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45B1 -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45B1
KR101366645B1 KR1020120101075A KR20120101075A KR101366645B1 KR 101366645 B1 KR101366645 B1 KR 101366645B1 KR 1020120101075 A KR1020120101075 A KR 1020120101075A KR 20120101075 A KR20120101075 A KR 20120101075A KR 101366645 B1 KR101366645 B1 KR 101366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afety walking
grade
safety
biometric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하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휴비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비딕 filed Critical (주)휴비딕
Priority to KR10201201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에서 실행된다. 상기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은 상기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보행기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HELPING SAFE WALKING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장애인들은 원활한 보행을 위한 보행 보조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사고로 인하여 다리를 다쳤을 경우에도 이와 같은 보조 보행기를 사용하게 된다. 보조 보행기의 종류는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예컨대, 노인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팡이를 포함하여 병원에서 환자들이 사용하는 목발, 보행 스탠드, 보행 프레임, 휠체어 등이 있으며, 그 종류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보조 보행기는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보조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파악과 원활한 보조 여부의 판단이 중요하게 고려될 수가 있다. 즉, 보조 보행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넘어지거나 갑작스런 신체 이상으로 응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응급 상황을 통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도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접이식 의자를 핌으로써 보조 보행기를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에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내장시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한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된 추천 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여 획득한 통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잠금 장치를 통해 보조 보행기를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의 이동이 용이치 않은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보행기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에서 실행된다. 상기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은 상기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규 분포 그래프는 표준 생체 지수 범위에 따라 결정된 신뢰 구간, 의심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의 보조 보행기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수치가 상기 정규 분포 그래프에서 최소의 신뢰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신뢰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의심 구간 및 상기 위험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보행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가 되면 상기 보조 보행기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산소 포화도 및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는 상기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 보행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는 표준 생체 지수 범위에 따라 결정된 신뢰 구간, 의심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규 분포 그래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신뢰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도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접이식 의자를 핌으로써 보조 보행기를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에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내장시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한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된 추천 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여 획득한 통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확인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잠금 장치를 통해 보조 보행기를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의 이동이 용이치 않은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보조 보행기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뒤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전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정규 분포 그래프를 설명하는 참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뒤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보행기(100)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와 연결되어 골격을 이루는 몸체(120) 및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조 보행기(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측정하는 핸들부(111),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는 제1 팔 지지부(112), 핸들부(111)의 중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안전 보행을 하도록 보조하는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 및 제1 팔 지지부(1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120)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지는 상부지지다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노인의 평균적인 손의 크기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모양의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두 손에 파지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를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노인의 평균적인 어깨 넓이만큼 간격을 두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측정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 센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호 포화도 측정 센서 및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체지방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팔 지지부(112)는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팔 지지부(112)는 ㄷ자 형태, U자 형태 및 ㅁ자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다리(114)는 제1 팔 지지부(1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120)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다. 상부지지다리(114)는 몸체(120)의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 각각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져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며,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형성된 높이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다리(114)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후에 높이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지지다리(114)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아래팔이 편안하게 제1 팔 지지부(112)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가 결정되면,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있는 높이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다리(114) 및 하부지지다리(123)는 제1 팔 지지부(112)에 걸친 환자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휘지 않는 강성이 큰 세라믹 및 스테인리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PC,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20)는 지지부(110)의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지는 하부지지다리(123)를 각각 포함하는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접이식 의자(125),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에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는 제2 팔 지지부(126) 및 사용자가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다리(123)는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지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지지다리(123)는 상부지지다리(114)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거나 나오는 원리에 의해 지지부(1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다리(123)는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110)의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 고정 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지지다리(123)의 두께는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진 상태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지지다리(11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의자(125)는 연결부재(미도시됨)를 이용하여 몸체(120)의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사이에 형성된다. 접이식 의자(12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접이식 의자(125)를 접은 상태에서 보조 보행기(100)를 이용하여 보행을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보조 보행기(100)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접이식 의자(125)를 펴서 보조 보행기(100)를 휠체어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의자(125)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제2 팔 지지부(126)는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변형되어 사용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팔 지지부(126)는 ㄷ자 형태 및 U자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팔 지지부(126)는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팔 지지부(126)는 휠체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128)는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사용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의 이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제어부(1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고, 사용자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휠체어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이동 제어부(128)가 오른쪽 35도 방향으로 고정되면, 휠체어는 오른쪽 35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판(127)은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사용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127)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는 보조 보행기(100)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보조 보행기(100)가 잠기도록 잠금줄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줄이 잠금홀로부터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130)는 몸체(12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조 보행기(100)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30)는 복수의 바퀴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바퀴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30)는 몸체(120)의 균형이 맞도록 몸체(12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전 보행 보조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통신부(610),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 및 안전 보행 제어부(63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안전 보행 제어부(630)의 제어에 따라 보행 보조기(100)의 핸들부(111)에 삽입된 센서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을 설정 또는 유지할 수 있다.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100)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보행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안전 보행 등급을 관리한다.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신뢰 구간에 특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신뢰 구간의 어느 곳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안전 보행 등급을 확률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의심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 특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의심 구간의 어느 곳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안전 보행 등급을 확률적으로 하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험 구간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면 안전 보행 등급을 2단계 하향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험 구간에 위치하면 의심 구간에서 하향된 등급보다 많은 등급을 하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이 의심 구간에서 2단계 하향되었다면,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는 위험 구간에서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4단계 하향시킬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에 있는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보조 보행기(100) 사용자가 안전 보행을 하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6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이 특정 안전 보행 등급 이하이면 보조 보행기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독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및 외장 하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장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영화 컨텐츠, 음악 컨텐츠, 드라마 컨텐츠 및 뉴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위성 DMB용 방송 센터 및 지상 DMB용 방송 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센터를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으로 표시한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심박수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특정 심박수 이상이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흥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심박수 변화 그래프는 특정 시간 단위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으로 표시한 그래프이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컨텐츠 장르별로 구분되어 구축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예를 들어 장르, 제목, 아티스트, 음높이의 변화 및 템포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장르별로 구분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흥분 상태라고 판단하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흥분 상태에 해당하는 음악, 예를 들어 느린 음악을 독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USB 메모리와 연결되면 사용자의 생체 지수 분석 결과를 USB 메모리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안전 보행 제어부(630)는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640)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6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640)는 특정 기간 단위로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640)는 측정 날짜 및 시간 별로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640)는 날짜별로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감성, 지성 및 신체를 조합한 바이오 리듬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640)는 사용자 상태에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사실을 소리로 알릴 수 있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 및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안전 보행 보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은 전술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에서 수행되므로, 서로 상응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으나, 당업자는 전술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보조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보조 보행기(100)의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수신한다(단계 S71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한다(단계 S72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3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라고 판단되면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한다(단계 S74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관리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보조 보행기(100)의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수신한다(단계 S81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결정한다(단계 S82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신뢰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3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신뢰 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단계 S830),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신뢰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84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신뢰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킨다(단계 S85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보행 보조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 개시된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관리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보조 보행기(100)의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수신한다(단계 S91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의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결정한다(단계 S92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의심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3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의심 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단계 S930),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의심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5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의심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한다고 판단되면(단계 S950)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킬 수 있다(단계 S960).
반면,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의심 구간에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단계 S930),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험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4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에 있는 복수의 구간들 중 위험 구간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단계 S940),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험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50). 안전 보행 보조 장치(113)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험 구간에 특정 시간 동안 위치한다고 판단되면(단계 S950)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킬 수 있다(단계 S960).
도 10은 정규 분포 그래프를 설명하는 참조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규 분포 그래프(1000)의 X축은 표준 생체 지수를 나타내고, 정규 분포 그래프(1000)의 Y축은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나타낸다. 정규 분포 그래프(1000)는 표준 생체 지수 범위에 따라 신뢰 구간(1001), 의심 구간(1002) 및 위험 구간(1003)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보행기(100)의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지수는 정규 분포 그래프(1000)의 복수의 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참조번호(1004)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1000)의 복수의 구간 중 신뢰 구간(1001)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정규 분포 그래프(1000)의 복수의 구간 중 신뢰 구간(1001)에 특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은 상향될 수 있다.
참조번호(1005)는 사용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위치한 구간이 신뢰 구간(1001)에서 의심 구간(1002)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의심 구간(1002)에서 특정 시간 이상 위치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은 하향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상태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이전에 의심 구간(1002)에서 신뢰 구간(100)으로 이동되면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은 원래의 등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보조 보행기 110: 지지부
111: 핸들부 112: 제1 팔 지지부
113: 안전 보행 보조 장치 114: 상부지지다리
120: 몸체 121: 좌측 지지부
122: 우측 지지부 123: 하부지지다리
124: 높이 고정 부재 125: 접이식 의자
126: 제2 팔 지지부 127: 발판
128: 이동 제어부 130: 이동부
610: 통신부 620: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
630: 안전 보행 제어부 640: 표시부

Claims (10)

  1.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에서 실행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표준 생체 지수 범위에 따라 결정된 신뢰 구간, 의심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규 분포 그래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의 보조 보행기 사용자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수치가 상기 정규 분포 그래프에서 최소의 신뢰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신뢰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의심 구간 및 상기 위험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안전 보행 등급이 특정 등급 이하가 되면 상기 보조 보행기의 속도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산소 포화도 및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방법.
  9.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안전 보행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를 파지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생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결정하는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에 따라 상기 보조 보행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안전 보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는
    표준 생체 지수 범위에 따라 결정된 신뢰 구간, 의심 구간 및 위험 구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규 분포 그래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어느 구간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키는 안전 보행 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보행 등급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신뢰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상향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생체 지수가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의심 구간 및 상기 위험 구간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안전 보행 등급을 하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보행 보조 장치.
KR1020120101075A 2012-09-12 2012-09-12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366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75A KR101366645B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075A KR101366645B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645B1 true KR101366645B1 (ko) 2014-03-12

Family

ID=5064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075A KR101366645B1 (ko) 2012-09-12 2012-09-12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335A (ko) * 2019-07-01 2021-01-1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생체인식을 이용한 휠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7084872A (zh) * 2023-09-07 2023-11-21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基于颈部肌电的助行器控制方法、系统、介质及助行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0192A (ja) 2000-11-30 2002-06-14 Hitachi Ltd 歩行者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543888A (ja) 1999-05-12 2002-12-24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歩行装置
KR20050083814A (ko) * 2002-10-24 2005-08-26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운동 장애 치료 시스템들 및 그 방법들
KR20120086995A (ko) * 2011-01-27 2012-08-06 근로복지공단 보행보조용 플랫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888A (ja) 1999-05-12 2002-12-24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歩行装置
JP2002170192A (ja) 2000-11-30 2002-06-14 Hitachi Ltd 歩行者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50083814A (ko) * 2002-10-24 2005-08-26 록히드 마틴 코포레이션 운동 장애 치료 시스템들 및 그 방법들
KR20120086995A (ko) * 2011-01-27 2012-08-06 근로복지공단 보행보조용 플랫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3335A (ko) * 2019-07-01 2021-01-1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생체인식을 이용한 휠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736B1 (ko) * 2019-07-01 2022-09-1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생체인식을 이용한 휠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17084872A (zh) * 2023-09-07 2023-11-21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基于颈部肌电的助行器控制方法、系统、介质及助行器
CN117084872B (zh) * 2023-09-07 2024-05-03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基于颈部肌电的助行器控制方法、系统、介质及助行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ersi et al. Smart medical beds in patient-care environments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state-of-art survey
Baccini et al. Effectiveness of fingertip light contact in reducing postural sway in older people
Härdi et al.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types of walking aids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P3006004B1 (en) Assistance robot
KR101389728B1 (ko)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20190172571A1 (en) Enhanced assistive mobility devices
KR101366637B1 (ko) 보조 보행기
KR101366645B1 (ko)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WO2019127249A1 (zh) 一种用于监测生理信息的智能轮椅系统
Morse et al. The safety of hospital beds: Ingress, egress, and in-bed mobility
Lam Choosing the correct walking aid for patients
JP6456322B2 (ja) 支援方法、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36925B1 (ko) 효율적인 전자 건강 기록이 가능한 보행 보조 로봇
Bujnowski et al. Enhanced remote control providing medical functionalities
Watanabe et al. Effects of active and passive light-touch support on postural stability during tandem standing
Vincent et al. Consensus building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recommending mobility service dogs for people with motor impairments
Powell-Cope et al. Teaching family caregivers to assist safely with mobility
JP6944791B2 (ja) 移動補助装置、管理装置、移動補助システム、移動補助方法、および制御情報提供方法
Herrera et al. Breathing Biofeedback Relaxation Intervention for Wheelchair Users in City Navigation
Veesart et al. Get your patients moving—now!
Harwood et al. Zimmer Frame Use and Back Strain Analysis Using a Finite Element Model
KR101284012B1 (ko) 환상통 치료를 위한 가상현실장치
Letechipia et al. SIRUMED©, software for wheelchair selection. A preliminary report.
Powell-Cope et al. Teaching Family Caregivers to Assist Safely with Mobility: Methods for safe patient handling can and should be used in the home
Elmamoun et al. Walking sticks and frames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