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913B1 -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913B1
KR101370913B1 KR1020070137383A KR20070137383A KR101370913B1 KR 101370913 B1 KR101370913 B1 KR 101370913B1 KR 1020070137383 A KR1020070137383 A KR 1020070137383A KR 20070137383 A KR20070137383 A KR 20070137383A KR 101370913 B1 KR101370913 B1 KR 10137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groove
touch
emitting surface
tou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655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9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13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발광 조립체 및 그와 같은 발광 조립체를 가지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체 조립체는,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된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상기 발광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발광체 조립체는 종래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이다.
발광체, 발광면, 측방향 조사, 텔레비젼

Description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Lightening Assembly and Image Displaying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발광 조립체 및 그와 같은 발광 조립체를 가지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텔레비젼 등)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등 가전제품에는 엘이디(LED) 램프 등과 같은 발광 소자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 조립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발광 조립체는 야간에 사용자가 그 제품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발광 조립체로서 텔레비젼에 사용되던 것을 예로 들어 도1 내지 도2를 통해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텔레비젼(3)의 전면부에 제조사를 나타내기 위한 마크(1)가 표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마크는 도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발광을 통해 야간에도 잘 인식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위와 같은 발광 조립체에 대해 도2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위 마크는(1) 투명한 재질로 후방이 개구되는 몸체(5)와 이 몸체(5)의 전면에 선명한 색상으로 된 전면 표시부(7)를 가지며, 이 몸체(5) 내부에는 당해 제품(13)의 오프 동작시 점등되는 발광소자(15)로서 엘이디 램프가 배치된다.
상기 후방이 개구되는 몸체(5)는 투명수지로 형성되며, 그의 전면 표시부(7)에는 제조 메이커의 상호가 각인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5)의 후부 양측으로는 후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9)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9)은 선단으로 걸림턱(11)을 형성하여 도2와 같이 제품(13)에 탄성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상기 마크(1)의 몸체(5) 내측에는 발광소자(15)가 조립되는 회로기판(17)이 배치되며, 상기 발광소자(15)는 미도시된 적용제품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켰을 때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될 수 있도록 전기적 연결되어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발광 조립체 구조는 사용자에게 발광되어 보이기 위한 발광면(위에서 전면 표시부에 해당함)이 정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그 발광을 위한 발광소자로서 엘이디 램프는 발광면 직 후방에 배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후방에 엘이디 램프 및 인쇄회로기판이 수직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할 수 있다. 특히, 두께가 얇은 슬림한 텔레비젼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상기 종래의 구조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엘이디 램프가 조사되는 구조라서 발광면이 훼손된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발광을 원하지 않는 모든 부분은 빛이 투과되지 않도록 막음 처리를 하여야 한다. 빛은 넓게 분산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빈틈없이 막음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발광 조립체 구조를 제공한다.
슬림한 구조에 적합하고, 또한, 발광면에 훼손이 있더라도 엘이디 램프의 빛이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발광 조립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체 조립체는,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된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및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상기 발광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발광체 조립체는 그 발광체의 앞면이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대해 정면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면 램프의 조사 방향은 측면 방향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램프들은 엘이디(LED) 램프일 수 있으며, 상기 발광체의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구조이다. 종래 발광면에 대해 직후방에 위치하던 배치와 전혀 다른 배치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램프들은 위상차를 가지고 일정한 주파수로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램프들을 동시에 온/오프 제어하는 것보다는 적당한 위상차를 가지고 일정한 주파수로 온/오프 제어하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각 램프들은 항상 온으로 유지되지 않고 온과 오프를 교번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주파수를 일정치 이상으로 하면 사용자는 램프들이 온/오프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램프들이 항시 온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불편함이 없다. 상기 주파수는 모든 램프들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주파수가 이용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램프들은 순차적으로 점등되거나 점멸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래서, 전자제품이 켜질 때는 순차적으로 점등하고, 꺼질 때는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효과를 줄 수도 있다.
상기 발광체는 앞면홈과 상기 앞면홈 둘레로 형성된 뒷면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홈은 경우에 따라 관통홈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앞면홈은 앞에서 바라볼 때 홈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앞면홈은 벽면을 가지는데 그 벽면이 상기와 같은 발광면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발광면은 불투명한 면으로 된다. 발광체를 사출 성형할 때 그 발광면에 대해서는 부식 처리하면 그와 같은 불투명한 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발 광체는 발광면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투명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래서, 램프의 빛이 발광체의 다른 부분은 그대로 통과하여 상기 발광면에 맺히도록 한다.
또한, 뒷면홈은 뒷면에서 바라볼 때 홈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 상기 다수의 램프들이 위치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발광체는 중앙에 발광면을 벽면으로 가지는 앞면홈이 있고, 그 주위 둘레에 뒷면홈이 위치하며, 그 뒷면홈 내에 다수의 램프들이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고 있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발광체의 뒷면홈에는 각 램프들이 수용될 수 있는 자리로서 다수의 램프홈들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램프홈은 그 대응 램프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면이 곡면으로 형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으로 형상되면 램프 빛이 더 넓게 방사되어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발광면은 다양한 형태로 형상될 수 있다. 예컨대, 단순한 원형 또는 별모양 등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될 수도 있고, 또는 특정의 문자 또는 마크로 형상될 수도 있다. 원형으로 형상된 경우 둥근 원으로 발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만약, 제조사의 로고가 형상된다면 그와 같은 로고가 발광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체 전방에는 도전체로 된 터치멤버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이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그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전류가 센싱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 스위치와 같은 기능 에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멤버를 손으로 터치하면 그에 따라 터치멤버에 미세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를 센싱부에서 센싱하여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멤버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관통홈으로 형상되는 터치부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부를 터치함에 따라 상기 터치부 내지 터치멤버에 미세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를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면은 상기 터치멤버의 관통홈을 통해 보일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멤버는 전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달부는 상기 센싱부에 근접하여 위치함에 따라 그 미세전류의 센싱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달부는 터치멤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 시에 상기 전달부는 상기 발광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전달부에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는 전자제품 본체 내에서 다른 회로들과 연결되어 있을 것인데, 상기 터치멤버는 상기 센싱부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터치멤버를 통한 누전의 문제는 없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달부에는 이엠아이 가스켓이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와 같은 발광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터치멤버; 상기 터 치멤버 후방에 위치하고,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된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상기 발광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 상기 다수의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가 센싱됨에 따라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부 및 전원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에 상기와 같은 센싱부와 전원스위치부를 회로로 인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스위치부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 내 다른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예컨대, 텔레비젼을 예로 들면, 전원스위치부는 텔레비젼 본체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싱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메인 인쇄회로기판에서 메인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체 조립체는 두께가 얇은 슬림한 구조에 적합하다. 또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고 측방향으로 조사되도록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빛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주는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광체(110)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텔레비젼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3 및 도4에는 터치멤버(120), 발광체(110), 인쇄회로기판(130) 등에 대해 각각 앞에서 바라본 경우와 뒤에서 바라본 경우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터치멤버(120)는 전체가 도전체로 만들어져 있으며, 중앙에 원통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원통홈의 내벽면이 터치부(121)가 된다. 상기 터치부(121)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면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전달부(122)가 있으며, 상기 전달부(122) 내에는 이엠아이(EMI) 가스켓(123)이 설치된다. 이엠아이 가스켓(123)은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게 된다.
발광체(110)는 앞면에 상기 전달부(122)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가지며, 중앙에는 앞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앞면홈으로서 원통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홈(112)의 내벽면은 발광면(111)이 된다. 상기 원통홈(112)의 내주면인 발광면(111)은 상기 터치멤버(120)의 관통홈보다 직경이 작다. 그래서, 상기 터치멤버(120)의 관통홈을 통해 상기 발광면(111)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체(110)의 평탄한 앞면과 상기 발광면(111) 사이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117)으로 연결된다.
상기 발광면(111)은 상기 앞면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경사져 있다. 정확하게는 정수직으로 경사지지 않고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 경사져 있다. 그래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발광면(111)이 모두 보일 수 있다.
상기 발광체(110)의 앞면에는 전방으로 약간 돌출된 부분이 다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게 되는 램프홈(114)들이다.
도4에는 상기 발광체(110)의 뒷면이 보이는데, 상기 발광체(110)의 뒷면에는 상기 발광면(111)을 둘러싸는 뒷면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뒷면홈(113)에는 상기 램프홈(114)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램프홈(114)의 일측 벽 면은 곡면(115)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램프(140)들은 각각 상기 램프홈(114)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 빛이 조사되는 방향은 상기 곡면(115)을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곡면(115)을 통해 램프(140)의 빛은 넓게 분산되어 방사적으로 조사된다.
인쇄회로기판(130)은 상기 발광체(110)의 뒷면홈(113) 내로 위치된다. 상기 뒷면홈(113)의 크기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30)이 완전히 뒷면홈(113) 내로 위치될 수도 있고, 일부만 위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램프(140)들은 상기 뒷면홈(113) 내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램프(140)들이 설치된 모습은 도5 및 도6에 잘 나타나 있다.
도5 및 도6은 발광체(110)와 다수의 램프(140)들과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30)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5 및 도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램프(140)에서 조사된 빛은 발광체(110) 내부로 투과되어 발광면(111)에 맺히게 된다. 상기 발광체(110)는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데, 그때 상기 발광면(111)은 불투명한 면이 되도록 처리된다. 상기 발광면(111)을 불투명하게 만드는 일례로는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그 대응면을 소정의 거칠기를 가지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금형의 다른 면들은 매끄럽게 하고 발광면(111)에 대응되는 면만을 거칠게 만들어 사출 성형하면 발광체(110)의 발광면(111)만 불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수의 램프(140)들은 모두 일시에 온되고 오프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지만, 그와 달리 다양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멤버(120) 가 터치되어 그것이 센싱됨에 따라 상기 램프(140)들이 순차적으로 온되거나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적용되는 전자제품, 예컨대 텔레비젼의 메인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다수의 램프(140)들이 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야간에 사용자로 하여금 텔레비젼 내지 그 터치멤버(120)를 잘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야간에 사용자는 발광체(110) 조립체의 발광면(111)을 보고 그것을 터치하기 위해 손을 접근시킴에 따라 그 주변에 위치한 터치멤버(120)를 터치하게 되며, 이렇게 터치멤버(120)가 터치되면 그 신호를 센싱하여 텔레비젼의 메인전원을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40)들은 각각 다른 색의 불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불빛색을 통해 텔레비젼의 현재 온/오프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140)들이 온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램프(140)들을 온으로 계속 유지할 수도 있지만, 일정한 주파수를 가지고 온/오프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서 겉보기에는 계속 온으로 유지된 것처럼 보이도록 만들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 이외에도 상기 다수의 램프(140)들을 시간적으로 어떻게 제어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내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램프(140)들에 대한 제어를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에는 그 제어에 맞도록 회로가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30)은 텔레비 젼과 같이 그 대상이 되는 전자제품의 메인회로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터치멤버(120)에는 도3 및 도4와 같은 결합돌기(124)를 가지며, 발광체(110)에는 상기 결합돌기(124)가 삽입되어 라킹될 수 있는 결합홈(116)을 가진다. 그래서, 상기 결합돌기(124)가 결합홈(116)에 삽입되어 후킹됨에 따라 터치멤버(120)와 발광체(110)가 조립될 수 있다.
도7에는 위와 같은 발광체(110) 조립체를 가지는 텔레비젼을 나타낸다. 최근에는 엘시디(LCD) 또는 피디피(PCD) 텔레비젼 등과 같이 슬림한 텔레비젼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체(110)는 그와 같은 슬림한 구조에 적합하며, 또는 그 텔레비젼을 보다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발광체(110) 조립체는 그 터치멤버(120)의 상기 원통 형상 관통홈을 제외한 부분이 텔레비젼의 전면 프레임에 덮히면서 조립된다. 그래서, 텔레비젼 전면에서 보면 상기 터치멤버(120)의 관통홈과 그 내로 보이는 상기 발광체(110)의 발광면(111)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이게 된다.
도7의 텔레비젼에서는 상기 발광체(110) 조립체가 텔레비젼의 전원스위치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텔레비젼의 메인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그 다수의 램프(140)들은 온상태에 있어 상기 발광면(111)이 밝게 발광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멤버(120)의 터치부(121)를 터치하면 그 미세전류가 전달부(122)로 전달되어 센싱부에 의해 센싱된다. 그리고, 그와 같이 센싱됨에 따라 텔레비젼의 메인 전원이 온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램프(140)들은 오프되어 꺼질 수도 있다. 또는, 텔레비젼의 메인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붉은색 빛으로 발광하고, 메인전원이 켜짐에 따라 노란색 내지 흰색 빛으로 발광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그 범주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은 종래의 텔레비젼을 나타낸다.
도2는 도1에 포함된 발광체 조립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발광체 조립체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5는 도3의 발광체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텔레비젼에 대한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0 : 발광체 111 : 발광면
112 : 원통홈 113 : 뒷면홈
114 : 램프홈 115 : 곡면
116 : 결합홈 117 : 경사면
120 : 터치멤버 121 : 터치부
122 : 전달부 123 : 이엠아이 가스켓
124 : 결합돌기 130 : 인쇄회로기판
140 : 엘이디 램프

Claims (12)

  1.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된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상기 발광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발광면을 벽면으로 가지는 앞면홈과 뒷면에서 상기 앞면홈 둘레로 형성된 뒷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램프들은 상기 뒷면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홈에는 상기 각각의 램프를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램프홈들이 형성되되, 상기 각 램프홈은 그 대응 램프의 전방에 위치하는 벽면이 곡면으로 형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은 문자 또는 마크로 형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 전방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된 터치멤버와;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멤버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관통홈으로 형상되는 터치부와, 상기 센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에 안착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에 설치되는 이엠아이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램프들은 일정한 주파수로 온/오프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8. 중앙에 관통홈으로 형상되는 터치부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달부를 가지며, 상기 터치부와 전달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된 터치멤버;
    상기 터치부의 관통홈을 통해 보이도록 위치하되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도록 뒷면에 형성되는 뒷면홈을 가지는 발광체;
    상기 전달부의 미세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가지고, 상기 뒷면홈 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램프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제품용 발광체 조립체.
  9.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된 터치멤버;
    상기 터치멤버 후방에 위치하고,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된 발광면을 가지는 발광체;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며 배치되어 상기 발광면에 빛을 조사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램프들;
    상기 다수의 램프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터치멤버의 전류가 센싱됨에 따라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상기 발광면을 벽면으로 가지는 앞면홈과 뒷면에서 상기 앞면홈 둘레로 형성된 뒷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램프들은 상기 뒷면홈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멤버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관통홈으로 형상되는 터치부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발광체에 안착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에 설치되는 이엠아이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중앙에 관통홈으로 형상되는 터치부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달부를 가지며, 상기 터치부와 전달부를 포함하여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로 된 터치멤버;
    상기 터치부의 관통홈을 통해 보이도록 위치하되 앞면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는 발광면과,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도록 뒷면에 형성되는 뒷면홈을 가지는 발광체;
    상기 전달부의 미세전류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전달부의 전류가 센싱됨에 따라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본체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부;
    상기 뒷면홈 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발광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다수의 램프들;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137383A 2007-12-26 2007-12-26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7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83A KR101370913B1 (ko) 2007-12-26 2007-12-26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383A KR101370913B1 (ko) 2007-12-26 2007-12-26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55A KR20090069655A (ko) 2009-07-01
KR101370913B1 true KR101370913B1 (ko) 2014-03-10

Family

ID=413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383A KR101370913B1 (ko) 2007-12-26 2007-12-26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9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671A (ja) 2002-09-20 2004-04-08 Hitachi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及びその稼動状況表示方法
JP2004287546A (ja) 2003-03-19 2004-10-1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0671A (ja) 2002-09-20 2004-04-08 Hitachi Ltd 電子計算機システム及びその稼動状況表示方法
JP2004287546A (ja) 2003-03-19 2004-10-14 Hitachi Ltd コンピュ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55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0998B2 (en)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ground illumination and icon projection module
US8979353B2 (en) Light fixture having modular accessories and method of forming same
MX2011007469A (es) Dispositivo de retención para un instrumento de mando.
CN203453877U (zh) 灯装置及照明装置
CN216043103U (zh) 发光门把手及冷柜门
KR101370913B1 (ko) 발광체 조립체 및 그것을 적용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205858A (ja) 誘導灯
CN104061462B (zh) 灯装置及照明装置
KR101198094B1 (ko) 스위치의 이미지 표시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 스위치
DK2202856T3 (en) Electrical installer
CN108437909B (zh) 一种通用型隐藏式环绕发光徽标装置
KR100661025B1 (ko) 다이얼노브설치구조
KR20150112334A (ko) 조명용 탈부착 센서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KR20110049269A (ko) 다이얼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A2579392A1 (en) Lighted sign
JP5335535B2 (ja) 電飾パネルを有する電気器具
CN210345197U (zh) 一种吸顶灯
US10204492B2 (en) Visual signalling device for control and/or display unit
JP6628087B2 (ja) 操作装置
KR101338636B1 (ko) 조명장치
CN220701011U (zh) 氛围拾音灯、中控屏总成及车辆
KR200359629Y1 (ko) 전자기기의 표시램프유닛
CN220436296U (zh) 灯光装置
CN215417367U (zh) 显示组件和电子设备
KR200183047Y1 (ko) 전원표시기능이 복합된 리모콘수광부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