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709B1 -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709B1
KR101370709B1 KR1020120010514A KR20120010514A KR101370709B1 KR 101370709 B1 KR101370709 B1 KR 101370709B1 KR 1020120010514 A KR1020120010514 A KR 1020120010514A KR 20120010514 A KR20120010514 A KR 20120010514A KR 101370709 B1 KR101370709 B1 KR 101370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dercut
stripper plate
product
st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113A (ko
Inventor
신연선
Original Assignee
신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연선 filed Critical 신연선
Priority to KR1020120010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7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언더컷 형상을 가진 제품을 사출 성형한 후에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품의 언더컷 성형 및 취출을 위한 수단으로 금형 내에서 독립적인 상하 분리작동이 가능한 2개의 스트리퍼판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언더컷 처리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언더컷을 갖는 제품의 용이한 취출은 물론, 금형의 사이즈 축소 및 구조 단순화, 그리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금형 제작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Injection mold for removing undercut}
본 발명은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언더컷 형상을 가진 제품을 사출 성형한 후에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법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 성형재료를 사출성형기 내에서 가열 용융한 후, 사출금형의 캐비티 내로 원료를 가압 충전하고, 이를 금형상에서 고화 또는 경화하여 제품을 제작하는 성형방법이다.
이러한 사출금형에서는 용융된 재료가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 등의 주입공간을 통하여 제품 성형공간인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어 성형되고,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이젝터의 작동에 의해 런너와 게이트 및 성형물이 분리되면서 제품이 취출되는 방식으로 사출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품의 취출과정에서 제품을 금형 내 캐비티로부터 분리할 때 장애를 주는 부분이 발생되는데, 이 부분을 통상 언더컷이라고 한다.
즉, 언더컷은 사출금형의 형 닫힘이나 형 열림 방향의 운동만으로는 제품을 배출하기 곤란한 오목한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언더컷은 제품의 외부에 있는 경우와 내부에 있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언더컷 부분으로 인해 제품의 취출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언더컷이 형성된 부분에서 제품의 취출시 금형과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해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언더컷을 처리하는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이 방식은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제품의 언더컷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코어가 작동하여 제품으로부터 분리되면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종래의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는 고정측으로서 상고정판(10) 및 런너판(11), 상기 런너판(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캐비티(12)를 조성하는 상원판(13), 상기 상원판(13)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코어(14)를 작동시켜주는 경사 핀(15)을 포함하고, 가동측으로서 하고정판(16) 및 받침판(17), 상기 받침판(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캐비티(12)를 조성하는 하원판(18), 상기 하원판(18)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품의 언더컷 부위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14) 및 이것을 받쳐주는 스트리퍼판(19), 상기 하고정판(16) 내에 조립되면서 제품을 취출을 위해 위아래로 동작하는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을 포함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2는 스페이서 블럭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2a 내지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원판(13)과 하원판(18)이 조성하는 캐비티(12)에 용융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한 후, 냉각시켜 제품이 완성되면, 가동측의 하강 작동에 의해 상원판(13)과 하원판(18)이 분리되고, 이와 함께 제품의 언더컷을 형성하고 있는 슬라이드 코어(14) 또한 바깥쪽으로 이동되면서 제품의 언더컷으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해서, 상기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의 전진 작동에 의해 스트리퍼판(19)이 상승하면서 제품을 하원판(18)으로부터 분리시켜주게 되고, 재차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의 후진 작동에 의해 스트리퍼판(19)이 하강되어 원위치 된 후, 로봇에 의해 제품 픽업 또는 제품의 낙하에 의해 제품이 취출되는 것으로 사출성형의 1사이클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언더컷을 처리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금형장치에서 다수 개의 제품을 성형하는 경우에 슬라이드 코어의 크기가 커져서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고, 금형의 부품수 증가 등으로 금형 제작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의 제작시 가공시간이 오래 걸려서 금형 제작시간이 증가되고,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부품들 상호 간의 작동부가 늘어나면서 금형이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며, 특히 제품 성형 후에 슬라이드 코어가 후퇴하면서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인 관계로 언더컷에 손상이 생기는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품의 언더컷 성형 및 취출을 위한 수단으로 금형 내에서 독립적인 상하 분리작동이 가능한 2개의 스트리퍼판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언더컷 처리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언더컷을 갖는 제품의 용이한 취출은 물론, 금형의 사이즈 축소 및 구조 단순화, 그리고 부품수 축소에 따른 금형 제작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제품의 불량을 줄일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는 상고정판 및 런너판과, 상기 런너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캐비티를 조성하는 상원판으로 구성되는 고정측 몰드부와, 하고정판 및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캐비티를 조성하는 하원판으로 구성되는 가동측 몰드부와, 상기 하고정판 내에 조립되면서 제품을 취출을 위해 위아래로 동작하는 이젝터 블럭 및 이젝터 핀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 사이에서 위아래로 적층 배치되어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부분으로서, 이젝터 블럭 및 이젝터 핀과 연동되면서 서로 상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동작을 통해 제품을 취출하는 제1스트리퍼판 및 제2스트리퍼판을 더 포함함으로써, 제품의 언더컷 성형 및 취출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를 생략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금형의 부품수 축소에 따른 사이즈 축소 및 구조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스트리퍼판 및 제2스트리퍼판은 하원판에 수직 설치되는 작동캡에 위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상승 한계가 구속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가동측 몰드부의 이형 후에 하원판으로부터 상향 이격될 수 있는 한편, 상기 제1스트리퍼판의 경우에는 이젝터 블럭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제2스트리퍼판을 관통하는 이젝터 핀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젝터 작동시 제2스트리퍼판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기존의 슬라이드 코어를 생략하고, 상하 조합한 2개의 스트리퍼판과 작동캡을 이용하여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이므로,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금형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등 금형 제작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금형의 전체 사이즈가 축소됨에 따라 설치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품의 언더컷 부분 취출시 2개의 스프리퍼판이 위아래로 분리 동작하면서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이므로, 언더컷 부분에 손상이 생기는 불량을 줄일 수 있고, 결국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금형의 부품수 축소에 따른 부품 상호 간의 작동부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등 작동성능 향상과 더불어, 금형의 관리 및 부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내지 2c는 종래의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는 보통의 사출 금형장치와 마찬가지로 고정측 몰드부로서 상고정판(10), 런너판(11) 및 상원판(13)과, 가동측 몰드부로서 상하 적층 조합되는 하고정판(16), 받침판(17) 및 하원판(18), 그리고 제품 취출을 위한 수단으로서 상하 적층 조합되는 이젝터 블럭(20)과 이젝터 핀(2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판(17)과 하고정판(16)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 블럭(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원판(13)과 하원판(18)은 각각이 가지고 있는 코어 부분을 이용하여 캐비티(12)를 조성하게 되고, 또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은 하고정판(16) 내에, 다시 말해 받침판(17)과 하고정판(16) 사이에 조성되는 공간 내에 조립되어 제품 취출시 위아래로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가동측 몰드부와 고정측 몰드부의 합형 및 이형을 위한 작동 방식,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의 제품 취출을 위한 작동 방식은 보통의 사출 금형장치가 가지는 작동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품의 언더컷 성형 및 취출을 위한 수단으로서, 기존의 슬라이드 코어를 대신하는 2개의 판 부재를 적층 조합한 형태의 스트리퍼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위아래로 위치되어 서로 상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이 마련되고, 이때의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상원판(13)과 하원판(18) 사이에 배치되며,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과 연동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상원판(13)과 하원판(18) 간의 합형시 함께 위아래로 밀착 결합될 수 있게 되고, 상원판(13)과 하원판(18) 간의 이형시 서로 떨어지면서 위아래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상원판(13) 및 하원판(18)에 있는 코어 부분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홀을 가지는 대략 사각의 판 부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합형시 하원판(18)의 코어가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에 있는 홀을 통과하여 상원판(13)의 코어와 조합되면서 캐비티(12)를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부분으로서, 제1스트리퍼판(23)에는 홀 주변을 따라 형성되는 언더컷 성형부(28)가 구비되고, 이때의 언더컷 성형부(28)는 상원판(13)과 하원판(18)의 코어 부분과 함께 아래쪽에 조합되면서 캐비티(12)의 하부 언더컷 성형 부분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서로 간의 결합시(상하 밀착 적층시) 서로가 요철(凹凸) 구조로 형합되면서 자동으로 중심이 맞춰질 수 있게 되고, 결국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스트리퍼판(23)에는 요입형의 테이퍼(27a)가, 제2스트리퍼판(24)에는 돌출형의 테이퍼(27b)가 각각 형성되며, 스트리퍼판 간의 합형시 이때의 테이퍼(27a,27b)가 서로 형합되므로서,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은 서로 간의 정확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스트리퍼판(24) 또한 하원판(18)의 코어 부분과 테이퍼 구조로 형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작동캡(25)을 매개로 하여 하원판(18)으로부터 일정높이 상향 이격되는 동작 특성을 갖게 된다.
즉, 하원판(18)에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동캡(25)이 마련되는데, 이때의 작동캡(25)에 의해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이 위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 또 윗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슬라이드 홀(26)을 이용하여 작동캡(25)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하원판(18)에 있는 작동캡(25)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또 작동캡(25)에 있는 후술하는 플랜지(25c)에 슬라이드 홀(26)의 내측 턱부분이 걸려지면서 상향 이동이 구속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작동캡(25)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는 높이까지 상승하면서 하원판(1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의 움직임을 안내하고 또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작동캡(25)은 캡 볼트(25a)와 상단 플랜지(25c)를 가지는 캡 부시(25b)로 구성되며, 이때의 캡 볼트(25a)는 하원판(18)상에 체결되는 구조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캡 부시(25b)는 캡 볼트(25a)의 둘레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에 있는 슬라이드 홀(26) 내에 끼워지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캡 부시(25b)는 캡 볼트(25a)를 하원판(18)상에 체결하면 그 하단을 하원판(18)의 윗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세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캡 부시(25b)의 상단 플랜지(25c)는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트리퍼판(24)에 있는 슬라이드 홀(26)의 내측 턱부분, 정확하게는 제2스트리퍼판(24)의 슬라이드 홀 구간의 내측에 있는 턱부분에 위아래로 걸려지게 되고, 결국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이 위로 일정높이 이동하게 되면 턱부분이 캡 부시(25b)의 플랜지(25c)에 의해 걸려짐에 따라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이때까지의 상승된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과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 간의 연동구조를 위하여, 상기 이젝터 블럭(20)에서 연장되는 이젝터 핀(21)은 받침판(17)과 하원판(18), 그리고 제2스트리퍼판(24)을 차례로 수직 관통한 후에 제1스트리퍼판(23)의 저면에 볼트 체결구조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이젝터 블럭(20)의 작동시 이젝터 핀(21)이 상향 이동하면 그 상단에 일체 결합되어 있는 제1스트리퍼판(23)도 상향 이동하게 되고, 결국 제2스트리퍼판(24)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2스트리퍼판(24)에 붙어 있는 제품의 하단부를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스트리퍼판(23)은 이젝터 핀(21)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면서 제2스프리퍼판(23)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수 있게 되거나, 제2스트리퍼판(23)측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측 금형부와 고정측 금형부의 합형(合型) 상태에서 상원판(13) 및 하원판(18), 그리고 제1스트리퍼판(23)과 제2스트리퍼판(24)이 조성하고 있는 제품 성형 공간인 캐비티(12) 내에 용융된 수지 재료가 주입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어 제품이 성형된 후에 가동측 금형부와 고정측 금형부의 이형(離型)이 이루어진다.
즉, 상고정판(10), 런너판(11) 및 상원판(13)을 포함하는 고정측 금형부와,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과 하원판(18) 등을 포함하는 가동측 금형부가 서로 위아래로 분리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측 금형부와 가동측 금형부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난 후, 평고리로 인한 작동캡(25)의 작동에 의해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작동캡(25)을 구성하는 캡 부시(25b)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하원판(18)으로 분리되며, 이때의 분리작동은 제2스트리퍼판(24)의 슬라이드 홀(26)에 있는 턱부분이 작동캡(25)의 캡 부시(25b)에 있는 플랜지(25c)에 걸려지면서 상향 이동이 제한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제품(100)은 하원판(100)의 코어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의 언더컷 성형부(28)에 그 하단부가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가 상향 이동할 때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도 함께 상향 이동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100)을 포함하는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이 하원판(18)으로부터 분리되고 난 후, 이젝터(미도시) 작동(전진)으로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이 상승하게 되면, 이젝터 핀(2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스트리퍼판(23)이 위로 이동하면서 제2스트리퍼판(2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제품(100)은 제1스트리퍼판(23)의 제품성형부(28)에 그 하단부의 언더컷 부분이 얹혀진 상태로 끼워져 있게 된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젝터(미도시) 작동(후진)으로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이 하강하게 되고, 계속해서 제1스트리퍼판(23)도 함께 아래로 내려와서 제2스트리퍼판(24) 위에 재차 결합되면, 이때의 제품(100)은 자유낙하 또는 로봇의 픽업 작업에 의해 금형으로부터 취출된다.
여기서, 하원판의 코어부분이 제품(100)을 벗어난 상태이므로 제품 취출시 언더컷 부분이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빠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품의 언더컷 부분을 성형함과 더불어 언더컷 부분을 취출하는 수단으로 기존의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는 방식을 배제하고, 그 대신에 스트리퍼판을 2개로 구성하면서 작동캡을 이용하여 제품을 취출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슬라이드 코어 및 그 주변 부품들의 삭제가 가능하고, 결국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금형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 : 상고정판 11 : 런너판
12 : 캐비티 13 : 상원판
14 : 슬라이드 코어 15 : 경사핀
16 : 하고정판 17 : 받침판
18 : 하원판 19 : 스트리퍼판
20 : 이젝터 블럭 21 : 이젝터 핀
22 : 스페이서 블럭 23 : 제1스트리퍼판
24 : 제2스트리퍼판 25 : 작동캡
26 : 슬라이드 홀 27a,27b : 테이퍼
28 : 언더컷 성형부

Claims (5)

  1. 상고정판(10) 및 런너판(11)과, 상기 런너판(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캐비티(12)를 조성하는 상원판(13)으로 구성되는 고정측 몰드부와, 하고정판(16) 및 받침판(17)과, 상기 받침판(17)의 상부에 배치되어 캐비티(12)를 조성하는 하원판(18)으로 구성되는 가동측 몰드부와, 상기 하고정판(16) 내에 조립되면서 제품을 취출을 위해 위아래로 동작하는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을 포함하며,
    상기 상원판(13)과 하원판(18) 사이에서 위아래로 적층 배치되어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는 부분으로서 이젝터 블럭(20) 및 이젝터 핀(21)과 연동되면서 서로 상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동작을 통해 제품을 취출하는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하원판(18)에 수직 설치되는 작동캡(25)에 위아래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상승 한계가 구속되는 구조로 결합되어, 가동측 몰드부의 이형 후에 하원판(18)으로부터 상향 이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캡(25)은 하원판(18)상에 고정되는 캡 볼트(25a)와, 상기 캡 볼트(25a)의 둘레에 결합되는 동시에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홀(26) 내에 끼워지며 상단의 플랜지(25c)를 이용하여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의 상향 이동을 구속하는 캡 부시(2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리퍼판(23)은 이젝터 블럭(20)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제2스트리퍼판(24)을 관통하는 이젝터 핀(21)의 상단에 연결되어, 이젝터 작동시 제2스트리퍼판(24)으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리퍼판(23) 및 제2스트리퍼판(24)은 서로 요철(凹凸) 구조로 형합되는 테이퍼(27a,27b)에 의해 자동으로 중심을 맞추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KR1020120010514A 2012-02-01 2012-02-01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KR101370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14A KR101370709B1 (ko) 2012-02-01 2012-02-01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514A KR101370709B1 (ko) 2012-02-01 2012-02-01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13A KR20130089113A (ko) 2013-08-09
KR101370709B1 true KR101370709B1 (ko) 2014-03-06

Family

ID=4921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514A KR101370709B1 (ko) 2012-02-01 2012-02-01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7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8104B (zh) * 2015-09-29 2017-08-29 苏州飞拓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镁合金风扇的压铸模具
CN108859031B (zh) * 2016-08-31 2020-07-14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注塑模直顶强脱二次顶出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704A (ja) * 1997-01-20 1998-08-04 Toppan Printing Co Ltd 二段離型方式射出成形金型
KR0133139Y1 (ko) * 1995-06-08 1999-05-15 이영재 사출물성형장치
JP2002307452A (ja) * 2001-04-18 2002-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段突出し金型
KR101010406B1 (ko) * 2010-11-01 2011-01-21 신연선 립스틱 용기의 리드링 사출용 금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139Y1 (ko) * 1995-06-08 1999-05-15 이영재 사출물성형장치
JPH10202704A (ja) * 1997-01-20 1998-08-04 Toppan Printing Co Ltd 二段離型方式射出成形金型
JP2002307452A (ja) * 2001-04-18 2002-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段突出し金型
KR101010406B1 (ko) * 2010-11-01 2011-01-21 신연선 립스틱 용기의 리드링 사출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13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71B1 (ko) 사출금형의 게이트 자동 절단장치
KR101522938B1 (ko) 코어 추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CN203031870U (zh) 透镜二次顶出模具组件
KR101370709B1 (ko) 언더컷 사출 금형장치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221408B1 (ko) 적층형 벤트코어가 장착된 사출성형 금형
CN102962966A (zh) 一种塑胶模具的自动切断浇口结构
CN103057053A (zh) 二通连接头塑料模具
CN109551712A (zh) 上模四次下模两次开模结构复合瓶盖注塑模具
KR101935505B1 (ko) 사출 금형의 이젝트 장치
KR102197381B1 (ko) 런너 자동 분리형 용기입구측 사출금형
CN102886873B (zh) 注塑模具利用定模推板拉断点浇口机构
CN205969752U (zh) 一种过胶机的壳体注塑模具
CN104149279A (zh) 盖塞注塑模及其盖塞的注塑方法
CN209987306U (zh) 一种用于笔记本电脑顶盖的注塑模具
CN203649363U (zh) 摆钩延时分型的模具
KR101548518B1 (ko) 런너의 자동 분리기능을 갖는 사출 금형
KR200421109Y1 (ko) 변형밀핀을 이용하여 제품 내측에 게이트를 설치하는 구조
KR200444791Y1 (ko) 슬라이드 코어와 변형 밀핀을 이용한 성형품 내/외측 언더컷 처리 장치
CN203712987U (zh) 注塑模具抽芯滑块复位防撞机构
US20130071512A1 (en) Opening device of slides in moulds for the ejection of moulded parts
KR101224974B1 (ko) 캡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200444793Y1 (ko) 사출성형장치에서 제품 흡착 방지를 위한 취출 장치
CN204546959U (zh) 自动断浇口结构
CN202088412U (zh) 模具退出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