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736A -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736A
KR20110071736A KR1020090128380A KR20090128380A KR20110071736A KR 20110071736 A KR20110071736 A KR 20110071736A KR 1020090128380 A KR1020090128380 A KR 1020090128380A KR 20090128380 A KR20090128380 A KR 20090128380A KR 20110071736 A KR20110071736 A KR 20110071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signal
format
video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수
장호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주)디바이스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바이스링크 filed Critical (주)디바이스링크
Priority to KR1020090128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71736A/ko
Publication of KR2011007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는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규격화된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부호화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90128380
단말기, 공유, 원격,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MOBILE DEVICE REMOTE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장치에서 원격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가입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기존의 음성 통화 서비스는 물론 게임, 방송, 인터넷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사용자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컨텐츠에 대한 선택폭이 넓어지고 있다.
이때 사용자가 단말기 및 무형의 제품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각 제품을 실제로 사용해보거나 체험해 본 후에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가 다른 다양한 단말기에 대해 적용 가능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장치에서 원격지 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즉 키 버튼/터치스크린 입력, 오디오 입력, 화면 영상 출력, 오디오 출력 및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네트워크로 연동된 컴퓨터 장치에서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래 신호 품질의 저하 없이 영상 신호를 연장하여 추출하도록 하고, 특히 화면 해상도가 큰 단말기의 경우 초당 화면 영상 데이터가 수십 메가바이트 이상으로 정보량이 많은 단말기 화면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네트워크로 연동된 컴퓨터 장치로 실시간 전달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은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규격화된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부호화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는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영상신호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한 후 생성한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영상처리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 복호화하는 과정; 상기 복호화된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부터 유효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유효 영상신호의 크기와 방향을 스케일링 및 회전하는 과정; 및 상기 스케일링 및 회전이 이루어진 유효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부터 유효 영상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유효 영상신호의 크기와 방향을 스케일링 및 회전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상기 스케일링 및 회전이 이루어진 유효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즉, 키버튼 입력, 터치스크린 입력, 오디오 입력과 화면 영상출력, 오디오 출력 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까지 포함하는 사용자 입출력 기능을 네트워크로 연동된 컴퓨터 장치에서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단말기 화면의 원격 재현 기술로서는 첫째로, 단말기에 원격 공유 서버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는 원격 공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장치에서 원격지의 단말기 사용자 기능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말기의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의 처리 성능이 일반적인 데스크톱 컴퓨터의 처리 성능 보다 떨어진다. 또한 단말기에는 데스크톱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 전용 보드와 같은 영상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화면 영상 데이터를 캡쳐(capture)하고 압축하여 외부 네트워크로 실시간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여도, 단말기에 외부 사용자 제작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고 다른 내부 실행프로그램과 동시에 멀티 실행이 가능한 스마트폰 같은 단말기에만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또한 운영체제가 다를 경우 단말기별로 별도의 원격 공유 서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로, 단말기 원격 테스트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 또는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술로서, 단말기의 화면 영상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지 컴퓨터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달하기 위해 단말기의 화면 위에 별도의 외부 카메라를 설치하고, 상기 외부 카메라가 촬영한 무선단말기의 화면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전달하면, 원격지의 컴퓨터 장치가 이 영상을 재생하는 기술 방식이 있다.
이러한 기술 방식은 외부 카메라가 촬영한 단말기의 화면 영상의 경우, 촬영 시 발생하는 빛의 반사 등으로 인해 깨끗한 영상을 출력하기 어려우며, 실제 단말기 화면 영상의 미세한 색감이나 정확한 화면 영상만을 출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단말기는 제조사 및 제품에 따라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다양하다. 특히,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큰 단말기의 경우, 초당 화면 영상 데이터가 수십 메가바이트(MB) 이상이 되기 때문에 정보량이 많은 단말기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단말기로부터 추출하여 저속도의 전송속도를 포함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컴퓨터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 방식 중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은 화면 영상의 변화에 따른 쌍방향성 입력방식이기 때문에, 컴퓨터장치에서 원격지 단말기와 연동되는 원격 터치 스크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영상 출력을 실시간 재생하여야 하며, 컴퓨터 장치와 단말기 간의 터치스크린 입력 좌표 값을 서로 매칭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은 단말기 제어 장치(100), 네트워크(200) 및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100)는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기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단말기(110)와, 상기 단말기(110)로부터 영상 신호를 추출하는 영상 신호 추출부(130), 및 사용자 제어 동작을 실행 준비시키고, 영상과 오디오 신호 및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신호 추출부(130)는 상기 단말기(110)의 단말기 영상 표시부(후술할 1101)와 단말기 제어부(후술할 1103) 간의 연결 부위에서 기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여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다양한 신호 포맷 및 다양한 컬러해상도를 갖는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가변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현재 입력되고 있는 영상 신 호의 종류, 초당 프레임 수 및 컬러해상도 정보를 설정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다양한 신호 포맷 및 다양한 컬러해상도를 갖는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규격화된 컬러 해상도를 갖는 YCbCr 포맷으로 변환한다. 일차 변환된 RGB 포맷의 입력 영상 신호를 YCbCr 포맷의 영상 신호 프레임에 대응시킨 후, 남는 영역을 NULL값으로 채운다. 이때 사용되는 규격화된 YCbCr 포맷 영상의 컬러해상도는 입력 가능한 모든 단말기의 RGB영상의 컬러해상도를 수용 가능하도록 설정하며, 필요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의 수평과 수직 신호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달된 비트스트림을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 디스플레이부(330), 마우스 또는 화면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정보가 입력되는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입력부(370),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380), 및 영상이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단말기(110)의 단말기 영상 표시부(후술할 1101)의 영상 및 키버튼 그리고 상기 단말기(110)의 외형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여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서 상기 단말기 영상 표시부(후술할 1101)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은 상기 단말기(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수평 크기와 수직 크기의 비율이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는 상기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달되는 동영상 비트스트림 신호 중 본래의 단말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유효영상 신호만을 추출한다. 또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는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로 입력되는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 좌표 값을 상기 단말기(110)의 화면 좌표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단말기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상기 영상 입력부(390)는 웹캠, 카메라 등과 같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200)는 IP(Internet Protocol)를 지원하며,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비트스트림이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제어 동작이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201 단계 내지 205단계에서 단말기(110),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 및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가 각각 초기화 과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초기화는 순서에 상관없이 각각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초기화를 수행한 후, 207단계에서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가 상 기 단말기(110)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고, 209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10)로부터 연결 설정 응답을 수신하여 연결을 설립한다. 또한 211단계에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가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로 연결 설정을 요청을 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로부터 연결설정 응답을 수신하여 연결을 설립한다. 상기 207-209 단계에 의한 연결 설립이 완료된 후에 211-213 단계에 의한 연결 설립이 완료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순서에는 상관이 없으며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207단계 내지 209단계 완료된 이후, 215단계 및 217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가 상기 단말기(110)로부터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상기 219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변환 및 부호화한다.
상기에서는 영상 신호가 수신된 이후,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순서는 무관하며,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거나 모두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211-213단계에 의한 연결 설립이 완료된 후, 215-219단계에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 및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순서에는 상관이 없으며 동일한 시간에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220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로부터 오디오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221단계에서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로 전송한다.
223단계에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가 상기 전송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고 재생하여, 225단계에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부(330)로 출력한다.
상기 215단계 내지 225단계는 시스템이 종료되지 않는 한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단말기(110)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는 디스플레이부(330)에 지속적이고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있는 단말기(110)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그리고 단말기의 키버튼을 바탕으로 하여 단말기 제어 동작을 입력 받는다. 이러한 제어 동작은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 상 특정 위치를 지정하는 동작(좌표 지정)과 지정하는 방법(이벤트 정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좌표 및 이벤트 정보는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이 되며, 이벤트 정보에는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과 같이 컴퓨터를 사용할 때 일반적인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227단계에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가 상기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로부터 좌표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면, 229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좌표 및 이벤트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좌표의 변환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는 231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좌표 및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233단계에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가 상기 수신된 좌표 및 이벤트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110)가 인지할 수 있도록 단말기 구동명령으로 변환하고, 23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구동명령을 상기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23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10)가 상기 수신된 단말기 구동명령을 수행하여 단말기(110)의 화면 상에 수행 결과가 표시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단말기의 영상 및 오디오 신호는 항상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기 때문에, 단말기 제어 동작이 수행된 후 즉시, 요청된 단말기 제어 동작의 결과를 디스플레이부(330)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는 각 장치들, 즉 단말 제어장치(100), 네트워크(200) 및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 수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영상/오디오 신호를 추출 및 표시하는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301단계에서 단말기 제어 장치(100)가 단말기로부터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 303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를 요구되는 포맷으로 변환한다. 305단계에서 단말기 제어 장치(100)가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고, 307단계에서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한다.
309단계에서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수신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고, 311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 중 유효영상을 추출한다. 313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영상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고, 315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영상 신호 및 복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동작 입력 또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01단계에서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제어동작 입력 또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을 감지한다. 제어동작 입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403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제어동작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 좌표계의 좌표값을 분석한다. 407단계에서 상기 분석 결과, 이벤트 정보와 좌표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409단계에서 단말기 제어 장치(100)가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단말기(110)가 인지할 수 있는 제어명령으로 변환한다. 411단계에서 상기 변환된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상기 단말기(100)가 수행한다.
한편, 상기 401단계에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413단계에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상기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한다. 415단계에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상기 부호화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417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제어 장치(100)가 상기 수신된 비트스트림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복호화하고, 419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영 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상기 단말기(110)가 재생한다.
상기 도 4에서는 제어동작 입력과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이 처리되는 과정을 각각 도시되어 있으나, 두 입력의 처리 과정이 개별적으로는 물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을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말기 제어 장치(100)와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기능을 구현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단말기 제어 장치(510a 내지 510n)를 한 개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530)에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단말기 제어 장치(510)를 여러 개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530a 내지 530n)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영상/오디오 신호를 추출 및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술한 도 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도 6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말기(110)는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와 단말기 제어부(1103)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는 LCD, AMOLED 등이 될 수 있다.
영상 신호 추출부(130)는 상기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와 단말기 제어 부(1103) 간의 연결부에서 영상 신호를 연장하여 추출하며, 본래 기능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하여 단말기의 영상 신호를 추출한다.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영상 신호 선택부(1601), RGB 변환부(1603), 컬러포맷 변환부(1605), 샘플러(1607), 프레임 생성부(1609), 영상 부호화부(1611), 비트스트림 생성부(1613) 및 오디오 부호화부(16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영상 신호 선택부(1601)는 일종의 스위치로서, 단말기 영상 신호가 RGB 포맷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를 RGB 변환부(1603)로 연결하여 상기 단말기 영상 신호를 RGB 포맷으로 변환시키고, 단말기 영상 신호가 RGB 포맷일 경우에는 RGB 변환부를 생략하도록 스위치를 연결한다.
상기 RGB 변환부(1603)는 단말기 영상 신호를 RGB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기 영상 신호의 포맷에 맞추어 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컬러포맷 변환부(1605)는 RGB 포맷의 영상 신호를 YCbCr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포맷의 RGB 영상 신호가 입력되기 때문에, 컬러포맷 변환부(1605)에 입력 신호의 정의를 프로그래밍하여 RGB 포맷의 영상 신호를 자동으로 YCbCr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의 정의에 필요한 인수는 다음과 같다.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RGB 포맷은 빨강, 초록, 파랑을 각 채널 별 비트수로 지정하도록 하고, RGB 포맷의 영상 크기를 수평 및 수직 화소수로 지정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동작 주파수, 유효 화면의 전방과 후방의 수평 블랭크 픽셀수 및 블랭크 라인수, 입력 영상 신호 동작 클럭의 반전 여부, 및 초당 프레임 수 등을 지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컬러포맷 변환부(1605)는 상기와 같이 지정된 입력 영상 신호의 포맷에 따라 자동으로 적응하여 동작한다. 출력 형태는 입력되는 RGB 영상의 크기를 유지하여 생성하고, 입력되는 RGB 컬러 포맷의 샘플링 패턴과 동일한 YCbCr 컬러 포맷의 샘플링 패턴으로 출력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포맷 변환부(1605)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RGB 영상의 크기가 480 x 800(수평 화소수 x 수직 화소수)이고, RGB 컬러 포맷의 샘플링 패턴이 4:4:4이면, 출력 영상의 크기도 480 x 800이고, YCbCr 컬러 포맷의 샘플링 패턴은 4:4:4의 패턴을 갖게 된다.
이때, 컬러포맷 변환부(1605) 는 경우에 따라 입력 영상 신호의 수평과 수직 신호 배열을 바꿀 수 있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크기를 각각 수평으로 h pixel, 수직으로 v pixel로 정의하고, 영상 부호화부(1611)에서 요구되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를 각각 수평으로 m pixel, 수직으로 n pixel이라고 정의한다. 이 때 h < v 이고 m > n 일 때, v > n 이고 v < m일 경우에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수평과 수직 신호 배열을 바꾼다. 단, max(h,v) > max(m,n)일 경우에는 변환 후 입력 영상의 손실을 피할 수 없다.
상기 컬러포맷 변환부(1605)의 출력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는 입력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와 동일하게 출력되며, 영상 부호화부(1611)에서 요구되는 입력 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와 상이할 경우를 대비하여 충분한 크기의 버퍼에 이를 저장한다.
상기 샘플러(1607)는 상기 컬러포맷 변환부(1605)의 출력 영상의 특성이 영 상 부호화부(1611) 에서 요구되는 입력 영상의 특성과 상이할 경우, 상기 컬러포맷 변환부(1605)에서 변환된 YCbCr 영상정보를 상기 영상 부호화부(1611) 에서 요구되는 입력 영상정보에 따라 샘플링한다. 이때, 샘플링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인자는 YCbCr 포맷의 샘플링 패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607)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샘플러(1607)의 입력 영상이 4:4:4의 샘플링 패턴을 갖고 출력 영상이 4:2:2의 샘플링 패턴을 갖는다면, 상기 샘플러(1607)는 4:4:4의 샘플링 패턴의 영상 신호를 4:2:2의 샘플링 패턴으로 다운 샘플링 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1609)는 상기 샘플러(1607)의 출력 영상을 입력으로 하여, 상기 영상 부호화부(1611) 에서 요구되는 입력 영상으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만약 상기 프레임 생성부(1609)의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특성이 상이할 경우 프레임을 재구성한다. 이때, 프레임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인자는 영상의 크기이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1607)는 입력 영상의 크기가 출력 영상의 크기보다 작을 경우, 입력 영상 정보를 출력을 위한 프레임 내에 포함시키고, 나머지 잔여 영역은 NULL 값으로 채워서 온전한 출력 영상 정보가 되도록 구성하여 출력한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생성부(1609)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720p 포맷의 프레임에 800 x 480 영상정보를 포함시켜 프레임을 구성할 경우, 상기 포함된 800 x 480 영상정보는 출력 프레임의 일 부분만 점유하고, 잔여 부분은 NULL 값으로 채워서 온전한 720p 프레임이 되도록 구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부호화부(1611)는 상기 프레임 생성부(1609)에서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부호화한다. 이때, H.264 또는 MPEG-4와 같은 규격화된 부호화 기능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부호화부(1615)는 상기 단말기 제어부(1103)에서 추출되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한다.
상기 비트스트림 생성부(1613)는 상기 영상 부호화부(1611)에서 부호화된 영상 신호와 상기 오디오 부호화부(1615)에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동기를 맞추어 비트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한다.
상기 비트스트림 생성부(1613)에서 생성된 비트스트림 데이터는 네트워크(200)을 통하여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전송된다.
한편,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는 비트스트림 수신부(3611), 영상 복호화부(3609), 유효영상 추출부(3607), 스케일러부(3605), 영상재생부(36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601), 오디오 복호화부(3613) 및 오디오 재생부(361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트스트림 수신부(3611)는 네트워크(200)을 통해 전송되는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영상 복호화부(3609)는 상기 분리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여 재생 가능한 포맷의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유효영상 추출부(3607)는 상기 복호화된 영상 신호 중 단말기의 영상 신호인 유효영상 신호만을 추출한다.
상기 스케일러부(3605)는 상기 추출된 유효영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3601)에서 요구하는 크기 및 방향(Portrait 또는 Landscape) 형태에 맞추어 스케일링 및 회전시킨다.
상기 영상 재생부(3603)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601)에서 요구하는 위치에 상기 단말기 영상표시부(1101)의 영상을 재생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3601)는 상기 단말기 영상표시부(1101)의 영상을 포함하여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영상을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30)는 LCD, PDP 등 대형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일반 개인용 컴퓨터를 위한 모니터 등을 의미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동작 및 오디오 입력부(370) 그리고 영상 입력부(390)로부터의 오디오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30), 화면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 오디오 입력부(370), 영상 입력부(390) 및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면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는 IR방식, 광학방식 또는 저항막방식 등의 터치스크린 센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일반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동작을 감지한다. 여기서 얻어지는 정보는 클릭, 더블 클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의 이벤트 정보와 이벤트가 일어난 디스플레이부(330)의 좌표계에서의 좌표값 등이다.
상기 오디오 입력부(370)는 마이크 등과 같이 오디오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영상 입력부(390)는 웹캠 등과 같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310)는 화면좌표 분석/변환부(3803), 제어명령 메시지 생성부(3805),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801), 오디오 부호화부(3807), 영상 부호화부(3809), 비트스트림 생성부(3811)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화면좌표 분석/변환부(3803)는 상기 화면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로부터 발생한 이벤트 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좌표계에서의 좌표값을 입력 받아 좌표값을 분석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좌표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화면의 유효영역(930) 내에 있으면서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의 유효영역(940)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입력된 좌표값을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좌표값으로 변환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좌표값이 단말기 키버튼 유효영역(920a 내지 920d) 내에 있으면 좌표값을 상기 단말기(110)의 해당 키버튼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화면좌표 분석/변환부(3803)는 입력된 제어동작이 키버튼과 관련된 것일 경우, 관련된 키버튼 및 이벤트 정보를 제어명령 메시지 생성부(3805)로 전송하 고, 그 외의 경우에는 변환한 좌표값과 이 좌표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화면의 유효영역(930) 내에서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의 유효영역(940) 내의 값인지를 구분하는 정보와 이벤트 정보의 종류를 제어명령 메시지 생성부(3605)로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30)의 좌표계와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좌표계 사이의 좌표 변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좌표계를 X-Y 좌표계(910)라 하고, 단말기 영상표시부(1101)의 좌표계를 X'-Y' 좌표계(950)라 가정한다. 이때, X-Y 좌표계(910) 내에 나타나는 단말기 영상표시부(1101)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940)의 크기가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화면(960)의 크기와 가로와 세로 비율은 유지한 채 크기만 달라진다고 가정한 경우이다. 실제 단말기 화면(960)의 크기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말기 화면(940)의 크기의 비율은 SR(Scaling Ratio)로 표시한다. 이 예시에서는 단말기 영상표시부(1101)에 표시되는 화면(960)의 크기를 가로로 h'pixel, 세로로 v'pixel이라 가정하고, 디스플레이부(330)에 표시되는 단말기 화면(940)의 크기가 h x v pixel의 크기라고 가정하면, SR = h'/h 또는 v'/v으로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가 X-Y 좌표계(910)에서 (Xd,Yd)를 입력하였다면, 아래와 같은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X'-Y' 좌표계(950)의 값 (x', y')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x' = 정수화[ (xd -k) * SR ]
y' = 정수화[ (yd -l) * SR ]
상기 제어명령 메시지 생성부(3805)는 상기 화면좌표 분석/변환부 (380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사용하여 제어명령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명령 메시지 내의 좌표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 화면의 유효영역(930) 내에서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의 유효영역(940) 내의 좌표값을 갖거나 키버튼 영역일 경우,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단말기 제어 장치(100)로 전달한다. 반면에,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801)로 전송하여 사용자 제어명령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오디오 부호화부(3807)와 영상 부호화부(3809)는 각각 오디오 입력부(370)와 영상 입력부(39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를 부호화 한다.
상기 비트스트림 생성부(3811)는 상기 오디오 부호화부(3807)와 영상 부호화부(3809)에서 부호화한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를 비트스트림 데이터로 생성하여 네트워크(200)을 통하여 단말기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단말기 제어 장치(100)는 단말기(110)와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150)는 제어명령 메시지 수신부(1801), 제어명령 메시지 변환부(1805), 비트스트림 수신부(1803), 오디오 복호화부(1807) 및 영상 복호화부(18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 메시지 수신부(1801)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달되는 단말 기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상기 제어명령 메시지 변환부(1805)는 상기 수신된 제어명령을 단말기(110)의 단말기 제어 명령 처리부(1811)가 인지할 수 있는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비트스트림 수신부(1803)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의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분리하여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오디오 복호화부(1807)와 상기 영상 복호화부(1809)는 각각 오디오 신호와 영상 신호의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복호화 하여 재생 가능한 신호 형태로 변환하고, 각각 단말기(110) 내의 오디오 재생부(1813)와 영상 재생부(1815)에 전송하여 재생한다.
상기 단말기 제어 명령 처리부(1811)는 수신된 단말기 제어 명령을 단말기(110)에서 사용자가 직접 제어명령 동작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도록 단말기 제어부(1103)에 전달함으로써 단말기 제어 명령을 실행시킨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펌웨어로 탑재된 사용자 인터페이스(MMI: Man Machine Interface)가 단말기 제어 명령 처리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영상/오디오 신호를 추출 및 표시하는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동작 입력 또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 원격 공유 시스템을 구현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 영상/오디오 신호를 추출 및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포맷 변환부(1605)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러(1607)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생성부(1609)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35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동작 및 오디오 입력부(370) 그리고 영상 입력부(390)로부터의 오디오 및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 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30)의 좌표계와 단말기 영상 표시부(1101)의 좌표계 사이의 좌표 변환을 나타낸 도면.

Claims (28)

  1.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규격화된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과정; 및
    상기 부호화된 영상신호 및 오디오 신호로부터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단말기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대응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설정 응답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연결 설정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의 포맷이 RGB(Red, Green, Blue) 포맷이 아닌 경우,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RGB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샘플링 패턴이 상기 부호화를 위해 요구되는 샘플링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샘플링 패턴을 상기 부호화를 위해 요구되는 샘플링 패턴으로 다운 샘플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다운 샘플링이 이루어진 영상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크기가 상기 부호화를 위해 요구되는 영상 크기를 만족하지 않을 시에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다운 샘플링이 이루어진 영상신호에 의한 프레임을 재 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7. 단말기와 결합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포맷을 가지는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영상신호 추출부; 및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한 후 생성한 비트스트림을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영상처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는 컬러 포맷 변환부;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를 부호화하는 영상 부호화부; 및
    상기 부호화된 영상신호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비트스트림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 및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단말기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연결 설정 요청에 대응한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연결 설정 응답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의 연결을 설정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의 연결 설정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의 포맷이 RGB(Red, Green, Blue) 포맷이 아닌 경우, 상기 추출한 영상신호의 포맷을 RGB 포맷으로 변환하는 RGB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샘플링 패턴이 상기 영상 부호 화부에서 요구하는 샘플링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의 샘플링 패턴을 상기 영상 부호화부에서 요구하는 샘플링 패턴으로 다운 샘플링하는 샘플러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다운 샘플링이 이루어진 영상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크기가 상기 영상 부호화부에서 요구하는 영상 크기를 만족하지 않을 시에 상기 표준 영상 포맷으로 변환된 영상신호 또는 상기 다운 샘플링이 이루어진 영상신호에 의한 프레임을 재 구성하는 프레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달하는 수신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14.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 복호화하는 과정;
    상기 복호화된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부터 유효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과정;
    상기 추출된 유효 영상신호의 크기와 방향을 스케일링 및 회전하는 과정; 및
    상기 스케일링 및 회전이 이루어진 유효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연결 설정을 요청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의 연결 설정 응답에 의해 상기 연결 설정을 요청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유효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하 는 이벤트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 값을 입력 받는 과정;
    상기 입력 받은 이벤트와 좌표 값에 의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생성된 제어 명령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은,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유효영역 내에서 단말기의 영상을 재생하는 화면의 유효영역 내의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한 좌표 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의 좌표 값인지를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입력 받은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고 상 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과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서 특정 키버튼에 대응한다면,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을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특정 키버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상기 특정 키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입력 받은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원격 공유 방법.
  20.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부터 유효 영상신호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유효 영상신호의 크기와 방향을 스케일링 및 회전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상기 스케일링 및 회전이 이루어진 유효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 레이부를 포함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는 비트스트림 수신부;
    상기 분리된 영상신호를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 복호화하는 영상 복호화부;
    상기 복호화된 표준 영상 포맷의 영상신호로부터 유효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유효 영상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유효 영상신호의 크기와 방향을 스케일링 및 회전하는 스케일러부를 포함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 연결 설정을 요청하고, 상기 연결 설정을 요청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부터의 연결 설정 응답에 의해 상기 연결 설정을 요청한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와의 연결을 설정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유효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 값을 입력하는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
    상기 화면 좌표 및 이벤트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이벤트와 좌표 값을 분석 및 변환하는 화면 좌표 분석/변환부; 및
    상기 화면 좌표 분석/변환부에 의해 제공되는 이벤트 및 좌표 정보에 의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제어 명령 메시지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좌표 분석/변환부는,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면,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을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한 좌표 값으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의 좌표 값인지를 식별하는 정보 및 상기 입력 받은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의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고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되는 유효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과 이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명령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실행하도록 명령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좌표 분석/변환부는,
    상기 입력되는 좌표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유효 영역 내에서 특정 키에 대응한다면, 상기 입력 받은 좌표 값을 상기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에 연결된 단말기의 특정 키버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 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디스플 레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특정 키버튼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상기 입력 받은 이벤트의 종류에 관한 정보에 의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0128380A 2009-12-21 2009-12-21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10071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80A KR20110071736A (ko) 2009-12-21 2009-12-21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380A KR20110071736A (ko) 2009-12-21 2009-12-21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736A true KR20110071736A (ko) 2011-06-29

Family

ID=4440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380A KR20110071736A (ko) 2009-12-21 2009-12-21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71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212A1 (ko) * 2012-04-02 2013-10-10 Jo Hyun-Geun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KR20150098960A (ko)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1212A1 (ko) * 2012-04-02 2013-10-10 Jo Hyun-Geun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KR101369611B1 (ko) * 2012-04-02 2014-03-04 조현근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KR20150098960A (ko) * 2014-02-21 2015-08-3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48695B (zh) 针对图形的低延时无线显示器
CN102158553B (zh) 用于远程桌面的播放多媒体文件的方法和装置
US91978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int to point integration of personal computers with videoconferencing systems
CN105892976B (zh) 实现多屏互动的方法及装置
US200500341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media and general internet data via a home media gateway and a thin client server
WO2012087022A2 (ko) 슬레이브 디스플레이 장치, 셋톱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제어 시스템
US10631048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mote rendering of web content on a television device
JP2014238507A (ja) 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画面転送装置および画面転送方法
JP2016508679A (ja) 複数の視覚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画面を共有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CN106303634A (zh) 一种tv设备弹幕发送系统及方法
US922600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signals from an application on a server over an IP network to a client device
CN114374853A (zh) 内容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727485A (zh) 一种屏幕界面可选择性共享方法及系统
US20080303940A1 (en) Process for digitizing video over analog component video cables
CN111866058B (zh) 数据处理方法及系统
KR20110071736A (ko) 단말기 원격 공유 장치 및 방법
CN111356009B (zh) 音频数据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终端
KR20160011158A (ko) 화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N103581733A (zh) 远程显示装置
CN113965711A (zh) 一种基于国产化海思平台的4k视频显示控制装置及方法
CN114286166A (zh) 显示设备、信号接收装置及媒资播放方法
KR20090001627A (ko) 대화형 콘텐츠 공유 시스템
US200501283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rtifact-free rapid image format changes
CN220629392U (zh) 影音传输延伸系统
CN202841405U (zh) 一种电视上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