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861B1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861B1
KR101366861B1 KR1020120003899A KR20120003899A KR101366861B1 KR 101366861 B1 KR101366861 B1 KR 101366861B1 KR 1020120003899 A KR1020120003899 A KR 1020120003899A KR 20120003899 A KR20120003899 A KR 20120003899A KR 101366861 B1 KR101366861 B1 KR 10136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main body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235A (ko
Inventor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861B1/ko
Priority to US13/726,836 priority patent/US9424798B2/en
Priority to EP16153602.4A priority patent/EP3035165B1/en
Priority to EP20130000020 priority patent/EP2615524A1/en
Publication of KR2013008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움직임 센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움직여지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가 움직이기만 하면, 사용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영상의 출력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이동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의 시선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이동 단말기에 출력되는 영상을 보는데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움직임 센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제1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과 상기 판별된 얼굴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각도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 상에 상기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 센서의 배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판별되지 않는 경우, 음성, 팝업창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하도록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대한 움직임 이벤트, 전원공급 이벤트, 터치이벤트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됨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전원공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디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이 상기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영상이 회전됨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가장자리를 넘어선 가장자리 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출력된 영상과 연관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위치한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 다른 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영상의 출력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표시범위 및 상기 영상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변경된 출력영역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변경된 출력영역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어명령은 상기 영상의 출력방향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하도록 전환되는 동안, 상기 표시방향이 전환되기 전 영상이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영상의 출력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영상의 출력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생성되는 가장자리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가장자리 영역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받을 수 있다. 따라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영상의 출력방향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영역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방법 및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 도 12b, 도 13, 도 14a 및 도 1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연동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또는 감지부, 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또는 감지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이 사용자에 대한 시선방향을 유지하도록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상의 출력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이다. 여기에서,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 감지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전원 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상'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되는 모든 화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영상'은 홈 스크린(Home Screen),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화면, 웹 페이지,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관련화면 등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표시가능한 모든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감지부(140)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감지부(140)는 카메라(또는 카메라 센서, 142) 및 레이저 센서(미도시 됨)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레이저 센서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레이저를 주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검출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기 바디와 감지대상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카메라(142)는 사용자(또는 감지대상)의 2차원 위치를 촬영하도록 이루어진다(도 2a의 '121'참조).
예를 들어, 단말기는 카메라(142)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2차원 위치를 판별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카메라(142)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얼굴방향을 판별하고, 판별된 얼굴방향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사용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기는 카메라(142)에 의하여 촬영된 감지대상의 2차원 위치와, 레이터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이격 거리를 서로 조합하여 감지대상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2차원 영상이 필요한 경우라면, 감지부(140)는 카메라(142)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 입체 터치센싱부, 초음파 센싱부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140)는 '활성화 이벤트'에 근거하여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활성화 이벤트'는 감지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도록 하는 이벤트로서, 활성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단말기의 회전, 전원공급여부, 잠금상태의 해제, 사용자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단말기에 대한 터치입력 등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활성화 이벤트는 단말기 본체(100, 도 2a 참조)가 기준방향에서 설정된 범위만큼 회전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즉, 단말기 본체(100, 도 2a 참조)의 회전은 움직임 센서(141)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41)는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센서(141)를 통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또는 시선방향)을 분석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위치(또는 사용자의 얼굴방향)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출력방향이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대응되도록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이동 단말기(100, 도 2a 참조)의 길이방향(음향출력부(152)에서 시작하여 제1 조작유닛(131)을 향하는 방향, A-A' 방향)과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은 상기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출력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이 상기 길이방향에서 중력(gravity, G)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만큼 오른쪽으로 꺾이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을 종전 출력방향에서 중력(gravity, G) 방향을 기준으로 90도 만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시선방향(210b)이 종전 시선방향(210b, 도 4의 (a)참조)에서 오른쪽으로 90도 만큼 회전되었으므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사용자의 시선방향(210b)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영상을 오른쪽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종전 길이방향(A-A' 방향) 및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90도 만큼 회전하였으나, 사용자의 얼굴 방향(또는 시선방향, 210b)은 회전없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은 종전 출력방향에서 왼쪽으로 90도 만큼 회전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영상의 출력방향과 사용자의 시선방향(210b)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영상을 왼쪽으로 90도만큼 회전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이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가 조금만 움직여도 움직임 센서의 감지에 의해 영상의 표시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바와 다른 형태의 영상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제어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감지부(140, 도 3 참조)의 움직임 센서(141)는 본체(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510).
움직임 센서(141)는 이동 단말기(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이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141)는 지자기 센서(terrestrial magnetism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및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는 지자기의 방향 및 크기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는 본체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하고,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며, 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이에 따라, 움직임 센서(141)는 본체의 회전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움직임 센서(141)는 본체의 회전에 따른 변위, 즉,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움직임 센서(141)에 의한 본체의 회전 여부는 도 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가 길이방향(A-A')을 기준으로 중력방향(G)에서 몇 도만큼 기울어졌는지를 의미한다.
즉, '본체(100)가 길이방향(A-A')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본체(100)의 길이방향(A-A')과 중력방향(G)이 이루는 각도는 0도 또는 180도를 이룬다.
한편, 이와 같이, 움직임 센서(141)에 의해, 본체(1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본체(10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카메라 센서(142)를 활성화 시킨다(S520).
제어부(180)는 본체(100)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카메라 센서(142)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142)는 상기 본체(10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만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센서(142)는 본체(100)가 중력방향(G, 도 6의 (b) 참조)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각도 범위이상 기울어진 경우에만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센서(142)는 움직임 센서(141)에 의해 본체(100)의 움직임이 감지되기만 하면, 항상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센서(142)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본체(100)의 움직임 정도는 제어부(180) 설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체(100)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카메라 센서(142)가 활성되면(S520),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센성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한다(S530).
즉,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의 기울어짐 정도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A-A', 도 6의 (b) 참조)과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틀어짐 정도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A-A')을 '가상의 기준축'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의 기준축과 판별된 얼굴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근거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본체(100)가 움직이더라도,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본체(100)의 가상의 기준축이 이루는 각도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만,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본체(100)의 본체(100)의 기준방향(또는 길이방향, 가상의 기준축 방향)이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서 불일치하면,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본체(100)의 기준방향(또는 길이방향, 가상의 기준축 방향)과 사용자의 얼굴방향이 불일치하면, 항상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 시킬 수 있다.
이하,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도 6과 함께 살펴보면, 본체(100)의 위치가 도 6의 (a)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움직인 경우, 즉, 본체(100)의 길이방향(A-A', 또는 기준축(210a))과 중력방향(G)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된 경우, 카메라 센서(142) 활성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6의 (c) 및 도 6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방향과 본체의 길이방향(A-A', 210a)이 틀어진 정도에 따라, 영상(200)의 출력방향의 변경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얼굴방향이 본체(100)의 기울어짐 방향 및 기울어짐 정도에 대응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200)의 출력방향을 변경시키지 않는다.
즉, 본체(100)의 기울어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본체(100)의 출력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영상(200)은 종래의 출력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기준축(210a)과 사용자 얼굴에 대응되는 기준축(210b)의 방향이 대응되는 경우, 영상(200)의 출력방향은 전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6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얼굴방향이 본체(100)의 기울어짐 방향 및 기울어짐 정도에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200)의 출력방향을 사용자의 얼굴방향에 대응되도록 변경시킨다.
즉, 본체(100)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본체(100)의 출력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200)은 종래의 출력방향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도 6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기준축(210a)과 사용자 얼굴에 대응되는 기준축(210b)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거나,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영상(200)의 출력방향은 전환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200)은 본체(100)에 대한 가상의 기준축(210a)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에 대응되는 범위만큼 틀어진 방향으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체가 움직이더라도,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도 5 및 도 6에서는 본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하는 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원인은 '본체의 움직임'이 될 수 있다.
한편, 이 외에도,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 시켜, 본체와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영상의 출력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원인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가 충전 거치대(electric charge hanger)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받고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본체가 움직여지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단말기의 사용여부(잠금상태 해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사용자로부터 단말기로의 제어명령 인가여부 등)에 따라, 카메라 센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충전 거치대에 연결되어 전원공급받지 않은 경우에도,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이벤트의 원인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 또는 제어부(180)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활성화 이벤트에 근거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710).
여기에서, 활성화 이벤트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 또는 사용자는 활성화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하나 또는 복수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원인이 "본체(100)가 충전 거치대(25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의 상태가 잠금상태에서 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여기에서, '잠금상태'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제한하는 상태이다. 즉,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명령 입력의 허용 여부에 따라 '잠금 상태' 와 '해제 상태'로 구분된다.
이는, 주로 터치 스크린(151)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제어 명령이 입력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 상태에서는 터치 스크린(151) 및 그 밖의 사용자 입력부(130, 도 2a 참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의 입력을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제한한다.
그리고, 해제 상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들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의 상태가 잠금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어명령(예: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하는 터치입력)에 의해, 단말기의 상태가 해제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활성화 이벤트의 발생됨에 근거하여, 카메라 센서(142, 도 3 참조)를 활성화 시킨다(S720, 도 7 참조).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얻어진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감지한다(S730).
즉,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또는 얼굴 방향)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또는 얼굴 방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분석한다.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분석된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사용자이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판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출력방향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한다(S740).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의 기울어짐 정도를 이용하여, 본체(100)와 사용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100)의 길이방향(A-A', 도 8의 (b) 참조)과 사용자의 얼굴방향의 틀어짐 정도를 분석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A-A')을 '가상의 기준축'이라고 표현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상기 가상의 기준축과 판별된 얼굴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근거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얼굴방향(210b)이 본체(100)를 기준으로 한 가상의 기준축(210a) 방향과 대응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영상(200)의 출력방향을 사용자의 얼굴방향(210b)에 대응되도록 변경시킨다.
즉,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본체(100)의 출력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200)은 종래의 출력방향에서,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전환된다.
따라서, 도 8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은 가상의 기준축(210a) 방향으로 출력되지 않고, 사용자의 얼굴방향(또는 시선방향, 210b)에 대응되도록 출력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활성화 이벤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하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체의 움직임 및 기타 다양한 활성화 이벤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얼굴방향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편, 이러한 사용자의 얼굴방향 또는 사용자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카메라 센서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러한 카메라 센서를 통해, 카메라 센서의 상태가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거나, 알림정보의 출력을 통해, 유효한 영상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와 함께, 카메라 센서 또는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a, 도 9b, 도 9c 및 도 9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카메라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활성화 이벤트에 근거하여, 카메라 센서(142, 도 3 참조)가 활성화되어, 카메라 센서(142)가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180, 도 3 참조)는 상기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감지되고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 상기 카메라 센서(142)가 활성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의 배율을 조절하거나, 사용자 또는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유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의 배율이 높게 설정되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201) 상에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이미지(201) 상에 사용자의 얼굴 영역이 모두 촬영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a(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의 배율을 조절하여,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201) 상에 사용자의 얼굴에 대응되는 얼굴 데이터 모두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 센서(1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사용자를 감지할 수 없을 만큼, 사용자와 본체(100)와 떨어져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 또는 본체(1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음성, 팝업창(230)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위치변경을 유도하는 알림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알림정보를 통해, 본체 또는 자신의 위치가 변경되어 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c 및 도 9d와 함께, 카메라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인물 인식 알고리즘은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인물의 얼굴 데이터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에서 다른 영역들과 구분되는 인물의 윤곽선 정보 또는 생김새 등을 이용하여 인물을 인식하고,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인물 인식 알고리즘은 영상 전체에서 얼굴이 어디인지 구분해내는 얼굴영역 추출과정과, 찾아낸 얼굴이 어떤 얼굴인지 감별하는 얼굴 인식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이 본체(100)를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210a)과 이루는 각도 또는 사용자의 얼굴이 본체(100)의 길이방향(A-A')을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210a)에 대하여 틀어진 정도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9c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센서(142)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300)을 전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된 얼굴(300)의 기준방향(210b)과 단말기 본체(100)의 길이방향(A-A')을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210a)과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9c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300)을 전체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눈, 코, 입 및 귀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얼굴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d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eye)에 대응하는 영역(301)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인식된 눈(eye)에 대응하는 영역(301)을 기준으로 설정된 기준축(210b)과 단말기 본체(100)의 길이방향(A-A')을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210a)과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출력방향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따라 영상의 출력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0a, 도 10b 및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사용자의 시선방향과 일치되도록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따라 홈 스크린(Home screen)의 표시를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0a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가 회전에 대하여, 사용자의 얼굴(300) 방향은 변함이 없는 경우, 제어부(180, 도 3 참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200)의 표시방향을, 사용자의 얼굴(300)방향(또는 시선방향)과 대응되도록, 회전시킨다.
제어부(180)는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들의 표시방향을 도 10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아이콘들의 회전과 대응되도록, 텍스트 정보의 배열방향도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의 표시방향의 전환에 따라, 텍스트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킴에 따라, 텍스트의 해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아이콘들이 배열되는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익숙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0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에 대해 제1 지점(210a)에서 제2 지점(210b)으로 터치입력(플리킹(flicking), 드래깅(dragging)이 입력되면, 도 10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더라도, 표시방향이 전환되기 전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터치입력에 대하여, 표시방향이 전환되기 전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켰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익숙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10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지점(210a)에서 제2 지점(210b)으로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즉, 도 10a의 (a)에서 인가된 동일한 터치방향으로 플리킹 또는 드래깅 입력이 인가되면, 도 10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10a의 (b)에 도시된 것과 적어도 하나가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도 10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지점(210a)에서 제2 지점(210b)으로의 터치입력에 대응하여, 변경된 아이콘은 도 10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방향이 전환되기 전 변경된 아이콘과 동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과 함께, 텍스트 정보가 표시된 영상의 출력방향의 전환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1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방향이 제1 방향(310)으로 유지하다가, 도 11의 (b),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310)으로부터 오른쪽으로 90도 만큼 회전한 경우, 사용자의 시선방향은 제1 방향(310)으로부터 오른쪽으로 90도 만큼 회전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영상(200)의 표시방향을 전환한다.
먼저, 제어부(18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200)에 포함된 텍스트의 크기, 텍스트의 배열방향 등의 변경없이, 영상(200)의 표시방향만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1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200)의 표시방향이 전환되어,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가로영역이 도 11의 (a)의 도시된 것 보다 확장된 경우, 확장된 가로영역에 대응되도록 텍스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 축소 또는 확대됨에 연동하여 텍스트의 표시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1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200)의 표시방향이 전환되어,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가로영역이 도 11의 (a)의 도시된 것 보다 확장된 경우, 텍스트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에서는 하나의 열에 11개의 알파벳('A, B, C, D, E, F, G, H, I, J, K')이 표시되었다가, 도 11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가로영역이 도 11의 (a)보다 확장된 경우, 하나의 열에, 도 11의 (a)에서 보다 많은 개수의 알파벳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영상의 표시방향 전환으로 인하여,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크기에 대응되도록 데이터의 양, 해상도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던 중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a, 도 12b, 도 13, 도 14a 및 도 1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연동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2a 및 도 12b는 사진(photo)관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던 중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는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예를 들어, 도 12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진(또는 이미지, 200)가 출력되던 중, 사용자의 시선방향 또는 본체(100)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이미지(200b)의 표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2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의 표시방향을 200a에서 200b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주기 위하여, 영상(또는 이미지)의 표시방향이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하도록 전환되는 동안, 표시방향이 전환되기전 영상을 오버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2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200)의 출력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이미지(200)가 출력 가능한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영역에 대응되도록 이미지의 표시크기 또는 영상의 표시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표시방향의 전환으로 인하여, 영상의 표시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변경된 출력영역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도 12a의 (c)에서 출력되는 이미지(200)는 도 12a의 (a)에서 출력되는 이미지(200)보다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이미지(200)의 표시방향의 전환으로 인하여, 이미지(200)의 가장자리를 넘어선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상기 이미지(또는 영상, 200)의 회전됨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또는 영상, 200)의 가장자리를 넘어선 가장자리 영역이표시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출력된 이미지(또는 영상, 200)과 연관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장자리를 넘어선 제1 가장자리 영역(210a)에 출력된 이미지(200)가 촬영된 날짜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가상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영상(200a)이 포함된 그룹(또는 이미지 앨범)에 다른 이미지들이 포함된 경우,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에는 상기 그룹에 포함된 다른 이미지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영상을 기준으로, 가장자리 영역이 위치한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되는 다른 영상의 적어도 일부 또는 썸네일(thumbnail)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2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해, 제1 방향으로 터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대응되는 방향의 가장자리 영역(210a)에 배열된 썸네일(211)에 대응되는 이미지(200b, 도 12b의 (b) 참조)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경우,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0)의 회전됨에 근거하여 영상(200)의 표시방향이 전환된다. 이 때, 제어부(180)는 영상(200)의 회전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에 동영상을 제어가능한 가상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시청하던 중, 본체(100)의 회전으로 인하여,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되면, 제어부(180)는 가장자리 영역(210a, 210b, 210c, 210d)에 채널정보, 채널전환 키, 볼륨키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의 표시방향이 전환으로 인하여, 도 1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의 표시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종전 표시영역에 모두 표시될 수 없었던 영상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4a 및 도 14b와 함께, 방위(方位)정보가 표시되는 지도(map) 또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서,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도영상(200)이 출력되던 중, 사용자의 시선방향 또는 본체(100)의 방향이 변경된 경우, 제어부(180)는 도 1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지도영상(200)의 표시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100)가 기울어지더라도, 기준방위가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의 (a)에 출력된 기준방위정보(201)가 가르키는 방향은 본체(100)의 기울어짐 방향과 관계없이, 도 14의 (b)와 같이, 화면의 출력방향을 기준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준방위는 화면의 출력방향이 아닌, 본체(100)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80)는 지도영상(200)의 표시방향이 변경되더라도, 도 12a, 도 12b 및 도 13에서 살펴본 가장자리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즉, 도 14a의 (c)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에도 지도영상(200)이 표시되도록 상기 지도영상(200)의 표시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1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200)의 표시범위를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영상(200)의 표시방향을 기준으로 영상(200)의 표시범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생성되는 제어명령은 영상의 출력방향에 대응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180)는 도 1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영상(200)을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터치입력의 방향이 본체(100)를 기준으로 대각선방향이더라도, 영상(200)의 출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상기 터치입력의 방향은 영상(200)에 대한 길이방향이므로, 제어부(180)는 출력된 영상(200)을 기준으로, 영상(200)의 표시범위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말기에서 영상통화(videophone)가 실행중인 경우에는, 카메라 센서(142, 도 3 참조)가 계속활성화 되어있으므로, 제어부(180)는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 시키는 활성화 이벤트를 별도로 감지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얼굴방향(또는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카메라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영상의 출력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영상의 출력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생성되는 가장자리 영역에 출력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가장자리 영역을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받을 수 있다. 따라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은 영상의 출력방향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영역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움직임 센서;
    상기 본체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위치를 센싱하는 카메라 센서; 및
    상기 센싱된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영상을 회전시키고,
    분석 결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본체의 상대적인 위치가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그대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고, 판별된 얼굴의 방향을 분석하며,
    분석된 얼굴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사용자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제1방향을 기준으로 설정된 가상의 기준축과 상기 분석된 얼굴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각도가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본체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준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에 상기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상기 카메라 센서의 배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판별되지 않는 경우,
    음성, 팝업창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알림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이벤트 발생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분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영상을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본체에 대한 움직임 이벤트, 전원공급 이벤트, 터치 이벤트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한 전원공급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감지부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판별하며, 판별된 얼굴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영상이 회전됨에 근거하여, 상기 영상의 가장자리를 넘어선 가장자리 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출력된 영상과 연관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는 상기 영상을 기준으로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위치한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열된 다른 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영상의 출력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영상의 표시범위 및 상기 영상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변경된 출력영역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해상도를 상기 변경된 출력영역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이동시키는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영상을 이동시키는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영상의 표시방향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출력방향을 유지하도록 전환되는 동안, 상기 표시방향이 전환되기 전 영상이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03899A 2012-01-12 2012-01-12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36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99A KR101366861B1 (ko) 2012-01-12 2012-01-12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3/726,836 US9424798B2 (en) 2012-01-12 2012-12-2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53602.4A EP3035165B1 (en) 2012-01-12 2013-01-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0130000020 EP2615524A1 (en) 2012-01-12 2013-01-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899A KR101366861B1 (ko) 2012-01-12 2012-01-12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235A KR20130083235A (ko) 2013-07-22
KR101366861B1 true KR101366861B1 (ko) 2014-02-24

Family

ID=4760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899A KR101366861B1 (ko) 2012-01-12 2012-01-12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24798B2 (ko)
EP (2) EP3035165B1 (ko)
KR (1) KR1013668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249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31771A1 (en) * 2017-08-11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EWING DISPLAY ROTATION MEASUREMENT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50544B2 (en) 2017-08-11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02981B2 (en) 2017-08-1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82B1 (ko) * 2012-02-24 2020-03-04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에 표시된 개체의 크기 조정 방법 및 장치
US9342143B1 (en) * 2012-04-17 2016-05-17 Imdb.Com, Inc. Determining display orientations for portable devices
JP5947626B2 (ja) * 2012-06-12 2016-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US9215433B2 (en) 2014-02-11 2015-12-15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hotography
US9741150B2 (en) 2013-07-25 2017-08-22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representative images
WO2014141843A1 (ja) * 2013-03-14 2014-09-18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情報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2014013336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750395B (zh) * 2013-12-31 2018-05-22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用户界面调整系统及其调整方法
US20150193032A1 (en) * 2014-01-07 2015-07-09 Htc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method
GB2527033A (en) * 2014-06-02 2015-12-16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nd technical equipment for image processing
US20170205993A1 (en) * 2014-07-18 2017-07-20 Gionee Communication Equipment Co.,Ltd. Shenzhen Touch screen response method and terminal
US20160300099A1 (en) * 2014-09-25 2016-10-13 Intel Corporation Facilitating efficeint free in-plane rotation landmark tracking of images on computing devices
US9658697B2 (en) * 2014-09-26 2017-05-23 Partygaming Ia Limited Active element display reorientation method and device
JP6621998B2 (ja) * 2015-04-22 2019-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N107483709A (zh) * 2016-09-29 2017-12-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横竖屏切换方法及移动终端
US10055818B2 (en) * 2016-09-30 2018-08-21 Inte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use biometric sensors to control an orientation of a display
CN109000424B (zh) * 2017-06-07 2022-05-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获取冰箱内部信息的方法及冰箱
NO344671B1 (en) 2017-12-21 2020-03-02 Elliptic Laboratories As Contextual display
CN108984140B (zh) * 2018-06-28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系统
CN110191303B (zh) * 2019-06-21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屏幕发声的视频通话方法、设备、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3507A (ko) * 2010-08-06 2010-08-25 임연준 입체 메인화면이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KR20110022840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화질 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7217B (fi) * 2003-10-01 2006-07-31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mä käyttöliittymän (User Interface) hallitsemiseksi, vastaava laite ja ohjelmalliset (Software) välineet menetelmän toteuttamiseksi
US20060248183A1 (en) * 2005-04-28 2006-11-02 Microsoft Corporation Programmable notifications for a mobile device
KR100630154B1 (ko) * 2005-08-31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이동 단말기
US20110298829A1 (en) * 2010-06-04 2011-12-0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electing View Orientation in Portable Device via Image Analysis
US7706579B2 (en) * 2006-12-21 2010-04-27 Sony Ericsson Communications Ab Image orientation for display
US8068121B2 (en) * 2007-06-29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on a display or a proxy device
US9176620B2 (en) * 2008-07-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list thereof
KR101517509B1 (ko) 2008-09-08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896632B2 (en) 2008-09-12 2014-11-25 Qualcomm Incorporated Orienting displayed elements relative to a user
US8610673B2 (en) * 2008-12-0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list on a multi-touch display
TWI413979B (zh) * 2009-07-02 2013-11-01 Inventec Appliances Corp 調整顯示畫面的方法、電子裝置,與電腦程式產品
JP5397081B2 (ja) * 2009-08-12 2014-01-2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TW201112045A (en) 2009-09-28 2011-04-01 Wistron Corp Viewing direction determination method, viewing direction determina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8209632B2 (en) 2010-01-26 2012-06-26 Apple Inc. Image mask interface
US8830225B1 (en) * 2010-03-25 2014-09-09 Amazon Technologies, Inc. Three-dimensional interface for content location
WO2012030265A1 (en) * 2010-08-30 2012-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ace screen orientation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20120081392A1 (en) * 2010-09-30 2012-04-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operation adjustment based on face detection
CN102609081A (zh) * 2011-01-25 2012-07-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游戏画面调整系统及方法
US8358321B1 (en) * 2011-04-29 2013-01-22 Google Inc. Change screen orientation
US9098069B2 (en) * 2011-11-16 2015-08-0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for orienting output on a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2840A (ko) * 2009-08-28 2011-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화질 조정 방법
KR20100093507A (ko) * 2010-08-06 2010-08-25 임연준 입체 메인화면이 표시되는 휴대단말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249A1 (ko) * 2016-01-27 2017-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31771A1 (en) * 2017-08-11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EWING DISPLAY ROTATION MEASUREMENT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50544B2 (en) 2017-08-11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402981B2 (en) 2017-08-11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visualizing contents as the display is rotated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5165B1 (en) 2018-11-14
KR20130083235A (ko) 2013-07-22
EP2615524A1 (en) 2013-07-17
US20130182014A1 (en) 2013-07-18
EP3035165A1 (en) 2016-06-22
US9424798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0546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524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925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7184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83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7171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0749A (ko)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1001633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09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212480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6376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1004568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5505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994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1020905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789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28795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983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201500172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0895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4274A (ko)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3308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185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1005435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