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644B1 -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644B1
KR101370644B1 KR1020120062853A KR20120062853A KR101370644B1 KR 101370644 B1 KR101370644 B1 KR 101370644B1 KR 1020120062853 A KR1020120062853 A KR 1020120062853A KR 20120062853 A KR20120062853 A KR 20120062853A KR 101370644 B1 KR101370644 B1 KR 101370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spiral
rotary
pin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101A (ko
Inventor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to KR1020120062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6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수명이 길고 만들기 쉽고 회전이 원활한 회전걸레가 개시된다. 상기 회전걸레는 자루부가,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재 및 외주면 바깥으로 또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에 맞물리는 회전구동핀을 구비하여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재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신축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나선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핀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Rotary device, Rotary mob and clean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하여 자루를 수축시키는 동작에 의해 걸레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걸레의 세척 및 탈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걸레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루걸레는 걸레를 물에 세척 후 바닥을 닦기 전에 탈수를 한다. 기존에는 걸레를 바닥에 놓고 발로 밟거나 손으로 짜서 탈수를 하였는데,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한 일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자루를 나선구조를 통해 신축 가능케 결합하여 자루를 수축시킬 때 걸레가 결합된 나선부재가 회전하고 신장시킬 때 걸레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나선부재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된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가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58282호의 등록공보(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선출원 발명의 "선형의 상하운동을 매개로 한 일 방향의 트위스팅을 통해 걸레를 탈수하는 기능을 갖는 자루걸레"는 웜(worm) 또는 스레디드 피스(threaded piece)로 구성된 구동 부재(driving element)와 내측벽이 스레디드 슬리브(threaded sleeve: 41)로 형성되고 구동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전되는 작동부재에 의해 걸레를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출원 발명은 구동부재 및 작동부재 모두에 나선을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이 어려워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나선끼리의 맞물림 의해 작동부재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걸레를 회전시키는 데 큰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선구조를 가지는 구동부재와 작동부재는 그 크기가 크고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금속으로 만들지 않고 통상 플라스틱으로 만드는 데, 반복되는 가압 작동에 의해 부품이 쉽게 닳거나 파손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축 가능케 결합된 두 부재가 신축과정에서 서로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회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그 제작이 용이한 회전걸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요되는 부품의 구성이 복잡하지 않은 회전걸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걸레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걸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이 수명이 긴 회전걸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레의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하고 수명이 길고 사용자의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고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장착구를 가지는 회전걸레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재; 및
상기 나선부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재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고, 좌우의 양쪽 외주면 바깥으로 또는 좌우의 양쪽 내주면 안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 양쪽에서 상기 나선에 선접촉되며 맞물리는 회전구동핀을 구비하여 상기 신축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나선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핀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2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는, 상기 핀장착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루부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자루부의 신축 시 상기 나선부재 또는 상기 핀장착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나선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나선부재는 상기 핀장착부재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은 상기 중공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핀은 양단이 상기 핀장착부재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나선은 상기 나선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장착부재는 상기 나선부재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회전구동핀의 단부는 상기 중공부의 양쪽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핀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2단으로 설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4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속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톱니형 걸림턱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톱니형 걸림턱부에 맞물릴 수 있는 제2 톱니형 걸림턱부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 상기 회전걸레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바구니; 및 상기 용기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하기 위한 상기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 및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옆에 설치되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바구니는 상기 탈수바구니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바구니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탈수바구니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탈수바구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대해 상기 탈수바구니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1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볼 및 상면에 상기 볼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1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저부는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용기체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하단 일부가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수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을 가지는 마개부재가 상기 용기체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 위쪽의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링의 상단이 걸릴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장착홈에 상기 제1회전축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베어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레탑재부재는 상기 걸레탑재부재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걸레탑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스프링에 대해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2회전축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2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볼 및 상면에 상기 볼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2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 아래쪽에 상기 볼, 상기 베어링 케이스 및 상기 제2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보다 넓은 내부 단면적을 가지는 스프링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의 하단은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상기 제2회전축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구는 신축과정에서 나선과 핀에 의해 서로 회전력을 얻기 때문에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구는 회전구동핀이 1단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충분히 가능하다.
하지만, 회전구동핀이 상하로 2단 또는 3단 이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나선부재에 힘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흔들림이 방지되고 수명도 길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형상이 복잡하고 만들기 어려운 나선을 가지는 부품 대신에 형상이 단순하고 만들기 쉬운 회전구동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것에 비해 그 제조가 수월하고 제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회전구동핀이 나선과 선접촉된 상태에서 그리고 제자리 회전되는 상태에서 나선부재와 접촉하여 나선부재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나선부재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회전구동핀의 크기가 작고 형상이 단순하기 때문에 무게를 거의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금속부품을 사용할 수 있고, 걸레를 회전시키는 부품으로 금속부품을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이 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핀이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게 설치 가능하므로, 나선부재가 쉽게 닳거나 파손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이 길다.
상기와 같은 회전걸레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는 위와 같은 회전걸레에 의한 효과 외에도 걸레 세척 및 탈수 시 부품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어 사용감이 좋고, 부품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어 세척통 조립체의 부품 수명이 길고, 사용자의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구가 적용된 회전걸레의 정면도,
도 2는 도 1 회전걸레의 자루부분이 부분 생략된 확대단면도,
도 3은 핀장착부재와 회전구속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나선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나선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나선부재의 평단면도,
도 6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신장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2에 나타낸 회전걸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핀장착부재와 나선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에서 탈수바구니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3은 회전걸레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의 평면도,
도 14는 회전걸레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의 저면도,
도 15는 회전걸레의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고정구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의 정면도, 도 2는 도 1 회전걸레의 자루부분이 일부 생략된 확대단면도, 도 3은 핀장착부재와 회전구속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나선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나선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나선부재의 평단면도, 도 6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수축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신장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는 걸레(211)가 장착된 걸레장착구(210)와 일 단부가 상기 걸레장착구(210)에 결합된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걸레장착구(210)의 저면에는 깔때기부재(180a)가 부착되어 있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의 자루부(230)는 나선부재(231)와 이 나선부재(231)에 자루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케 결합된 핀장착부재(241)를 구비한다. 이 실시 예에 나타낸 나선부재(231)는 핀장착부재(241)가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중공부(232)를 가지는 중공부재로 되어 있고, 중공부(23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233)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233)으로는 이웃하는 둘 사이에 회전구동핀(242)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5를 참조하면, 나선(233)은 4개가 적당하고, 이웃하는 나선(233)들 사이에 회전구동핀(242)의 단부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다.
핀장착부재(241)는 바람직하게 그 일 단부에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선(233)에 맞물리는 회전구동핀(242)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구동핀(242)은 바람직하게 핀장착부재(24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구동핀(242)은, 핀장착부재(241)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핀장착부재(241)에 핀구멍(243)을 뚫고 거기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구동핀(242)은 1개 설치하거나,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하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에서 2개의 회전구동핀(242)은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나선(233)이 하방으로 갈수록 꽈배기 모양으로 뒤틀려 있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구동핀(242)은 서로 다른 나선(233)에 각각 물릴 수 있다. 즉, 위쪽 회전구동핀(242)의 양단은 제1나선(233a)과 제3나선(233c)에 각각 맞물리고, 아래쪽 회전구동핀(242)의 양단은 제2나선(233b)과 제4나선(233d)에 각각 맞물린다.
물론, 2이상의 회전구동핀(242)은 반드시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위쪽 회전구동핀(242)에 대해 소정 각도 좌우로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서의 나선(233)에 맞물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가 회전구속된 상태로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나선부재(231)는 회전구동핀(242)에 의해 나선(233)의 측벽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나선부재(231)가 회전구속된 상태로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핀장착부재(241)는 나선(233)의 측벽에 의해 회전구동핀(24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핀장착부재(241)는 나선부재(231)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재(231)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이 핀장착부재(241)가 나선부재(23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면서 나선부재(231)를 회전시키거나 나선부재(231)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핀장착부재(241)와 나선부재(231)는 자루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 걸레(211)를 장착하기 위한 걸레장착구(210)는 나선부재(23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선부재(231)가 회전하면 걸레장착구(210)와 걸레(211)도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의 자루부(230)는 핀장착부재(241)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250)를 더 구비한다.
이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에는 자루부(230)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25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구속수단(250a)은 자루부(230)의 길이가 수축될 때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나선부재(241), 나선부재(241)의 하단에 결합된 걸레장착구(210) 및 걸레(2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구속핀(251)은 핀장착부재(2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핀구멍(251a)에 결합되어 있다. 이 회전구속핀(251)의 양 단부는 핀장착부재(241)의 표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톱니형 걸림턱부(253)를 가지는 회동지지부재(25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핀장착부재(241)에 대해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지지부재(25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나선부재(2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자루부(230)의 신축을 안내하는 안내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형 걸림턱부(253)는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25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회전구속핀(251)에 걸려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회동지지부재(250)를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여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핀장착부재(241)에 설치된 회전구동핀(242)은 나선(233)의 측벽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나선부재(231)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자루부(230)의 수축이 끝난 후에 회동지지부재(2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톱니형 걸림턱부(253)가 회전구속핀(251)에서 이탈되면서, 이에 따라 회전구속핀(251)과 톱니형 걸림턱부(253)의 맞물림에 의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는 회동지지부재(250)에 대해 회동이 허용되고, 나선부재(231), 걸레장착구(210)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루부(230)의 신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동지지부재(250)는 암나사부(256)와 수나사부(257)를 통해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부위의 외주면에 원통형 보강재(25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톱니형 걸림턱부(253)와 회전구속핀(251)은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고, 양쪽 모두에 톱니형 걸림턱부(253)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자루부(230)의 상단을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여 수축 운동 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양 방향 회전을 모두 구속할 수도 있으나,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나선부재(231)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방향의 일 방향의 회전만 구속하여도 된다.
톱니형 걸림턱부(253) 상방으로 돌출된 핀장착부재(241)의 상단에는 핀체결공(244)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핀(245)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는 톱니형 걸림턱부(253)를 가지는 회동지지부재(250)에 대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에서 상기와 같은 회동지지부재(250)와 회전구속수단(250a)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핀장착부재(241)를 잡고 하방으로 가압 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은 사람의 손으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지지부재(250)와 회전구속수단(250a) 없이도 나선부재(231)와 나선부재(231)의 하단에 설치된 걸레장착구(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자루부(230)를 신장 시에는 핀장착부재(241)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안내부(255)의 외주면에는 잠금기구(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기구(260)는 걸레(211)의 세척 및 탈수 시에는 안내부(255)와 나선부재(231) 간의 고정을 해제하여 자루부(230)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고, 세척 및 탈수 후에는 자루부(230)가 신장된 상태에서 안내부(255)와 나선부재(231)를 고정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잠금기구(260)는 안내부(255)의 외부에 결합되는 원통체(261), 원통체(261)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손잡이(262) 및 손잡이(262)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의 나선부재(231)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캠부(26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잠금기구(260)는 기존에 알려진 것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잠금기구(260)는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 사이, 회동지지부재(250)와 나선부재(231) 사이 또는 핀장착부재(241)와 나선부재(231) 사이에 설치되어 둘을 서로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2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 걸레장착구(210)는, 경우에 따라, 회동지지부재(250)의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회전걸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걸레장착구(210)는 핀장착부재(241)의 단부에 설치되고, 회전구속수단(250a)은 나선부재(231)와 회동지지부재(250)간에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6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핀장착부재와 나선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나선(233)은 나선부재(2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핀장착부재(241)는 나선부재(231)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246)를 가지는 중공부재로 형성되고, 회전구동핀(242)은 중공부(246)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에서 탈수바구니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과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걸레의 세척에 필요한 물을 담기 위한 용기체(110)와 회전걸레의 탈수를 위한 탈수바구니(130) 및 탈수바구니(130)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탈수바구니(130)의 수평방향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을 구비한다.
탈수바구니(130)와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세척한 걸레를 회전시켜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부를 구성한다. 탈수바구니(130)는 걸레 세척을 위해 용기체(110)에 담기는 물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높은 위치에 지지되어야 한다.
도 10과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체(110)의 상단에는 손잡이(112)가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탈수바구니(110)에는 걸레에서 탈수되는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1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수바구니(130)의 저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1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회전축(134)의 저면에는 볼결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결합홈(135)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의 볼(157)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회전축(134)과 볼(157)이 서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볼결합홈(135)은 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원뿔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결합홈(135)은 볼(157)과 선접촉 한다. 경우에 따라, 볼결합홈(135)은 구면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곡률반경이 볼(157)의 직경보다 큰 구면홈으로 볼결합홈(135)을 구성하는 경우, 볼(157)과 점접촉을 하므로 마찰면적은 최소화되지만 원뿔모양의 볼결합홈(135)에 비해 안정적인지지 면에서 다소 못하다.
이러한 제1회전축(134)은 용기체(110) 내부에서 뒤에서 설명되는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통과하여 하단 일부가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탈수바구니(130)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와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제1회전축(134)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이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탈수바구니(130)가 제1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134)을 지지하면서 탈수바구니(130)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상면에는 제1회전축결합부(152) 둘레를 따라 베어링장착홈(158)이 구비되고 이 베어링장착홈(158)에는 제1회전축(134)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지지베어링(159)이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바구니(130)가 제1스프링(15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탈수바구니(130)의 저면은 제1수평회동지지부(151)의 상단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회전축(134)의 아래쪽에는 제1회전축(134)을 통해 탈수바구니(130)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스프링(1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스프링(154)과 탈수바구니(130) 사이에 탈수바구니(1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54)은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통해 제1회전축(134)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은 상면이 볼결합홈(135)에 결합되는 볼(157) 및 상면에 볼(157)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15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54)은 베어링 케이스(158)를 제1회전축(134)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베어링 케이스(158)는 2단으로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볼(157)이 장착되는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 하부는 제1스프링(154) 속으로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탈수바구니(130)의 저면은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상면과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탈수바구니(130)가 회전걸레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탈수바구니(130)는 제1스프링(15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스프링(154)에 의한 완충작용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저부는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마개부재(160)가 결합되어 있다. 마개부재(160)는 스크루(162)를 통해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마개부재(160)에는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수용하는 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64)에는 제1회전축(134)의 하단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탈수바구니(130), 제1수직지지베어링(156) 및 제1스프링(154)은 그 조립과정이 매우 쉽다. 용기체(110) 내부에서 탈수바구니(130)의 제1회전축(134)을 제1회전축결합부(152)로 삽입하고, 마개부재(160)의 홈(164)에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삽입한 상태에서,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마개부재(160)를 스크루(162) 등으로 고정하면 탈수바구니(130), 제1수직지지베어링(156) 및 제1스프링(154)의 조립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 용기체(110)에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옆에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세척하기 위한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180b)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옆에 설치되어 있다.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를 구비한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는 제2회전축(181)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결합부(17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는 제2회전축지지체(173)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지지체(173)는 볼트나 스크루(174)를 통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에 고정되어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제2회전축지지체(173)에 형성한 것은 걸레탑재부재(180b)의 제2회전축(181)이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회전축지지체(173)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회전축지지체(173) 상방에서 제2회전축(181)을 제2회전축결합부(172)에 삽입하고,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통과하여 제2회전축결합부(172)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제2회전축(181)에 걸림턱(182)을 형성하는 링 등을 결합하면, 제2회전축(181)이 제2회전축결합부(172)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는 걸레탑재부재(180b)가 제2회전축(18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회전축(181)을 지지하면서 걸레탑재부재(180b)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에는 승강가이드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가이드부(175)는 제2회전축(181)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걸레탑재부재(180b)의 승강 즉,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걸레탑재부재(180b)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176) 및 제2스프링(170)과 걸레탑재부재(180b) 사이에 개재되어 제2스프링(176)에 대해 걸레탑재부재(180b)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스프링(176)은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을 통해 제2회전축을(181)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 위에 걸레탑재부재(180b)가 장착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걸레탑재부재(180b)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181)을 구비한다. 제2회전축(181)의 저면에는 바람직하게 볼결합홈(18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의 볼(178)은 상면이 이 볼결합홈(183)에 결합되어 있다.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은 볼(178)과 이 볼(178)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179)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 케이스(179)는 볼(178)이 장착되는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제2스프링(176) 속의 삽입되는 하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 케이스(179)는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스프링(176)은 베어링 케이스(179)를 제2회전축(181)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 아래쪽에 볼(178), 베어링 케이스(179) 및 제2스프링(176)을 수용하며 제2회전축결합부(172)보다 넓은 내부 단면적을 가지는 스프링케이스(17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케이스(176a)는 용기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축(181)의 하단은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통과하여 스프링케이스(176a)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스프링케이스(176a)를 향해 돌출된 제2회전축(181)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회전축(181)이 제2회전축결합부(172)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82)이 형성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뒤에서 설명되는 걸레고정구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180a)와 연관지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축(181)은 금속봉으로 만들어서 결합하거나 인서트 사출에 의해 걸레탑재부재(180b)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깔때기부재(180a)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걸레의 중앙부의 배치되는 중심돌기(18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심돌기(182)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탄성돌기(1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돌기(183)는 회전걸레의 걸레를 고정하는 걸레고정구의 대응 부위에 걸려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깔때기부재(180a)의 저면에는 걸레탑재부재(180b)에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추형홈의 형상을 하고 있는 제1결합부(184)가 형성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그 저면 중앙에 제2회전축(181)이 결합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의 상면에는 걸레 세척 시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184)가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추형 돌기 형상의 제2결합부(185)가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축(181)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승강가이드부(175)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186)가 구비되어다.
도 10과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탈수바구니(130)와 걸레탑재부재(180b) 및 이들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수평회전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170)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걸레탑재부재(180b)와 제2수평회전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경우에 따라 없어도 된다.
도 10과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에서 회전걸레를 세척하고 탈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체(110) 내에 물을 채운다. 물은 회전탈수 과정에서 탈수바구니에 담기는 걸레에 물이 닿지 않는 높이로 담는다.
자루의 길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회전걸레를 걸레탑재부재(180b) 위에 장착하고, 자루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걸레는 물속의 걸레탑재부재(180b)에 탑재된 상태에서 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된다. 이 때 걸레탑재부재(180b)는 제2스프링(176)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약간 이동하면 회전한다. 이에 따라 걸레탑재부재(180b)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또한, 걸레탑재부재(180b)는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의 볼(178)과만 접촉된 상태로 공중에 떠있고 제2스프링(17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2회전축(181)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력이 작아서 걸레탑재부재(180b)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걸레의 자루를 신장시킬 때, 걸레탑재부재(180b)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2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걸레탑재부재(180b)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걸레의 회전은 발생되지 않는다. 자루를 신장 후 다시 압축하면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몇 차례 세척과정을 거친 후 걸레를 탈수바구니(130)에 담고 자루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레와 탈수바구니(130)는 물 밖에서 회전되면서 걸레에 있던 물이 탈수된다. 이 때 탈수바구니(130)는 제1스프링(154)을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약간 이동하면 회전한다. 이에 따라 탈수바구니(1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또한, 탈수바구니(130)는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의 볼(157)과만 접촉된 상태로 공중에 떠있고 제1스프링(1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회전축(134)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력이 작아서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걸레의 자루를 신장시킬 때, 탈수바구니(130)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1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탈수바구니(13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걸레의 회전은 발생되지 않는다. 자루를 신장 후 다시 압축하면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마개부재(16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걸레탑재부재(180b)와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 역시 용기체(110)와 탈수바구니(130) 및 탈수바구니(130)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탈수바구니(130)의 수평방향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탈수바구니(130)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와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제1회전축(134)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이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탈수바구니(130)가 제1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134)을 지지하면서 탈수바구니(130)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저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지만 마개부재는 필요치 않다.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단부에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이 삽입되어 있고, 제1회전축(134)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제1회전축(134)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134a)이 고정되어 있다.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단부는 스프링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회전링(134a) 위쪽의 제1회전축결합부(152) 내주면에는 제1회전축(134)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제1회전축(134)이 제1회전축결합부(152)에서 빠지지 않도록 회전링(134a)의 상단이 걸릴 수 있는 이탈방지링(152a)이 결합되어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3은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장착되는 깔대기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장착되는 깔대기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걸레고정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걸레고정구(210)는 회전걸레의 자루 하단에 설치되어 걸레를 고정하여주는 부분이다. 이 걸레고정구(210)는 걸레를 세척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걸레탑재부재(180b) 상에 탑재되고, 이 상태에서 걸레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도 13 내지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부재(180a)는 중앙부의 중심돌기(182)와 중심돌기(182) 둘레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4개의 탄성돌기(183)들을 구비한다. 탄성돌기(184) 바깥쪽으로 테두리(187)가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걸레고정구(210)의 저면 중앙에 깔때기부재(180a)의 중심돌기(182)가 결합되는 오목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212) 둘레에 탄성돌기(183)가 걸리는 걸림턱(214)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도 10과 11를 통해 설명한 걸레탑재부재(180b) 상에 걸레고정구(210)가 깔때기부재(180a)를 통해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걸레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레의 세척이 끝난 후에는 걸레고정구(210)를 걸레탑재부재(180b)에서 이탈시킨 후 걸레를 탈수바구니에 담아서 탈수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본 발명은 자루의 수축에 의해 걸레를 회전시키는 회전걸레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걸레의 회전세척 및 회전탈수를 용이하게 수행 할 수 있는 청소도구의 제작에 이용될 수 있다.
100: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10: 용기체
130: 탈수바구니 134: 제1회전축
150: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151: 제1수평회동 지지부
152: 제1회전축결합부 154: 제1스프링
156: 제1수직지지베어링 157, 178 : 볼
158, 179: 베어링 케이스
170: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171: 제2수평회동 지지부
172: 제2회전축결합부 176: 제2스프링
177: 제2수직지지베어링 180: 걸레탑재부재
181: 제2회전축 182: 걸림턱
180a: 깔때기부재 180b: 하부부재
200: 회전걸레 210: 걸레장착구
211: 걸레 230: 자루부
231: 나선부재 233: 나선
241: 핀장착부재 242: 회전구동핀
250: 회동지지부재 250a: 회전구속수단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고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장착구를 가지는 회전걸레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재; 및
    상기 나선부재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재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고, 좌우의 양쪽 외주면 바깥으로 또는 좌우의 양쪽 내주면 안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좌우 양쪽에서 상기 나선에 선접촉되며 맞물리는 회전구동핀을 구비하여 상기 신축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나선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핀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2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는, 상기 핀장착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루부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자루부의 신축 시 상기 나선부재 또는 상기 핀장착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에는 상기 나선부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재는 상기 핀장착부재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은 상기 중공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핀은 양단이 상기 핀장착부재의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은 상기 나선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장착부재는 상기 나선부재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회전구동핀의 단부는 상기 중공부의 양쪽 내주면에서 안쪽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핀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2단으로 설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은 4줄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속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톱니형 걸림턱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톱니형 걸림턱부에 맞물릴 수 있는 제2 톱니형 걸림턱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
  11. 삭제
  12. 삭제
  13. 제3항, 제5항, 제6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걸레;
    상기 회전걸레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바구니; 및
    상기 용기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하기 위한 상기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 및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옆에 설치되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
KR1020120062853A 2012-06-12 2012-06-12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KR101370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53A KR101370644B1 (ko) 2012-06-12 2012-06-12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853A KR101370644B1 (ko) 2012-06-12 2012-06-12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101A KR20130139101A (ko) 2013-12-20
KR101370644B1 true KR101370644B1 (ko) 2014-03-06

Family

ID=4998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853A KR101370644B1 (ko) 2012-06-12 2012-06-12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47B1 (ko) * 2013-12-26 2014-10-16 이순동 세탁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689U (ja) * 2009-10-27 2010-01-14 ▲托▼神國際股▲分▼有限公司 踏み込みの必要ない脱水桶
KR101007943B1 (ko) * 2010-04-19 2011-01-14 이의진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KR20110032895A (ko) * 2009-09-24 2011-03-30 조광철 봉 걸레
KR200459855Y1 (ko) * 2010-04-19 2012-04-19 이의진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895A (ko) * 2009-09-24 2011-03-30 조광철 봉 걸레
JP3156689U (ja) * 2009-10-27 2010-01-14 ▲托▼神國際股▲分▼有限公司 踏み込みの必要ない脱水桶
KR101007943B1 (ko) * 2010-04-19 2011-01-14 이의진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
KR200459855Y1 (ko) * 2010-04-19 2012-04-19 이의진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101A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43B1 (ko)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KR101313743B1 (ko) 파우더 화장용 브러시
CN202589465U (zh) 拖把清洁组
CN110013192A (zh) 马桶座和铰链
WO2013099112A1 (ja) 傘装置
KR101370644B1 (ko)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KR100961885B1 (ko) 브러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세척기구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KR101184633B1 (ko) 자루걸레 청소기
KR200468605Y1 (ko) 등산 지팡이의 길이 조절장치
CN205532248U (zh) 一种高度可调的组合梯
CN100389716C (zh) 可自挤干的拖把及其反转锁止装置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KR200420870Y1 (ko) 청소도구용 밀대
CN201068252Y (zh) 垃圾桶盖开合机构
CN206238629U (zh) 一种折伞的开合操作装置
CN101293580B (zh) 垃圾桶盖开合机构
CN214533884U (zh) 一种伸缩定位结构及支撑件及折叠扇
CN103445420A (zh) 一种安全自动开收伞
CN102273855A (zh) 婴儿床
CN2815295Y (zh) 艾条薰灸器
KR102490129B1 (ko) 대걸레
US6494787B1 (en) Children's stand up spinner ride
CN211672752U (zh) 一种带有锁定机构的握把伞巢
KR101210109B1 (ko) 밀대형 청소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