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27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272B1
KR101366272B1 KR1020070083311A KR20070083311A KR101366272B1 KR 101366272 B1 KR101366272 B1 KR 101366272B1 KR 1020070083311 A KR1020070083311 A KR 1020070083311A KR 20070083311 A KR20070083311 A KR 20070083311A KR 101366272 B1 KR101366272 B1 KR 10136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latform
support member
rotation
ne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9120A (ko
Inventor
정기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272B1/ko
Priority to CNA2008100019888A priority patent/CN101197980A/zh
Publication of KR2009001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세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세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및 3D displaly 등에 의해 구현되는 TV나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옆면에서 볼 경우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좌우로 회전되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와 이를 조립 및 체결하기 위한 공수가 많아 제조비용과 제조시간 등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 부품의 수가 많은 경우, 조립 공수가 많기 때문에 조립 공차로 말미암아, 특히 대형 TV 세트와 같이 크고 무거운 디스플레이 장치는 쉽게 흔들거리는 Wobble 현상이 발생하여 견고한 지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장치의 부품 수를 대폭 감소시키고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조립이 간단하고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닥면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랫폼; 및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상기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결합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상기 플랫폼에 끼워지는 네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상기 네크부에 끼워지도록 소정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칼럼과, 상기 칼럼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는, 그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칼럼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는, 그 하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네크부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끝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칼럼이 끼워지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단과 상기 칼럼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슬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는 면 및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마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와 상기 플랫폼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플랫폼에 대한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코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네크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홀과,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회전홀 내부에 대응하는 코어샤프트부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코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코어샤프트부의 상단 및 상기 코어고정부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코어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코어샤프트부의 상단 및 상기 코어고정부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너트와 결합하는 코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구조가 단순하고 조립이 간단하 용이하여 조립 공수가 대폭 경감되어 제조비용 및 시간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전 중심점을 플랫폼 위로 이동시키거나, 코어부재에 의해 더욱 위로 회전 중심점을 이동시키므로, 회전중심점을 디스플레이 본체의 무게중심점에 근접시킴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지지부재의 휨이나 Wobble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여 인장응력으로 말미암은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본체(100)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00), 그리고 바닥면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베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는 전체 외장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소정의 영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회로기판 및 전기장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지지베이스(3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를 지지베이스(3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프레이 본체(100)에는 지지부재(200)와 결합하여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지지부(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00)는 상기 지지부(110)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헤드부(210)와, 지지베이스(30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네크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지지베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덮도록 마련되는 베이스 커버(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는 상향으로 소정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랫폼(320)이 구비된다.
상기 플랫폼(320)은 별도의 부재로서 베이스 플레이트(310) 위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포밍(Forming)에 의해 상향 돌출되도록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320)과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일체로 금속 재질로써 형성된다.
상기 플랫폼(320)은 상기 지지부재(200)의 네크부(220)에 결합되는데, 도면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지만 상기 네크부(220)의 안쪽에는 상기 플랫폼(3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캐비티(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럼(321)과 그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플랜지(322)를 포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럼(321)은 소정 높이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네트부(220)의 안쪽으로 끼워지는 부분이고, 상기 플랜지(322)는 상기 네크부(220)의 하단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플랫폼(320)은, 칼럼(321)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네크부(220)의 안쪽에 형성되는 캐비티(미도시)의 상단면에 접촉되고(이하 이 접촉된 면을 "제1접촉면"이라 함), 네크부(220)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322)에 접촉된다(이하 이 접촉된 면을 "제2접촉면"이라 함).
상기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무게로 말미암아 어느 정도 밀착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칼럼(321)의 상단면이 상기 지지부재(200)의 네크부(220)의 안쪽에 형성되는 캐비티(미도시)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네크부(220)의 하단은 상기 플랜지(322)에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재(200)의 헤드부(210)에는 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홈(211)의 하단에는 회전홀(230)이 네크부(2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홀(230)과 연통되도록 상기 플랫폼(320)의 칼럼(321)에는 고정홀(3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홀(230)과 고정홀(323)을 관통하도록 코어부재(400)가 구비된다. 상기 상기 회전홀(230)과 고정홀(323)을 관통한 코어부재(400)는 너트(45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200)와 플랫폼(320)의 결합구조와 코어부재(400)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부재(200), 플랫폼(320), 그리고 코어부재(400) 등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지지부재(200), 플랫폼(320), 그리고 코어부재(400) 등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의 네크부(220)는 그 내부에 캐비티(221)와 테두리부(222)가 마련된다.
즉 상기 캐비티(221)는 칼럼(321)이 끼워져서 접촉되는 부분이고, 상기 테두리부(222)는 플랜지(322)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칼럼(321)은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데, 그 높이는 네크부(220)의 높이에 근접하도록 함이 안정적 지지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지부재(200)의 회전중심은 칼럼(321)의 상단에 형성되는데, 칼럼(321)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지지부재(200)의 회전중심이 높아지고,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무게중심에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무게 중심점에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회전 중심점이 근접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하중으로 말미암은 지지부재(200)의 휨이 방지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본체(100)가 쉽게 흔들거리게 되는 Wobble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코어부재(400)는 회전홀(230)과 고정홀(323)을 관통하여 결합되는데, 지지부재(200)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한다.
물론 코어부재(400)가 없는 경우에도 칼럼(321) 자체가 지지부재(200)의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어부재(400)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재(200)와 베이스 플레이트(310) 사이의 결합력은 더욱 증폭되고, 지지부재(200)의 회전 중심점이 칼럼(321)의 상단을 넘어서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무게 중심점에 더욱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더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어부재(400)는 코어헤드부(410), 코어샤프트(420), 그리고 코어고정 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샤프트(420)는 회전홀(230)에 위치하고, 상기 코어고정부(430)는 고정홀(323)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헤드부(410)는 코어부재(400)가 이탈하지 않고 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홀(230)은 지지부재(200)의 회전과 함께 상기 코어샤프트(420)에 대해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홀(323)은 코어고정부(430)와 결합하여 상기 코어부재(4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어부재(400)는 칼럼(321)의 하단에서 너트(450)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너트(45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코어부재(400)의 하단에는 소정 부위에 상기 너트(450)와 결합하기 용이한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나사산과 나사골을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코어고정부(430)는 고정홀(323)에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되는데, 그 일예로 고정홀(323)을 다각형으로 형성시키고 이 형상에 맞게 코어고정부(430)를 형성시켜 서로 형합시킴으로써 코어부재(400)가 회전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코어샤프트(4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전홀(230)도 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어샤프트(420)를 기준으로 회전홀(230)이 회전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회전홀(230)과 코어샤프트(420)가 서로 접촉되든 서로 이격되어 있든 회전홀(230)이 코어샤프트(42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한편, 지지부재(200)와 플랫폼(320) 사이의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에는 각각 슬립부재(520)와 회전가이드(510)를 구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접촉면은 캐비티(221)의 상단면(네크부의 하단 중심부분)과 칼럼(321)의 상단면 사이에 형성되고, 제2접촉면은 테두리부(222)와 플랜지(3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면과 제2접촉면은 지지부재(200)가 플랫폼(320)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으로서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하중으로 말미암아 마찰력이 너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는 회전이 매우 어려울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접촉면에 슬립부재(520)를, 제2접촉면에는 회전가이드(510)를 삽입함으로써 지지부재(200)가 플랫폼(320)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부재(520)와 회전가이드(510)는 둘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어도 되고 둘 모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부재들이 없어도 회전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제2접촉면에서 네크부(220)의 테두리부(222)가 플랜지(322)를 압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네크부(220)에는 수직방향으로 인장응력이 아닌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인장응력은 과다한 경우 재료를 파괴시키지만 압축응력은 과다한 경우 재료를 수축만 시킬 뿐 파괴시키지는 않는다.
네크부(220)가 플랫폼(322)에 끼워져서 디스플레이 본체(100)의 하중을 받아 캐비티(221) 및 테두리부(222)가 각각 칼럼(321)과 플랜지(322)를 압축하고 있으므로, 네크부(220)에는 압축응력이 작용하고 인장응력의 작용은 배제된다. 따라서 인장응력에 의한 지지부재(20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본체(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네크부(220)에는 인장응력이 걸리지 않고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있어서 인장응력에 의한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지지부재(200)의 네크부(220) 하단의 구성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220)의 하단에는 캐비티(221)와 테두리부(222)가 마련된다. 캐비티(221)의 중심에는 회전홀(230)이 마련된다.
상기 캐비티(221)는 회전홀(230)로부터 소정의 반경까지 움푹하게 리세스(recess)되어 형성되고 그 캐비티(221)의 가장자리부터 네크부(220)의 가장자리까지의 구간이 테두리부(222)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티(221)와 테두리부(222)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리브(223)로써 형성된 것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꽉 찬 네크부 하단부에 캐비티와 테두리부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개의 리브(223)의 안쪽 단부는 캐비티(221)의 외면을 형성하여 칼럼(321)의 외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리브(223)의 하단부는 테두리부(222)를 형성하여 플랜지(322)와 접촉된다.
복수개의 리브(223)로써 캐비티(221)와 테두리부(222)를 형성할 경우 플랫폼(320)과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결국 마찰면적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마찰면적이 작으므로 회전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은 매우 간단하다.
즉 지지부재(200)를 플랫폼(320)에 끼우고 코어부재(400)를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물론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코어부재(400)를 너트(45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조립이 매우 간단하여 작업 공수와 조립 부품수가 매우 적다. 그러면서도 그 지지력은 매우 안정적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코어부재(400)에 관한 사항을 제외하고 지지부재(200)와 플랫폼(320), 베이스플레이트(310), 그리고 회전가이드(510) 등에 관한 사항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된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코어부재(400)가 지지부재(200)를 통해 삽입되지 않고, 플랫폼(320)을 통해 지지부재(200) 쪽으로 삽입된다. 이때 회전홀(230)과 고정홀(32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코어부재(400)는 하단에 코어헤드부(410)가 마련되고, 그 위에 코어고정 부(430), 그 위에 코어샤프트(420)가 마련되며, 상단에 코어결합부(440)가 마련되어 너트(450)와 결합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220)의 테두리부(222)와 플랫폼(320)의 플랜지(322) 사이에 구비되는 회전가이드(510)는 그 상단면과 하단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마디부(511)가 마련된다.
상기 마디부(511)는 회전가이드(5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511)는 여러 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디부(511)는 테두리부(222) 또는 플랜지(322)와의 마찰면적을 작게하여 용이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부재와 플랫폼의 결합 구조에 관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쪽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4)

  1. 바닥면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플랫폼; 및
    디스플레이 본체에 결합되어 지지하며, 상기 플랫폼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본체와 결합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상기 플랫폼에 끼워지는 네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네크부에 끼워지도록 소정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칼럼과,
    상기 칼럼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그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칼럼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바깥쪽에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그 하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리브와,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하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테두리부와,
    상기 네크부의 하단과 상기 복수개의 리브의 끝단부로 형성되며, 상기 칼럼이 끼워지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단과 상기 칼럼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슬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플랜지에 접촉하는 면 및 상기 테두리부에 접촉하는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는 복수개의 마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상기 플랫폼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플랫폼에 대한 회전의 중심을 이루는 코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회전홀과,
    상기 플랫폼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재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회전홀 내부에 대응하는 코어샤프트부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코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코어샤프트부의 상단 및 상기 코어고정부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코어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재는,
    상기 코어샤프트부의 상단 및 상기 코어고정부의 하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너트와 결합하는 코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83311A 2007-08-20 2007-08-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11A KR101366272B1 (ko) 2007-08-20 2007-08-20 디스플레이 장치
CNA2008100019888A CN101197980A (zh) 2007-08-20 2008-01-0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311A KR101366272B1 (ko) 2007-08-20 2007-08-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120A KR20090019120A (ko) 2009-02-25
KR101366272B1 true KR101366272B1 (ko) 2014-02-20

Family

ID=3954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311A KR101366272B1 (ko) 2007-08-20 2007-08-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6272B1 (ko)
CN (1) CN1011979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96B1 (ko) * 2010-11-09 2017-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364203A (zh) * 2011-10-11 2012-02-29 江苏毅昌科技有限公司 一种高强度复合底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2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70030714A (ko) * 2005-09-13 200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29A (ko) * 2005-06-13 2006-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20070030714A (ko) * 2005-09-13 200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97980A (zh) 2008-06-11
KR20090019120A (ko)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0557B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30788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wall moun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2043345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면 고정 구조
JP2004522920A (ja) 平面型液晶表示画面用の支持装置
US20170127536A1 (en) Display device
KR1013662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46389A1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575346B2 (en)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device
US10881012B1 (en) Anti-dismantle device
WO2014069456A1 (ja) 表示装置
US7690082B2 (en) Multidirectional spindle construction
US8593796B2 (en)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 stand
US20100027198A1 (en) Monitor and supporting mechanism for the same
KR101840029B1 (ko) 표시장치
KR1013709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90832A1 (en)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JP5002700B2 (ja) テレビおよび電子機器
US20100320886A1 (en) Display Device
JP4065753B2 (ja) 機器の梱包方法
US7494105B2 (en) Antislip rubber member for support
JP2011211522A (ja) スピーカー
KR20090081817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388004Y1 (ko) 복수개의 모니터용 스탠드
JPH0535711Y2 (ko)
JP2812926B2 (ja) 高さ調節用ナットとそ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