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24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24B1
KR101370924B1 KR1020120088460A KR20120088460A KR101370924B1 KR 101370924 B1 KR101370924 B1 KR 101370924B1 KR 1020120088460 A KR1020120088460 A KR 1020120088460A KR 20120088460 A KR20120088460 A KR 20120088460A KR 101370924 B1 KR101370924 B1 KR 101370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tilting
casing
locking member
tilt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198A (ko
Inventor
김원태
송성배
지태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924B1/ko
Priority to US13/929,913 priority patent/US9526131B2/en
Publication of KR2014002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05B6/6423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wherein the microwave oven air circulation system is also used as air extract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이를 흡입할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틸팅 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HAVING A HOOD}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란,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전자레인지 중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전자레인지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또는 OTR타입 전자레인지라 칭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주방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10)(이하에서는 '전자레인지'라 칭함)는 주방의 일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자레인지(10)는, 다른 조리기기(1), 예를 들면, 가스 오븐레인지 등의 상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후드(11)가 구비된다. 상기 후드(11)는,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상기 후드(11)를 통하여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 하기 위한 흡입 장치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종래에는, 상기 후드(11)가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11)의 외측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의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후드(11)의 저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저면 후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후드(11)의 후단부의 경우에는, 상기 조리기기(1)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11)가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 발생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하부에 설치된 구성요소의 높이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드 케이싱;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제1후드;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틸팅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제2후드; 및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틸팅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제어 장치는 상기 제2후드가 틸팅되는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후드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틸팅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드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에 접촉해서 상기 제2후드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후드는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틸팅 후드는 전자레인지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틸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후드의 면적이 증가되는 동시에 전자레인지의 하방에 위치되는 조리기기와의 거리가 감소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이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틸팅 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 동작이 상기 슬라이딩 후드의 출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틸팅 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틸팅 후드의 하방에 설치된 조리기기 등의 구성요소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틸팅 후드의 틸팅 각도를 작게 하고, 구성요소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틸팅 후드의 틸팅 각도를 크게 해서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주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의 A-A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제1실시예의 A-A단면에서 후드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6은 틸팅 각도 제한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틸팅 각도 제한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진 B-B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틸팅 각도 제한부가 회동된 상태에 따라 제2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진 B-B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1실시예의 A-A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100)(이하에서는 '전자레인지'라 칭함)의 본체(110)의 내부에는 캐비티(111)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111)는 대략 전면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11)의 내부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12)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10)의 상면 및 양측면 외관을 아웃 케이싱(113)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후면 외관을 백 플레이트(115)가 형성한다. 이때 적어도 상기 캐비티(111)의 상면 및 후면과, 상기 아웃 케이싱(113)의 상면 및 상기 백 플레이트(115)의 전면은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티(111)의 후면과 상기 백 플레이트(115)의 전면 사이에는 연결 유로(P1)가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111)의 상면과 상기 아웃 케이싱(113)의 상면 사이에는 실내 배기 유로(P2)가 정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유로(P1)의 상단과 상기 실내 배기 유로(P2)의 후단은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실내 배기구(117)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 배기구(117)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 상단에 형성된다. 상기 실내 배기구(117)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실내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실내 배기구(117)의 전방에는 배기 그릴(118)이 구비된다. 상기 배기 그릴(118)은, 상기 실내 배기구(117)를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18)은, 상기 도어(120)가 상기 조리실(1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20)에 의하여 차폐된다. 물론, 상기 실내 배기구(117)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 그릴(118)에 의하여 전방으로 안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배기 그릴(118)이 후술할 도어(120)에 의하여 차폐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아웃 케이싱(113)의 상면에는 실외 배기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실외 배기구(119)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서 실외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실외 배기구(119)는, 상기 연결 유로(P1)의 직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아웃 케이싱(113)의 상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외 배기구(119)에는, 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덕트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에는 도어(1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120)는 상기 조리실(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20)는, 사이드-스윙(side-swing) 방식으로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전면에는 컨트롤 패널(130)이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30)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후드 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후드 유닛(200)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1)(도 1참조)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드 유닛(200)은, 후드 케이싱(210), 제1 및 제2후드(220)(230), 가이드 부재(240) 및 틸팅 제어 장치(25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은 대략 상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드 케이싱(210)은, 상기 본체(110)의 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의 저면과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수납되는 공간, 및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주 흡기 유로(P3)가 정의된다. 상기 주 흡기 유로(P3)의 후단은, 상기 연결 유로(P1)의 하단과 연통된다.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전면에는 제1입출구(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에는, 제2입출구(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입출구(211)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입출구(211)는, 상기 제1후드(220)가 출납되는 입출구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입출구(213)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 후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입출구(213)는 상기 제2후드(230)가 출납되는 입출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는 걸림 리브(21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 리브(215)는, 상기 제2입출구(213) 상에 해당하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후단 일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걸림 리브(215)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 리브(215)는, 후술할 제1스토퍼(235)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드(220)는, 상기 제1입출구(211)를 통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후드(220)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또는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위치를 제1수납 위치(도 3참조)라 칭하고,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위치를 제1인출 위치(도 5참조)라 칭한다.
상기 제1후드(220)는, 대략 상기 제1입출구(211)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고, 후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후드(220)의 내부에는 제1흡기 유로(P4)가 정의된다. 상기 제1흡기 유로(P4)의 후단은,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주 흡기 유로(P3)의 전단과 연통된다. 상기 제1흡기 유로(P4)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정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에는, 제1흡기구(2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흡기구(221)는, 상기 제1흡기 유로(P4)의 내부로 오염 물질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1흡기구(221)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제1후드(220)의 전면에는 프론트 패널(223)이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223)은, 상기 제1후드(220)의 전면 외관을 정의한다.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223)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조작 버튼(2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224)으로는, 예를 들면, 후술할 흡입팬 어셈블리(260) 및 램프(미도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2후드(230)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후드(230)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또는 상기 본체(1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틸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상기 제1후드(220)의 출납에 연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가 그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하여 틸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위치를 제2수납 위치(도 3참조)라 칭하고,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위치를 제2인출 위치(도 5참조)라 칭한다.
상기 제2후드(230)는, 대략 상기 제2입출구(213)에 대응하는 횡단면을 가지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후드(230)는, 제2흡기 유로(P5)를 정의한다. 상기 제2흡기 유로(P5)의 상단은,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주 흡기 유로(P3)의 후단과 연통된다. 상기 제2흡기 유로(P5)는, 상기 제1흡기 유로(P4)와 유사하게,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 즉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만, 정의될 것이다.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이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이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틸팅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에는, 제2흡기구(2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흡기구(231)는, 상기 제2흡기 유로(P5)의 내부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제2흡기구(231)도,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인출에 따라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과 동일 또는 평행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거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후드(230)의 양측면에는 틸팅핀(233)이 구비된다. 상기 틸팅핀(233)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중심이 된다. 상기 틸팅핀(233)은, 상기 제2후드(230)의 양측면 전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핀(233)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 후단 및 상기 제2후드(230)의 후면 상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스토퍼(235)(23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235)(237)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 리브(215)에 선택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스토퍼(235)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스토퍼(235)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수납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더 수납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스토퍼(235)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그 상면이 상기 걸림 리브(215)의 저면과 접촉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 리브(215)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1스토퍼(235)의 두께만큼 상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토퍼(235)의 상면이 상기 걸림 리브(215)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 즉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이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저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상기 제2스토퍼(237)는, 상기 제2후드(230)의 후면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스토퍼(237)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인출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더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스토퍼(237)는,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그 저면이 상기 걸림 리브(215)의 상면과 접촉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상기 제1후드(22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 즉,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한 상기 제1후드(2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240)로는, 제1 및 제2레일(241)(243)을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241)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양측면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레일(243)은 상기 제1후드(220)의 양측면 외측에 고정된다. 상기 제2레일(243)이 상기 제1레일(241)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레일(241)(243)은, 각각 고정 레일 및 이동 레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부재(240)가 반드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레일 어셈블리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240)는, 상기 제1후드(2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구성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 부재(24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레일 및 상기 제1후드(22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을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제한하고,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의 인출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후드(230)가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허용하고 이를 안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상기 제1후드(220)의 자중에 의한 외력을 상기 제2후드(230)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제1 및 제2잠금 부재(251)(25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잠금 부재(251)는 상기 제1후드(220)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제2후드(230)에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잠금 부재(251)(255)는, 상기 제1후드(22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에 연동하여 서로 접촉 및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을 안내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잠금 부재(251)(255)의 길이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자가 서로 접촉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잠금 부재(251)(255)의 길이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후드(220)와 상기 후드 케이싱(210) 또는 상기 제1 및 제2후드(230)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 부재(251)의 전단은 적어도 상기 제2흡기구(23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 부재(251)는, 상기 제1후드(22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잠금 부재(255)의 저면에는, 잠금면(251) 및 가이드면(253)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면(251)은, 상기 제1잠금 부재(251)의 전단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잠금면(251)은, 수평 방향으로 기설정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면(253)은, 상기 잠금면(251)의 후단에서 상기 제1후드(220)의 후방을 향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전단, 실질적으로 상기 틸팅핀(233)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제2후드(23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2후드(230)의 저면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제1잠금 부재(251), 실질적으로 상기 잠금면(251) 및 가이드면(253)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제1후드(22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의 인출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면(253)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상대 이동한다.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잠금면(251)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잠금면(251)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한 틸팅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제1수납 위치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1인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잠금면(251)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한 틸팅이 허용된다. 이때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가이드면(253)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의 상기 제2후드(230)의 인출, 즉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을 안내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면,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2수납 위치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2인출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실질적으로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후드 유닛(200)은,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물론, 별도의 구동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제1후드(220)를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직접 출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부재 및 구동력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후드(220)를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제1후드(220)에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부재로는, 구동 모터가 사용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 부재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구동 장치는, 탄성 부재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제1인출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제1후드(22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후드(22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의 인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1인출 위치로 임의로 이동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제1후드(220)의 슬라이딩을 선택적으로 허용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부재로는,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 및 제1후드(220) 또는 상기 제1 및 제2레일(241)(243)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드럼에 감져진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제1후드(2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장치는, 래치 모듈(미도시) 및 래치 후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 모듈은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고정되고, 상기 래치 후크는 상기 제1후드(22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후드(22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 후크가 상기 래치 모듈에 선택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한 상기 제1후드(220)의 슬라이딩이 선택적으로 허용된다.
또한 상기 후드 유닛(200)은 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하방, 즉 상기 조리기기(1)를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램프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이나 상기 제1 및 제2후드(23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흡입팬 어셈블리(260)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260)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본체(110)의 외부, 즉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한다. 즉,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260)가 구동하면, 상기 제1 및 제2흡기구(221)(231)를 통하여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260)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주 흡기 유로(P3)와 상기 제1 및 제2흡기 유로(P4)(P5), 연결 유로(P1) 또는/및 실내 배기 유로(P2)를 유동한 후, 상기 실내 배기구(117) 또는 실외 배기구(119)를 통하여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팬 어셈블리(260)가 상기 연결 유로(P1) 및 실내 배기 유로(P2)의 연결 부분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제1실시예의 A-A단면에서 후드의 동작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도 3참조), 즉 상기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각각 제1 및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후드(220)를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물론, 별도의 구동 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장치를 구동시키는 동작(예를 들면,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는 동작이나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후드(220)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 즉 제1인출 위치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제2후드(230)도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 즉 제2인출 위치로 이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후드(220)가 도 3에 도시된 상기 제1수납 위치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후드(220)의 인출은 가이드 부재(240)에 의하여 안내된다. 즉 상기 제1후드(22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 제1레일(241)을 따라서 제2레일(243)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후드(220)의 인출이 안내된다.
한편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틸팅 제어 장치(250)에 의하여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잠금면(251)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가 자중에 의하여 틸팅핀(233)을 중심으로 틸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후드(220)의 도 4 및 도 5에서 도면상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제1잠금 부재(251)의 저면, 즉 가이드면(253)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의 계속적인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잠금 부재(255)는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틸팅핀(23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후드(220)의 인출이 종료,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되면 종료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후드(220)의 인출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제2스토퍼(237)가 걸림 리브(215)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제2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흡입팬 어셈블리(260)이 동작하면, 제1 및 제2흡기구(221)(231)를 통하여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흡기구(221)(23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주 흡기 유로(P3) 또는 제1 및 제2흡기 유로(P4)(P5)와 상기 주 흡기 유로(P3)를 유동하고, 연결 유로(P1)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 유로(P1)로 전달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실내 배기 유로(P2)를 유동한 후 실내 배기구(117)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거나 실외 배기구(119)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 즉 상기 제1 및 제2후드(220)(230)가 상기 제1 및 제2인출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수납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은 상술한 인출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 즉 도면상 우측으로 상기 제1후드(220)에 외력을 부여하면,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레일(243)은 상기 제1레일(241)을 따라서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의 수납을 위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가이드면(253)을 따라서 상대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제2인출 위치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잠금 부재(255)가 상기 잠금면(251)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상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 수납되는 상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되면, 제1스토퍼(235)가 상기 걸림 리브(215)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로의 계속적인 수납이 방지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 제어 장치(250)는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되는 회전 중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되는 회전 중심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를 키우지 않더라도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효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되는 회전 중심이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될 때에 각도는 동일하지만, 이동거리는 가장 작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폭 방향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중앙에 마련되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하나만 설치되더라도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각도가 좌우측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후드를 지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일측에 치우치도록 마련되면, 적어도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두 개 이상 구비되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후드(230)가 제2인출 위치까지 틸팅되지 못하고, 제2인출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틸팅이 중지되어 상기 제2후드(230)가 정지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없다면 상기 제2후드(230)는 도 5에 도시된 제2인출 위치까지 인출될 수 있지만,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조절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줄어들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틸팅 각도 제한부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6(a)에 따른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그 중앙에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의 회동 중심(410)이 마련된다.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회동 중심(410)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 중심(410)에는 볼트 등의 고정 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상기 회동 중심(410)을 기준으로, 반경이 다른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면은 상기 회동 중심(410)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4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회동 중심(410)에 대한 수직 거리가 4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후드(230)가 접촉하는 부분을 상기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제한된다.
상기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에 의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 중에 가장 짧은 면(420a)가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틸팅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 중에 가장 긴 면(420d)가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은 각각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배치되는 순서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무작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b)에 따른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상기 회동 중심(410)을 기준으로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에 의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서로 다르게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면(420a, 420b, 420c, 420d) 중에 가장 높이가 높은 면(430b)가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는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틸팅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 중에 가장 높이가 낮은 면(430c)가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는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틸팅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은 각각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배치되는 순서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무작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c)에 따른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회동 중심(410)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면(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에 따른 예에 의해서는 상술한 도 6(a) 및 6(b)와는 달리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연속적인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단속적(discrete)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면(440)에서 상기 제2후드(230)가 접촉하는 면이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도 6(d)에 따른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살펴보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회동 중심(410)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높이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면(450)을 포함한다.
도 6(d)에 따르면 상술한 도 6(a) 및 6(b)와는 달리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연속적인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면(450)에서 상기 제2후드(230)가 접촉하는 면이 달라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도 7은 틸팅 각도 제한부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진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후드(230)는 최대 각도로 틸팅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때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되는 길이(H)는 대략 46mm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최대로 하기를 원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후드(230)가 최대한 틸팅되더라도 상기 제2후드(230)의 하부에 설치된 조리기기 등에 간섭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후드(230)의 상기 제2스톱퍼(237)에 의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최대 설정 각도 보다 벗어나서,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틸팅 각도 제한부가 회동된 상태에 따라 제2후드의 틸팅이 이루어진 B-B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8 내지 도 11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사용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한 예이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내용은 도 6(a) , 6(c), 6(d)에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드(230)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에 접촉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안착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239)는 상기 제2후드(230)의 하측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부(239)는 단차진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239)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에 접촉되어 이동이 정지되고, 상기 안착부(239)가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에 거치되어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239)는 강성이 강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진 형상은 일반적은 플레이트에 굴곡이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따른 예는 도 6(b)에서 상기 안착부(239)가 특정 면(430b)에 의해서 틸팅이 제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착부(239)가 면(430b)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안착부(239)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면(430b)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의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 중에서 가장 높은 면이고, 또한 특정 면(430b)은 항상 상기 안착부(239)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는 틸팅되지 못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길이(H)는 0mm일 수 있다.
도 8에 따른 예는 사용자가 상기 제2후드(230)가 틸팅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후드(230) 하측에 인접하게 조리기기 등의 구성이 설치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따른 예는 도 6(b)에서 상기 안착부(239)가 특정 면(430c)에 의해서 틸팅이 제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착부(239)가 면(430c)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안착부(239)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면(430c)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의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 중에서 가장 낮은 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2후드(230)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적용하지 않는 도 7의 경우보다는 틸팅 각도가 제한되지만, 다른 면들에 비해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가 가장 클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후드의 틸팅 길이(H)는 대략 33mm일 수 있다.
도 10에 따른 예는 도 6(b)에서 상기 안착부(239)가 특정 면(430d)에 의해서 틸팅이 제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착부(239)가 면(430d)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안착부(239)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면(430d)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의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 중에서 세 번째로 높이가 낮은 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2후드(230)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적용하지 않는 도 8의 경우보다는 틸팅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9의 경우보다는 틸팅 각도가 제한된다.
이 경우에 제2후드의 틸팅 길이(H)는 대략 24mm일 수 있다.
도 11에 따른 예는 도 6(b)에서 상기 안착부(239)가 특정 면(430a)에 의해서 틸팅이 제한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안착부(239)가 면(430a)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안착부(239)의 이동이 정지된다. 상기 면(430a)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의 복수 개의 면(430a, 430b, 430c, 430d)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이가 낮은 면이다. 따라서 상기 제2후드(230)는 가장 높이가 높은 면(430b) 보다는 틸팅 각도가 크지만, 가장 높이가 낮은 면(430c) 보다는 틸팅 각도가 제한된다.
이 경우에 제2후드의 틸팅 길이(H)는 대략 13mm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는 회동 중심(410)을 중심으로 회전이 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회동시켜 상기 안착부(239)에 접촉하는 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상기 후드 케이싱(210)으로부터 탈거하거나,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40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A-A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틸팅 제어 장치(350)가 제1 및 제2잠금 부재(351)(3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잠금 부재(351)는,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 부재(355)는, 제2후드(230)의 전단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에는 회동핀(352)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핀(352)은,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전단부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 부재(351)는, 상기 회동핀(3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위치(도 12참조) 및 제2위치(도 13참조)에 위치된다.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회동은, 제1 및 제2후드(230)의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외부로의 출납에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가 상기 제2후드(230)에 의하여 회동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기 제1후드(220) 및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제1잠금 부재(351)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잠금 부재(355), 실질적으로 상기 제2후드(230)에 작용하는 외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후드(23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제1잠금 부재(351)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잠금 부재(355)에 작용하는 외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다.
상기 제2잠금 부재(355)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제1잠금 부재(35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 부재(351)를 따라서 상대 이동한다. 즉, 상기 제2잠금 부재(355)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잠금 부재(355)는, 상기 제1잠금 부재(351)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저면을 따라서 상대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후드(220)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상기 제1잠금 부재(351)에 외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잠금 부재(351)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한 틸팅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제1후드(220)가 상기 후드 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상기 제1인출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후드(220)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1잠금 부재(351)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잠금 부재(351)에는 상기 제2후드(230)의 자중에 의한 외력만 가해지므로, 상기 제1잠금 부재(351)는 상기 회동핀(35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후드(230)도 그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210)에 대하여 틸팅한다. 이때 상기 제2잠금 부재(355)가 상기 제1잠금 부재(351)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이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2후드(230)의 틸팅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서의 B-B단면은 제1실시예에서의 B-B단면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상기 제1후드,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틸팅하는 것을 제2후드라 칭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후드는,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한 이동 방식에 따라서 각각 슬라이딩 후드 및 틸팅 후드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실질적으로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한 상기 제2후드의 틸팅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 리브와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스토핑 부재로 명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잠금 바아는 상기 제1후드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 리브는 상기 제2후드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잠금 바아가 상기 제2후드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 리브가 상기 제1후드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잠금 부재가 상기 제2후드에 가하는 외력에 비하여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제2후드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무관하게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2잠금 부재에 부여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후드 케이싱;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제1후드;
    자중에 의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틸팅하여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제2후드; 및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틸팅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 제어 장치는 상기 제2후드가 틸팅되는 회전 중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후드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틸팅 각도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드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에 접촉해서 상기 제2후드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후드 케이싱의 폭 방향의 중앙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후드 케이싱의 하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의 회동 중심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이 다른 복수 개의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네 개의 다른 반경을 갖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는 상기 틸팅 각도 제한부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단차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제어 장치는,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부로 수납되면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을 제한하고,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을 허용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제어 장치는, 상기 제2후드의 자중에 의한 틸팅이 허용된 경우에 상기 제2후드의 틸팅 속도를 저감시키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후드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잠금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후드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는 제2잠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되면,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상기 제1잠금 부재의 일측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후드의 틸팅이 제한되고,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접촉된 상기 제1잠금 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후드의 틸팅이 허용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상기 제1잠금 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 부재를 따라서 상대 이동하면서 상기 제2후드의 틸팅 속도가 저감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 부재에는,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접촉되는 잠금면; 및
    상기 제1후드가 상기 후드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 케이싱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2잠금 부재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대 이동하는 가이드면; 이 구비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0120088460A 2012-08-13 2012-08-13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37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60A KR101370924B1 (ko) 2012-08-13 2012-08-13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US13/929,913 US9526131B2 (en) 2012-08-13 2013-06-28 Microwave oven having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460A KR101370924B1 (ko) 2012-08-13 2012-08-13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198A KR20140022198A (ko) 2014-02-24
KR101370924B1 true KR101370924B1 (ko) 2014-03-10

Family

ID=5006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460A KR101370924B1 (ko) 2012-08-13 2012-08-13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26131B2 (ko)
KR (1) KR101370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483A (ko) *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90113401A (ko) 2018-03-28 201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190113400A (ko) 2018-03-28 201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4951B1 (en) * 2014-12-15 2018-07-11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with hood
US11285421B2 (en) 2018-04-12 2022-03-2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ilter media for filtration of cooking fum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912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8006356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085499B1 (ko) 2007-04-25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EP2541154A1 (de) 2011-06-30 2013-01-02 Miele & Cie. KG Dunstabzugshaube mit einem verschiebbar geführten Wrasenschir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67021T1 (de) * 1988-04-11 1991-09-15 Lufttechnik & Metallbau Ag Kuechen-dunstabzugshaube.
US7971393B2 (en) * 2006-10-30 2011-07-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oor actuation systems
KR101535304B1 (ko) * 2009-02-11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291505B1 (ko) * 2011-11-25 2013-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912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80063568A (ko) * 2007-01-02 2008-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085499B1 (ko) 2007-04-25 201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EP2541154A1 (de) 2011-06-30 2013-01-02 Miele & Cie. KG Dunstabzugshaube mit einem verschiebbar geführten Wrasenschir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2483A (ko) * 2014-12-15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269442B1 (ko) * 2014-12-15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90113401A (ko) 2018-03-28 201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190113400A (ko) 2018-03-28 2019-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2156A1 (en) 2014-02-13
KR20140022198A (ko) 2014-02-24
US9526131B2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924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130105113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US8410411B2 (en) Microwave oven including hood
KR101291505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809178B1 (ko) 디바이더 보관부를 갖는 조리기기
US7629561B2 (en) Electric oven with hood having opening/closing device to open and close an exhaust passage
US20190170368A1 (en) Convection Cooking Appliance with Circular Air Flow System
CN110686293B (zh) 吸油烟机
KR20120126215A (ko) 전기오븐의 도어
JP638517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694583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ES2616759T3 (es) Horno de cocción que tiene una altura de sección de paso de un flujo de aire constante
KR10124743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70059394A (ko) 전기 오븐
KR2010009530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2269442B1 (ko) 조리기기
JP6396642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20220014508A (ko) 조리기기
ES2616778T3 (es) Horno de cocción que comprende al menos un medio de estrangulamiento de una sección de paso de un flujo de aire
CN219693384U (zh) 一种吸油烟机
JP6697671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KR101751059B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
EP4317791A1 (en) Cooking appliance
KR20100043987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