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044A -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044A
KR20080050044A KR1020060120795A KR20060120795A KR20080050044A KR 20080050044 A KR20080050044 A KR 20080050044A KR 1020060120795 A KR1020060120795 A KR 1020060120795A KR 20060120795 A KR20060120795 A KR 20060120795A KR 20080050044 A KR20080050044 A KR 20080050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session
cal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욱
최원석
강현정
손진수
윤혜정
배한수
이은동
진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6012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044A/ko
Publication of KR2008005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81Network 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BcN 망과 같은 유무선 IP통합망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면서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음성 세션 또는 화상 세션을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통화 욕구에 맞은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영상 세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화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 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세션 전환 등에 이용됨.
BcN 망, 세션 전환, 비디오정보, 오디오정보, 통화 단말, 음성 단말, 영상 단말

Description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Session Transfer Method for Mobile Multimedia Communications}
도 1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P 통합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대 단말 12 : 음성 단말
13 : 영상 단말 14 : 호처리 장치
15 : 통화 단말
본 발명은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cN 망과 같은 유무선 IP통합망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면서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음성 세션 또는 화상 세션을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환하기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망의 발전으로 음성, 영상, 데이터 등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통화 단말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영상전화기는 이미 국내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서비스 단말로 상용화되었다. 그러나, 아직은 기능들이 단순하고 이동성을 지원하지 않아 단순 영상통화서비스만 제공하고 있다.
현재 BcN 망에서 이동성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대두되고 있는데, 이동성은 단말이동성(Terminal Mobility), 개인이동성(Personal Mobility), 세션이동성(Session Mobility)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단말이동성은 단말이 이동하여 네트워크 접속점이 변경되는 이동성을 말하며, 개인이동성는 사업자로부터 주어진 개인 ID를 사용하여 임의의 인증된 단말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성을 의미한다. 또한, 세션이동성은 사용자가 단말을 변경하더라도 진행중인 세션이 유지되는 이동성을 의미한다.
세션이동성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기반 호/세션 전환 방법(한국공개특허 10-2005-8033, 공개)은, SIP를 기초로 하여 호 셋업 과정에서 수신 측이 통화중인 경우, 호 또는 세션을 다른 주소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요청된 호 또는 세션의 수신 측이 통화중인 경우, 상기 수신 측이 통화중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 측이 통화중 호 전환 서비스 가입자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신 측의 통화중 호 전환 서비스 정보를 기초로 호 전환을 이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세션 전환 방법은, 멀티미디어(음성, 영상) 호를 대상으로 호 전체를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환하기 때문에, 갈수록 다양해 지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BcN 망에서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 전체 멀티미디어 세션을 일괄적으로 타 단말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음성, 데이터 세션을 각각 분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BcN 망과 같은 유무선 IP통합망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면서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음성 세션 또는 화상 세션을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통화 욕구에 맞은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 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영상 세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화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통화 단말과의 음성/영상 세션을 종료한 후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와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과 음성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상대 단말과 음성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영상 세션 추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추가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추가를 수락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영상 제공 단말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제공 단말 사이에 영상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 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화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통화 단말과의 음성/영상 세션을 종료한 후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와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과 음성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추가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추가를 수락하는 기능; 기 설정된 영상 제공 단말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전송받은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제공 단말 사이에 영상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에 영상 세션 또는 음성 세션을 다른 단말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어, 영상휴대폰으로 영상전화통화를 하다가 집이나 사무실에 들어갔을 때, IPTV 또는 PC에 영상 세션만을 이동시켜 화면은 TV나 PC에서 보고 음성은 휴대폰으로 통화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P 통합망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상대 단말(11)과 통화 단말(15) 사이에 음성 및 영상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화 단말(15)의 요청에 따라 상대 단말(11)과 음성 단말(12) 사이에는 음성 세션이, 상대 단말(11)과 영상 단말(13) 사이에는 영상 세션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P 통합망은, IP 기반의 영상, 음성 및 데이터 통 신이 가능한 단말로서 상대 단말(11)과 현재 음성 및 영상 세션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호처리 장치(14)로 세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통화 단말(15), 무선기지국을 통해 무선으로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로서 상기 통화 단말(15)의 음성 세션을 제공받기 위한 음성 단말(12), IP기반의 TV 단말로 방송프로그램은 물론 실시간 음성 및 영상 통화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통화 단말(15)의 영상 세션을 제공받기 위한 영상 단말(13), 다양한 멀티미디어 단말들에게 호 연결, 해제, 및 각종 호처리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상기 통화 단말(15)로부터의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음성 세션을 음성 단말(12)과 연결하고, 영상 세션을 영상 단말(13)과 연결하기 위한 호처리 장치(Proxy)(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처리 장치(14)는 통화중인 세션을 관리하고 이동성을 제어하기 위한 세션이동성 관리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대 단말(11), 음성 단말(12), 영상 단말(13), 및 통화 단말(15)은 영상전화기, 영상휴대폰, 및 IPTV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화 단말(15)의 사용자는 통화 중에 하나의 세션을 전환하고자 할 때 일예로 "Hook Flush" 버튼을 눌러 세션 이동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세션 전환을 위해 할당된 서비스 번호를 누르고 세션을 이동시킬 대상 단말의 전화번호와 세션 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세션 번호는 미리 정의된 값으로 일예로 하기의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89512410-PAT00001
일예로, 영상전화기의 경우 "Hook Flush ▶ 77 ▶ 07077168008 ▶ 02"를 입력하여 세션 전환을 요청한다.
이후, 사용자가 완료버튼을 입력하면 세션전환요청 메시지가 호처리장치로 전송된다. 이때, 전송된 메시지는 가입자 및 가입자가 요청한 서비스 정보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상대 단말(11)과 멀티미디어(음성, 영상) 통화중인 통화 단말(15)의 영상 세션을 영상 단말(13)과 연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과 통화중인 통화 단말(15)로부터 가입자 및 가입자가 요청한 서비스 정보와 함께 영상 세션 전환 요청(INVITE)을 받는다(201).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가입자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수락메시지(200 OK)를 통화 단말(15)로 전송한다(202). 이때, 정당한 가입자가 아니거나 서비스가 허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보낸다.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와 함께 영상 단말(13)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203). 여기서, 영상 단말(13)은 서비스 요청자가 기 설정한 단말로서, 등록시 호처리 장치(14)로 IP주소를 제공한다.
그러면, 영상 단말(13)이 자신의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호처리 장치(14)로 전송한다(204).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통화 단말(15)로 전송하고, 통화 단말(15)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응답메시지(200 OK)를 수신한다(205, 206).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로 영상 단말(13)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전송하고, 상대 단말(11)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응답메시지(200 OK)를 수신한다(207, 208).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과 통화 단말(15) 그리고 영상 단말(13)로 확인 메시지(ACK)를 전송하여, 상대 단말(11)과 통화 단말(15)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대 단말(11)과 영상 단말(13)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한다(209 내지 211).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상대 단말(11)과 멀티미디어(음성, 영상) 통화중인 통화 단말(15)의 음성 세션은 음성 단말(12)과 연결하고, 영상 세션은 영상 단말(13)과 연결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과 통화중인 통화 단말(15)로부터 가입자 및 가입자가 요청한 서비스 정보와 함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INVITE)을 받는다(301).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가입자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수락메시지(200 OK)를 통화 단말(15)로 전송한다(302). 이때, 정당한 가입자가 아니거나 서비스가 허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보낸다.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음성 단말(12)로 상대 단말(11)의 오디오정보와 함께 음성세션 연결을 요청하고, 음성 단말(12)로부터 자신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응답메시지(200 OK)를 수신한다(303, 304). 여기서, 상기 음성 단말(12)은 서비스 요청자가 기 설정한 단말이다.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영상 단말(13)로 상대 단말(11)의 비디오정보와 함께 영상세션 연결을 요청하고, 영상 단말(13)로부터 자신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응답메시지(200 OK)를 수신한다(305, 306). 여기서, 상기 영상 단말(13)은 서비스 사용자가 기 설정한 단말이다.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통화 단말(15)로 종료메시지(BYE)를 전송하고, 통화 단말(15)로부터 종료확인 메시지(200 OK)를 수신하여 통화 단말(15)의 음성/영상 세션을 종료시킨다(307, 308).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음성 단말(12)의 오디오정보와 영상 단말(13)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11)로 전송하고, 상대 단말(11)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응답메시지를 수신한다(309, 310).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과 음성 단말(12) 그리고 영상 단말(13)로 응답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대 단말(11)과 음성 단말(12)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대 단말(11)과 영상 단말(13)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한다(311 내지 313).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상대 단말(11)과 음성 통화중인 통화 단말(15)이 영상 세션을 추가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과 통화중인 통화 단말(15)로부터 가입자 및 가입자가 요청한 서비스 정보와 함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INVITE)을 받는다(401).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가입자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수락메시지(200 OK)를 통화 단말(15)로 전송한다(402). 이때, 정당한 가입자가 아니거나 서비스가 허가되지 않을 경우에는 실패 메시지를 보낸다.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영상 제공 단말(41)로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403). 이때, 음성통화중이므로 호처리 장치(14)는 상대 단말(11)의 비디오정보를 모르기 때문에 세션 연결 요청메시지에는 상대 단말(11)의 비디오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영상 제공 단말(41)은 서비스 요청자가 기 설정한 단말이다.
이후, 영상 제공 단말(41)은 자신의 비디오 정보가 삽입된 응답메시지를 호처리 장치(14)로 전송한다(404).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영상 제공 단말(41)의 비디오정보와 함께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11)로 전송하고, 상대 단말(11)로부터 상대 단말(11)의 비디오정보를 수신한다(405, 406).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확인 메시지를 영상 제공 단말(41)로 전송한다(407).
이후, 호처리 장치(14)가 상대 단말(11)로 응답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408).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대 단말(11)은 통화 단말(15)과 음성통화를 하면서 영상 제공 단말(41)로부터 영상/파일을 제공받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BcN 망과 같은 유무선 IP통합망에서 멀티미디어 통화를 하면서 이동하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음성 세션 또는 화상 세션을 기 설정된 다른 단말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유로운 이동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다양한 통화 욕구에 맞은 통화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영상 세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 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화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2.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통화 단말과의 음성/영상 세션을 종료한 후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와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과 음성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3. 상대 단말과 음성 통화중인 통화 단말의 영상 세션 추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추가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추가를 수락하는 단계;
    기 설정된 영상 제공 단말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제공 단말 사이에 영상 세션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세션 이동모드로 진입한 후 세션 전환을 위해 할당된 서비스 번호, 세션을 이동시킬 대상 단말의 전화번호 및 세션 번호를 입력받아 세션 전환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5.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 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통화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과 통화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음성/영상 세션 전환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전환을 수락하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음성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기 설정된 영상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통화 단말과의 음성/영상 세션을 종료한 후 상기 음성 단말의 오디오정보와 상기 영상 단말의 비디오정보가 삽입된 세션 변경 요청메시지를 상대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과 음성 단말 사이에는 음성통화가,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단말 사이에는 영상통화가 이루어지도록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프로세서를 구비한 세션 전환 시스템에,
    상기 통화 단말로부터의 영상 세션 추가 요청에 따라 전송받은 가입자 및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영상 세션 추가를 수락하는 기능;
    기 설정된 영상 제공 단말로 세션 연결을 요청하여 상기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전송받는 기능;
    상기 전송받은 영상 제공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상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및
    상기 상대 단말의 비디오정보를 상기 영상 제공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상대 단말과 영상 제공 단말 사이에 영상 세션을 설정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120795A 2006-12-01 2006-12-01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KR20080050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95A KR20080050044A (ko) 2006-12-01 2006-12-01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95A KR20080050044A (ko) 2006-12-01 2006-12-01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44A true KR20080050044A (ko) 2008-06-05

Family

ID=3980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795A KR20080050044A (ko) 2006-12-01 2006-12-01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04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575B1 (ko) * 2008-01-07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분 세션 이전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128529B1 (ko) * 2008-11-13 2012-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세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WO2013151212A1 (ko) * 2012-04-02 2013-10-10 Jo Hyun-Geun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KR101465349B1 (ko) * 2012-08-27 2014-12-10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 및 장치
US9491567B2 (en) 2013-03-05 2016-11-08 Kt Corporation Providing M2M data to unregistered terminal
US9801049B2 (en) 2012-08-14 2017-10-24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forwarding monitored information of machine-to-machine devices by a subscriber's registered terminals to a designated user terminal
US10291712B2 (en) 2013-02-26 2019-05-14 Kt Corporation Sharing control right of M2M devic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575B1 (ko) * 2008-01-07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분 세션 이전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US9113377B2 (en) 2008-01-07 2015-08-18 Lg Electronics Inc. Partial session transfer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US9369928B2 (en) 2008-01-07 2016-06-14 Lg Electronics Inc. Partial session transfer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KR101128529B1 (ko) * 2008-11-13 2012-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세션 이동성 제어 방법 및 장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WO2013151212A1 (ko) * 2012-04-02 2013-10-10 Jo Hyun-Geun 영상 통화 시스템에서의 뷰 포인트 원격 제어 방법
US9801049B2 (en) 2012-08-14 2017-10-24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ly forwarding monitored information of machine-to-machine devices by a subscriber's registered terminals to a designated user terminal
KR101465349B1 (ko) * 2012-08-27 2014-12-10 아바야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디바이스 페어링 방법 및 장치
US9271104B2 (en) 2012-08-27 2016-02-23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evice pairing
US9591036B2 (en) 2012-08-27 2017-03-07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evice pairing
US10291712B2 (en) 2013-02-26 2019-05-14 Kt Corporation Sharing control right of M2M device
US9491567B2 (en) 2013-03-05 2016-11-08 Kt Corporation Providing M2M data to unregistered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568B1 (ko)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얼리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8523662A (ja) 画像ベースのプッシュ・ツー・トーク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向き画像交換方法
KR101316020B1 (ko) 통신 네트워크의 원격 사용자와의 멀티미디어 세션의 수립방법
JP4653173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220010B2 (ja) 移動端末からのマルチメディアセッションの切り換え
WO2008119272A1 (fr) Procédé, terminal et système de mise en oeuvre d'une liaison vidéo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vocale
US88674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switching a half-duplex session to a full-duplex session
US7496089B2 (en) Network, private branch exchange, and PBX additional service starting method
WO2010075696A1 (zh) 一种支持手机电视节目共享的系统和方法
KR20080050044A (ko) 이동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세션 전환 방법
KR20060028130A (ko) 푸쉬 투 토크 오버 셀룰러 시스템 사용자의 응답 모드에따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5062454A1 (zh) 音视频通话方法、设备和系统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WO2011050744A1 (zh) 在通话期间播放多媒体铃音的方法、服务器及终端设备
WO2007126009A1 (ja) グループ通話通知方法及び移動局
US20080111880A1 (en) Method of providing video-call service using general voice-call terminal and private branch exchang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20130142085A1 (en) Call transfer processing in sip mode
KR20070041262A (ko)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N115361362A (zh) 基于ims的煤矿通话系统和方法
JP2007251612A (ja) Ip電話交換機およびip電話交換機間ローミング方法
WO2009036589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KR20090072761A (ko) 영상 통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009953B1 (ko) 데이터 통신망과 전화망 간의 즉시 그룹통신을 위한 즉시 그룹통신 시스템 및 그 장치
US97879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parallel call session based on 3-Box architecture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