030338U (zh) 一种阵列式激光脉冲接收电路、模拟射击报靶系统及装置
KR102226057B1 (ko) 스마트 실내 실탄 사격 시스템
CN111750736A (zh) 一种识别追踪目标的方法以及激光对抗装置
KR10133006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시뮬레이터 사격술 전술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07238319A (zh) 一种射向可调的机枪火力点激光模拟训练器
CN105517643B (zh) 用于提示实体游戏角色的信息的提示方法及装置、以及遥控战车
KR101459323B1 (ko) 전차사격용 포탄의 명중 감지방법
KR101290121B1 (ko) 분리가능한 전차사격용 표적
CN206037843U (zh) 一种狙击步枪射击训练摇摆靶装置
US20140239595A1 (en) Durable ballistics target
KR102245643B1 (ko) 레일이동형 멀티 표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실탄 사격 시스템
KR101466733B1 (ko) 전차사격 표적시스템
CN210321397U (zh) 基于红外仿真的训练装置
JP2010210148A (ja) 標的装置
KR20090026556A (ko) 사격 게임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