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757B1 -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757B1
KR101369757B1 KR1020130083527A KR20130083527A KR101369757B1 KR 101369757 B1 KR101369757 B1 KR 101369757B1 KR 1020130083527 A KR1020130083527 A KR 1020130083527A KR 20130083527 A KR20130083527 A KR 20130083527A KR 101369757 B1 KR101369757 B1 KR 10136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nhole cover
tube
granula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3008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뚜껑에 이탈방지고리를 부착하여 입상관으로부터 맨홀뚜껑이 구속된 상태로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뚜껑이 튕겨져 나가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오수의 유입 및 유출시키도록 집수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의 상단에 수직되게 세워지는 입상관과; 상기 입상관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입상관 관경에 대응하는 치수의 원형의 맨홀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구속된 상태로 일정 높이까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맨홀뚜껑 테두리와 입상관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이탈방지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DRAIN SEWAGE APPARATUS}
본 발명은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여 유출시킬 수 있도록 유입관과 유출관을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상관의 상단에 위치하는 맨홀뚜껑은 입상관의 맨홀을 개폐시키도록 주철로 형성되어 있으며, 주철의 무게로 인해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맨홀 상에 끼워서 얹어 놓은 상태로 체결된다.
그러나 빗물 등의 많은 양의 우수 혹은 오수가 입상관으로 갑자기 역류하게 되면 맨홀뚜껑은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튕겨져 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지나가던 행인들이 맨홀뚜껑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거나, 맨홀에 빠지게 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1. 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151632호(2012년05월24일) 2. 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0801890호(2008년01월31일)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뚜껑에 이탈방지고리를 부착하여 입상관으로부터 맨홀뚜껑이 구속된 상태로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구에 부착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여 유출관으로 유출시키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하단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이음관에 의해 밀폐되게 세워지며, 상단은 지면에 노출되는 맨홀뚜껑이 부착되는 입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구속된 상태로 일정 높이까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양 단이 맨홀뚜껑 테두리와 입상관 상단에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이탈방지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탈방지고리는 그 상단이 맨홀뚜껑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탈방지고리는 그 하단이 수직 이동하면서 입상관 측면에 걸리도록 고리 형태를 가지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입상관은 상기 걸림부가 수직 이동하도록 입상관 상단으로부터 벽면 내부에 수직통로를 형성하는 수직가이드홈과; 걸림부가 상기 수직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홈의 상단에 단턱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는 맨홀뚜껑에 이탈방지고리를 부착하여 입상관으로부터 맨홀뚜껑이 구속된 상태로 상, 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맨홀뚜껑이 튕겨져 나가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결방지를 위한 오수받이의 전체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체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체의 측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체의 측단면도,
도 5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역류방지용칸막이의 측단면도,
도 7은 슬러지배출용스크류의 단면도,
도 8은 악취방지용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이음관의 일 측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 단면도,
도 11은 이음관의 타 측 사시도,
도 12는 입상관 전체 단면도,
도 13은 입상관과 이음관의 체결 상태 정면도,
도 14는 맨홀의 개방 상태 단면도,
도 15는 받침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들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받이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수받이는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있으며, 유입관과 유출관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로부터 지면까지 설치되는 입상관(200), 상기 본체(100)와 입상관(200)을 수밀하게 연결시키는 이음관(300), 상기 본체(100)의 유입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구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용트랩(미 도시, 본체 내부에 위치), 상기 입상관(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면 상에 노출되는 맨홀뚜껑(500), 상기 본체(100)를 바닥에 세우기 위한 받침대(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100)는 도 2와 도 3의 사시도 및 도 4의 측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 형태의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각 측면에서 1개 혹은 2개 형성되어 있는 유입관(101) 및 유출관(102)과,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열선(120)과,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거시키도록 수용부(100) 바닥의 중앙으로부터 입상관 상단까지 세워진 슬러지배출용스크류(미 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공간부이며, 동일 크기를 가지는 각 측면은 유입관(101)과 유출관(1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관(101)은 상기 수용부(110)의 일 측면 상부의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로 및 세로로 4등분된 측면의 상부 일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일 측면과 이웃하는 양 측면에도 동일한 위치에 유입관(1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일 측면 상부에는 동일 형상을 가지는 다른 유입관이 포함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한 쌍의 유입관은 측면 상부에서 그 중앙으로부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관(101)과 수용부(110) 내부는 서로 관통하도록 수용부(110) 측면은 관통형의 유입구(10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입관(101)은 측면과 접하는 외표면의 경계선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유입관리브(105)를 형성하고 있어 유입관(101)의 벽면에 발생하게 되는 수압 혹은 외압에 의해 유입관(101)이 일 측으로 휘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관리브(105)는 유입관(101) 일 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용부(110) 측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삼각형태의 살이며, 이와 같은 형태의 유입관리브(105)들은 동일 간격을 가지며 적어도 상, 하, 좌, 우의 4 군데 이상 동일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관(102)은 상기 수용부(110)의 일 측면과 마주하는 타 측면 하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출관(102)은 유입관(101) 보다 비교적 큰 관경을 가지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입관의 1.5~2배가 되는 관경을 가지도록 하여 복수개의 유입관(101)들로부터 동시에 유입되는 오수를 정체됨이 없이 빠른 시간 내에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출관(102)과 수용부(110) 내부는 서로 관통하도록 수용부(110) 측면은 관통형의 유출구(10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유출관(102)은 측면과 접하는 외표면의 경계선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유출관리브(106)를 형성하고 있어 유출관(102)의 벽면에 발생하게 되는 수압 혹은 외압에 의해 유출관(102)이 일 측으로 휘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출관리브(106)는 유출관(102) 일 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수용부(110) 측면의 외표면을 연결하는 삼각형태의 살이며, 이와 같은 형태의 유출관리브(106)들은 동일 간격을 가지며 적어도 상, 하, 좌, 우의 4 군데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관(102)은 그 내벽에 역류방지용칸막이(107)가 형성되어 있어, 유출관(102)으로 유출된 오수가 역류하여 다시 수용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유출관(102)의 일측 내벽에 위치하는 반원형태의 칸막이이며, 그 반원형의 테두리는 유출관(102) 내벽과 맞닿아 수밀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유출관으로부터 유출된 오수는 통과시키고 유출관으로 유입되는 오수는 차단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그 반원형 테두리의 양 측이 유출관(102) 내벽을 관통하는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반원형의 테두리면은 유출관(102) 내벽의 관경 둘레를 따라 일정 두께와 폭으로 형성되어 있는 단턱(109)의 측면과 면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턱(109)은 역류방지용칸막이(107)의 테두리 면과 면접하도록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되, 수용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역류방지용칸막이(107)가 수용부 반대 방향인 유출수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단턱(109) 면으로는 회전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턱(109)과 역류방지용칸막이(107)는 서로 다른 극의 약한 자성을 띠도록 하여 유출수의 수압이 발생하지 않을 시에는 단턱 측면과 역류방지용칸막이 테두리면이 서로 더욱 밀착되게 면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10)는 그 하단인 바닥면에 열선(120)이 부착되어 있어, 열선의 발열로 인해 수용부 바닥면, 특히 인버트 등에 고인 오수에 의한 동결을 방지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선(120)은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통해 발열하는 복수개의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선들은 오수에 의한 감전 및 부식 방지를 위해 방수 가능한 매트나 패드 혹은 피복 내에 밀폐되게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열선(120)은 원거리의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며, 관리자의 온도조절장치 조작을 통해 설정된 온도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과 온도조절장치 등은 지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는 바닥 중앙으로부터 입상관 상단까지 세워지도록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를 구비하고 있어, 수용부 바닥에 모이게 되는 슬러지들을 지상으로 이동시켜 배출하도록 한다.
상기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는 그 하단이 수용부(110) 바닥에 위치하여 바닥에 모인 슬러지를 밀어 올리고, 상단이 입상관 상단에 위치하여 맨홀뚜껑을 개방 시에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는 그 중앙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스크류(1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131)는 원통형의 나사산수용체(132)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크류(131)의 나사산은 나사산수용체(132)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하여 슬러지가 나사산을 따라 밀려 올라갈 시에 나사산수용체(132)의 벽면과 나사산 사이의 틈을 통해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나사산수용체(132)는 측벽 하단에 슬러지유입구(135)가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하고, 측벽 상단에 슬러지유출구(136)가 형성되어 있어 슬러지가 유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나사산수용체(132)가 슬러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수용부(110)의 바닥 중앙에 원형의 홈(139)이 형성되도록 하고, 나사산수용체(132)의 하단은 상기 원형의 홈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바닥에 있던 슬러지가 원형 홈으로 모이게 되면 슬러지유입구(135)를 통해 나사산수용체(132) 내부로 유입시킨다.
상기 스크류(131)의 상단 중앙은 모터를 부착할 수 있는 회전축(133)이 구비되어 있어, 전원공급을 받은 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스크류(131)가 회전하게 되고, 나사산수용체(132)의 슬러지유입구(135)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스크류(131)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131)의 나사산을 따라 승강한 슬러지는 나사산수용체(132)의 슬러지유출구(136)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는 유입구(103)에 악취방지용트랩(400)을 부착하여 수용부의 악취가 유입구를 통해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악취방지용트랩(400)은 유입관(101)과 수밀하게 연결되어 유입구(103)를 덮는 유입구덮개(410)와, 유입구(103) 하단에서 수용부(110)의 내벽면과 유입구덮개(410) 사이에서 밀착되게 부착되어 있는 물받이(420)로 구성된다.
도 8의 부분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덮개(410)는 유입관(101)의 내벽면과 밀착되도록 그에 대응하는 관경을 가지는 연결관(411)과, 상기 연결관(411)으로부터 수직되는 면을 형성하여 유입구(103)를 덮으며 그 하부로 유입수가 낙하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하는 유입수통로(4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덮개(410)의 유입수통로(412)는 수용부(110)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도록 장착하여 틈 사이로 물받이(420)가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물받이(420)는 일 측면이 유입구(103) 아래의 수용부(110) 내벽면에 밀착되는 물받이부착면(421)과, 상기 물받이부착면(421) 하단에서 유입수통로(412)로부터 낙하한 유입수가 고이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집수부(422)로 구성된다.
상기 물받이부착면(421)은 연결관(411) 하부에서 수용부(110)의 내벽면과 유입수통로(412) 사이에 면착되게 끼워지도록 연결관(411) 관경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부착테두리(4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관(411) 외표면에 상기 부착테두리(423)를 끼우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420)의 보다 견고한 부착을 위해, 물받이(420)의 물받이부착면(421)의 양 측으로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는 탄성을 지닌 걸림턱(425)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425)이 유입수통로(412) 수직면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415)에 걸리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관(411)이 유입관(101)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입수통로(412)와 수용부(410) 내벽면 사이의 틈으로 물받이(420)의 물받이부착면(421)을 끼운 상태에서 물받이(420)를 상향되게 이동시킴으로써 물받이부착면(421)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턱(425)이 유입수통로(412) 수직면의 양 측에 형성된 걸림홈(415)에 탄성을 가지며 안착하여 물받이(420)가 하향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수통로(412)의 개방된 하단은 집수부(422)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집수부(422)에 물이 집수된 상태에서 유입수통로(412)의 하단이 잠기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420)의 집수부(422)는 그 내부 측면에 고형물을 감지하는 슬러지감지센서(428)가 부착되어 있어, 슬러지가 집수부(422)에 계속적으로 적체되어 유입수통로(412)를 막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부(422)의 측면 일정 높이에 형성되어 있는 슬러지감지센서(428)는 유입수통로(412) 하단 위치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하부에 위치하여 슬러지가 유입수통로(412) 높이까지 적체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감지센서(428)는 생성된 감지신호를 관리자용의 오수받이 모니터링 시스템에 전달하고, 전달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받이 모니터링 시스템은 알람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슬러지 적체상태임을 알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슬러지가 집수부에 적체됨에 따라 악취방지용트랩(400)을 유입관으로부터 탈착시켜 슬러지를 배출한 다음 다시 제자리에 부착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422)는 그 외표면의 측면 및 하면에 열선(429)이 부착되어 있어 집수부에 고인 오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집수부(422)의 외표면에 열선(429)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집수부(422) 내표면에 열선(429)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선(429)는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 하단의 열선(120)과 동일한 발열선이며 상기 열선(120)과 마찬가지로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설정온도에 따라 발열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700)는 유입관(711)과 유출관(713)을 구성하며, 복수개의 유입관(711)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수를 하나의 유출관(713)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격막구조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격막구조부에는 복수개의 입수관(711) 따라 유입되는 오수를 상기 배출관(713)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일부 함몰된 중앙관로(인버트)와 사이드 관로 및 상기 관로들에 비해 높게 돌출된 내부구획벽(75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관로(인버트)는 U트랩(78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U트랩(780)은 상기 유입관(7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일정량을 수용하여 오수에 대한 악취가 상기 유입관(711)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U트랩(780)은 반구형태로 형성되며 항상 일정량의 오수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U트랩(780)은 그 내표면 혹은 외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되어 있어, U트랩(780)에 고인 오수가 동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U트랩(780)의 외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U트랩(780) 내표면에 열선(790)이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열선(790)는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 하단의 열선(120)과 동일한 발열선이며 상기 열선(120)과 마찬가지로 전원 및 케이블로 연결되어 설정온도에 따라 발열하도록 한다.
수용부의 상단은 하기에 설명될 입상관과 수밀하게 연결되기 위해 이들 수용부와 입상관을 서로 연결시키는 이음관(300)이 위치하게 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300)은 그 하부가 수용부(110)의 사각 상단을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수용부밀봉부(310)를 형성하고, 그 상부가 입상관 하단을 수밀하게 밀봉시키도록 입상관밀봉부(320)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밀봉부(310)는 수용부(110)의 사각 상단 형상에 대응하여 수용부(110)를 덮는 사각 테두리를 가지는 상판(311)과, 상기 상판(311) 테두리 둘레를 따라 수직 하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직단턱(312), 상기 상판(311) 중앙으로부터 테두리까지 형성된 원형 통공구(3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밀봉부(320)는 원형 통공부(313)부터 수직 상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연결관(3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단턱(312)은 수용부(110) 사각 상단의 측면 테두리와 맞물려 밀폐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연결관(324)은 입상관 하단 테두리와 맞물려 밀폐 상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수직단턱(312)은 수용부(110) 사각 상단 테두리의 외측면에서 서로 그 측면이 면착되도록 맞물리고, 연결관(324)은 입상관 하단 테두리의 외측면에서 서로 그 측면이 면착되도록 맞물리게 된다.
혹은 다른 실시예로, 도 9의 A-A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단턱(312)은 그 하면을 따라 홈(319)을 형성하여 수용부(110) 상단이 삽입되도록 하고, 연결관(324) 역시 그 상면을 따라 홈(318)을 형성하여 입상관 상단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24)은 상판(311)과 직선으로 연결되는 리브(315)들을 형성하고 있어 연결관(324) 상단에 입상관이 부착되더라도 흔들림없이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브(315)들은 상판(311)의 코너로부터 연결관(324)의 일정높이까지 연장되는 삼각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리브(315)들은 상판의 4개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판(311)의 하면은 각 코너에 삽입가이드(316)가 형성되어 있어, 삽입가이드(316)와 수직단턱(312) 사이의 틈(수용부 상단의 두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짐)으로 수용부의 사각 테두리 상단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가이드(316)는 상판 하면의 각 코너에서 상기 수직단턱(312)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ㄱ'자의 단턱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상판의 코너가 라운드형이면 삽입가이드(316) 역시 라운드형이고 상판의 코너가 직각이면 삽입가이드(316) 역시 직각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입상관(200)은 지면으로부터 이음관(300)까지 연결되는 수직의 관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상관(200)은 그 상단에 맨홀뚜껑(500)이 위치하고, 맨홀뚜껑(500) 아래에 속뚜껑(201)을 구비한다.
상기 입상관(200)은 그 내벽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 덮개를 형성하도록 하여, 입상관(200)의 측벽으로 전달되는 지하의 냉기를 차단하여 보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상관(200)은 그 내벽에 내벽 관경에 대응하는 원형의 스티로폼 재질의 복수개의 입상관보온판(210)이 구비되며 상기 입상관보온판(210)들은 입상관(200)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의 관경은 입상관(200)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고 있어 입상관보온판(210) 외측 테두리가 입상관(200) 내벽에 억지끼움하여 밀착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상관보온판(210)이 중력에 의해 하강하지 않도록 입상관(200) 내벽에 단턱(215)을 형성하여 입상관보온판(210)을 받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턱(215)은 입상관보온판(210)을 받치도록 입상관의 각 동일 높이에서 3개 이상씩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은 그 중앙이 통공부(211)를 형성하여 상기 통공부(211)를 통해 슬러지배출용스크류가 관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공부(211)의 관경 역시 슬러지배출용스크류 관경에 대응하는 규격을 가지고 있어 통공부(211) 내측 테두리가 슬러지배출용스크류(130)에 밀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상관보온판(210)은 그 상면 및 하면에서 원형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열선(217)이 구비되도록 하고, 열선(217)에 전류를 통전하여 입상관보온판(210)이 발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열선(217)은 앞서 설명된 수용부(110)의 열선(120)과 동일한 전원에 의해 발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상관(200)은 상부관(220)과 하부관(230)으로 분리되도록 2피스로 구성되어 상부관(220)과 하부관(230)을 맞물리도록 조립하면서 전체 입상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관(220)은 하단에 나사산(222)을 형성하게 되고, 하부관(230)은 상단에 나사산(232)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들이 서로 맞물려 지면으로부터 이음관까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관(220)은 링 형태의 하단면 중앙부를 따라 하부관삽입공간(224)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관(220)의 하부는 외벽과 내벽의 이중벽관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상기 하부관삽입공간(22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관(220)의 외벽 내측은 나사산을 형성하고 있어, 하부관(230)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맞물려 상부관(220)이 승강 혹은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상부관 내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하부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관 외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하부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하부관에 상부관삽입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하부관 내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상부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관 외벽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상부관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상관(200)은 그 하부관(230)의 하부로부터 하단까지 이음관고정핀(233)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이 이음관의 리브(315)에 끼워지도록 부착됨으로써 입상관(200)이 이음관(300)에 견고하게 세워져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은 하부관(230)의 하부로부터 수직 하향되게 이음관의 상판까지 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클립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이음관고정핀(233)의 하단은 핀셋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음관 각 리브(315)들을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음관고정핀(233)들은 이음관 리브(315)들에 각각 끼워지도록 리브(315)들이 형성되어 있는 이음관 상판(311)의 각 코너 상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맨홀뚜껑(500)은 상기 입상관(200) 상단에 위치하여 입상관 상단을 개폐시키는 원형의 주철 뚜껑이다.
상기 맨홀뚜껑(500)은 입상관(200)을 개폐시키되, 입상관(2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만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입상관에 구속된 이동거리를 갖도록 하여, 오수받이로 역류되는 오수가 입상관을 통해 차 올라와 맨홀뚜껑(500)을 밀어올릴 경우 맨홀뚜껑(500)이 수압에 의해 튕겨지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맨홀뚜껑(500)은 그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3~4개의 이탈방지고리(53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고리(530)는 그 상단이 볼트 체결 등으로 맨홀뚜껑(500)에 고정되게 부착되어 고정부(531)를 형성하며, 그 하단은 입상관의 상부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가이드홈(229)에 삽입되어 수직 이동하는 걸림부(532)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531)는 볼트 체결로 고정되게 맨홀뚜껑에 부착되어 있어 맨홀뚜껑을 개방할 경우 볼트체결을 해체함으로써 고정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532)는 그 끝단이 고리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수직가이드홈(229)은 상기 걸림부(532)가 구속된 상태에서 상, 하로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통로를 형성하되 그 상단은 걸림부가 이탈할 수 없도록 이탈방지턱(2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탈방지고리(530)의 고정부(531)가 맨홀뚜껑(500) 테두리를 따라 부착된 상태에서 맨홀뚜껑(500)을 개방하게 되면 이탈방지고리(530)의 걸림부(532)가 수직 상향 이동하게 되며 이탈방지턱(228)에 의해 걸려 더 이상 상향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받침대(600)는 본체(100)의 하단을 매립 상태의 지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단을 감싸는 고무 재질의 사각 링이다.
도 15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은 수용부(110) 하부의 사각 테두리로부터 수직 하향되게 연장되는 단부이며, 상기 받침대(600)는 상기 본체(100) 하단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수직면(610)과 수평면(620)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600)의 수직면(610)은 본체(100) 하단의 내측면과 면접하게 되고, 수평면(620)은 본체(100) 하단의 하면과 면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면(620)은 상기 본체(100) 하단의 하면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본체(100)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받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면(610)의 상단은 스티로폼 재질의 보온 덮개인 보온사각판(630)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보온사각판(630)은 상기 수용부(110) 하면과 상기 수직면(610) 사이에서 상, 하면이 서로 맞닿도록 그에 대응되는 두께와 형상을 가지며, 수용부 하단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본체 200 : 입상관
300 : 이음관 400 : 악취방지용트랩
500 : 맨홀뚜껑 600 : 받침대

Claims (4)

  1. 유입구에 부착된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집수하여 유출관으로 유출시키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하단은 상기 수용부 상에서 이음관에 의해 밀폐되게 세워지며, 상단은 지면에 노출되는 맨홀뚜껑이 부착되는 입상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상관으로부터 구속된 상태로 일정 높이까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양 단이 맨홀뚜껑 테두리와 입상관 상단에 결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이탈방지고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관은 상기 수용부의 상단과 밀폐되게 체결되며, 하단에 복수개의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입상관은 하부관 하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이음관 하단의 리브에 체결되도록 수직되게 뻗은 이음관고정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리는 그 상단이 맨홀뚜껑 테두리에 고정되도록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고리는 그 하단이 수직 이동하면서 입상관 측면에 걸리도록 고리 형태를 가지는 걸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관은 상기 걸림부가 수직 이동하도록 입상관 상단으로부터 벽면 내부에 수직통로를 형성하는 수직가이드홈과;
    걸림부가 상기 수직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상기 수직가이드홈의 상단에 단턱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20130083527A 2013-07-16 2013-07-16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369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527A KR101369757B1 (ko) 2013-07-16 2013-07-16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527A KR101369757B1 (ko) 2013-07-16 2013-07-16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757B1 true KR101369757B1 (ko) 2014-03-26

Family

ID=5064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527A KR101369757B1 (ko) 2013-07-16 2013-07-16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015B1 (en) * 2000-07-25 2003-04-22 Department Of Water And Power City Of Los Angeles Method of and system for venting out buildup of explosive gases in a manhole
KR20040070864A (ko) * 2003-02-05 2004-08-11 주식회사 금호산업개발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KR100954145B1 (ko) * 2009-08-26 2010-04-20 신우산업주식회사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110028097A (ko) * 2009-09-11 2011-03-17 이병상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1015B1 (en) * 2000-07-25 2003-04-22 Department Of Water And Power City Of Los Angeles Method of and system for venting out buildup of explosive gases in a manhole
KR20040070864A (ko) * 2003-02-05 2004-08-11 주식회사 금호산업개발 제수변용 맨홀철개의 덮개체 높이조절 장치
KR100954145B1 (ko) * 2009-08-26 2010-04-20 신우산업주식회사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KR20110028097A (ko) * 2009-09-11 2011-03-17 이병상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369B1 (ko) * 2019-11-26 2020-08-07 주식회사 뉴보텍 입상관 길이조절이 가능한 오수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935B1 (ko) 악취 방지를 위한 오수받이
RU2715585C1 (ru) Моду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в шахте
US9963866B2 (en) Drain device
KR101328395B1 (ko) 견고한 체결을 위한 오수받이
EP3102745B1 (en) Plumbing device
KR101369757B1 (ko) 이탈방지용 맨홀뚜껑을 구비한 오수받이
KR101351274B1 (ko) 동결 방지를 위한 오수받이
KR101365936B1 (ko) 입상관 길이 조절을 위한 오수받이
CA2839144C (en) Drain box assembly for a convertible splash pad/ice rink structure
JP3214909U (ja) マンホール熱遮断装置
KR101959508B1 (ko)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US10435872B2 (en) Leakage prevention module
KR20150096630A (ko) 방수형 이중 그리스 트랩
CN105484329B (zh) 一种浴缸的溢水排水装置
KR101151960B1 (ko) 오수받이 장치
KR101130759B1 (ko) 기존 우.오수받이용 동결저감장치
US20230344111A1 (en) A remote sensing device
KR100521011B1 (ko) 산계곡물을 이용한 간이상수도 취수장치
KR100648440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지선근가
ES2306631B1 (es) Contenedor subterraneo para equipos de telecomunicaciones.
JP6406833B2 (ja) 軒先の排水構造及び建物
US20140197164A1 (en) Watertight handhole for the transit of cables in outdoor areas
US20070025860A1 (en) Sewage lift mechanism with remote alarm
KR101053435B1 (ko) 건식 싱크대 배수전
JP2004034995A (ja) 地下タンク貯蔵装置用の雨水排出装置及び地下タンク貯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