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25B1 -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25B1
KR101368225B1 KR1020130079117A KR20130079117A KR101368225B1 KR 101368225 B1 KR101368225 B1 KR 101368225B1 KR 1020130079117 A KR1020130079117 A KR 1020130079117A KR 20130079117 A KR20130079117 A KR 20130079117A KR 101368225 B1 KR101368225 B1 KR 101368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flow path
body portion
hollow
installa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남
Original Assignee
(주)메디퍼스트
박효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디퍼스트, 박효남 filed Critical (주)메디퍼스트
Priority to KR102013007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의 밸브 몸체부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가 외력의 제공 유무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밸브 몸체부 외주측 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중공을 통해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는 탄성의 유로부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역류 방지 밸브를 갖는 카테터 허브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MULTIPLE BLOOD REFLUX PREVENTION VALVE AND CATHE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테터 허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의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 수술환자 및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공급해주어야 할 환자들의 경우에는 의료용 수액세트를 통해 환자의 혈관으로 투여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인체의 혈관으로 투여할 때는 IV 카테터(Catheter)라고 불리는 특수 주사바늘을 환자의 정맥에 천자한 후, 캐뉼라와 캐뉼라 허브를 제거한 상태에서 수액 및 수혈세트의 연결팁(Lure Tip)이나 실린지를 IV 카테터의 후단에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IV 카테터는 세균이 혈관 내에 침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IV 카테터와 그 주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IV 카테터는 캐뉼라를 통해 인체의 정맥에 천자한 후 카테터 허브로부터 캐뉼라와 캐뉼라 허브를 제거하는 경우 혈압에 의해 정맥 내의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테터 허브로부터 캐뉼라와 캐뉼라 허브를 제거하는 경우 혈압에 의해 정맥 내의 혈액이 카테터 튜브를 통해 역류하게 되면 혈액으로 인한 병원감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카테터 튜브로의 혈액 역류로 인한 병원감염은 의료진에게는 특히, 전염성이 강한 간염, 에이즈 등의 질환이 있는 환자의 혈액일 경우는 의료진에게 심각한 감염의 원인이 되며, 환자의 경우는 세균감염으로 인한 환자의 입원기간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입원비용은 물론 사망률을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9131호(공개일 : 2010년 11월 09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혈액역류방지용 카테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단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의 밸브 몸체부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가 외력의 제공 유무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밸브 몸체부 외주측 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중공을 통해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는 탄성의 유로부를 포함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서로 밀착되는 두 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절개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밸브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라인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단과, 상기 유로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상기 유로부 외주 공간과 연통시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구되는 허브 몸체와;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되는 상기 양단 중 어느 다른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양단과 상기 설치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는 카테터 허브를 제공한다.
상기 허브 몸체는, 상기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카테터가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 1연결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실린지의 끝단이 왕복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 형상의 제 2연결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 2연결단을 연결하는 내측벽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연결단과 연결되고, 외주가 상기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의 밸브 몸체부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가 외력의 제공 유무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밸브 몸체부 외주측 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에 끼워져 배치되고, 중공을 통해 상기 설치 공간과 유로를 형성하는 탄성의 유로부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서로 밀착되는 두 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절개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밸브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 라인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에 끼워지고, 일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단과, 상기 유로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단의 중공과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시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체에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주입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를 갖는 카테터 허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유통홀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syringe
도 7은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와 실린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역류 방지 밸브의 개폐부에 대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15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밸브 몸체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를 갖는 카테터 허브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를 갖는 카테터 허브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카테터 허브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의 구성을 참조하여 작동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는 허브 몸체(100)와, 역류 방지 밸브(200)로 구성된다.
허브 몸체(100)
상기 허브 몸체(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허브 몸체(100)는 몸체부(110)와, 제 1,2연결단(120,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양단이 개구되며, 내부에 설치 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 공간(101)의 내측에는 내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 공간(101)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연결단(120)은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1중공(121)을 갖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중공(121)은 상기 설치 공간(101)과 연통된다.
상기 제 1연결단(120)의 제 1중공(101)에는 일정 길이의 카테터(10)의 일단이 끼워 고정된다.
상기 제 2연결단(130)은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중공(131)을 갖고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중공(131)은 상기 설치 공간(101)과 연통된다.
상기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에는 혈액을 주입하기 위한 실린지 주사기의 피스톤(40)이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연결단(120)의 제 1중공(121)의 내경은 상기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와 상기 제 2연결단(130)을 연결하는 내측벽은 상기 설치 공간(101)에서 상기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제 1경사면(S1)을 형성한다.
역류 방지 밸브(200)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B-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200)는 상술한 허브 몸체(110)의 설치 공간(101)에 설치된다.
상기 역류 방지 밸브(2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과 같은 탄성을 지니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 밸브(200)는 열가소성엘라스토머(TPE) 또는 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역류 방지 밸브(200)는 크게 밸브 몸체부(210)와, 개폐부인 절개라인(220)과, 유로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몸체부(210)는 무독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밸브 몸체부(210)는 일단이 개구되고 내부 공간(201)이 형성되며, 타단은 밀폐되는 벽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측의 두께는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를 이루는 두께보다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역으로,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 두께가 타단측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탄성력이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와 설치 공간(101)의 내측벽은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개구되는 일단은 허브 몸체(110)의 제 1연결단(120)에 노출되도록 몸체부(110)의 설치 공간(101)의 일측벽에 밀착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허브 몸체(110)의 설치 공간(101)의 일측벽과 밸브 몸체부(210)의 일단은 기밀처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 모서리에는 상술한 설치 공간(101)의 제 1경사면(S1)과 밀착되도록 제 2경사면(S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에 서로 밀착되는 두 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되는 절개 라인(2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개 라인(220)은 나이프를 사용하여 라인을 이루도록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를 찢어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개 라인(220)은 서로 분할되어 밀착되거나 벌어지는 두 면을 가지기 때문에 분할 격막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절개 라인(220)은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 또한 동일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유로부(230)는 상기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에 끼워져 배치되고, 제 2중공(131)을 통해 상기 설치 공간(101)과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부(230)는 상기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유로단(231)과, 유로단(231)의 외주에 형성되며, 유로단(231)의 중공(231a)과 유로단(231)의 외주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유통홀부(232)로 구성된다.
상기 유통홀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로 2개 또는 상하좌우로 4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유통홀부(220)의 개수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에 구비되는 역류 방지 밸브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작동 전 상태
도 7은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와 실린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의 작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역류 방지 밸브(200)의 밸브 몸체부(210)의 일단은 설치 공간(101)의 일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밸브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201)은 개구되는 일단을 통해 제 1연결단(120)의 제 1중공(121)과 연통되는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은 설치 공간(101)의 타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S2)은 설치 공간(101)과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을 잇는 내측벽에 형성된 제 1경사면(S1)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때,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는 설치 공간(101)의 내측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역류 방지 밸브(200)의 유로부(230)는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에 끼워진 상태를 이룬다.
여기서, 유로단(231)이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에 끼워지고, 유로단(231)의 외주는 제 2중공(131)의 내측벽에 밀착되는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유로단(231)의 외주에 형성되는 유통홀부(232)는 제 2중공(131)의 내측벽에 의해, 유로단(231)의 중공(231a)은 밀폐되는 상태를 이룬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밸브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 라인(220)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두 면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를 이룸으로써, 밸브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201)과 설치 공간(101)은 서로 격리되는 상태를 이룬다.
작동 후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역류 방지 밸브의 작동 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실린지의 끝단(40)은 제 2연결단(130)의 개구되는 일단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되는 실린지의 끝단(40)은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그 단부가 유로단(231)에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이때, 실린지의 끝단(40)은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을 유로단(231)의 중공(231a)에 주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로단(231)의 단부에 실린지의 끝단(40)의 이동으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면, 유로단(231)은 설치 공간(101) 측으로 이동된다.ㅇ
그리고, 유로단(231)의 외주에 형성되는 유통홀부(232)는 설치 공간(101)에 노출되게 된다.
이와 아울러, 밸브 몸체부(210)의 제 2경사면(S2)과, 설치 공간(101)의 제 1경사면(S1)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유로단(231)의 중공으로 주입되는 혈액은 중공(231a)->유통홀부(232)를 통해 설치 공간(101)을 잇은 제 1유로(①)를 통해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력에 의해 유로단(231)이 이동되면, 탄성체(실리콘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소플렌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밸브 몸체부(210)는 압축되어 형상이 변형된다.
이때,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에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 라인(220)은 밸브 몸체부(210)의 형상이 압축되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절개되어 형성되는 두 면이 벌어지도록 변형된다.
또한, 밸브 몸체부(210)는 원형으로 복귀되려는 복귀 탄성력을 갖는다.
따라서, 절개 라인들(220)에서 벌어지는 공간읕 통해, 설치 공간(101)으로 유동된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은 밸브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201)으로의 제 2유로(②)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201)으로 유동되는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은 개구되는 일단을 통해, 제 1연결단(120)의 제 1중공(121)을 따라 유동되고, 이 유동되는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은 제 1연결단(120)에 연결된 카테터(10)를 따라 유동되어 인체에 주입될 수 있다.
이어, 실린지의 끝단(40)은 제 2연결단(130)에서 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유로단(231)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하면, 밸브 몸체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복귀 탄성력을 사용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이완된다.
즉, 밸브 몸체부(210)는 도 8에 도시되는 형상으로 복귀되면, 이때, 다수의 절개 라인들(220) 역시 벌어지는 공간이 닫혀지도록 두 면이 서로 밀착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설치 공간(101)과 밸브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201)을 잇는 제 2유로(②)는 차단된다.
이와 동시에, 유로단(231)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유로단(231)의 외주에 형성된 유통홀부(232) 역시 제 2연결단(130)의 제 2중공(131) 내측벽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원형으로 복귀되는 밸브 몸체부(210)의 타단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 2경사면(S2)은 설치 공간(101)의 제 1경사면(S1)과 밀착됨으로써, 설치 공간(101)과 유로단(231)의 중공(231a)을 잇는 제 1유로(①) 역시 차단될 수 있다.
상기의 작용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밸브 몸체부(210)가 원형으로 복귀 시, 상기와 같이 제 1,2유로(①,②)를 동시에 차단함으로써, 2중의 차단 및 역류 방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절개라인들(220)과, 유통홀부(232)가 개폐되는 구성은 각 밸브의 역할을 하고, 이들은 밸브 몸체부(210)의 압축 및 이완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어 이중 개폐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절개 라인들(220)은 개폐작용인 밸브 역할 이외에, 밸브 몸체부(210)의 안축 및 이완시 추가적인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역류방지를 위한 밸브 몸체부(210) 자체의 탄성만을 이용하는 구조보다 개폐 역할에 있어 안정적이고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절개 라인들의 다양한 예를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0의 선 D-D를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절개라인들(220)은 밸브 몸체부(210)의 외주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 라인들(220)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간격은 등간격을 이룰 수도 있고, 불균일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절개 라인(220) 길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절개라인들(220)의 길이 및 원주 방향으로의 간격및 개수는 임의적으로 설정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절개 라인들(220)의 절개 방향이 밸브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한정하였지만, 밸브 몸체부(2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는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밸브 몸체부(210')는 일단에서 유로부(230)측을 따르는 타단을 따라 외주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점진적으로 넓어지도록(210") 형성될 수도 있고,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21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의 형상은 설치 공간(101) 및 내부 공간(201)을 통해 주입되는 영양제나, 식염수, 기타 약물의 주입량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좋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허브 몸체 101 : 설치 공간
110 : 몸체부 120 : 제 1연결단
130 : 제 2연결단 200 : 역류 방지 밸브
201 : 내부 공간 210 : 밸브 몸체부
211 : 평행한 외주 212 : 경사 외주
220 : 절개라인 230 : 유로부
231 : 유로단 231a : 중공
232 : 유통홀부 ① : 제 1유로
② : 제 2유로

Claims (13)

  1. 일단이 개구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의 밸브 몸체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가 외력의 제공 유무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밸브 몸체부 외주측 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중공을 통해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부와 유로를 형성하는 탄성의 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서로 밀착되는 두 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절개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밸브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단과,
    상기 유로단에 형성되며, 상기 중공과 상기 유로부 외주 공간과 연통시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밸브.
  6.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이 개구되는 허브 몸체;
    상기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개구되는 상기 양단 중 어느 다른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외력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상기 양단과 상기 설치 공간 및 상기 내부 공간이 연속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 방지 밸브는,
    일단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연결단과 연결되고, 외주가 상기 설치 공간에 위치되며,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탄성의 밸브 몸체부;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가 외력의 제공 유무에 의해 압축 및 압축 해제됨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상기 밸브 몸체부 외주측 공간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개폐부; 및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에 끼워져 배치되고, 중공을 통해 상기 설치 공간과 유로를 형성하는 탄성의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외주에 서로 밀착되는 두 면이 형성되도록 절개되어 절개 라인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몸체는,
    상기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일정 길이의 카테터가 결합되는 중공 형상의 제 1연결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실린지의 끝단이 왕복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중공 형상의 제 2연결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 2연결단을 연결하는 내측벽은,
    상기 설치 공간에서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을 따라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9. 삭제
  10. 삭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상기 밸브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라인은, 다수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밸브 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연결단의 중공에 끼워지고, 일단이 개구되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로단과,
    상기 유로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단의 중공과 상기 설치 공간과 연통시켜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통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허브.
KR1020130079117A 2013-07-05 2013-07-05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KR101368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17A KR101368225B1 (ko) 2013-07-05 2013-07-05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117A KR101368225B1 (ko) 2013-07-05 2013-07-05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225B1 true KR101368225B1 (ko) 2014-02-27

Family

ID=5027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117A KR101368225B1 (ko) 2013-07-05 2013-07-05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648A (ko) * 1994-04-21 1995-11-24 조수환 저압 작동형 역지밸브
JP2005503516A (ja) * 2001-09-21 2005-0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密閉型圧縮機の弁装置
JP2007155045A (ja) * 2005-12-07 2007-06-21 Kyowa:Kk 逆止弁
JP2011080571A (ja) * 2009-10-09 2011-04-21 Honda Motor Co Ltd 逆止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648A (ko) * 1994-04-21 1995-11-24 조수환 저압 작동형 역지밸브
JP2005503516A (ja) * 2001-09-21 2005-02-0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密閉型圧縮機の弁装置
JP2007155045A (ja) * 2005-12-07 2007-06-21 Kyowa:Kk 逆止弁
JP2011080571A (ja) * 2009-10-09 2011-04-21 Honda Motor Co Ltd 逆止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0911T3 (es) Conector médico que tiene características de alto flujo
JP6458110B2 (ja) 無針弁システム用ピストン
EP2585162B1 (en) Medical valve with fluid volume alteration
US20160331902A1 (en) Self-capping syringe assembly with one-way valve
US7887519B2 (en) Valve with internal lifter
ES2331939T3 (es) Valvula sin aguja.
JP6930697B2 (ja) ニードルレスなニュートラル置換式間欠静脈内インジェクションポート
ES2671333T3 (es) Jeringa de enjuague de desplazamiento positivo
ES2642360T3 (es) Conector médico
CN204766829U (zh) 血管内装置,开口导管和母鲁尔配件
ES2706975T3 (es) Septo de conjunto de catéter intravenoso de uso múltiple y actuador de septo
ES2724299T3 (es) Conector sin aguja
US20100249725A1 (en) Medical Valve with Multiple Variable Volume Regions
US20110028915A1 (en) Medical Valve with Improved Back-Pressure Sealing
BR112017003069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flebotomia através de um cateter iv periférico
BRPI0717558B1 (pt) Dispositivo médico para operar um septo de um dispositivo de acesso vascular
JP2017536955A5 (ko)
BRPI0715526A2 (pt) deslocamento de volume em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US11944792B2 (en) Flush syringe with flip cap
JP2010508986A (ja) 血管アクセス装置のチャンバ通気
BR112015025289B1 (pt) Conjunto de tubulação intravenosa
KR101368225B1 (ko) 역류 방지 밸브 및 이를 갖는 카테터 허브
WO2015044834A1 (en) Needle-free connector
BR112021010724A2 (pt) Válvulas médicas bidirecionais
CN209900300U (zh) 一种新型输液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