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422B1 - 원단 표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표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422B1
KR101367422B1 KR1020120144581A KR20120144581A KR101367422B1 KR 101367422 B1 KR101367422 B1 KR 101367422B1 KR 1020120144581 A KR1020120144581 A KR 1020120144581A KR 20120144581 A KR20120144581 A KR 20120144581A KR 101367422 B1 KR101367422 B1 KR 10136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electrode
cover
treatment apparatus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수
Original Assignee
(주) 파카알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카알지비 filed Critical (주) 파카알지비
Priority to KR102012014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4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uction
    • D06B15/043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uction by means of a perforated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처리된 원단을 표면처리하여 원단의 접착면에 투습필름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표면처리장치는 드럼에 의해 안내되는 원단(1)에 도포된 발수제의 표면에 미세한 다수개의 크랙을 형성하거나, 공기중의 산소가 발수제의 소수성관능기와 결합하여 친수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발수처리된 원단(1)에 투습필름을 합지할 때 투습필름이 원단(1)의 접착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투습필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단 표면처리장치{fabric surfac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발수처리된 원단의 접착면을 표면처리하여 원단의 표면에 투습필름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투습기능과 방수기능이 있는 원단이 개발되어 아웃도어 의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투습방수원단은 발수처리된 원단의 내측면에 투습기능이 있는 필름을 합지, 고정하여 제작된다.
이때, 발수처리된 원단은 발수기능이나 투습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원단에 발수제를 도포한 후 가열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투습기능이 있는 투습필름은 접착제에 의해 발수처리된 원단의 내측면에 부착고정된다.
그런데, 발수제는 친수성이 전혀 없어서 발수처리된 원단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접착제가 잘 고정되지 못하므로, 발수처리된 원단에 투습필름을 합지할 경우 투습필름이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여 시간이 지나면 투습필름이 박리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수처리되지 않은 원단의 접착면에 투습기능이 있는 투습필름을 먼저 합지하고, 투습필름이 합지된 원단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발수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가열하는 과정에서 투습필름이 손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열온도를 낮출 경우 발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0704042호의 경우 원단개질장치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이송롤러, 회전실린더, 상하부개질부, 콘트롤러 등으로 구성된 단순한 개질장치의 구성만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수처리된 원단의 접착면을 표면처리하여 원단에 투습필름을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도록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에 발수처리된 원단(1)이 공급되는 입구(11)와 원단(1)이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입구(11)로 공급되어 출구(12)로 배출되는 원단(1)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드럼(20)과, 상기 지지드럼(20)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고압의 고주파전원이 인가되어 DBD(Dielectric Barrier Dsicharge)방전을 일으키는 전극(30)을 포함하며, 원단(1)이 상기 전극(30)과 지지드럼(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DBD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에 의해 원단(1)에 도포된 발수제가 표면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드럼(20)은 유전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극(30)은 상기 지지드럼(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30)의 내부에는 전극(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냉각수를 통과시켜 전극(3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극(30)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40)와,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원단(1)의 접착면을 표면처리할 때 발생된 오존을 배출하는 배기수단(50)과, 상기 배기수단(50)에 연결되어 배기수단(50)에 의해 배출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표면처리장치는 드럼에 의해 안내되는 원단(1)에 도포된 발수제의 표면에 미세한 다수개의 크랙을 형성하거나, 공기중의 산소가 발수제의 소수성관능기와 결합하여 친수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발수처리된 원단(1)에 투습필름을 합지할 때 투습필름이 원단(1)의 접착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투습필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표면처리장치를 도시한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표면처리장치의 커버와 전극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표면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양측에 발수처리된 원단(1)이 공급되는 입구(11)와 원단(1)이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입구(11)로 공급되어 출구(12)로 배출되는 원단(1)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드럼(20)과, 상기 지지드럼(20)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고압의 고주파전원이 인가되어 DBD방전을 일으키는 전극(30)과, 상기 전극(30)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40)와,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원단(1)의 접착면을 표면처리할 때 발생된 오존을 배출하는 배기수단(50)과, 상기 배기수단(50)에 연결되어 배기수단(50)에 의해 배출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수단(60)과,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수단(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전후방에는 상기 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원단(1)을 공급하는 원단공급수단(2)과, 상기 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원단(1)을 감는 권취수단(3)이 구비된다.
이러한 원단공급수단(2)과 권취수단(3)은 원단(1)을 염색하거나 기타 가공을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드럼(20)은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입구(11)로 공급되어 출구(12)로 배출되는 원단(1)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지지드럼(20)은 유전체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드럼(20)의 둘레부에는 복수개의 로울러(2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드럼(20)은 상기 원단(1)이 이송되는 속도와 대응되는 속도로 회전되어, 상기 입구(11)로 공급된 원단(1)이 상기 지지드럼(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일정구간을 통과한 후 상기 출구(12)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극(30)은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드럼(20)의 외주면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지지드럼(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양단이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의 구리층(31)과 외부의 세라믹층(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극(30)은 복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고압의 고주파전원이 인가되면 DBD방전을 일으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극(30)의 내부에는 전극(30)의 양단으로 개방된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냉각수를 통과시켜 전극(3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공(33)에는 부도체인 합성수지재질의 튜브(34)가 결합되어, 상기 튜브(34)를 통해 물을 통과시켜 전극(3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40)는 상기 지지드럼(20)을 향하는 쪽 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30)의 외부를 덮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전극(30)으로 DBD방전을 일으켜 원단(1)의 접착면을 표면처리할 때 방전의 발생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DBD방전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나, 상기 질소공급수단(70)에 의해 공급된 질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기수단(50)은 상기 커버(40)에 연결된 배출관(51)과, 상기 배출관(51)에 구비된 배기팬(52)으로 구성되어, 상기 배기팬(52)을 구동시켜 상기 커버(4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존제거수단(60)은 상기 배출관(51)의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51)을 통해 배출된 공기를 가열하여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일반적인 산소로 분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질소공급수단(70)은 상기 커버(40)에 연결된 공급관(71)과, 상기 공급관(71)에 연결되며 내부에 질소가 저장된 질소탱크(72)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상기 질소탱크(72)에 구비된 밸브를 적절히 개폐하여 상기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단 표면처리장치는, 상기 원단공급수단(2)에 의해 공급된 원단(1)을 상기 지지드럼(20)의 외주면에 밀착시켜 원단(1)이 전극(30)과 지지드럼(20)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30)에 고압의 고추파전원을 인가하면, 전극(30)에서 발생된 DBD방전에 의해 플라즈마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때 발생된 다량의 이온에 의해 원단(1)에 도포된 발수제의 표면에 미세한 다수개의 크랙을 형성하거나, 공기중의 산소가 발수제의 소수성관능기와 결합하여 친수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공정에서 발수처리된 원단(1)에 투습필름을 합지할 때, 투습필름을 원단(1)의 접착면에 고정하는 접착제의 접착강도가 향상되어 투습필름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30)은 상기 지지드럼(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30)의 내부에는 전극(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냉각수를 통과시켜 전극(30)을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30)이 과도하게 과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극(30)의 외측에는 커버(4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40)에는 오존을 배출하는 배기수단(50)과, 상기 배기수단(50)에 연결되어 배기수단(50)에 의해 배출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수단(60)이 구비되어, 오존에 의해 표면처리가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오존에 의해 작업장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커버(40)에는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수단(70)이 연결되어, 원단(1)의 종류에 따라 커버(40)의 내부에 질소를 공급함으로써, 원단(1)의 처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나일론 재질의 원단(1)이나 기타 특정한 원단(1)의 경우, 대기중에서 DBD방전이 발생될 경우 손상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질소공급수단(70)을 이용하여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충진시킴으로써, 원단(1)의 손상을 방지하고 표면처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케이스 20. 지지드럼
30. 전극 40. 커버
50. 배기수단 60. 오존제거수단
70. 질소공급수단

Claims (5)

  1. 양측에 발수처리된 원단(1)이 공급되는 입구(11)와 원단(1)이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입구(11)로 공급되어 출구(12)로 배출되는 원단(1)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드럼(20)과,
    상기 지지드럼(20)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고압의 고주파전원이 인가되어 DBD(Dielectric Barrier Discharge)방전을 일으키는 전극(30)을 포함하며,
    원단(1)이 상기 전극(30)과 지지드럼(2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DBD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이온에 의해 원단(1)에 도포된 발수제가 표면처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극(30)은 상기 지지드럼(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30)의 내부에는 전극(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3)을 통해 냉각수를 통과시켜 전극(3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드럼(20)은 유전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30)의 외측면을 덮도록 배치된 커버(40)와,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원단(1)을 표면처리할 때 발생된 오존을 배출하는 배기수단(50)과,
    상기 배기수단(50)에 연결되어 배기수단(50)에 의해 배출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수단(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40)에 연결되어 커버(4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공급수단(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표면처리장치.
KR1020120144581A 2012-12-12 2012-12-12 원단 표면처리장치 KR10136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81A KR101367422B1 (ko) 2012-12-12 2012-12-12 원단 표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581A KR101367422B1 (ko) 2012-12-12 2012-12-12 원단 표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422B1 true KR101367422B1 (ko) 2014-02-26

Family

ID=5027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581A KR101367422B1 (ko) 2012-12-12 2012-12-12 원단 표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4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7957A (zh) * 2020-06-16 2020-09-01 天泓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纺织物表面处理装置
CN113853344A (zh) * 2019-04-19 2021-12-28 意大利西罗柏克股份有限公司 用于食品的容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681A (en) 1984-10-05 1987-07-07 Hiraoka & Co. Ltd. Process for preparation of water-proof sheets
JPH05295656A (ja) * 1992-04-13 1993-11-09 Toray Ind Inc コーティング布帛の製造方法
JPH0646990Y2 (ja) * 1987-07-06 1994-11-30 鐘紡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KR20090030448A (ko) * 2007-09-20 2009-03-25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합성섬유직물의편면발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8681A (en) 1984-10-05 1987-07-07 Hiraoka & Co. Ltd. Process for preparation of water-proof sheets
JPH0646990Y2 (ja) * 1987-07-06 1994-11-30 鐘紡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H05295656A (ja) * 1992-04-13 1993-11-09 Toray Ind Inc コーティング布帛の製造方法
KR20090030448A (ko) * 2007-09-20 2009-03-25 한국염색기술연구소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합성섬유직물의편면발수처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3344A (zh) * 2019-04-19 2021-12-28 意大利西罗柏克股份有限公司 用于食品的容器及其制造方法
CN111607957A (zh) * 2020-06-16 2020-09-01 天泓环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纺织物表面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135889A5 (ko)
KR101367422B1 (ko) 원단 표면처리장치
TW200625387A (en) System for cleaning a surface using cryogenic aerosol and fluid reactant
TWI577854B (zh) 翻轉式電極組紡織品大氣等離子處理機構及雙面處理機構
KR101103053B1 (ko) 가공 폐기물 건조장치
JP2016516571A (ja) コロナ処理のためのユニットおよび方法
KR20150037451A (ko) 신속 배추절임 및 저염김치 제조 시스템
CN105664662B (zh) 在线更换吸附材料的净化柱及手套箱
EP3453533B1 (en) Vacuum dry plate cleaning and laminating machine
KR100977892B1 (ko)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한 웨브 제재 처리 장치
KR102281003B1 (ko) 폐 김발장 재활용 자동처리장치
KR101282086B1 (ko) Cfrp시트 적층구조를 갖는 기구의 제조장치 및 방법.
KR100538921B1 (ko) 열전사기 내장형 디지털 프린터
JPS5837434B2 (ja) 面状布地をプラスチツクで被覆することによつて硬化するための装置
JP7001905B2 (ja) 面に対して処理を施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82158B1 (ko) 필름의 표면 처리 장치 및 시스템
JP4257262B2 (ja) 連続式常圧高温殺菌装置
DK179189B1 (en) Method for restoring damaged electronic devices by cleaning and apparatus
KR101437928B1 (ko) 천일염의 제조장치
ITMI20101346A1 (it) Procedimento per modificare la struttura di un fango organico
JP2008055092A (ja) ロール仕上機、及びロール仕上げ方法
JP2011026653A (ja) 焼入装置
KR20200056726A (ko) 폐지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JP7377780B2 (ja) 熱処理炉
JP4175850B2 (ja) 非導電性多孔質体改質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