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888B1 -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888B1
KR101369888B1 KR1020120149153A KR20120149153A KR101369888B1 KR 101369888 B1 KR101369888 B1 KR 101369888B1 KR 1020120149153 A KR1020120149153 A KR 1020120149153A KR 20120149153 A KR20120149153 A KR 20120149153A KR 101369888 B1 KR101369888 B1 KR 101369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sealing member
tilting runner
runn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홍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4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틸팅 런너에서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될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집진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로 틸팅 런너에서 한쌍의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될 때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집진 후드에서 효율적으로 포집하도록 보조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로 틸팅 런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토페도카의 상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들이 형성된 실링 플레이트와; 상기 실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로 틸팅 런너가 틸팅될 때마다,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도록 된 실링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APPARATUS FOR SUPPORTING DUST REMOVE FORM TILTING RUNNER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틸팅 런너(tilting runner)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로 틸팅 런너에서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될 때 발생하는 비산먼지의 집진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도록 된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 틸팅 런너(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에서 출강되는 용선(15)을 탕도(13)를 통하여 받아 토페도카(14)로 공급하는 장치이며, 상기 고로 틸팅 런너(10)는 좌우 양측으로 틸팅되면서 해당 쪽의 대기하고 있는 토페도카(14)로 용선(15)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다량의 비산 먼지가 발생하게 되고, 그 먼지를 포집(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고로 틸팅 런너(10)의 하부에 있는 개구부(11)와 연통하는 집진 후(12)드가 설치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1은 토페도카 와구이고, 10-2는 틸팅런너 조작부이고, 10-3은 틸팅 런너 경동각 표시판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틸팅 런너(1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11)의 크기(W)가 틸팅 런너(10)의 중앙부(틸팅 런너의 폭은 중앙부가 가장 크고 그 양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음)의 크기(W') 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W'<W), 집진 후드(12)에서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때, 대기중의 헛바람이 상기 개구부(11)를 통하여 다량 유입되게 되며, 그결과 집진 후드(12)에서의 포집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공개특허공보 제2007-0135681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효율 증대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풍량의 증가 없이 틸팅 런너의 하부 개구부의 크기(면적)를 기존보다 작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틸팅 런너의 중앙부의 폭과 개구부의 폭을 동일한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먼지 포집효율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틸팅 런너의 중앙부의 폭과 개구부의 폭을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폭은 여전히 큰 편이며, 따라서 먼지 포집효율의 증대에도 한계가 있게 된다. 특히, 틸팅 런너 낙구와 토페도카 와구 사이의 개구부로 다량의 헛바람이 유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행기술에 따른 비산먼지 포집효율 증대방법은 현장에서 실용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 틸팅 런너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면적을 틸팅 런너 낙구의 양측에 있는 토페도카 와구의 폭에 준하는 크기로 축소시키고, 토페도카 와구의 바로 상부와 실링 플레이트 하부에 별도의 비산먼지의 포집을 보조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집진 후드에서의 비산먼지 집진효율을 더욱 증대시키고자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는, 고로 틸팅 런너에서 한쌍의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될 때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집진 후드에서 효율적으로 포집하도록 보조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로 틸팅 런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토페도카의 상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들이 형성된 실링 플레이트와; 상기 실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로 틸팅 런너가 틸팅될 때마다,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도록 된 실링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들은 토페도카 와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들을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 틸팅 런너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면적을 틸팅 런너 낙구의 양측에 있는 토페도카 와구의 폭에 준하는 크기로 축소시키고, 토페도카 와구의 바로 상부와 실링 플레이트 하부에 별도의 비산먼지의 포집을 보조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 집진 후드에서의 비산먼지 집진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틸팅 런너 낙구와 토페도카 와구 사이의 개구부 사이로의 헛바람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집진 후드에서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때, 대기중의 에어 유입이 차단되게 되어, 기존의 집진 풍량의 60% 정도만 사용하여도 되므로, 기존의 집진 풍량 40%를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고로 틸팅 런너에서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틸팅 런너의 하부 개구부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틸팅 런너의 하부 개구부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실링부재의 분해상태 및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3의 실링부재와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의 동작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풍량의 변화에 따른 집진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는 고로 틸팅 런너(10)와, 상기 고로 틸팅 런너(10)의 양측에 대기하고 있는 한쌍의 토페도카(14)로 용선(15)이 낙하될 때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집진 후드(12)를 통해 포집되도록 보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크게 실링 플레이트(11-1), 실링부재들, 예를 들어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 및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들, 즉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실링 플레이트(11-1)에는 적어도 2개의 개구부들, 예를 들어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 플레이트(11-1)는 고로 틸팅 런너(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는 한쌍의 토페도카(14)의 상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페도카 와구(14-1)의 폭(W1)에 상응하는 폭(W2)을 가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의 폭((W2)과 토페도카 와구(14-1)의 폭(W1)은 W1 ≒ W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의 크기(면적)를 종래의 개구부(11)(도 2 참조)보다 훨씬 작게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먼지 포집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서, 종래와 비교할 때, 고로 틸팅 런너(10)의 낙구와 토페도카 와구(14-1) 사이의 개구부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로 헛바람이 유입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다음에,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가 상기 실링 플레이트(11-1)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상기 고로 틸팅 런너(10)가 틸팅될 때마다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를 밀폐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일실시예에서,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수직상태에서 용선이 통과되고, 수평상태에서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은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에서는 편의상 한쪽의 구성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각각에 제공되는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에 의해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된다.
예를 들면,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각각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에 제공되고 있으며,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에 의해 각각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된다.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은 각각 업다운 구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 실린더(41)와, 가이드 홈(42-1)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42)와, 상기 가이드 홈(42-1)을 따라 업다운 이동되는 가이드 블록(43)을 포함한다. 물론,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도 과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의 가이드 블록(43)은 제1 실링부재(20)와 결합되어, 실링부재(20)가 전체적으로 업다운 승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5는 도 3의 실링부재의 분해상태 및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실링부재(20)는 베이스부(20-1)와, 업다운부(20-2)와, 베이스 회전구동부(20-3)와, 업다운 구동부(20-4)로 구성된다.
베이스부(20-1)는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고, 그 내부에 원기둥 형태의 통로(20-5)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실링부재(20)가 수직인 상태에서 그 통로(20-5)를 통해 용선이 통과한다.
업다운부(20-2)는 베이스부(20-1) 내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부(20-1)에 대해서 상기 통로(20-5)를 따라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된다. 물론, 업다운부(20-1)에도 용선이 통과하는 통로가 마련된다.
회전 구동부(20-3)는 상기 베이스부(20-1)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20-1)의 회전 구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모터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업다운 구동부(20-4)는 클램프 수단(21)에 의해 상기 업다운부(20-2)와 결합되어, 상기 업다운부(20-2)의 승강 구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실린더 수단에 의해 구성가능하다.
여기서, 베이스부(20-1)와 업다운부(20-2)는 철피(20-6)와 내화물(20-7)의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는 내화물(20-7)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철심이 제공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1) 내에는 업다운부(20-1)가 결합되고, 베이스부(20-1)의 몸체의 일면에는 베이스 회전구동부(20-3)가 결합되고, 베이스부(20-1)의 몸체의 일면에는 클램프 수단(21)에 의해 업다운 구동부(20-4)가 결합되어 있다.
업다운부(20-2)가 베이스부(20-1)에 결합될 때, 업다운 구동부(20-4)의 상단부는 ㄱ자형으로 굴곡되어 결합되고, 업다운부(20-2)가 베이스부(20-1)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20-1)의 측면에 소정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3의 실링부재 및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의 동작상태를 차례로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편의상, 제1 실링부재(20)가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최상단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실링부재(20)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수직상태로 최상단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에, 실링부재(20)의 업다운부(20-1)가 업다운 구동부(20-4)의 구동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 내로 이동된다.
다음에, 고로 틸팅 런너(10)의 양측에 대기하고 있는 한쌍의 토페도카(14)로 용선(15)이 낙하되며, 이러한 용선(15)은 제1 실링부재(20) 내의 통로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실링부재(30)는 도 6e의 제1 실링부재(20)와 마찬가지로,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수평상태로 최상단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2 개구부(11-3)와 접촉하여, 제2 개구부(11-3)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의 도 6a 상태에서, 즉 실링부재(20)가 수직상태로 최상단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링부재(20)의 업다운부(20-1)가 업다운 구동부(20-4)의 구동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에서 하강한다.
다음에,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의 도 6b 상태에서, 실링부재(20)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하향으로 하강 구동되어, 수직상태로 최하단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의 도 6c 상태에서, 실링부재(20)의 베이스부(20-1)가 베이스 회전구동부(20-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 이에 따라 베이스부(20-1)가 도면에 대해 수직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의 도 6d 상태에서, 제1 실링부재(20)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수평상태로 최상단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와 접촉하여, 제1 개구부(11-2)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실링부재(20)의 평평한 평면이 제2 개구부(11-2)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고로 틸팅 런너(10)가 틸팅될 때마다, 도 6a 내지 도 6e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가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를 밀폐시키게 된다.
즉, 한쪽의 제1 실링부재(20)는 베이스 회전구동부(20-3)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된후,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업다운 구동부(20-4)의 구동에 의해 업다운부(20-1)가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수직상태에서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1 개구부(11-2)를 밀폐시키는 동시에, 용선이 제1 실링부재(20) 내의 통로(20-5)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반대편의 제2 실링부재(30)는 수평상태에서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2 개구부(11-3)를 밀폐시키고 있게 된다(도 3 참조). 이후에, 제2 실링부재(30)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에 의해 하향으로 하강 구동되어, 베이스 회전구동부(예를 들어, 20-3)의 구동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된후,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2 개구부(11-2) 바로 아래에 위치되고, 업다운 구동부(20-4)의 구동에 의해 업다운부(20-1)가 상향으로 승강 구동되어, 수평상태에서 실링 플레이트(11-1)의 제2 개구부(11-3)를 밀폐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개구부들, 즉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고로 틸팅 런너(10)가 틸팅될 때마다,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40)과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50)에 의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승하강 구동되고, 베이스 회전구동부(예를 들어, 20-3)의 회전구동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수직상태에서는 실링 플레이트(11-1)의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는 동시에, 제1 실링부재(20) 내의 통로를 통해 용선이 통과하도록 하고, 수평상태에서는 제1 실링부재(20) 또는 제2 실링부재(30)의 몸체로 실링 플레이트(11-1)의 개구부들을 밀폐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링부재(20) 및 제2 실링부재(30)에 의해 실링 플레이트(11-1)의 개구부들 즉, 제1 개구부(11-2)와 제2 개구부(11-3)를 차단해주므로, 고로 틸팅 런너(10)의 하부에 개방된 부분들을 최대한 밀폐시켜서 풍량의 증가 없이도 효과적으로 먼지 포집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링부재(20)와 제2 실링부재(30)는 수직상태에서 용선이 통과되고, 수평상태에서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풍량의 변화에 따른 집진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집진기 팬모터의 전류는 기존 대비 약 35A 정도가 저함됨을 알 수 있다. 즉, 집진 후드에서 비산먼지를 포집하는 흡입력이 발생할 때, 대기중의 에어 유입이 차단되어, 종래와 비교하여 팬모터의 부하를 약 15%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고로 틸팅 런너 12 : 집진 후드
14 : 토페도카 11-1 : 실링 플레이트
20 : 제1 실링부재 30 : 제2 실링부재
40 : 제1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 50 : 제2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
11-2 : 제1 개구부 11-3 : 제2 개구부
20-1 : 베이스부 20-2 : 업다운부
20-3 : 베이스 회전구동부 20-4 : 업다운 구동부

Claims (7)

  1. 고로 틸팅 런너에서 한쌍의 토페도카로 용선이 낙하될 때 발생되는 비산 먼지를 집진 후드에서 효율적으로 포집하도록 보조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로 틸팅 런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토페도카의 상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개구부들이 형성된 실링 플레이트와;
    상기 실링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로 틸팅 런너가 틸팅될 때마다,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구부들을 밀폐시키도록 된 실링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들은 토페도카 와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들을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시키는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업다운 유닛은 업다운 구동력을 제공하는 업다운 실린더와,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업다운 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업다운 이동되는 가이드 블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실링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들은 제1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제1 실링부재와, 제2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제2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의 각각은,
    원기둥 형태의 제1 통로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원기둥 형태의 제2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제1 통로 내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제2 통로를 따라 업다운 방향으로 승강 구동되는 업다운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 구동을 제공하는 베이스 회전구동부와,
    상기 업다운부와 결합되어, 상기 업다운부의 승강 구동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제2 실링부재의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업다운부는 각각 철피와 내화물의 이중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철피와 상기 내화물 사이에 철심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KR1020120149153A 2012-12-20 2012-12-20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KR101369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53A KR101369888B1 (ko) 2012-12-20 2012-12-20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153A KR101369888B1 (ko) 2012-12-20 2012-12-20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888B1 true KR101369888B1 (ko) 2014-03-05

Family

ID=5064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153A KR101369888B1 (ko) 2012-12-20 2012-12-20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0542U (ko) * 1981-06-11 1982-12-20
JPS6143242U (ja) * 1984-08-23 1986-03-20 川崎製鉄株式会社 浸漬型溶銑注銑装置
JPH01142435U (ko) * 1988-03-18 1989-09-29
JPH02106448U (ko) * 1989-02-08 1990-08-23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0542U (ko) * 1981-06-11 1982-12-20
JPS6143242U (ja) * 1984-08-23 1986-03-20 川崎製鉄株式会社 浸漬型溶銑注銑装置
JPH01142435U (ko) * 1988-03-18 1989-09-29
JPH02106448U (ko) * 1989-02-08 199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888B1 (ko) 고로 틸팅 런너의 비산먼지 포집 보조장치
CN108857176A (zh) 一种应用于汽车风管焊接装置
CN102259106B (zh) 一种悬臂式可移动吸尘罩
CN110918969A (zh) 一种连铸大包回转台移动烟气捕集罩
KR20120122067A (ko) 고철 분리 장치
CN209565484U (zh) 一种铁水包清渣装置
CN102362137A (zh) 电弧炉
KR101515187B1 (ko) 세륜기에 설치되는 베어링 모듈의 결합 장치
CN206122843U (zh) 双工位恒温锡焊系统
CN108379916A (zh) 一种环境工程领域的固液分离设备
CN106975557A (zh) 一种节约资源的化工生产用机械式固体原料研磨系统
CN210001607U (zh) 一种砂石分离机壳体
KR102103379B1 (ko) 도어장치 및 용기의 개구부 개폐방법
CN208357675U (zh) 一种矩形钢丝的自动折弯机
CN202174098U (zh) 可移动式多工位吸尘罩
CN205309561U (zh) 圆周激光焊接机
CN213001200U (zh) 一种球形砂风选除杂装置
CN109434310A (zh) 用于激光切割极片的下料装置
CN213917836U (zh) 一种多角度转动的屏幕治具
CN109531354A (zh) 一种工厂用于汽车配件加工的磨具
CN215787882U (zh) 一种一体式焊接机架
CN219768294U (zh) 一种机械手臂磁盘磁铁拆卸治具
CN213531340U (zh) 一种led发光板机械手臂装置
KR101320313B1 (ko) 전기로의 하부 전극 교체용 틸팅장치
CN107138276A (zh) 一种矿业工程用的环保的干式铁粉回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