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0603A - 냉장고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0603A
KR20140110603A KR1020130025231A KR20130025231A KR20140110603A KR 20140110603 A KR20140110603 A KR 20140110603A KR 1020130025231 A KR1020130025231 A KR 1020130025231A KR 20130025231 A KR20130025231 A KR 20130025231A KR 20140110603 A KR20140110603 A KR 20140110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andle
dispenser
cavit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609B1 (ko
Inventor
박규태
박경수
김선규
권혁구
이항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09B1/ko
Priority to US14/201,415 priority patent/US9335088B2/en
Publication of KR2014011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된 물 취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설치된 디스펜서의 손잡이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물 배출구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디스펜서 {DISPENSER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의 구조에 따라 일반형 냉장고와, 양문형 냉장고 및 바텀 프리저 타입 냉장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형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바텀 프리저 타임(Bottom freezer type)의 냉장고는 최근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입으로, 냉동실보다 큰 규모의 냉장실이 상측에 있고 냉동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다.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개폐할 수 있는 복수개의 도어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냉장고 외부 별도의 공간에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할 때보다,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가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냉장실 도어 또는 냉동실 도어에 냉장고용 디스펜서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이용함에 있어서, 높이가 낮은 용기에 물을 공급받는 경우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가 디스펜서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어 용기를 디스펜서 내부에 내려놓은 채 물을 공급하면 용기 밖으로 물이 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이 용기 밖으로 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 배출구 가까이에 용기를 갖다대고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계속하여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와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구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어 면적이 넓은 용기가 디스펜서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지 못하였고, 내부 공간의 제약에 의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이 배출되는 동안 용기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별도로 제공되지 않아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자가 오랜시간 동안 스위치를 조작하기 위해 계속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용기 밖으로 튀지 않도록 원하는 위치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용기를 위치시키고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물이 배출되는 동안 계속하여 용기를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면적이 넓은 용기가 물이 배출되는 동안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된 물 취출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된 물 취출부;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취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 취출부는 상기 물 배출구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된 물 취출부; 상기 디스펜서 캐비티의 도어측 면에 내장된 용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지지대는 양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손잡이부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켜 물 배출구의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물을 배출하는 경우 용기 밖으로 물이 튀는 우려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계속하여 용기를 들고 있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배출구와 얼음 취출부의 위치가 앞뒤로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디스펜서의 내부 공간에 제약 없이 안정적으로 용기를 위치시켜 스위치를 누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된 용기지지대를 전방으로 펼쳐 물이 배출되는 동안 용기를 상기 용기지지대 위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디스펜서가 설치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Side by Side) 타입의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냉장고용 디스펜서를 아래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손잡이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와 도 6은 손잡이부가 상승한 상태와 손잡이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가이드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과 도 8은 손잡이부가 상승한 상태와 손잡이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슬라이딩 판의 내부에 설치된 물 취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용기지지대가 냉장고의 도어 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냉장고의 도어 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진 용기지지대 위에 용기가 거치되고 손잡이부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냉장고용 디스펜서(100)가 구비된 냉장고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상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냉장고를 도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러한 저장실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크게 좌측과 우측의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어 하나의 공간에는 식품을 냉동보관 하는 냉동실(1)이 형성되고, 나머지 공간에는 식품을 보관하는 냉장실(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냉장고도어(3,4)가 구비되는데 상기 냉장고도어(3,4)는 각각 냉동실도어(3)와 냉장실도어(4)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냉장실도어(4)의 전면에 상기 디스펜서(1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디스펜서(100)가 상기 냉동실도어(3)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디스펜서(100)가 상기 냉장실도어(4)에 구비된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따른 냉장고에서 디스펜서(100)를 보인 도면들이다.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는, 상기 냉장실도어(4)의 전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5)와, 상기 캐비티(5)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장실도어(4)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이드부(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부(6)의 하부면에 물 배출구(710)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6)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7), 상기 손잡이부(7)에 내장되고 상기 물 배출구(710)로 연결되는 물 취출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도어(4)의 전면에는 소정 공간의 캐비티(5)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티(5)는 상기 디스펜서(100)로부터 물 또는 얼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의되는 공간으로써 육면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5)는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부분이 형성되는 상부면(51), 후술할 스위치가 형성되는 후면(52), 좌우측면(53), 하부면(54)으로 둘러싸이고 도어 전방면은 뚫린 형태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5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취출부(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취출부(8)는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얼음 취출부(8)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5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710)가 상기 얼음 취출부(8)의 전방에 구비되고 얼음이 배출되는 상기 얼음 취출부(8)가 상기 물 배출구(71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얼음 취출부(8)와 물 배출구(710)가 전후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캐비티(5)의 상기 좌우측면(53)의 넓이가 넓어지게 된다.
즉, 상기 캐비티(5)가 냉장실도어(4) 내측으로 더욱 깊숙하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얼음 취출부(8)와 물 배출구(710)가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캐비티(5)의 체적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넓은 면적의 용기에 얼음이나 물을 공급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상기 얼음 취출부(8)와 상기 물 배출구(710)가 나란히 설치된 경우와 달리 안정적으로 용기의 가운데에 물 배출구(710) 또는 얼음 취출부(8)를 위치시킬 수 있고, 보다 깊숙하게 용기를 상기 캐비티(5)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면적이 넓은 용기에 물이나 얼음을 담을 때, 캐비티(5)의 체적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용기를 상기 캐비티(5) 내부에 위치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얼음 취출부(8)를 상기 물 배출구(710)보다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51)의 후방부에 설치함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캐비티(5)의 후면(52)에는 스위치(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9)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물 배출구(710) 또는 얼음 취출부(8)로부터 물 또는 얼음을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 버튼식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는바 상기 스위치(9)를 사용자가 원하는 때 용기로 누르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 물 배출구(710)로부터 물이 배출되거나 얼음 취출부(8)로부터 얼음이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스위치(9)가 버튼식 스위치인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에는 상기 스위치(9)를 누르면 상기 스위치(9)와 연동되어 물 또는 얼음을 배출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9)를 용기로 눌러 상기 스위치(9)와 연동되어 구비되는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물이 배출되는데 이 때, 물이 상기 물 배출구(71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도관(미도시)이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9)로부터 용기를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부가 이와 연동하여 작동을 멈추어 물 또는 얼음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캐비티(5)의 상부에는 가이드부(6)가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6)는 상기 냉장실도어(4)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6)가 돌출되게 구비되므로 상기 가이드부(6)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상기 손잡이부(7) 역시 상기 캐비티(5)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손잡이부(7)가 상기 캐비티(5)의 외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눈에 띄게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5) 내부에 손을 넣을 필요 없이 용이하게 상기 손잡이부(7)에 접근하여 상기 손잡이부(7)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부(6)는 손잡이부(7)가 상하로 슬라이딩 됨에 있어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수직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7)를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부(6)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버튼으로 구비되거나 LED로 구비되어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손잡이부(7)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7)의 하부면에 설치된 물 배출구(710)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상기 물 배출구(710)의 위치에 따른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의 사용방법은 아래 설명하는 바와 같다.
먼저,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되어 상기 가이드부(6)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스위치(9)를 용기로 눌러서 물 또는 얼음을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9)를 용기로 누르기 전에 물을 배출할 것인지 얼음을 배출할 것인지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명령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물을 배출하도록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스위치(9)를 용기로 누르게 되면 상기 물 배출구(710)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얼음을 배출하도록 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스위치(9)를 용기로 누르게 되면 상기 얼음 취출부(8)로부터 얼음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경우 먼저 물 또는 얼음의 배출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9)가 눌려도 동작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9)를 눌렀을 때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가 하강하여 물 배출구(710)가 상기 가이드부(6)로부터 아랫방향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상태인 경우에는 주로 높이가 낮은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로 물이 용기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려 함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기를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54)에 놓아둔 채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를 이용하고자 한다.
다만, 사용자는 이 때 통상적으로 많은 양의 물을 배출하기를 원하므로 용기로 상기 스위치(9)를 지속적으로 눌러서 물을 배출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7)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9)를 조작하는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7)가 하강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9)의 조작에 의하여는 통상적으로 소량의 배출이 요구되는 얼음을 배출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물 배출구(710)로부터 물이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유량 또는 물이 배출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유량 또는 물이 배출되는 시간을 설정하여 입력하면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어 설정된 유량 또는 설정된 시간만큼 물이 배출되게 된다.
사용자가 유량을 설정하여 입력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유량만큼 물이 모두 배출되면 물의 배출이 정지되어야 하는바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에는 물이 배출된 양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량감지부에 의해 설정된 유량만큼 물이 배출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물의 배출이 정지되어야 하는바 상기 수도관에 구비되어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물의 배출 시간이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밸브부에 의해 물의 배출이 조절된다.
본 발명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는 상기 밸브부의 제어를 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부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부 또한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가 하강되어 상기 물 배출구(710)가 상기 가이드부(6)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물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설정된 유량만큼 물이 배출된 것으로 유량감지부가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여 밸브를 차단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수도관으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멈출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서 물 배출을 선택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유량 또는 시간을 설정하여 상기 스위치(9)의 조작없이 물을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소량의 물 배출을 원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상기 스위치(9)를 조작하는 것이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정보를 입력하는 것보다 더 편리하므로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정보를 입력하여 물을 배출할 실익이 적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6)의 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7)가 슬라이딩 운동을 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7)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6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61)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7)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61)는 상기 손잡이부(7)가 접하여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부(6)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정렬된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6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제1고정부(611), 가장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고정부를 제2고정부(613)라 하고, 상기 제1고정부(611)와 상기 제2고정부(613)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7)가 고정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부(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부(7)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함에 따라 물 배출구(710)의 높이를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높이가 낮은 용기에 급수받기를 원하는 경우에 상기 물 배출구(710) 가까이에 용기를 갖다대고 지속적으로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되었다.
즉, 용기를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54)에 내려놓은 채 급수를 하더라도 상기 손잡이부(7)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켜 물 배출구(710)가 용기 가까이 위치한 상태에서 급수하여 낮은 용기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손잡이부(7)는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6)의 내부에 삽입된 채로 구비되는 슬라이딩 판(70)과 상기 가이드부(6)의 외부에 상기 가이드부(6)의 하부와 결합된 채로 구비되는 손잡이(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판(70)은 상기 가이드부(6) 내부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얇은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6)와 같은 크기의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판(70)은 상기 손잡이부(7)를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6)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직하게 아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가이드부(6)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상기 가이드부(6)의 외부로 인출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와 접하는 상기 슬라이딩 판(70)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부(61)에 의해 고정되는 돌출리브(70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702)는 상기 가이드부(6)의 내부와 접하여 슬라이딩 되는 상기 슬라이딩 판(70)의 양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리브(702)가 상기 고정부(61)에 의해 고정되는 수단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분야 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부(7)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6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1고정부(611)에 의해 상기 돌출리브(702)가 고정되는바, 상기 손잡이부(7)가 슬라이딩 되어 하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7)를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켜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61)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제2고정부(613)에 의해 상기 돌출리브(702)가 고정되는바, 상기 손잡이부(7)가 상기 가이드부(6)의 외부로 분리되지 않고 하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슬라이딩 판(70)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물 취출부(700)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판(70)의 내부에는 상기 물 취출부(700)가 구비되며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물 배출구(710)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물 취출부(7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의 형태로 상기 슬라이딩 판(70) 내부에 휘어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판(70)은 상기 손잡이부(7)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6)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가이드부(6) 외부로 인출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취출부(700)는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상기 물 배출구(710)까지 연결되어 물을 배출되는 수로 역할을 해야하는바 휘어진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취출부(700)가 휘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상기 손잡이부(7)가 하강하여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의 외부로 인출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펼쳐지면서 물을 물 배출구(710)로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물 취출부(700)가 휘어진 관의 형태로 개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 일자의 주름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미도시)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름관이 접혀져 주름잡힌 상태이며, 상기 슬라이딩 판(70)이 상기 가이드부(6)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주름관이 일자로 펼쳐진 상태로 된다.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상기 물 취출부(70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71)는 상기 손잡이부(7)의 하부에 상기 슬라이딩 판(70)과 결합하여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이 닿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71)의 양 옆을 잡고 상기 손잡이부(7)를 손쉽게 하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물 배출구(7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71)를 잡고 상기 손잡이부(7)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는 상기 캐비티(5)의 후면(52)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용기지지대(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지지대(10)는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54) 가까이에 위치한 양단에 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상기 냉장실 도어(4)의 전방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지지대(1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물이 배출되는 동안 용기를 들고 있을 필요 없이 상기 용기지지대(10)위에 올려놓은 상태로 상기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를 이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지지대(10)가 내장되어 있다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용기지지대(10)가 내장되어 있던 부분만큼 상기 캐비티(5)의 내부가 더 넓어지게 되므로 면적이 넓은 용기를 상기 캐비티(5)의 후면(52)에 상기 용기지지대(10)가 내장되어 있던 공간에까지 집어넣을 수 있어 상기 용기지지대(10)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용기지지대(10)가 이용되지 않을 때는 상기 용기지지대(10)를 회전하여 상기 캐비티(5)의 후면(52)에 내장시킴에 따라 항상 상기 용기지지대(10)가 펼쳐져 있을 때보다 높이가 높은 용기를 상기 용기지지대(10)의 간섭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용기지지대(10)를 회전하여 사용자가 높이가 높은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인지 혹은 면적이 넓은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인지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에 맞는 냉장고용 디스펜서(100)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지지대(10)가 회전하여 펼쳐질 때, 상기 스위치(9)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지지대(10)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9)의 아랫부분까지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용기가 거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위치(9)와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용기지지대(10)의 길이는 최대로 설치됨이 더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높이가 낮고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용기지지대(10)를 회전하여 전방으로 펼쳐 용기를 상기 용기지지대(10)가 내장되어 있던 상기 캐비티의 후면(52)의 빈 공간까지 밀어넣어 상기 용기지지대(10)위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상기 용기지지대(10) 위에 용기를 거치시켜 놓으면 물의 배출시 물이 용기 밖으로 튈 우려가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를 하강시켜 상기 물 배출구(710)를 용기 가까이에 위치시킨다.
즉, 본 발명 냉장고용 디스펜서(100)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대(10)위에 용기를 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면적이 넓은 용기를 계속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를 용기지지대(10) 위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낮은 용기의 외부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 배출구(710)의 위치를 아래로 조절할 수 있다.
5: 캐비티 51: 상부면
52: 후면 53: 좌우측면
54: 하부면 6: 가이드부
60: 디스플레이부 61: 고정부
611: 제1고정부 613: 제2고정부
7: 손잡이부 70: 슬라이딩 판
700: 물 취출부 702: 돌출리브
71: 손잡이 710: 물 배출구
8: 얼음 취출부 9: 스위치
10: 용기지지대

Claims (23)

  1. 냉장고의 도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된 물 취출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취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취출부는 상기 물 배출구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캐비티의 후면에 스위치;
    상기 스위치와 연동되어 물 또는 얼음을 배출시키는 구동부;
    상기 물 취출부로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승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동부에 의해 물 또는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하강된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얼음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전방면에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승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설정해 물 배출 또는 얼음 배출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하강된 상태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량 또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설정하여 물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1. 제10항에 있어서,
    물이 배출된 양을 감지하는 유량감지부;
    상기 수도관에 구비되며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감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유량이 모두 배출된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부가 제어되어 밸브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정된 시간이 모두 경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밸브부가 제어되어 밸브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캐비티의 도어측 면에 내장된 용기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지지대는 양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지지대의 길이는 상기 스위치의 아랫부분까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판;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에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한 상태로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은 상기 손잡이부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 취출부는 상기 슬라이딩 판 내부에 휘어져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하강시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 고정부;
    상기 슬라이딩 판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돌출리브;
    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2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중 최상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딩 판이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강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중 최하의 위치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하강되어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23. 냉장고의 도어에 위치하며 급수 가능한 소정공간을 정의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하며 가이드부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구비된 물 취출부;
    상기 캐비티의 후면에 내장된 용기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지지대는 양단에 회전축을 구비하여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20130025231A 2013-03-08 2013-03-08 냉장고용 디스펜서 KR102040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231A KR102040609B1 (ko) 2013-03-08 2013-03-08 냉장고용 디스펜서
US14/201,415 US9335088B2 (en) 2013-03-08 2014-03-07 Refrigerator including a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231A KR102040609B1 (ko) 2013-03-08 2013-03-08 냉장고용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603A true KR20140110603A (ko) 2014-09-17
KR102040609B1 KR102040609B1 (ko) 2019-11-27

Family

ID=5148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231A KR102040609B1 (ko) 2013-03-08 2013-03-08 냉장고용 디스펜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35088B2 (ko)
KR (1) KR102040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740B1 (ko) * 2015-06-17 2017-05-3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DE102016214839A1 (de) * 2016-08-10 2018-02-1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Kühlfach und einem Gefrierfach und mit einer durch ein Loch in ein Zusatzbauteil einer Tür zugänglichen Spendereinheit
KR101971284B1 (ko) 2017-08-24 201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48730B1 (ko) * 2017-08-2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20052B1 (ko) 2017-08-30 2019-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2005569B1 (ko) 2017-08-30 2019-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KR101926095B1 (ko) 2017-08-30 2018-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US10837690B2 (en) *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US11293680B2 (en)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USD969886S1 (en) * 2020-07-06 2022-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01B1 (ko) * 2006-11-10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80184730A1 (en) 2004-06-04 2008-08-07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US20100175415A1 (en) * 2009-01-15 2010-07-15 Kim Seong Wook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37378A (ko)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40221A (ko)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통한 급수량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KR20130018528A (ko) * 2011-08-01 2013-02-2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8187B1 (en) * 2002-09-13 2003-11-18 Eugene G. Shypkowski Extendable spout for use with ice and water dispensers
KR20040084297A (ko) * 2003-03-27 2004-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디스팬서
US7210601B2 (en) * 2004-06-04 2007-05-01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flow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DE202006017049U1 (de) * 2005-11-30 2007-02-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sgabegerät für fließ- oder schüttfähige Güter
EP3379183A1 (en) * 2006-12-11 2018-09-2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US8413460B2 (en) * 2009-06-22 2013-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4730A1 (en) 2004-06-04 2008-08-07 Whirlpool Corporation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KR100794601B1 (ko) * 2006-11-10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00175415A1 (en) * 2009-01-15 2010-07-15 Kim Seong Wook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00137378A (ko) * 2009-06-22 201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펜서용 조작레버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110040221A (ko) *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를 통한 급수량 제어방법 및 그를 이용한 냉장고
KR20130018528A (ko) * 2011-08-01 2013-02-25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609B1 (ko) 2019-11-27
US20140251498A1 (en) 2014-09-11
US9335088B2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0603A (ko) 냉장고용 디스펜서
US1174707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024940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EP3346215B1 (en) Refrigerator
US8656731B2 (en) Refrigerator
KR101513628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9726413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881951B2 (en) Refrigerator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US20130118203A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US8074466B2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door
KR101751050B1 (ko) 냉장고
KR20130010978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57120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57219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57220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1628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