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37B1 - 보조 보행기 - Google Patents
보조 보행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6637B1 KR101366637B1 KR1020120100468A KR20120100468A KR101366637B1 KR 101366637 B1 KR101366637 B1 KR 101366637B1 KR 1020120100468 A KR1020120100468 A KR 1020120100468A KR 20120100468 A KR20120100468 A KR 20120100468A KR 101366637 B1 KR101366637 B1 KR 1013666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biosignal
- auxiliary walker
- auxiliary
- walk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272996 Polyphylla fullo Species 0.000 claims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5021 ga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24 Limb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H2230/045—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G.C., blood pressure modulation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30—Blood pressure
- A61H2230/305—Blood press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50—Temperature
- A61H2230/505—Tempera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70—Body fat
- A61H2230/705—Body fa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골격을 이루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보행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도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접이식 의자를 핌으로써 보조 보행기를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조 보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보행기는 환자나 노약자 그리고 몸이 불편하거나 다리가 불편한 사람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이며, 사용자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가벼운 걷기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몸을 지탱하여 이동할 수 있다.
종래의 보조 보행기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으나, 통상적으로 보조 보행기는 손으로 파지하여 운행할 수 있는 조작 핸들부와, 조작 핸들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통상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 틀을 이룬 몸체와, 몸체의 하단에 구성되는 바퀴를 포함한다. 즉, 종래의 보조 보행기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의 조작 핸들부를 파지하여 이동하면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수레형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환자나 노약자와 같이 몸이 불편한 사람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신체에는 변화가 생길 수 있으나, 종래의 보조 보행기에는 사용자의 신체 변화에 따른 방안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조 보행기는 별도의 의자가 구비되지 않아 무릎장애나 관절염이 있는 환자들에게는 큰 불편함을 주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도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접이식 의자를 핌으로써 보조 보행기를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하는 보조 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에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내장시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한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된 추천 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여 획득한 통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확인시켜줄 수 있는 보조 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보조 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잠금 장치를 통해 보조 보행기를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의 이동이 용이치 않은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보행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보조 보행기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골격을 이루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보행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산소 포화도 및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보행기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고, 상기 통계화된 데이터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는 기 저장된 추천 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추천 보행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추천 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는 특정 시간 단위로 변화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으로 표시한 그래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보행기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잠금 장치 및 상기 잠금 장치에 있는 잠금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보행기를 잠그는 잠금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줄을 상기 잠금홀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도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접이식 의자를 핌으로써 보조 보행기를 휠체어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보조 보행기의 핸들부에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내장시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한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결정된 추천 보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여 통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확인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보조 보행기의 일측면에 있는 잠금 장치를 통해 보조 보행기를 잠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조 보행기의 이동이 용이치 않은 곳으로 이동하여 다른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뒤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뒤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보행기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뒤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있는 보조 보행기를 하부에서 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보행기(100)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와 연결되어 골격을 이루는 몸체(120) 및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조 보행기(1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3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핸들부(111),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는 제1 팔 지지부(112), 핸들부(111)의 중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113) 및 제1 팔 지지부(1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120)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지는 상부지지다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도록 소정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노인의 평균적인 손의 크기에 따라 소정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소정 길이를 갖는 원기둥 모양의 돌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두 손에 파지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생체 신호 처리부(113)를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핸들부(111)는 노인의 평균적인 어깨 넓이만큼 간격을 두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111)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측정 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맥박 측정 센서,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 측정 센서, 사용자의 심전도를 측정하기 위한 심전도 측정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체온 측정 센서, 사용자의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호 포화도 측정 센서 및 사용자의 체지방을 측정하기 위한 체지방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팔 지지부(112)는 핸들부(111)를 파지한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팔 지지부(112)는 ㄷ자 형태, U자 형태 및 ㅁ자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지지다리(114)는 제1 팔 지지부(112)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몸체(120)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다. 상부지지다리(114)는 몸체(120)의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 각각에 있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져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며,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형성된 높이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다리(114)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후에 높이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지지다리(114)는 하부지지다리(123)에 끼워진 상태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사용자의 아래팔이 편안하게 제1 팔 지지부(112)에 놓여질 수 있는 위치가 결정되면, 하부지지다리(123)의 일측면에 있는 높이 고정 부재(1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다리(114) 및 하부지지다리(123)는 제1 팔 지지부(112)에 걸친 환자의 몸무게를 고려하여 휘지 않는 강성이 큰 세라믹 및 스테인리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고,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장치이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장치를 구비한 단말이고,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및 PDP(Plasma Display Pane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디스플레이부상에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획득한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 건강의 이상여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와 기 저장된 생체 신호를 비교하여 사용자 건강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생체 신호의 특성은 생체 신호의 피크점의 개수, 피크점의 크기, 피크점간의 간격 및 생체신호의 영교차점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피크점의 개수가 특정 개수 이상이면, 사용자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사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여 획득한 통계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정 기간 단위는 시간 단위, 일간 단위, 월간 단위 및 연간 단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기 저장된 추천 보행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추천 보행 정보를 결정하여 해당 추천 보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추천 보행 정보는 보행 시간 및 보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외부 장치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에 의해 외장 메모리,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및 외장 하드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되면, 외부 장치에 있는 컨텐츠, 예를 들어 영화 컨텐츠, 음악 컨텐츠, 드라마 컨텐츠 및 뉴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독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위성 DMB용 방송 센터 및 지상 DMB용 방송 센터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센터를 통해 실시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결정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상태를 주파수와 진폭으로 표시한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심박수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가 특정 심박수 이상이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흥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컨텐츠 장르별로 구분되어 구축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예를 들어 장르, 제목, 아티스트, 음높이의 변화 및 템포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장르별로 구분하여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현재 상태가 흥분 상태라고 판단하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흥분 상태에 해당하는 음악, 예를 들어 느린 음악을 독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보조 보행기(100)로 사용되는 경우,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 쪽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접이식 의자(125)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에 의해 보조 보행기(100)가 이동되는 경우,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다른 사용자 쪽을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하고, 일 실시예에 따라,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 및 이어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 처리부(113)은 블루투스(blue tooth)를 통해 이어폰과 연결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USB 메모리와 연결되면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USB 메모리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생체 신호 처리부(113)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몸체(120)는 지지부(110)의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지는 하부지지다리(123)를 각각 포함하는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접이식 의자(125),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에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하는 제2 팔 지지부(126) 및 사용자가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발판(1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다리(123)는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일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지도록 중공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지지다리(123)는 상부지지다리(114)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거나 나오는 원리에 의해 지지부(11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지지다리(123)는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부(110)의 높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높이 고정 부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하부지지다리(123)의 두께는 상부지지다리(114)가 끼워진 상태에서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지지다리(114)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접이식 의자(125)는 연결부재(미도시됨)를 이용하여 몸체(120)의 좌측 지지부(121) 및 우측 지지부(122)의 사이에 형성된다. 접이식 의자(12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접히거나 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접이식 의자(125)를 접은 상태에서 보조 보행기(100)를 이용하여 보행을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보조 보행기(100)를 이용하여 보행하는 중에 접이식 의자(125)를 펴서 보조 보행기(100)를 휠체어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이식 의자(125)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안정되게 사용될 수 있다.
제2 팔 지지부(126)는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변형되어 사용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아래팔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팔 지지부(126)는 ㄷ자 형태 및 U자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팔 지지부(126)는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팔 지지부(126)는 휠체어의 이동을 제어하는 이동 제어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128)는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사용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휠체어의 이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제어부(128)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360도 회전할 수 있고, 사용자에 조작에 따른 방향으로 휠체어가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조작에 따라 이동 제어부(128)가 오른쪽 35도 방향으로 고정되면, 휠체어는 오른쪽 35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발판(127)은 보조 보행기(100)가 휠체어로 사용되는 경우, 접이식 의자(125)에 앉은 사용자의 발이 놓여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판(127)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20)는 보조 보행기(100)를 잠그기 위한 잠금 장치(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는 보조 보행기(100)가 잠기도록 잠금줄이 삽입되는 잠금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잠금 장치는 사용자 인증의 성공 여부에 따라 보조 보행기(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 장치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잠금줄이 잠금홀로부터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130)는 몸체(12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조 보행기(100)를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30)는 복수의 바퀴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바퀴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130)는 몸체(120)의 균형이 맞도록 몸체(120)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보조 보행기 110: 지지부
111: 핸들부 112: 제1 팔 지지부
113: 생체 신호 처리부 114: 상부지지다리
120: 몸체 121: 좌측 지지부
122: 우측 지지부 123: 하부지지다리
124: 높이 고정 부재 125: 접이식 의자
126: 제2 팔 지지부 127: 발판
128: 이동 제어부 130: 이동부
111: 핸들부 112: 제1 팔 지지부
113: 생체 신호 처리부 114: 상부지지다리
120: 몸체 121: 좌측 지지부
122: 우측 지지부 123: 하부지지다리
124: 높이 고정 부재 125: 접이식 의자
126: 제2 팔 지지부 127: 발판
128: 이동 제어부 130: 이동부
Claims (10)
- 보조 보행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가 내장된 핸들부를 포함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골격을 이루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보조 보행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를 일정 기간 단위로 통계화하고, 상기 통계화된 데이터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제공하는 생체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신호 처리부는
기 저장된 추천 보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추천 보행 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하고, 특정 시간 단위로 변화하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주파수와 진폭으로 표시한 생체 신호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보조 보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 길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보행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 신호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 혈압, 심전도, 체온, 산소 포화도 및 체지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보행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잠금 장치 및
상기 잠금 장치에 있는 잠금홀에 삽입되어 상기 보조 보행기를 잠그는 잠금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보행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잠금줄을 상기 잠금홀로부터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보행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468A KR101366637B1 (ko) | 2012-09-11 | 2012-09-11 | 보조 보행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468A KR101366637B1 (ko) | 2012-09-11 | 2012-09-11 | 보조 보행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6637B1 true KR101366637B1 (ko) | 2014-02-25 |
Family
ID=5027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468A KR101366637B1 (ko) | 2012-09-11 | 2012-09-11 | 보조 보행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663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781A (ko) | 2018-02-21 | 2019-08-29 | 비에스티케이(주) | 개선된 보행기 |
KR20210003335A (ko) | 2019-07-01 | 2021-01-1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생체인식을 이용한 휠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44049A (ko) * | 2020-09-29 | 2022-04-06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
KR20230126835A (ko) | 2022-02-24 | 2023-08-31 | (주)에이디이 | 전동형 보행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938U (ja) * | 1991-09-05 | 1993-03-23 | 株式会社四国製作所 | 歩行介助用電動カート |
JP2010088576A (ja) | 2008-10-06 | 2010-04-22 | Omron Healthcare Co Ltd | 生体情報表示装置、生体情報表示システム、統計処理方法および統計処理プログラム |
KR20110007553A (ko) * | 2009-07-16 | 2011-01-24 | (주) 이니투스 | 자전거 잠금 장치 |
KR20120086995A (ko) * | 2011-01-27 | 2012-08-06 | 근로복지공단 | 보행보조용 플랫폼 |
-
2012
- 2012-09-11 KR KR1020120100468A patent/KR1013666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1938U (ja) * | 1991-09-05 | 1993-03-23 | 株式会社四国製作所 | 歩行介助用電動カート |
JP2010088576A (ja) | 2008-10-06 | 2010-04-22 | Omron Healthcare Co Ltd | 生体情報表示装置、生体情報表示システム、統計処理方法および統計処理プログラム |
KR20110007553A (ko) * | 2009-07-16 | 2011-01-24 | (주) 이니투스 | 자전거 잠금 장치 |
KR20120086995A (ko) * | 2011-01-27 | 2012-08-06 | 근로복지공단 | 보행보조용 플랫폼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0781A (ko) | 2018-02-21 | 2019-08-29 | 비에스티케이(주) | 개선된 보행기 |
KR20210003335A (ko) | 2019-07-01 | 2021-01-1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생체인식을 이용한 휠체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KR20220044049A (ko) * | 2020-09-29 | 2022-04-06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
KR102474923B1 (ko) | 2020-09-29 | 2022-12-07 |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바이탈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휠체어 |
KR20230126835A (ko) | 2022-02-24 | 2023-08-31 | (주)에이디이 | 전동형 보행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6637B1 (ko) | 보조 보행기 | |
US10733866B2 (en) | Walker-assist device | |
KR101389728B1 (ko) |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Singh et al. | The aging hand and the ergonomics of hearing aid controls | |
Dickinson et al. | Integrating a standardized mobility program and safe patient handling | |
Strobl | Seating | |
Bertolaccini et al. | The influence of axle position and the use of accessories on the activity of upper limb muscles during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 |
EP3229898B1 (en) | Emergency medical device positionable at two different viewing angles | |
Presperin Pedersen et al. | Wheelchair backs that support the spinal curves: Assessing postural and functional changes | |
KR101366645B1 (ko) | 안전 보행 보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
Lam | Choosing the correct walking aid for patients | |
Jung et al. | Real-time sitting posture monitoring system using pressure sensor | |
US20230079064A1 (en) | Mobility devices with embedded sensors and associated application | |
Williams et al. | Training conditions influence walking kinematics and self-selected walking speed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 |
Wong et al. | Cane design: a preliminary research concerning on cane and elderly users | |
CN206587151U (zh) | 一种四轮助行器 | |
van der Heide et al. | Is it possible to assess the effects of dynamic arm supports on upper extremity range of motion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domestic setting using a portable motion capturing device?–A pilot study | |
Samuelsson et al. | The effect of shaped wheelchair cushion and lumbar supports on under-seat pressure, comfort, and pelvic rotation | |
Lopes et al. | An innovative concept for a walker with a self-locking mechanism using a single mechanical approach | |
Herrera et al. | Breathing Biofeedback Relaxation Intervention for Wheelchair Users in City Navigation | |
Bhidayasiri | Assistive technologies in Parkinson's disease | |
Gorman et al. | Design principles for mobile brain-body imaging devices with optimized ergonomics | |
Patel et al. | A technology for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freezing of Gait (FOG)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 disease | |
Murata et al. | Effects of wheelchair seat-height settings on alternating lower limb propulsion with both legs | |
Nolen et al. | Comparison of gait characteristics with a single-tip cane, tripod cane, and quad c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