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262A -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262A
KR20070041262A KR1020050097202A KR20050097202A KR20070041262A KR 20070041262 A KR20070041262 A KR 20070041262A KR 1020050097202 A KR1020050097202 A KR 1020050097202A KR 20050097202 A KR20050097202 A KR 20050097202A KR 20070041262 A KR20070041262 A KR 20070041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ll
server
web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근
우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5009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1262A/ko
Publication of KR20070041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등에서 영상 단말기(멀티미디어 단말기) 간의 통화 중에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 간의 통화 중에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 등과 같은 웹 접근 방식으로 자신의 컨텐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미리 확보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중에도 특정 번호를 눌러 자신의 영상의 송출을 중지시키거나 RTP 세션 상에서 자신의 컨텐츠 웹에 접속하여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스위칭 수단으 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미디어 서버의 호 연결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전달받은 각종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서버; 발/착신 단말기와 RTP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상기 응용 서버와 연동 처리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컨텐츠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미디어 서버; 사용자별 컨텐츠 및 각종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하고,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웹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고, 호 처리 중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응용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환경 하에서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통화 서비스 등에 이용됨.
컨텐츠 통화 서비스, 통화 중, 컨텐츠 전환,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 SIP, 웹 이미지 오버레이

Description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Contents call services apparatus convertible contents in busy and its metho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 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 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중, 호 연결 과정에서 단말기 및 서버 간에 이루어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전달 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중, 통화 중 이용자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미디어의 스위칭이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11 : 광대역 통합망
12, 13 : SIP 영상 단말기 101 : 응용 서버
102 : 미디어 서버 103 : 컨텐츠 웹 서버
104 : 컨텐츠 제공 서버 105 : 발신 소프트 스위치
106 : 착신 소프트 스위치
본 발명은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등에서 영상 단말기(멀티미디어 단말기) 간의 통화 중에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화 중 상태에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로의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통화란 통화 중에 서버 기반의 영상 또는 음성 스위칭 기술을 통해 상대편 단말기에 자신의 영상 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를 말한다.
그리고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전송이란 일반 전화기에서 숫자(0~9) 및 문자(*, #) 등의 키를 눌렀을 경우, 특정 주파수가 발생되어 해당 주파수의 정보를 전송함을 뜻하고,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에서도 RTP(Real Time Protocol) 세션 내에 정보를 실어 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대역 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차세대 네트워크라고도 불리며, 품질 보장형의 데이터, 음성, 방송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 통합의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기반의 광대역 통합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대역 통합망 상에서 영상 단말기는 지금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의 음성전화를 대체하면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음성과 영상 통화가 가능한 기본 통화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광대역 통합망에서 영상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호 통화 시 컨텐츠 통화 서비스의 필요성은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통화하는 것을 원치 않을 경우
둘째, 장시간 통화에서 통화 화상이 잘 변하지 않는다는 특징 때문에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이에 이용자가 동적인 영상 송출을 원하는 경우
셋째, 이용자에 따라 상대방에게 통화 중 다양한 뮤직비디오나 기타 동영상들의 컨텐츠를 능동적으로 제공하고 싶어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영상 단말기가 가진 특성 중 하나인 영상 표현 능력과 광대역 통합망이 가지는 다양한 서버들을 사용하여 통화 중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조 및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종래 기술로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무선망)에서의 대체 영상 서비스가 있다. 이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WCDMA 단말기에 미리 받아두고, WCDMA 단말기의 단말기 내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자기 화면 또는 아바타를 키 조작을 사용해 송출하는 방법으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단말기 기반의 방식은 이용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받아야 하는 단점뿐만 아니라 자신의 단말기가 아니면 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단말기 기반의 방식은 단말기 메모리의 한계로 인한 컨텐츠 수 및 용량의 제한이 있고, 다이나믹한 컨텐츠 제공이 어려우며, 실시간 영상 제공(실시간 방송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화 중 상태에서 서비스 가입자로부터 선택받은 컨텐츠로의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 간의 통화 중에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 등과 같은 웹 접근 방식으로 자신의 컨텐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미리 확보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중에도 특정 번호를 눌러 자신의 영상의 송출을 중지시키거나 RTP 세션 상에서 자신의 컨텐츠 웹에 접속하여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한,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스위칭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미디어 서버의 호 연결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전달받은 각종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서버; 발/착신 단말기와 RTP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상기 응용 서버와 연동 처리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컨텐츠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 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미디어 서버; 사용자별 컨텐츠 및 각종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하고,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웹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고, 호 처리 중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응용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를 확인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와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할당할 미디어 채널을 확보하는 미디어 채널 확보 단계; 호가 착신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미디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컨텐츠 스위칭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컨텐츠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번호(예 : 1588-XXXX)를 통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미디어 채널 확보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를 확인하는 기능; 미디어 서버와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할당할 미디어 채널을 확보하는 기능; 호가 착신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미디어 채널을 형성하는 기능;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및 상기 획득한 컨텐츠 스위칭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으로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가입형 또는 비가입형 컨텐츠 통화 서비스 모두 제공 가능하고, 이용자가 네트워크상에서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컨텐츠 서버상에 또는 지정된 영역에 자신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의 특성상 실시간 컨텐츠 제공도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 예 구성도로서, 광대역 통합망 환경 하에서 서버 기반의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은, 패킷망인 광대역 통합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11)과, 상기 광대역 통합망(11)에 연결가능하고 IP 기반으로 음성, 문자,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송출하고 수신하여 재생 가능한 SIP 영상 단말기(12, 13)와, 상기 광대역 통합망(11)에서 SIP 영상 단말기(12, 13)를 사용해서 일반 통화뿐만 아니라 컨텐츠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응용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사용되는 응용 서버(101), 미디어 서버(102), 컨텐츠 웹 서버(103), 컨텐츠 제공 서버(104), 및 호 제어를 위한 소프트 스위치(105,106) 간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지며, 각 서버들간의 연동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호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프트 스위치(105, 106)는 컨텐츠 통화 서비스임이 확인되면 그 정보를 응용 서버(101)로 전달하고, 상기 응용 서버(101)는 호 셋업에 필요한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응용 서버(101)는 미디어 서버(10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들을 해석하여 해당 컨텐츠가 어떤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다시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미디어 서버(102)는 해당 정보에 따라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해당하는 컨텐츠를 가지고 와서 각 단말기로 RTP 전송을 하거나 컨텐츠 웹 서버(103)에 웹상으로 접근하여 해당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에 따른 웹 이미지를 가지고 와서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 기술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각 단말기로 RTP 전송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자가 이용하기 쉽게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웹 서버(103)는 상기 미디어 서버(102)에서 실시간 웹 오버레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받은 웹 화면을 보내준다. 각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선택할 때는 단말기의 DTMF 전송 기능을 사용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10)은,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소프트 스위치(105, 106)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미디어 서버(102)의 호 연결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102)를 통하여 전달받은 각종 정보(예 : DTMF 신호 등)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102)의 컨텐츠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서버(101), 발신자 및 수신자 단말기와 RTP 연결을 설정하고, 각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상기 응용 서버(101)와 연동 처리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104)를 이용하여 상기 각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컨텐츠 웹 서버(103)로부터 전달받은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102), 사용자별 컨텐츠 및 각종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미디어 서버(102)의 요청 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서버(104),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하는 관리 권한을 가지면서,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한, 즉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형태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단말기용 사용자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컨텐츠 웹 서버(103), 및 광대역 통합망 환경에서 SIP 영상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고, 호 처리 중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 여부 등을 판단하여 해당하는 응용 서버(101)로 전달하기 위한 소프트 스위치(105, 106)를 포함한다.
상기 각 서버의 상세 구성 요소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 예 상세 구성도로서, 광대역 통합망 환경 하에서 서버 기반의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각 서버 내의 상세 구성 요소들 간의 연동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용 서버(101)는, 발신 또는 착신 시에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임을 구분하여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비가입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관리 등을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 서비스 로직부(1011), 각종 SIP 신호를 처리하고 생성하되, 상기 미디어 서버(102)를 통하여 전달받은 SIP 신호(예 : DTMF 신호 등)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102)로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SIP 호 처리부(1013),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및 컨텐츠 통화에 필요한 기본 설정 사항들을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1014), 및 SIP 신호를 이용하여 착신자 또는 발신자의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하고, SI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102)가 가입자 단말기와 호 연결 및 컨텐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미디어 서버 연동 블럭(101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서버(102)는, SIP 신호 처리 및 메시지 전달을 통해 상기 응용 서버(101)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와 연동하기 위한 응용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연동 블럭(1021), 상기 컨텐츠 웹 서버(103)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해 URL 정보를 전달하여 웹 형태의 이미지를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 웹 서버 연동 블럭(1022), 가입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하면서 DTMF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응용 서버(101)와 연동하여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SIP 및 DTMF 처리부(1023), 상기 응용 서버(101)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스위치 정보(컨텐츠 플레이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스위칭 로직부(1024), 및 상기 컨텐츠 웹 서버(103)로부터 전달받은 웹 이미지를 가입자 단말기와 RTP 통신을 위해 이미지 오버레이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오버레이 로직부(10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웹 서버(103)는, 화면 크기 등과 같은 단말기 환경에 최적인 GUI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GUI 메뉴 발생 로직부(1031), 상기 미디어 서버(102)와 연동에 필요한 메시지(예 : HTTP 등)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 연동 블럭(1032), 가입자 또는 사용자별로 개인 컨텐츠 및 공동 컨텐츠 등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컨텐츠 관리부(1033),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의 정 보를 공유하여 컨텐츠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서버 연동 블럭(103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각종 컨텐츠의 저장 장소로서, 컨텐츠 웹 서버(103)에 요구에 따라 컨텐츠를 수정, 삭제, 추가하고,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같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DB)를 기반으로 가입자에 대한 컨텐츠 관리 및 제공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구성 요소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절차(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 절차에서 가입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가입자 단말기(발신 단말기)가 상대편 단말기(수신 단말기)로 전화를 하면, 응용 서버(101)가 가입자 단말기임을 감지하고, 200 OK 메시지(수신자가 수화기를 든 경우에 발생되는 메시지임)가 오기 전에 해당 미디어 서버(102)와 발신 단말기 사이 및 해당 미디어 서버(102)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미디어 채널이 형성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그에 따라, 착신자(수신자)가 수화기를 들기 전에 발/착신 단말기들과 미디어 서버(102) 사이에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협상이 이루어지고, 착신자가 수화기를 들면 발신 단말기-미디어 서버-착신 단말기 사이에 RTP 채널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각 단말기는 미디어 서버(102)로 DTMF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해당 DTMF 신호가 수신되면 미디어 서버(102)는 그 정보를 응용 서버(101)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응용 서버(101)는 플레이할 컨텐츠 정보(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미디 어 서버(102)로 알려주고, 상기 미디어 서버(102)는 해당 컨텐츠를 선택하여 상대편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통화 중에 숫자나 문자키(#,*)를 눌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번호의 컨텐츠를 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특정 번호(예 : 0번)를 지정하여 URL 정보를 확인한 후에 해당 키를 누르면, 미디어 서버(102)가 웹 오버레이 기능을 사용하여 해당 웹 컨텐츠를 동영상으로 변환한 후에 RTP(Real Time Protocol)를 이용하여 상대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어, 통화 중 다양한 컨텐츠를 선택/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비가입형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기가 서비스 번호(예 : 1588-XXXX)로 접속하여 미디어 서버(102)에 연결하고, 미디어 서버(102)에서 착신 단말기로 통화로를 형성하면, 나머지 기능은 가입형과 동일하게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서비스 가입형으로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자 단말기가 착신자 접속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301). 그러면 광대역 통합망(BcN) 상의 소프트 스위치의 서비스 필터에서는 연결 호 메시지에 대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발신 또는 착신 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302), 가입자가 아니면 일반 통화로를 연결하여 일반 통화를 하도록 한다(303).
한편, 상기 판단 결과(302),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이면 연결 호 메시지가 응용 서버로 전달되고, 응용 서버는 발/착신 단말기들이 모두 미디어 서버와 연결될 수 있도록 미디어 서버에 호 설정(연결)을 준비시킨다(304). 이후, 착신 단말기에서 수화기를 들면, 200 OK 메시지가 응용 서버로 전달되고 발신 단말기와 미디어 서버 사이, 및 미디어 서버와 착신 단말기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고, 미디어 서버가 발/착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구조의 RTP 채널이 형성된다(305).
이후, 미디어 서버는 가입자에 대한 RTP의 오디오 채널 내에서 항상 DTMF 신호의 감지를 시도하다가 DTMF 신호가 수신되면(306), 수신된 DTMF 신호의 수치가 '1 내지 9'인지 '0'인지를 판단한다(307). 수신된 DTMF 신호의 수치가 '1 내지 9'이면 해당 DTMF 정보를 응용 서버로 SIP의 인포(INFO) 메소드로 전달하고, 그에 따라 응용 서버는 해당 정보를 해석하여 가입자의 해당 컨텐츠 정보를 미디어 서버로 전달하며, 미디어 서버는 해당 컨텐츠를 발/착신 단말기로 전달한다(308). 이후, 통화 종료가 아니면 상위 메뉴인 DTMF 신호 수신 과정(306)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에 대한 종료는 응용 서버가 관장하여 처리하게 된다(3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307), 수신된 DTMF 신호의 수치가 '0'이면, 즉 사용자가 기존에 자신이 가진 컨텐츠 외의 것을 통화 중 착신자에게 송출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0'을 누름에 따라 미디어 서버가 '0'을 감지하면, 미디어 서버는 가입자의 번호 또는 식별자(ID)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URL 정보를 컨텐츠 웹 서버로 요청하여 전달받은 URL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해 준다(310). 그에 따라 사용자 단 말기에서는 서버상에 있는 다양한 컨텐츠 중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 확인하고 DTMF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그러면, 미디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DTMF 신호로 전달받은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각 단말기로 제공한다(311).
이후, 미디어 서버는 문자 '*'가 수신되지 않으면 "311" 과정으로 진행하고, 문자 '*'를 수신하면 사용자가 컨텐츠 웹 서버와의 접속 종료를 원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상위 메뉴인 DTMF 신호 수신 과정(306)으로 진행하여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31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중, 호 연결 과정에서 단말기 및 서버 간에 이루어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전달 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여기서, 호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통신규약(Protocol)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서버(104)와 미디어 서버(102) 간에는 별도의 규격을 사용할 수도 있다.
먼저, 발신 단말기(12)가 착신 단말기 번호로 전화를 걸면 인바이트(INVITE) 메시지가 발신 소프트 스위치(105)로 전달되고, 발신 소프트 스위치(105)는 해당 응용 서버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달한다(401). 그러면 응용 서버(101)는 서비스 가입자임을 인지하고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하여 미디어 송출을 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한다(402). 미디어 서버(102)는 이에 대한 응답을 바로 200 OK 메시지로 전달한다(403).
이후, 응용 서버(101)는 착신 단말기가 있는 착신 소프트 스위치(106)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전달하고, 착신 소프트 스위치(106)는 해당 호를 착신 단말기로 전달한다(404). 그에 따라 착신 단말기가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받으면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응용 서버(101)로 전달한다(405). 그러면 응용 서버(101)는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감지하여 발신 단말기(12)로 180 링잉(Ringing) 메시지를 전달한다(406). 그리고 응용 서버(101)는 같은 시점에, 착신 단말기(13)와 미디어 서버(102)가 통신할 수 있는 채널을 준비하도록 미디어 서버(102)로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보낸다(407). 미디어 서버(102)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응용 서버(101)로 전달한다(408).
이후, 착신 단말기(13)에서 훅 오프되는 시점(착신자가 수화기를 드는 시점)에 200 OK 메시지가 응용 서버(101)로 전달되고(409), 응용 서버(101)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12)로 전달한다(410). 동시에 착신 단말기(13)와 미디어 서버(102) 간의 RTP 채널을 열어 줄 수 있도록 응답(ACK : ACKnowledge)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한다(411).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착신 단말기(13)로 응답(ACK) 메시지를 전달하여 RTP 세션을 형성한다(413). 거의 같은 시점에 발신 단말기(12)에서는 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ACK) 메시지를 응용 서버(101)로 전달하고(413), 응용 서버(101)는 응답(ACK) 메시지를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한다(414). 그러면, 발신 단말기(12)와 미디어 서버(102) 간에 RTP 연결이 이루어진다(415).
상기와 같이 RTP 세션이 형성된 상태(413, 415)에서 발/착신 단말기(12, 13) 는 미디어 서버(102)로 DTMF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미디어 서버(102)는 DTMF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로직을 구동시킨다(416).
이후, 발신 단말기(또는 착신 단말기)에서 훅 온되는 시점(수화기를 내려놓는 시점)에서 종료(BYE) 메시지가 응용 서버(101)로 전달되고(417), 응용 서버(101)는 종료(BYE) 메시지를 감지하여 미디어 서버(102)로 종료(BYE) 메시지를 전달하고(418), 미디어 서버(102)는 200 OK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또는 착신 단말기)로 전달한다(420). 그에 따라 발신 단말기(또는 착신 단말기)와 미디어 서버(102) 간의 RTP 연결이 해제되게 된다(420). 그리고 미디어 서버(102)로부터 착신 단말기(또는 발신 단말기)에도 종료(BYE) 메시지가 전달되고(420), 착신 단말기(또는 발신 단말기)가 200 OK 메시지로 미디어 서버(102)로 응답하면(421), 미디어 서버(102)와 착신 단말기(또는 발신 단말기) 간의 RTP 연결도 해제되어 통화가 완전히 종료된다(42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중, 통화 중 이용자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송신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과 미디어의 스위칭이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신호 흐름도이다.
일반적으로 DTMF 신호의 송/수신 방식은 RTP 내에 전송하는 인밴드(Inband) 방식과 별도의 패킷으로 전송하는 방식이 있는데, 여기서는 별도의 패킷으로 보내는 RFC2833 규격의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발신 단말기(12)와 미디어 서버(102) 간, 및 상기 미디어 서버(102)와 착신 단말기(13) 간에 RTP 채널이 형성되면, 미디어 서버(102)는 항상 DTMF 신호를 감지하기 위하여 대기한다(501). 이러한 감지 대기 상태에서 착신 단말기(13)가 컨텐츠 웹 서버(103)에 접속하기 위해 특정 번호(예 : '0')를 눌러 DTMF 신호를 미디어 서버(102)로 전송하면(502), 미디어 서버(102)는 가입자의 서비스 식별자(ID)와 함께 키 번호를 SIP의 인포(INFO) 메소드를 통해 응용 서버(101)로 전달한다(503).
그러면, 응용 서버(101)는 가입자와 키 번호를 매칭시켜 해당 URL 정보를 200 OK 메시지에 실어서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한다(504).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컨텐츠 웹 서버(103)에 해당 URL 정보를 요청한다(505). 그러면, 컨텐츠 웹 서버(103)는 해당 URL 정보를 미디어 서버(102)로 제공한다(506).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해당 웹 페이지를 이미지 오버레이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에 보여 줄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고 미디어 스위칭을 해 준다(507).
그에 따라, 가입자 단말기는 DTMF 신호를 통해 해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요청 또는 설정한다(508).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응용 서버(101)로 인포(INFO) 메소드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509). 그러면, 응용 서버(101)는 이를 해석하여 미디어 서버(102)로 200 OK 메시지에 숫자 키에 맵핑되는 URL 정보를 전달한다(510).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다시 해당 URL 정보에 대한 웹 이미지를 컨텐츠 웹 서버(103)로 요청한다(511). 그러면, 컨텐츠 웹 서버(103)는 이에 응답하여 해 당하는 웹 이미지(웹 페이지)를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한다(512). 웹 페이지를 전달받은 미디어 서버(102)는 다시 오버레이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3)로 전달한다. 이 경우 미디어 스위칭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후, 착신 단말기(13)에서 특정 번호(예 : '*')를 누르면(513) 미디어 서버(102)는 이를 인포 메소드를 통해 응용 서버(101)로 전달하고(514), 응용 서버(101)는 사용자가 컨텐츠 웹상의 편집/작업이 끝났음을 인지하고 미디어 서버(102)로 미디어 스위칭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515). 그러면, 미디어 서버(102)는 원래의 미디어로 스위칭해서 착신 단말기(13)로 보여준다(516).
한편, 착신 단말기(13)가 발신 단말기(13)에 다른 컨텐츠를 플레이시키기 위해 특정 번호(예 : '1~9')를 눌러 DTMF 신호를 전달하면(517), 미디어 서버(102)에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응용 서버(101)로 인포 메소드를 통해 전달하고(518), 응용 서버(101)는 플레이시킬 컨텐츠 정보를 200 OK 메시지를 통해 미디어 서버(102)로 전달하며(519), 그에 따라 미디어 서버(102)가 발신 단말기(12)로 미디어 스위칭되어 플레이되게 된다(52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는 "401" 내지 "422" 과정을 응용 서버의 주관 하에 미디어 서버와 직접 통화 세션이 설정되며, 상대편 단말기는 자동으로 미디어 서버와 연결된다. 이때, 가입자와 비가입자 또는 가입자와 가입자 연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미디어 서버의 DTMF 수신 제한을 통해 가입자와 비가입자의 구분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 단말기는 형성된 RTP 세션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501" 내지 "513"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고, "514" 내지 "520" 과정을 통해 원하는 컨텐츠를 상대편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SIP 기본 호 처리 과정에 위배되지 않는 절차로서, 모든 일반적인 SIP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영상 단말기 통화 시 멀티미디어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먼저, 통화 중에 영상 또는 음성 대체가 가능하고, 그 대상이 되는 컨텐츠로는 영화, 뮤직비디오, 동영상, 음악, 그림, 문서(text) 등이 있다. 또한 통화하면서 컨텐츠의 공유도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공동작업(문서를 같이 보면서 이야기하거나, 도면을 같이 보면서 이야기하는 작업) 또는 공동감상(뮤직 비디오를 이야기하며 같이 감상, 음악을 같이 청취, 실시간 방송을 같이 시청하면서 대화할 수 있음)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 문자보기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활용 용도에 따라서 컨텐츠 선택권을 가지면서 서비스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접속자가 늘어나면 간이 개인 방송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영상 단말기 간의 통화 중에 서버(또는 네트워크) 기반의 영상 및 음성 스위칭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되,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 등과 같은 웹 접근 방식으로 자신의 컨텐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미리 확보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 중에도 특정 번호를 눌러 자신의 영상의 송출을 중지시키거나 RTP 세션 상에서 자신의 컨텐츠 웹에 접속하여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가 인터넷 등과 같은 웹 접근 방식으로 자신의 컨텐츠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미리 확보하고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통화 중에도 특정 번호를 눌러 RTP 세션 상에서도 자신의 컨텐츠 웹에 접속하여 필요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통화 서비스 이용자가 통화 도중에 자신의 영상의 송출을 원치 않거나, 다양한 컨텐츠를 상대편에게 보여주고 싶을 때 단순히 단말기의 숫자 키 입력만으로 다양한 컨텐츠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 기반으로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성 보장이 가능하며, 실시간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여 송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컨텐츠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스위칭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미디어 서버의 호 연결 및 통화를 제어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전달받은 각종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의 컨텐츠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서버;
    발/착신 단말기와 RTP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상기 응용 서버와 연동 처리하여 해당하는 컨텐츠를 컨텐츠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컨텐츠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미디어 서버;
    사용자별 컨텐츠 및 각종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미디어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하고,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 웹 서버; 및
    상기 발/착신 단말기에 대한 호 처리를 수행하고, 호 처리 중 컨텐츠 서비스 가입자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응용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서버는,
    SIP 신호 처리 및 메시지 전달을 통해 상기 응용 서버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연동하기 위한 응용 서버 및 컨텐츠 제공 서버 연동 블럭;
    상기 컨텐츠 웹 서버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해 URL 정보를 전달하여 웹 형태의 이미지를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 웹 서버 연동 블럭;
    상기 발/착신 단말기와 연결되어 통신하면서 DTMF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응용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사용자 SIP 및 DTMF 처리부;
    상기 응용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 스위치 정보(컨텐츠 플레이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스위칭 로직부; 및
    상기 컨텐츠 웹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웹 이미지를 상기 발/착 단말기와 RTP 통신을 위해 이미지 오버레이 방식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오버레이 로직부
    를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서버는,
    발신 또는 착신 시에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임을 구분하여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고, 비가입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가입자 관리 서비스 로직부;
    각종 SIP 신호를 처리하고 생성하되, 상기 미디어 서버를 통하여 전달받은 SIP 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SIP 호 처리부;
    서비스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화일 및 컨텐츠 통화에 필요한 기본 설정 사항들을 저장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및
    SIP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달하고, SIP 메시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가 상기 발/착신 단말기와 호 연결 및 컨텐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미디어 서버 연동 블럭
    을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웹 서버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형태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생성하고 관리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용 사용자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웹 서버는,
    단말기 환경에 최적인 GUI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GUI 메뉴 발생 로직부;
    상기 미디어 서버와 연동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미디어 서버 연동 블럭;
    개인 컨텐츠 및 공동 컨텐츠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가입자 컨텐츠 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정보를 공유하여 컨텐츠 정보를 주고받으며,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를 웹상에서 수정,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컨텐츠 제공 서버 연동 블럭
    을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
  6.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를 확인하는 단계;
    미디어 서버와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할당할 미디어 채널을 확보하는 미디어 채널 확보 단계;
    호가 착신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미디어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컨텐츠 스위칭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컨텐츠 통화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은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번호(예 : 1588-XXXX)를 통하여 컨텐츠 통화 서비스를 요청받음에 따라 상기 미디어 채널 확보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방법.
  8. 프로세서를 구비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에,
    호 연결 요청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컨텐츠 통화 서비스 가입자를 확인하는 기능;
    미디어 서버와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할당할 미디어 채널을 확보하는 기능;
    호가 착신됨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와 상기 발/착신 단말기 사이에 미디어 채널을 형성하는 기능;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부터의 DTMF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수신한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컨텐츠 스위칭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 및
    상기 획득한 컨텐츠 스위칭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거나 해당하는 웹 이미지를 실시간 오버레이(Overlay)하여 동영상으로 변환하여 상기 발/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097202A 2005-10-14 2005-10-14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70041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02A KR20070041262A (ko) 2005-10-14 2005-10-14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202A KR20070041262A (ko) 2005-10-14 2005-10-14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262A true KR20070041262A (ko) 2007-04-18

Family

ID=3817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202A KR20070041262A (ko) 2005-10-14 2005-10-14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4126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09B1 (ko) * 2007-08-09 2008-11-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이미지 컨텐츠를 활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898735B1 (ko) * 2007-05-07 2009-05-20 (주)제너시스템즈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호처리 서비스 수행방법 및 시스템
KR101149642B1 (ko) * 2008-08-11 2012-05-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40054560A (ko) 2012-10-29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웹 페이지에서 스와입 모션 감지에 따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684A (ko) * 2017-08-18 2019-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53154A (ko) * 2017-08-18 2019-05-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735B1 (ko) * 2007-05-07 2009-05-20 (주)제너시스템즈 미디어 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에 호처리 서비스 수행방법 및 시스템
KR100869309B1 (ko) * 2007-08-09 2008-11-1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이미지 컨텐츠를 활용한 영상 통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49642B1 (ko) * 2008-08-11 2012-05-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컨텐츠 공유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140054560A (ko) 2012-10-29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모바일 웹 페이지에서 스와입 모션 감지에 따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9684A (ko) * 2017-08-18 2019-02-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53154A (ko) * 2017-08-18 2019-05-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공지능 서비스를 인터페이싱하는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8684B2 (en) User controlled call management
US64251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co-browsing over cable television and controlled through computer telephony
RU2532729C2 (ru) Способ и узел услуг доступа к видеочасти речевого и видео вызова и способ добавления видеочасти к речевому вызову
US8195147B2 (en) Method of enabling a combinational service and communication network implementing the service
US8539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ly sharing video content
US200701718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universal real time protocol bridging
US6724869B2 (en) Multimodal telephone numbers
JP2008523662A (ja) 画像ベースのプッシュ・ツー・トーク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向き画像交換方法
CN101453524B (zh) 一种多媒体业务的实现方法
US20090109957A1 (en) Content Delivery During Call Setup
US20110145868A1 (en) Sharing Media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07074959A1 (en) System for providing share of contents based on packet network in voice comunication based on circuit network
US89088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20070041262A (ko) 통화 중 컨텐츠 전환이 가능한 컨텐츠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N100550753C (zh) 一种多媒体信息传送的方法、终端和系统
JP2013539625A (ja) ボイスメールに付随する映像コンテンツへのウェブベースのアクセス
JP2006229994A (ja) Ip端末装置
KR100969458B1 (ko) 세션 설정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EP1592216A1 (en) Content delivery during call setup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0695393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100963010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sip 기반 영상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60028338A (ko) 번호기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87438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6007A (ko)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주소록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