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643B1 -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643B1
KR101370643B1 KR1020120061251A KR20120061251A KR101370643B1 KR 101370643 B1 KR101370643 B1 KR 101370643B1 KR 1020120061251 A KR1020120061251 A KR 1020120061251A KR 20120061251 A KR20120061251 A KR 20120061251A KR 101370643 B1 KR101370643 B1 KR 10137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tary shaft
rotary
spring
mou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753A (ko
Inventor
김봉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휴
Priority to KR1020120061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64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회전걸레의 세척 및 탈수 시 탈수바구니의 회전이 원활하고 부품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줄 수 있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가 개시된다. 상기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회전걸레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바구니 및 상기 용기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Washing/dehydration basket assembly for a rotary mob and cleaning devic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루걸레에 달린 걸레를 세척하고 탈수하는 데 사용되는 자루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장된 자루를 가압하여 축소시킴에 따라 걸레가 회전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자루걸레에 달린 걸레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통의 일측에 발판을 밟아서 회전시킬 수 있는 탈수바구니를 설치하여 탈수바구니 위에 세척한 걸레를 탑재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걸레의 물을 탈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 외에 발판 없이 자루걸레의 자루를 신장시켰다가 탈수바구니에 걸레를 탑재한 상태에서 자루를 눌러 축소시킬 때 자루 내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나선들에 의해 걸레가 회전하도록 하여 걸레의 물을 탈수 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이러한 기존의 세척탈수통 조립체에서, 탈수바구니 옆에는 세척탈수통 조립체에 담긴 물에 걸레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척부가 마련되어 있다. 세척부는 아무런 장치 없이 빈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걸레를 탑재하여 자루걸레의 자루를 신장시켰다가 그 위에 걸레를 탑재한 상태에서 자루를 눌러 축소시킬 때 자루 내부에서 서로 맞물리는 나선들에 의해 걸레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걸레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걸레 세척 시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탈수바구니와 회전체에 충격이 가해져서, 플라스틱으로 주로 만들어지는 탈수바구니와 회전체 및 이들에 연결된 부품들이 오래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손된다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기존의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더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기존의 세척탈수통 조립체에 설치된 탈수바구니와 걸레 세척을 위한 회전체는, 걸레의 세척 또는 세척된 걸레의 탈수를 위해 걸레를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에 올려놓고 자루를 하방으로 가압할 때, 하부구조물이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를 단단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와 이들을 받쳐주는 부분이 큰 힘으로 서로를 가압하는 상태에서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가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는 원활하게 회전을 하지 못한다.
둘째, 기존의 세척탈수통 조립체에 설치된 탈수바구니와 걸레 세척을 위한 회전체는, 걸레의 세척 또는 세척된 걸레의 탈수를 위해 걸레를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에 올려놓고 자루를 하방으로 가압할 때,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에 가해지는 충격이 사용자의 팔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나쁘고 장기간 사용 시 사용자의 관절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걸레로 가압할 때 기존의 것에 비해 탈수바구니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걸레에 의해 탈수바구니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여 줌으로써, 사용감이 좋고, 사용자의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탈수바구니 및 탈수바구니에 연결된 부품들에 전해지는 충격력이 저하되어 부품의 수명이 긴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는 목적은, 회전걸레로 가압할 때 기존의 것에 비해 걸레 세척을 위한 회전체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걸레에 의해 탈수바구니에 가해지는 힘을 완충하여 줌으로써, 사용감이 좋고, 사용자의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세척을 위한 회전체 및 이 회전체에 연결된 부품들에 전해지는 충격력이 저하되어 관련 부품의 수명이 긴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회전걸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이용한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회전걸레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바구니; 및 상기 용기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하기 위한 상기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 및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옆에 설치되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바구니는 상기 탈수바구니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바구니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탈수바구니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탈수바구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대해 상기 탈수바구니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1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1회전축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볼 및 상면에 상기 볼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1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저부는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용기체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하단 일부가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수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홈을 가지는 마개부재가 상기 용기체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 위쪽의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링의 상단이 걸릴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장착홈에 상기 제1회전축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베어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걸레탑재부재는 상기 걸레탑재부재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걸레탑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스프링에 대해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2회전축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제2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볼 및 상면에 상기 볼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2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 아래쪽에 상기 볼, 상기 베어링 케이스 및 상기 제2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보다 넓은 내부 단면적을 가지는 스프링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의 하단은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상기 제2회전축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수평회동 지지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걸레탑재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는, 상기 회전걸레 하면에 결합되고 저면에 원추모양의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깔대기부재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원추형상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 둘레를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고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장착구를 가지는 회전걸레를 포함하고,
상기 자루부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재; 및 외주면 바깥으로 또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에 맞물리는 회전구동핀을 구비하여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재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신축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나선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핀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자루부는, 상기 핀장착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소정 거리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루부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부재는 상기 핀장착부재가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은 상기 중공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핀은 양단이 상기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나선은 상기 나선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장착부재는 상기 나선부재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회전구동핀의 단부는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핀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회전구동핀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2단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구동핀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3단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구속수단은,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된 회전구속핀과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속핀이 걸릴 수 있는 톱니형 걸림턱부이거나, 상기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톱니형 걸림턱부와 상기 회동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1톱니형 걸림턱부에 맞물릴 수 있는 제2 톱니형 걸림턱부일 수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자루부의 신축 시 상기 나선부재 또는 상기 핀장착부재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및 상기 핀장착부재 중 어느 둘 사이에는 서로 고정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자루부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잠금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플라스틱으로 주로 만들어지는 탈수바구니와 회전체 및 이들에 연결된 부품들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기 때문에 탈수바구니와 회전체에 관련된 부품들의 수명이 길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탈수바구니와 걸레 세척을 위한 회전체가 공중에 떠있는 것과 같은 상태로 회전되기 때문에, 탈수바구니와 세척을 위한 회전체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는, 회전체 또는 탈수바구니에 가해지는 충격이 스프링에 의해 완충된 후에 사용자의 팔에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좋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사용자의 관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도구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탈수통 조립체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일측의 나선 대신에 핀을 이용함으로써 만들기 쉽고 제작단가가 줄어들고, 품질도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는 나선과 맞물려 나선부재를 회전시키는 핀이 나선과의 작동과정에서 제자리 회동될 수 있기 때문에 걸레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매우 원활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에서 탈수바구니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회전걸레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의 평면도,
도 5는 회전걸레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의 저면도,
도 6은 회전걸레의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고정구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기구가 적용된 회전걸레의 정면도,
도 8은 도 7 회전걸레의 자루부분이 부분 생략된 확대단면도,
도 9는 핀장착부재와 회전구속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나선부재의 정면도,
도 11은 나선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나선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수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신장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회전걸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핀장착부재와 나선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에서 탈수바구니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걸레의 세척에 필요한 물을 담기 위한 용기체(110)와 회전걸레의 탈수를 위한 탈수바구니(130) 및 탈수바구니(130)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탈수바구니(130)의 수평방향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을 구비한다.
탈수바구니(130)와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세척한 걸레를 회전시켜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탈수부를 구성한다. 탈수바구니(130)는 걸레 세척을 위해 용기체(110)에 담기는 물에 닿지 않도록 충분히 높은 위치에 지지되어야 한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체(110)의 상단에는 손잡이(112)가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탈수바구니(110)에는 걸레에서 탈수되는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구멍(132)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수바구니(130)의 저면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13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회전축(134)의 저면에는 볼결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결합홈(135)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의 볼(157)의 상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회전축(134)과 볼(157)이 서로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볼결합홈(135)은 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원뿔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결합홈(135)은 볼(157)과 선접촉 한다. 경우에 따라, 볼결합홈(135)은 구면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곡률반경이 볼(157)의 직경보다 큰 구면홈으로 볼결합홈(135)을 구성하는 경우, 볼(157)과 점접촉을 하므로 마찰면적은 최소화되지만 원뿔모양의 볼결합홈(135)에 비해 안정적인지지 면에서 다소 못하다.
이러한 제1회전축(134)은 용기체(110) 내부에서 뒤에서 설명되는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통과하여 하단 일부가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탈수바구니(130)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와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제1회전축(134)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이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탈수바구니(130)가 제1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134)을 지지하면서 탈수바구니(130)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상면에는 제1회전축결합부(152) 둘레를 따라 베어링장착홈(151a)이 구비되고 이 베어링장착홈(151a)에는 제1회전축(134)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평지지베어링(151b)이 더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탈수바구니(130)가 제1스프링(15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탈수바구니(130)의 저면은 제1수평회동지지부(151)의 상단과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회전축(134)의 아래쪽에는 제1회전축(134)을 통해 탈수바구니(130)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스프링(15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스프링(154)과 탈수바구니(130) 사이에 탈수바구니(13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한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54)은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통해 제1회전축(134)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은 상면이 볼결합홈(135)에 결합되는 볼(157) 및 상면에 볼(157)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15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스프링(154)은 베어링 케이스(158)를 제1회전축(134)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베어링 케이스(158)는 2단으로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즉, 볼(157)이 장착되는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그 하부는 제1스프링(154) 속으로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탈수바구니(130)의 저면은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상면과 상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탈수바구니(130)가 회전걸레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탈수바구니(130)는 제1스프링(154)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제1스프링(154)에 의한 완충작용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저부는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마개부재(160)가 결합되어 있다. 마개부재(160)는 스크루(162)를 통해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마개부재(160)에는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수용하는 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64)에는 제1회전축(134)의 하단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탈수바구니(130), 제1수직지지베어링(156) 및 제1스프링(154)은 그 조립과정이 매우 쉽다. 용기체(110) 내부에서 탈수바구니(130)의 제1회전축(134)을 제1회전축결합부(152)로 삽입하고, 마개부재(160)의 홈(164)에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삽입한 상태에서, 용기체(110)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114)에 마개부재(160)를 스크루(162) 등으로 고정하면 탈수바구니(130), 제1수직지지베어링(156) 및 제1스프링(154)의 조립이 완료된다.
바람직하게, 용기체(110)에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옆에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세척하기 위한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180b)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옆에 설치되어 있다.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를 구비한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는 제2회전축(181)이 결합되는 제2회전축결합부(17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는 제2회전축지지체(173)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2회전축지지체(173)는 볼트나 스크루(174)를 통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에 고정되어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제2회전축지지체(173)에 형성한 것은 걸레탑재부재(180b)의 제2회전축(181)이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회전축지지체(173)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회전축지지체(173) 상방에서 제2회전축(181)을 제2회전축결합부(172)에 삽입하고,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통과하여 제2회전축결합부(172)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제2회전축(181)에 걸림턱(182)을 형성하는 링 등을 결합하면, 제2회전축(181)이 제2회전축결합부(172)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는 걸레탑재부재(180b)가 제2회전축(181)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회전축(181)을 지지하면서 걸레탑재부재(180b)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제2수평회동 지지부(171)에는 승강가이드부(17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가이드부(175)는 제2회전축(181)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걸레탑재부재(180b)의 승강 즉,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걸레탑재부재(180b)를 용기체(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176) 및 제2스프링(170)과 걸레탑재부재(180b) 사이에 개재되어 제2스프링(176)에 대해 걸레탑재부재(180b)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스프링(176)은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을 통해 제2회전축을(181)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 위에 걸레탑재부재(180b)가 장착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걸레탑재부재(180b)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181)을 구비한다. 제2회전축(181)의 저면에는 바람직하게 볼결합홈(183)이 형성되어 있고,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의 볼(178)은 상면이 이 볼결합홈(183)에 결합되어 있다.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은 볼(178)과 이 볼(178)이 수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179)를 구비하고 있다. 베어링 케이스(179)는 볼(178)이 장착되는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되어 있고, 제2스프링(176) 속의 삽입되는 하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 케이스(179)는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스프링(176)은 베어링 케이스(179)를 제2회전축(181)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제2회전축결합부(172) 아래쪽에 볼(178), 베어링 케이스(179) 및 제2스프링(176)을 수용하며 제2회전축결합부(172)보다 넓은 내부 단면적을 가지는 스프링케이스(176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케이스(176a)는 용기체(1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회전축(181)의 하단은 제2회전축결합부(172)를 통과하여 스프링케이스(176a)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스프링케이스(176a)를 향해 돌출된 제2회전축(181)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제2회전축(181)이 제2회전축결합부(172)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82)이 형성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뒤에서 설명되는 걸레고정구의 하면에 부착되는 깔때기부재(180a)와 연관지어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회전축(181)은 금속봉으로 만들어서 결합하거나 인서트 사출에 의해 걸레탑재부재(180b)에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깔때기부재(180a)의 상면 중앙에는 회전걸레의 중앙부의 배치되는 중심돌기(18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중심돌기(182)를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탄성돌기(18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돌기(183)는 회전걸레의 걸레를 고정하는 걸레고정구의 대응 부위에 걸려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깔때기부재(180a)의 저면에는 걸레탑재부재(180b)에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추형홈의 형상을 하고 있는 제1결합부(184)가 형성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는 그 저면 중앙에 제2회전축(181)이 결합되어 있다. 걸레탑재부재(180b)의 상면에는 걸레 세척 시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1결합부(184)가 쉽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추형 돌기 형상의 제2결합부(185)가 형성되어 있고, 제2회전축(181)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승강가이드부(175)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186)가 구비되어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탈수바구니(130)와 걸레탑재부재(180b) 및 이들을 각각 회전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수평회전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 170)을 모두 구비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걸레탑재부재(180b)와 제2수평회전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은 경우에 따라 없어도 된다.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에서 회전걸레를 세척하고 탈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체(110) 내에 물을 채운다. 물은 회전탈수 과정에서 탈수바구니에 담기는 걸레에 물이 닿지 않는 높이로 담는다.
자루의 길이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회전걸레를 걸레탑재부재(180b) 위에 장착하고, 자루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면 걸레는 물속의 걸레탑재부재(180b)에 탑재된 상태에서 일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된다. 이 때 걸레탑재부재(180b)는 제2스프링(176)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약간 이동하면 회전한다. 이에 따라 걸레탑재부재(180b)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또한, 걸레탑재부재(180b)는 제2수직지지베어링(177)의 볼(178)과만 접촉된 상태로 공중에 떠있고 제2스프링(17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2회전축(181)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력이 작아서 걸레탑재부재(180b)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걸레의 자루를 신장시킬 때, 걸레탑재부재(180b)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2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걸레탑재부재(180b)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걸레의 회전은 발생되지 않는다. 자루를 신장 후 다시 압축하면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몇 차례 세척과정을 거친 후 걸레를 탈수바구니(130)에 담고 자루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걸레와 탈수바구니(130)는 물 밖에서 회전되면서 걸레에 있던 물이 탈수된다. 이 때 탈수바구니(130)는 제1스프링(154)을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방으로 약간 이동하면 회전한다. 이에 따라 탈수바구니(1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된다.
또한, 탈수바구니(130)는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의 볼(157)과만 접촉된 상태로 공중에 떠있고 제1스프링(15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1회전축(134)에 작용하는 마찰력과 반력이 작아서 탈수바구니(130)의 회전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전걸레의 자루를 신장시킬 때, 탈수바구니(130)에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제1스프링(154)의 탄성력에 의해 탈수바구니(13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걸레의 회전은 발생되지 않는다. 자루를 신장 후 다시 압축하면 앞의 과정을 반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마개부재(16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걸레탑재부재(180b)와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7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100) 역시 용기체(110)와 탈수바구니(130) 및 탈수바구니(130)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탈수바구니(130)의 수평방향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150)은 탈수바구니(130)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와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을 구비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용기체(11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제1회전축(134)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152)를 구비한다. 이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는 탈수바구니(130)가 제1회전축(13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1회전축(134)을 지지하면서 탈수바구니(130)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수평회동 지지부(151)의 저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지만 마개부재는 필요치 않다.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단부에 제1스프링(154)과 제1수직지지베어링(156)이 삽입되어 있고, 제1회전축(134)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제1회전축(134)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134a)이 고정되어 있다. 제1회전축결합부(152)의 하단부는 스프링케이스의 역할을 한다.
회전링(134a) 위쪽의 제1회전축결합부(152) 내주면에는 제1회전축(134)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제1회전축(134)이 제1회전축결합부(152)에서 빠지지 않도록 회전링(134a)의 상단이 걸릴 수 있는 이탈방지링(152a)이 결합되어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4는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장착되는 깔대기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걸레고정구의 저면에 장착되는 깔대기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6은 걸레고정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걸레고정구(210)는 회전걸레의 자루 하단에 설치되어 걸레를 고정하여주는 부분이다. 이 걸레고정구(210)는 걸레를 세척하고자 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의 걸레탑재부재(180b) 상에 탑재되고, 이 상태에서 걸레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도 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깔때기부재(180a)는 중앙부의 중심돌기(182)와 중심돌기(182) 둘레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4개의 탄성돌기(183)들을 구비한다. 탄성돌기(184) 바깥쪽으로 테두리(187)가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레고정구(210)의 저면 중앙에 깔때기부재(180a)의 중심돌기(182)가 결합되는 오목홈(2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212) 둘레에 탄성돌기(183)가 걸리는 걸림턱(214)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를 이용하는 경우, 도 1과 2를 통해 설명한 걸레탑재부재(180b) 상에 걸레고정구(210)가 깔때기부재(180a)를 통해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걸레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레의 세척이 끝난 후에는 걸레고정구(210)를 걸레탑재부재(180b)에서 이탈시킨 후 걸레를 탈수바구니에 담아서 탈수과정을 수행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의 정면도, 도 8은 도 7 회전걸레의 자루부분이 일부 생략된 확대단면도, 도 9는 핀장착부재와 회전구속수단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나선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나선의 배치상태를 보여주는 나선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수축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핀장착부재가 나선부재에 결합되어 신장 운동 시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과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는 걸레(211)가 장착된 걸레장착구(210)와 일 단부가 상기 걸레장착구(2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2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의 자루부(230)는 나선부재(231)와 이 나선부재(231)에 자루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케 결합된 핀장착부재(241)를 구비한다. 이 실시 예에 나타낸 나선부재(231)는 핀장착부재(241)가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는 중공부(232)를 가지는 중공부재로 되어 있고, 중공부(23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233)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233)으로는 이웃하는 두 나선(233) 사이에 회전구동핀(242)의 단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나선형태의 홈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과 11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 나선(233)은 4개가 구비되고, 이 나선(233)들은 이웃하는 것과의 사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한다.
핀장착부재(241)는 바람직하게 그 일 단부에 외주면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선(233)에 맞물리는 회전구동핀(242)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구동핀(242)은 바람직하게 핀장착부재(241)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구동핀(242)은, 핀장착부재(241)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핀장착부재(241)에 핀구멍(243)을 뚫고 거기에 제자리 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구동핀(242)은 1개 설치하거나, 3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으나, 상하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에서 2개의 회전구동핀(242)은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나선(233)이 하방으로 갈수록 꽈배기 모양으로 뒤틀려 있기 때문에 각각의 회전구동핀(242)은 서로 다른 나선(233)에 각각 물릴 수 있다. 즉, 위쪽 회전구동핀(242)의 양단은 제1나선(233a)과 제3나선(233c)에 각각 맞물리고, 아래쪽 회전구동핀(242)의 양단은 제2나선(233b)과 제4나선(233d)에 각각 맞물린다.
물론, 2이상의 회전구동핀(242)은 반드시 동일한 수직평면 상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위쪽 회전구동핀(242)에 대해 소정 각도 좌우로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서의 나선(233)에 맞물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가 회전구속된 상태로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나선부재(231)는 회전구동핀(242)에 의해 나선(233)의 측벽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나선부재(231)가 회전구속된 상태로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핀장착부재(241)는 나선(233)의 측벽에 의해 회전구동핀(24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핀장착부재(241)는 나선부재(231)의 길이방향으로 나선부재(231)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이 핀장착부재(241)가 나선부재(23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루부(230)의 길이가 신축되면서 나선부재(231)를 회전시키거나 나선부재(231)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핀장착부재(241)와 나선부재(231)는 자루부(23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 걸레(211)를 장착하기 위한 걸레장착구(210)는 나선부재(231)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나선부재(231)가 회전하면 걸레장착구(210)와 걸레(211)도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의 자루부(230)는 핀장착부재(241)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제한된 범위 내에서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250)를 더 구비한다.
이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에는 자루부(230)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25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구속수단(250a)은 자루부(230)의 길이가 수축될 때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나선부재(241), 나선부재(241)의 하단에 결합된 걸레장착구(210) 및 걸레(21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구속핀(251)은 핀장착부재(241)의 상단부에 형성된 핀구멍(251a)에 결합되어 있다. 이 회전구속핀(251)의 양 단부는 핀장착부재(241)의 표면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톱니형 걸림턱부(253)를 가지는 회동지지부재(25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핀장착부재(241)에 대해 승강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회동지지부재(25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나선부재(23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자루부(230)의 신축을 안내하는 안내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형 걸림턱부(253)는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25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회전구속핀(251)에 걸려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회동지지부재(250)를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여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핀장착부재(241)에 설치된 회전구동핀(242)은 나선(233)의 측벽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나선부재(231)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자루부(230)의 수축이 끝난 후에 회동지지부재(25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톱니형 걸림턱부(253)가 회전구속핀(251)에서 이탈되면서, 이에 따라 회전구속핀(251)과 톱니형 걸림턱부(253)의 맞물림에 의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는 회동지지부재(250)에 대해 회동이 허용되고, 나선부재(231), 걸레장착구(210)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자루부(230)의 신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회동지지부재(250)는 암나사부(256)와 수나사부(257)를 통해 두 개의 부재를 결합한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결합부위의 외주면에 원통형 보강재(25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톱니형 걸림턱부(253)와 회전구속핀(251)은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고, 양쪽 모두에 톱니형 걸림턱부(253)가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자루부(230)의 상단을 잡고 하방으로 가압하여 수축 운동 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양 방향 회전을 모두 구속할 수도 있으나, 자루부(230)의 수축 운동 시 나선부재(231)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방향의 일 방향의 회전만 구속하여도 된다.
톱니형 걸림턱부(253) 상방으로 돌출된 핀장착부재(241)의 상단에는 핀체결공(244)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고정핀(245)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핀장착부재(241)는 톱니형 걸림턱부(253)를 가지는 회동지지부재(250)에 대해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걸레(200)에서 상기와 같은 회동지지부재(250)와 회전구속수단(250a)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핀장착부재(241)를 잡고 하방으로 가압 시 핀장착부재(241)의 회전은 사람의 손으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회동지지부재(250)와 회전구속수단(250a) 없이도 나선부재(231)와 나선부재(231)의 하단에 설치된 걸레장착구(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자루부(230)를 신장 시에는 핀장착부재(241)의 회동을 허용하면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된다.
안내부(255)의 외주면에는 잠금기구(2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기구(260)는 걸레(211)의 세척 및 탈수 시에는 안내부(255)와 나선부재(231) 간의 고정을 해제하여 자루부(230)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고, 세척 및 탈수 후에는 자루부(230)가 신장된 상태에서 안내부(255)와 나선부재(231)를 고정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잠금기구(260)는 안내부(255)의 외부에 결합되는 원통체(261), 원통체(261)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손잡이(262) 및 손잡이(262)의 회전에 의해 그 내부의 나선부재(231) 외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는 캠부(26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잠금기구(260)로는 기존에 알려진 것이 그대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 잠금기구(260)는 회동지지부재(250)와 핀장착부재(241) 사이, 회동지지부재(250)와 나선부재(231) 사이 또는 핀장착부재(241)와 나선부재(231) 사이에 설치되어 둘을 서로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7과 8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 걸레장착구(210)는, 경우에 따라, 회동지지부재(250)의 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회전걸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걸레장착구(210)는 핀장착부재(241)의 단부에 설치되고, 회전구속수단(250a)은 나선부재(231)와 회동지지부재(250)간에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7 내지 1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5는 핀장착부재와 나선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나선(233)은 나선부재(23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핀장착부재(241)는 나선부재(231)가 삽입될 수 있는 중공부(246)를 가지는 중공부재로 형성되고, 회전구동핀(242)은 중공부(246)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7 내지 1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수명이 길고 사용하기에 편하고 탈수바구니의 회전이 원활한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조립체를 만드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00: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10: 용기체
130: 탈수바구니 134: 제1회전축
150: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151: 제1수평회동 지지부
152: 제1회전축결합부 154: 제1스프링
156: 제1수직지지베어링 157, 178 : 볼
158, 179: 베어링 케이스
170: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171: 제2수평회동 지지부
172: 제2회전축결합부 176: 제2스프링
177: 제2수직지지베어링 180: 걸레탑재부재
181: 제2회전축 182: 걸림턱
180a: 깔때기부재 180b: 걸레탑재부재
200: 회전걸레 210: 걸레장착구
211: 걸레 230: 자루부
231: 나선부재 233: 나선
241: 핀장착부재 242: 회전구동핀
250: 회동지지부재 250a: 회전구속수단

Claims (16)

  1. 회전걸레의 세척을 위한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체;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물이 하부로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바구니; 및
    상기 용기체에 설치되고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탈수바구니는 상기 탈수바구니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탈수바구니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탈수바구니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탈수바구니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탈수바구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스프링에 대해 상기 탈수바구니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1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1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볼 및 상면에 상기 볼이 수용되는 볼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1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은 홈 또는 스프링케이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하기 위한 상기 회전걸레를 올려두기 위한 걸레탑재부재; 및
    상기 제1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 옆에 설치되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저부는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은 상기 용기체 내부에서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하단 일부가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수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의 하단이 삽입되는 상기 홈을 가지는 마개부재가 상기 용기체의 외부에서 상기 용기체의 하방으로 개방된 부분의 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1수직지지베어링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링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회전링 위쪽의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 내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회전링의 상단이 걸릴 수 있는 이탈방지링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하단부는 막혀있어 상기 스프링케이스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8. 제1항, 제2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회동 지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베어링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장착홈에 상기 제1회전축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평지지베어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탑재부재는 상기 걸레탑재부재의 저면 중앙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2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제2수평회동허용 수직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용기체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결합되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2회전축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축을 지지하면서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승강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수평회동 지지부, 상기 걸레탑재부재를 상기 용기체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과 상기 걸레탑재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스프링에 대해 상기 걸레탑재부재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을 통해 상기 제2회전축을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의 저면에는 볼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지지베어링은 상면이 상기 제2회전축 저면의 상기 볼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 지지용 볼 및 상면에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볼이 수용되는 볼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회전축 지지용 베어링 케이스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베어링 케이스를 상기 제2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 아래쪽에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볼,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베어링 케이스 및 상기 제2스프링을 수용하며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보다 넓은 내부 단면적을 가지는 제2회전축 지지용 스프링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의 하단은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 지지용 스프링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상기 제2회전축의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에서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회동 지지부에는 상기 제2회전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걸레탑재부재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레탑재부재는, 상기 회전걸레 하면에 결합되고 저면에 원추모양의 제1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깔대기부재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원추형상의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회전축 둘레를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부의 안내를 받는 피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14.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고 걸레가 장착되는 걸레장착구를 가지는 회전걸레를 포함하고,
    상기 자루부는,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재; 및
    외주면 바깥으로 또는 내주면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선에 맞물리는 회전구동핀을 구비하여 상기 나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재와 신축 가능케 결합되고, 상기 신축에 따라 상기 나선부재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나선부재에 대해 회전운동을 하는 핀장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상기 핀장착부재와 상기 나선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면서 소정 거리 승강 하는 것을 허용하는 회동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자루부를 수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어느 하나의 상호간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핀은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핀은 상하로 간격을 두고 2단으로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도구.
KR1020120061251A 2012-06-08 2012-06-08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KR10137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51A KR101370643B1 (ko) 2012-06-08 2012-06-08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251A KR101370643B1 (ko) 2012-06-08 2012-06-08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53A KR20130137753A (ko) 2013-12-18
KR101370643B1 true KR101370643B1 (ko) 2014-03-06

Family

ID=4998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251A KR101370643B1 (ko) 2012-06-08 2012-06-08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51B1 (ko) * 2017-03-23 2018-12-19 차재명 푸시 앤드 스핀 구조의 야채 및 과일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9783B (zh) * 2015-05-18 2017-04-12 张柳嫔 拖把脱水装置
CN104799790B (zh) * 2015-05-18 2017-04-12 陈阳进 用于拖把脱水的装置
CN105996930A (zh) * 2016-06-20 2016-10-12 陈铭鸿 拖把脱水装置
CN111565614B (zh) * 2017-09-22 2022-08-12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拖把清洗系统
EP3510911B1 (en) * 2018-01-16 2023-05-17 Jiaxing Jackson Travel Products Co., Ltd. A mop cleaning system
CN110151078A (zh) * 2019-05-09 2019-08-23 曹英姿 拖把的清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689U (ja) * 2009-10-27 2010-01-14 ▲托▼神國際股▲分▼有限公司 踏み込みの必要ない脱水桶
KR20110007902U (ko) * 2010-02-03 2011-08-10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비나사식 탈수양동이의 배수바구니용 프리베어링 회전위치장치
KR200459855Y1 (ko) * 2010-04-19 2012-04-19 이의진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689U (ja) * 2009-10-27 2010-01-14 ▲托▼神國際股▲分▼有限公司 踏み込みの必要ない脱水桶
KR20110007902U (ko) * 2010-02-03 2011-08-10 투오 쉔 인터내셔널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비나사식 탈수양동이의 배수바구니용 프리베어링 회전위치장치
KR200459855Y1 (ko) * 2010-04-19 2012-04-19 이의진 자루걸레용 회전 탈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351B1 (ko) * 2017-03-23 2018-12-19 차재명 푸시 앤드 스핀 구조의 야채 및 과일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753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43B1 (ko) 회전걸레용 세척탈수통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청소도구
WO2013099112A1 (ja) 傘装置
WO2007123314A1 (en) Auto umbrella-type canopy tent
KR101024627B1 (ko) 회전 세척 및 탈수 기능을 갖는 걸레 세척통 조립체
CN206735119U (zh) 一种方便开盖使用的垃圾桶
KR101370644B1 (ko) 회전기구와 이를 이용한 회전걸레 및 청소도구
US7318443B1 (en) Pagoda-shaped umbrella
CN108792369A (zh) 一种园林垃圾桶
JP3238921U (ja) 複動式ロッキングテントフレーム構造
CN201068252Y (zh) 垃圾桶盖开合机构
KR102335075B1 (ko) 블록 지지용 일체형 핀 지그
CN100389716C (zh) 可自挤干的拖把及其反转锁止装置
CN101293580B (zh) 垃圾桶盖开合机构
US20170143123A1 (en) Spring actuated rocking mechanism for collapsible chair
KR20160105048A (ko) 우산
CN205866237U (zh) 一种自动折伞的开合控制装置
EP3202653A1 (en) Lockout device for bicycle fork shock absorber
CN206238629U (zh) 一种折伞的开合操作装置
KR200420870Y1 (ko) 청소도구용 밀대
CN205348949U (zh) 一种可打开及收折的顶部组件及一种帐篷
CN210965550U (zh) 一种减震效果好的三足离心机
KR101643381B1 (ko) 접이가 용이한 이중 우산
KR200275643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CN218467290U (zh) 双弹簧盘头结构
KR101284543B1 (ko) 신축형 링거 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