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368B1 -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368B1
KR101367368B1 KR1020070014460A KR20070014460A KR101367368B1 KR 101367368 B1 KR101367368 B1 KR 101367368B1 KR 1020070014460 A KR1020070014460 A KR 1020070014460A KR 20070014460 A KR20070014460 A KR 20070014460A KR 101367368 B1 KR101367368 B1 KR 101367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refrigerator
operation butt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371A (ko
Inventor
장헌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36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606 priority patent/WO2008096982A1/en
Priority to US12/524,116 priority patent/US8596085B2/en
Priority to CN200880003258XA priority patent/CN101611280B/zh
Publication of KR20080075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냉장고용 조작버튼에 있어서: 버튼본체(141)와,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14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완충부재(143)에 작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버튼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보다 간단하게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조작버튼, 완충부재

Description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A operating button for refrigerator and dispenser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보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디스펜서 110: 디스펜서프레임
111: 취출공간 120: 취출구
130: 스위치하우징 131: 버튼개구
140: 제1조작버튼 141: 버튼본체
142: 패드안착홈 143: 완충패드
144: 안착부 145: 누름부
147: 버튼커버 148: 관통개구
150: 제2조작버튼 160: 물받이트레이
170: 물받이커버 171: 통공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고가 출시된다. 상기 디스펜서에는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얼음이 취출되는 아이스덕트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에는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 및 아이스덕트를 통한 얼음의 취출을 위한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디스펜서모드를 물의 취출 또는 얼음의 취출로 설정한 상태에서 컵이나 용기로 상기 조작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가 온동작되면, 상기 취출구 또는 아이스덕트를 통하여 취출되는 물이나 얼음이 컵 등에 담겨짐으로써 취출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은 컵 등에 의하여 눌려져서 조작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버튼이 조작되는 과정에서 컵 등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한개의 상기 조작버튼에 의하여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모드를 미리 설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는 과정이 번거로워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의도와는 반대로 물이나 얼음이 취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과정에서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냉장고용 조작버튼에 있어서: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버튼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본체와 완충부재의 전면을 차폐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버튼커버에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커버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커버는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상기 버튼본체 및 완충부재의 전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에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얼음이 취출되는 가이드퓨넬,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과 상기 가이드퓨넬에 의한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가이드퓨넬에 의한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제1조작버튼과 상기 제2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제2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버튼의 손상이 방지됨과 동시에 간단하게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작버튼을 보인 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D)의 전면에는 디스펜서(1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D)를 열지 않고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디스펜서(100)를 구성하는 디스펜서프레임(110)은 상기 도어(D)의 전면에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프레임(110)에는 소정의 취출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취출공간(111)은 실질적으로 물이나 얼음의 취출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상기 디스펜서프레임(110)의 일부가 상기 도어(D)의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도어(D)의 전면을 형성하는 아웃도어의 일부가 도어(D)의 내부로 함몰되어 상기 취출공간(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공간(111)의 천장에는 취출구(120)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구(120)는 물이 취출되는 곳으로, 상기 취출공간(111)의 천장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취출공간(111)의 천장 후단을 통하여 취출공간(111)의 내부로 가이드퓨넬(미도시)의 일단부가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퓨넬은 제빙장치(미도시)에서 제조되어 아이스덕트(미도시)를 통하여 이송되는 얼음을 컵이나 용기 등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취출구(120)와 가이드퓨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취출공간(111)의 천장에는 스위치하우징(130)이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은 대략 U자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취출공간(111)의 내부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퓨넬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D)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일면에 금속재질의 하우징커버(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제1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취출구(120)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1스위치가 온동작되면 상기 취출구(120)를 통하여 물이 외부로 취출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프동작되면 상기 취출구(120)를 통한 물의 취출이 중지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에는 버튼개구(131)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개구(131)는 상기 도어(D)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의 일면이 아래에서 설명할 제1조작버튼(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버튼개구(131)에는 제1조작버튼(140)이 설치된다. 상기 제1조작버튼(140)은 상기 제1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조작버튼(140)은 상기 버튼개구(131)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전후방으로 소정의 각도, 즉 상기 제1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킬 수 있는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조작버튼(140)은 버튼본체(141)와 완충패 드(143), 그리고 버튼커버(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본체(141)는 합성수지를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사출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 즉 상기 버튼개구(13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D)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패드안착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안착홈(142)은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 상단부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완충패드(143)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완충패드(143)는 상기 제1조작버튼(140)이 컵 등에 의하여 눌러지면서 조작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제1조작버튼(1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완충패드(143)는 안착부(144)와 누름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44)는 상기 패드안착홈(14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44)가 상기 패드안착홈(142)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부(144)의 전면은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누름부(145)는 상기 안착부(144)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의 조작을 위하여 컵 등이 접촉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름부(145)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누름부(145)의 형상이 반드시 타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145)는 그 외주면이 상기 안착부(144)의 테두리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버튼커버(147)는 상기 누름부(145)를 제외한 상기 버튼본체(141) 및 완 충패드(143)의 전면을 차폐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버튼커버(147)는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에 대응하여 스테인리스스틸과 같은 금속재질로 성형되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커버(147)에는 상기 누름부(145)의 형상에 대응하는 관통개구(148)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개구(148)는 상기 누름부(145)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버튼커버(147)는 그 이면에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 및 안착부(144)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양면테이프(미도시)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위치하우징(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조작버튼(140)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조작버튼(140)이 상기 제1스위치를 오프동작시키기 위하여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1조작버튼(140)에 부여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퓨넬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취출공간(111)의 내부에는 제2조작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제2조작버튼(150)은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미도시)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조작버튼(150)은 상기 취출공간(111)의 천장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컵 등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전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다.
상기 취출공간(111)의 바닥면에는 물받이트레이(160)와 물받이커버(170)가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트레이(160)의 내부에는 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수가 저장되는 물받이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커버(170)는 상기 물받이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물받이커버(170)에는 상기 물받이공간에 저장되는 잔수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통공(171)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버튼본체(141)의 패드안착홈(142)에 완충패드(143),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완충패드(143)의 안착부(144)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튼본체(141)의 전면 및 상기 안착부(144)의 전면에 이면이 밀착되도록 버튼커버(147)를 부착함으로써 제1조작버튼(140)이 제작된다. 이때 상기 버튼커버(147)의 관통개구(148)를 관통하여 누름부(145)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커버(147)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다. 물론 상기 안착부(144)로 양면테이프 등에 의하여 상기 패드안착홈(142)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상기 제1조작버튼(140)을 사용하여 물을 취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컵 등으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을 눌러서 조작한다. 따라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후방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한다. 이때 상기 누름부(145)가 컵 등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상기 제1조작버튼(140)의 조작과정에서 상기 버튼커버(147)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조작버튼(140)이 눌러지면, 제1스위치가 온동작되어 취출구(120)를 통하여 물이 취출되어 컵 등에 담겨진다. 이와 같은 상기 취출구(120)를 통한 물의 취출은 사용자가 컵 등으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을 눌러서 상기 제1스위치를 온동작시키는 동안만 진행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컵 등에 필요로 하는 양만큼의 물이 담겨지면 컵 등으로 상 기 조작버튼()을 누르는 힘을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제1조작버튼(140)은 탄성부재로부터 부여받은 탄성력에 의하여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조작버튼(140)이 회동하면,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프동작되어 상기 취출구(120)를 통한 물의 취출이 중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물을 취출을 위한 상기 제1조작버튼의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얼음의 취출을 위한 상기 제2조작버튼(150)도 제1조작버튼과 동일하게 버튼본체와 완충패드 및 버튼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조작버튼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조작버튼이 아닌 냉장고의 다른 동작을 위한 조작버튼의 경우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조작버튼을 구성하는 완충패드가 컵이나 용기에 의하여 눌러짐으로써 상기 조작버튼이 조작된다. 따라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을 위하여 상기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의 손상이 최소화됨으로써 제품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제품의 외관도 좋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의 취출을 위한 조작버튼과 얼음의 취출을 위한 조작버튼이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디스펜서모드를 설정하지 않고도 물 또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사용성이 증진된다.

Claims (12)

  1. 냉장고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냉장고용 조작버튼에 있어서: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버튼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본체와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을 차폐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눌러져서 상기 스위치가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버튼커버에 형성되는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커버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커버는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상기 버튼본체 및 완충부재의 전면에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조작버튼.
  7. 외부에서 물을 취출하기 위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버튼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본체와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을 차폐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8. 외부에서 물이나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물이 취출되는 취출구와,
    얼음이 취출되는 가이드퓨넬,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과 상기 가이드퓨넬에 의한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조작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취출구를 통한 물의 취출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가이드퓨넬에 의한 얼음의 취출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제1조작버튼과 상기 제2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제2조작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조작버튼은,
    버튼본체와,
    상기 버튼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기 위한 외력이 상기 완충부재에 작용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버튼본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외력에 의하여 눌려지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를 제외한 상기 버튼본체와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을 차폐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버튼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와 상기 가이드퓨넬이 설치되는 취출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취출공간은 도어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상기 취출공간의 천장의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퓨넬은 상기 취출공간의 천장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공간의 천장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스위치를 가지는 스위치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취출구와 상기 가이드퓨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은 상기 가이드퓨넬의 일단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20070014460A 2007-02-05 2007-02-12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KR101367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60A KR101367368B1 (ko) 2007-02-12 2007-02-12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PCT/KR2008/000606 WO2008096982A1 (en) 2007-02-05 2008-01-31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US12/524,116 US8596085B2 (en) 2007-02-05 2008-01-31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CN200880003258XA CN101611280B (zh) 2007-02-05 2008-01-31 冰箱和用于冰箱的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460A KR101367368B1 (ko) 2007-02-12 2007-02-12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371A KR20080075371A (ko) 2008-08-18
KR101367368B1 true KR101367368B1 (ko) 2014-02-27

Family

ID=3987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460A KR101367368B1 (ko) 2007-02-05 2007-02-12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3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414B1 (ko) * 1995-12-12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자동음료 보충장치
KR20050033296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414B1 (ko) * 1995-12-12 1999-01-15 김광호 냉장고의 자동음료 보충장치
KR20050033296A (ko)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얼음 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371A (ko)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119B1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스위칭장치
EP3037760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00292B1 (ko) 음식물 보관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8820583B2 (en) Dispenser for refrigerator
US20100043480A1 (en)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US20120103002A1 (en) Refrigerator
US8001796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EP2386049B1 (en) Refrigerator
KR101349982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디스펜서
KR20140110603A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EP1455631B1 (en) A dispenser of washing agents for a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KR101367368B1 (ko) 냉장고용 조작버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US2012018696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es to selectively control safe access
KR20170105238A (ko) 자동 열림 기능을 갖는 물티슈용 인출구 개폐장치
US20050057506A1 (en) Mouse structure
KR101721755B1 (ko) 냉장고
KR101621537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장치
JP5265464B2 (ja) 冷蔵庫
KR200274718Y1 (ko) 연고 튜브
JP5177171B2 (ja) パチンコ機
JP3129307B2 (ja) パチンコ機
KR20110122904A (ko) 냉장고
KR20120019732A (ko) 분필 보관함
KR200430031Y1 (ko) 접시 덮개
WO2019092662A1 (en) Washing agent dispensing device for a dish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