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611B1 -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611B1
KR101369611B1 KR1020120033864A KR20120033864A KR101369611B1 KR 101369611 B1 KR101369611 B1 KR 101369611B1 KR 1020120033864 A KR1020120033864 A KR 1020120033864A KR 20120033864 A KR20120033864 A KR 20120033864A KR 101369611 B1 KR101369611 B1 KR 10136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point
view point
terminal
vari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747A (ko
Inventor
조현근
Original Assignee
조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근 filed Critical 조현근
Priority to KR102012003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611B1/ko
Priority to PCT/KR2012/006054 priority patent/WO2013151212A1/ko
Publication of KR20130111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상기 상대편 단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METHOD FOR VIEW POINT REMOTE CONTROL IN VIDEO TELEPHONE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영상 통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view point)를 가지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모바일 단말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카메라, 스피커, 마이크 등을 내장하고, 이들을 통해 영상 통화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영상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단말 후방을 촬영하기 위한 메인 카메라 이외에 모바일 단말 전방에 위치한 사람을 촬영하기 위한 전면 카메라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전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람 영상을 상대편에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와 상대편 통화자가 서로 상대편의 얼굴을 보면서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방식으로 서비스되는 영상 통화의 경우, 상대편 통화자가 사용자에 제공하는 영상은 전적으로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대편 통화자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를 가지는 영상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대편 통화자에게 음성을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가 어디인지 설명하고(예를 들어, "오른쪽 위로 조금만 움직여 주세요"), 상대편 통화자에 해당 방향으로 상대편 통화자의 단말을 이동시켜 주기를 부탁하는 방법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대편 통화자가 뷰 포인트의 위치를 주관적으로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을 옮겨야 하기 때문에, 그 방향과 이동량이 모호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는 사용자와 상대편 통화자 상호간의 대화가 단절될 수 있어, 원활한 지시를 내리는 데에도 한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음성적인 방법으로 사용자가 상대편 통화자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를 지시하고, 이에 상응하는 카메라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화의 단절없이 상대편 통화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상기 상대편 단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뷰 포인트는 상하좌우 이동, 상하좌우 회전, 줌인, 줌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3차원 움직임 값,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하여 발생시키는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는 것을 한다.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정보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를 추적하고, 뷰 포인트 가변 전 영상과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뷰 포인트 가변 정도를 시각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은 상기 뷰 포인트 가변 전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에 따라 팬/틸트/줌시킨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면, 상기 오버레이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상대편 단말이 제공하는 카메라 영상만을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편 단말의 현재 뷰 포인트 및 카메라 영상을 피드백받고, 상기 상대편 단말의 현재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 및 상기 피드백받은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뷰 포인트 가변량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뷰 포인트 가변 전 화면을 유지하다가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상응하는 카메라 영상을 전송할 때에 화면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한 후,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되는 뷰 포인트를 센싱 및 분석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대편 단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 후,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상대편 단말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를 상대편 통화자(또는 상대편 통화자)에게 시각화하여 통보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뷰 포인트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카메라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성이 아닌 시각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뷰 포인트를 통보하도록 함으로써,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도 사용자와 상대편 통화자는 계속하여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은 여행 중인 친구를 통해 관광지를 대리 체험하거나, 가전 제품 등의 사용법을 원격으로 설명하거나, 집(또는 사무실)에 놓고 온 물건을 그 곳의 다른 사람을 통해 찾아보거나, 매장 상황을 원격으로 점검하거나, 공사 및 생산 형장 등을 원격으로 관리하거나, 원격으로 디자인을 협업하는 등의 다양한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a 및 도2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가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각 정보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1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2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1 및 제2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1 및 제2 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이용되는 영상 제공 윈도우의 위치 및 형태 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통화 시스템은 이동 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모바일 단말(10, 20)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10)이 상대편 단말(20)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 및 명령하는 사용자(이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상대편 단말(20)은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뷰 포인트를 실제 변경하는 사용자(이하,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용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10)는 사용자가 상대편 단말(20)의 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대로 뷰 포인트를 옮길 수 있도록 하고, 상대편 단말(20)은 사용자에 의해 옮겨진 뷰 포인트를 자신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이를 참고하여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2a 및 도2b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가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a는 단말을 3차원적으로 움직여 뷰 포인트를 가변하는 경우, 도2b는 단말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하고 드레그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2a는 단말을 3차원적으로 움직여 뷰 포인트를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의 단말은 기기 내부에 내장된 센서(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단말의 3차원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을 상하좌우로 이동, 상하좌우로 회전, 그리고 자신 가까이로 근접되거나 이격시킬 수 있으며, 단말은 내장 센서를 통해 이에 상응하는 3차원 벡터값을 획득하고, 그를 기준으로 뷰 포인트를 3차원적으로 변경해줄 수 있다.
도2b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의 단말은 사용자가 단말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하고 드레그하는 터치 제스처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 화면에 적어도 한 손가락을 터치하고 드래그하고,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손가락 터치 개수 및 드래그 패턴을 센싱함으로써, 뷰 포인트를 상하좌우로 이동, 상하좌우로 회전, 그리고 줌인/아웃시키기 위한 3차원 벡터값을 획득하고, 그를 기준으로 뷰 포인트를 3차원으로 변경해줄 수 있다.
다만, 도2a 및 도2b의 3차원 벡터값 생성 기준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이를 위한 것일 뿐, 시스템 적용 환경에 따라 이는 다양하게 변형 및 확장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하여, 도2a의 뷰 포인트 가변 방법과 도2b의 뷰 포인트 가변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뷰 포인트를 3차원적으로 이동시켜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 드래그하여 뷰 포인트를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단말을 자신에 근접 또는 이격시킴으로써, 뷰 포인트를 줌인/줌아웃시켜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상대편 단말(20)에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면,상대편 단말(20)는 상대편 통화자의 동의하에 사용자 단말 요청을 수락하여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시작한다(S10).
그리고 상대편 단말(20)는 자신의(20)의 촬영 상태를 사용자와 상대편 통화자가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자신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0)과 공유한다. 즉, 사용자 단말(10)과 상대편 단말(20)이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와 상대편 통화자 모두가 현재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가 어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11).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를 3차원적으로 움직이거나,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상에서 터치 지점 및 위치를 가변하는 터치 제스처를 통해 현재의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S12), 사용자 단말(10)은 자신의 3차원 움직임 값,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한 후, 상대편 단말(20)에 통보한다(S13).
상대편 단말(20)은 사용자 단말(10)이 통보한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가변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4). 시각 정보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미지 예로는 도4에서와 같이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외곽 형태 및 위치가 가변되는 다각형이 있을 수 있으며, 텍스트 예로는 상대편 단말(2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나타내는 문자, 숫자, 각종 부호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상대편 통화자(20)는 상대편 단말(20)의 화면에 표시된 시각 정보를 참고하여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수동 조정하고(S15), 상대편 단말(20)은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현재의 뷰 포인트를 센싱한다(S16). 그리고,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와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한 후, 이에 따라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실시간 조정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상대편 단말(20)이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기 위해 추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방향 및 거리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S17).
마지막으로, 상대편 단말(20)은 단계 S18를 수행함과 동시에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을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하고 (S18), 사용자 단말(10)은 상대편 단말(20)이 제공하는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S19),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1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의 화면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뷰 포인트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뷰 포인트 제어 후 획득될 수 있는 카메라 영상을 미리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뷰 포인트 제어 정도를 예측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뷰 포인트 제어 정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뷰 포인트 원격 제어 이벤트를 발생하면, 현재의 뷰 포인트 및 카메라 영상을 기준 시점 및 기준 영상으로 획득한 후,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를 계속하여 추적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에 따라 기준 영상을 팬/틸트/줌시켜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생성한 후, 기준 영상과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오버레이된 기준 영상과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통해 자신의 뷰 포인트 가변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기준 영상은 불투명 영상으로,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은 투명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기준 영상과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보다 손쉽게 구별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뷰 포인트 결정 이벤트를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10)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고 상대편 단말(20)에 통보하여, 상대편 단말(20)을 사용하는 상대편 통화자도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뷰 포인트 결정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상대편 단말(10)이 가변된 뷰 포인트에 상응하는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오버레이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고, 상대편 단말(10)이 제공하는 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2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의 시각 정보는 붉은 사각형으로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0)이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를 통보하면, 상대편 단말(20)은 가변된 뷰 포인트를 상대편 통화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와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실시간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고, 이에 따라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와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실시간 변경해준다. 이때,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와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도 3차원적으로 가변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와 카메라 영상간 상대적인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가 이를 참고하여 상대편 단말(20)의 이동 방향 및 거리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대편 통화자가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수동 제어하여 상대편 단말(20)이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로 영상을 촬영하면, 상대편 단말(20)은 카메라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여 현재의 뷰 포인트가 사용자 단말(10)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임을 상대편 통화자에게 알려주도록 한다.
더하여, 이하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상대편 단말의 촬영 상태 피드백 없이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나, 필요한 경우 도6에서와 같이 상대편 단말의 촬영 상태를 사용자 단말에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참고하여 보다 정확한 지시를 내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더하여 상대편 단말의 촬영 상태를 사용자 단말에 피드백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때, 제1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단계들은 도3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7을 참고하면, 이때의 상대편 단말(20)은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뿐 만 아니라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까지 사용자 단말(10)에 피드백함으로써(S21), 사용자 또한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0)은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를 피드백받으면,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와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확인한다(S22).
만약,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 보다 작으면,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가 사용자가 요청한 뷰 포인트에 근접했다고 판단하고, 상대편 단말(20)이 제공한 카메라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S23).
그러나,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사전에 설정된 표시 임계값 이상이면,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시각 정보와 상대편 단말(20)이 제공한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능동적으로 조정하도록 한다(S24).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르면, 상대편 통화자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상대편 단말(20)이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기 위해 추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방향 및 거리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과정에 따라 변화되는 제1 및 제2단말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때의 시각 정보는 붉은 사각형으로 구현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뷰 포인트 원격 제어 이벤트를 발생하고, 단말 모션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하여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 사용자 단말(10)은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대편 단말(20)에 통보함과 동시에,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의 화면에 표시해준다.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가변된 뷰 포인트를 통보받은 상대편 단말(20)도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자신의 화면에 표시하여, 상대편 통화자가 이를 참고하여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수동 조절하여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대편 단말(20)은 자신의 뷰 포인트를 실시간 센싱하여,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과 함께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은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를 기준으로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한 후, 이에 따라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와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실시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뷰 포인트를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상대편 단말(10)이 추가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거리 및 방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와 가변된 뷰 포인트가 유사해질 수록,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이 시각 정보에 점차 인접 표시되고 영상 크기가 점차 커지다가,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내가 되면,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만을 사용자 단말(10)의 화면 전체에 표시함으로써, 상대편 단말(20)의 현재 뷰 포인트가 가변된 뷰 포인트임을 사용자가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화면에 표시된 시각 정보와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통해, 상대편 통화자가 자신의 요청에 따라 상대편 단말(20)을 이동시키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 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 더하여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촬영 상태를 선택적으로 피드백받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2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단계들은 도7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하고,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9을 참고하면, 이때의 사용자 단말(10)은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피드백 임계값 보다 큰지를 확인한 후(S31),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피드백 임계값 이상이면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시각 정보(붉은 사각형)와 상대편 단말(20)의 카메라 영상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실시간 변경하는 피드백 동작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S32).
한편,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피드백 임계값 보다 작으면, 사용자 단말(10)은 별도의 피드백 동작없이 상대편 단말(20)가 제공하는 뷰 포인트 이동된 카메라 영상을 전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S25).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이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피드백 임계값 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만, 상대편 단말(20)의 상태 피드백 동작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뷰 포인트를 조금씩 이동시키고 상대편 통화자가 이에 응답하여 상대편 단말(20)을 꾸준히 이동시킨다면, 사용자는 자신이 직접 상대편 단말(20)을 원격 조정하는 듯한 느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상대편 통화자가 수동으로 상대편 단말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으나, 단말 구성 환경에 따라 단말 자체적으로 뷰 포인트 이동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대편 통화자의 단말 제어 동작뿐 만 아니라 단말 자체의 뷰 포인트 이동 동작도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때의 상대편 단말(20)은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PTZ(Pan/Tilt/Zoom)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 도11에서와 같이 카메라 영상의 일부만(획득 영상내에서 크롭될 영상의 위치와 형태를 결정하는 영상 제공 윈도우의 기본 위치 및 형태에 따라)을 사용자 단말(10)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되,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또는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영상 제공 윈도우의 위치 및 형태를 가변하는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상대편 통화자의 이동량을 감소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편 단말(20)은 상대편 통화자가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수동 제어하는 동안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실시간 추적한 후,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대편 단말(20)이 자체적으로 뷰 포인트를 조정할 수 있는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는 지 확인한다(S40).
만약,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카메라를 PTZ 제어하여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을 조정하거나, 도11에서와 같이 영상 제공 윈도우의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요청한 뷰 포인트와, 이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한다(S41).
그리고 단계 S41를 통해 조정 완료된 카메라 영상과 뷰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에 피드백함으로써(S42),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2~S23).
이와 같이 도12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에서는,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 소정 범위 이내에 들어가면, 상대편 통화자의 추가적인 액션 없이 상대편 단말(20)이 자체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상대편 통화자의 이동량을 감소시켜 준다. 그 결과, 상대편 통화자는 상대편 단말(20)을 상대적으로 조금씩 움직이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 및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는 상대편 통화자 대신에 상대편 단말(20)이 자체적으로 뷰 포인트 가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상대편 단말(20)은 사용자에 의해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는 지 확인한다(S50).
만약,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한 후(S51), 이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 단말(10)은 뷰 포인트 피드백 동작 없이, 상대편 단말(20)이 제공한 카메라 영상만을 자신의 화면에 표시한다(S53, S54).
반면,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대편 통화자에 의한 이동 동작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대편 단말(20)은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 후(S55),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56).
이에 상대편 통화자가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상대편 단말(20)의 위치를 수동 조정하면(S57), 상대편 단말(20)은 도7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카메라 영상과 조정 완료된 상대편 단말(20)의 뷰 포인트를 사용자 단말(10)에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21~S26).
이와 같이 도13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은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까지는 상대편 통화자의 액션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뷰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3차원 움직임 값,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하여 발생시키는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 포인트는
    상하좌우 이동, 상하좌우 회전, 줌인, 줌아웃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해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를 추적하고, 뷰 포인트 가변 전 영상과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을 오버레이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뷰 포인트 가변 정도를 시각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결과 예측 영상은
    상기 뷰 포인트 가변 전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가변되는 뷰 포인트에 따라 팬/틸트/줌시킨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제공하면, 상기 오버레이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상대편 단말이 제공하는 카메라 영상만을 화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로부터 상기 상대편 단말의 현재 뷰 포인트 및카메라 영상을 피드백받고, 상기 상대편 단말의 현재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 및 상기 피드백받은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뷰 포인트 가변량이 기 설정된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뷰 포인트 가변량이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뷰 포인트 가변 전 화면을 유지하다가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상응하는 카메라 영상을 전송할 때에 화면 전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한 후, 자신의 뷰 포인트 이동량을 센싱 및 분석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사용자 단말이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을 공유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뷰 포인트를 가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센싱하여 상기 상대편 단말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에 속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가지는 카메라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가 상기 상대편 단말의 뷰 포인트 자동 조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에 따라 카메라의 물리적 시점, 영상 제공 윈도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한 후,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편 단말이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시각화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시각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시각 정보를 생성하여 화면 표시하는 단계; 및
    상대편 통화자에 의해 이동된 뷰 포인트와 상기 가변된 뷰 포인트를 비교하여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을 파악하고, 상기 남은 뷰 포인트 이동량에 따라 상기 시각 정보와 상기 상대편 단말의 카메라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 위치 및 형태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18. 제1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33864A 2012-04-02 2012-04-02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KR101369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64A KR101369611B1 (ko) 2012-04-02 2012-04-02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PCT/KR2012/006054 WO2013151212A1 (ko) 2012-04-02 2012-07-30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864A KR101369611B1 (ko) 2012-04-02 2012-04-02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747A KR20130111747A (ko) 2013-10-11
KR101369611B1 true KR101369611B1 (ko) 2014-03-04

Family

ID=4930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864A KR101369611B1 (ko) 2012-04-02 2012-04-02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9611B1 (ko)
WO (1) WO2013151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9935A (zh) * 2020-09-11 2021-10-08 青岛海信电子产业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交互方法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4843A (ja) * 2005-11-09 2007-05-31 Yamaha Corp 通信端末、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KR20110071736A (ko) * 2009-12-21 2011-06-29 (주)디바이스링크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727B1 (ko) * 2003-03-07 2005-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자의 얼굴을 화면 가운데에 위치시킬 수 있는화상통신용 통신단말기 및 방법
KR20080050044A (ko) * 2006-12-01 2008-06-05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4843A (ja) * 2005-11-09 2007-05-31 Yamaha Corp 通信端末、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KR20110071736A (ko) * 2009-12-21 2011-06-29 (주)디바이스링크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747A (ko) 2013-10-11
WO2013151212A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564B1 (ko)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JP596651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10203837B2 (en) Multi-depth-interval re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6163899B2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88584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遠隔操作・監視装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069930B1 (ko) 이머전 통신 클라이언트, 서버 및 컨텐츠 뷰를 획득하는 방법
JP20122561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48066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KR102575196B1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JP2017022587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30130544A (ko) 감시 영상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30504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EP30766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framing information
JP2019062575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297294B1 (ko) 카메라 제어용 맵 인터페이스 시스템
KR101687309B1 (ko) Hmd가 구비된 단말의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69611B1 (ko)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TWI507029B (zh) 改良影像擷取裝置之控制
JPWO2019224866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情報記録媒体
JP73562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454917B1 (ko) 무인 비행체 제어 방법
KR20150010070A (ko) 휴대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4170367A (ja) 物体検出装置、物体検出方法、物体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20125037A (ko)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
JP688119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