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173B1 -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173B1
KR101366173B1 KR1020120109720A KR20120109720A KR101366173B1 KR 101366173 B1 KR101366173 B1 KR 101366173B1 KR 1020120109720 A KR1020120109720 A KR 1020120109720A KR 20120109720 A KR20120109720 A KR 20120109720A KR 101366173 B1 KR101366173 B1 KR 10136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glasses
finger
display screen
mou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욱
Original Assignee
김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욱 filed Critical 김기욱
Priority to KR102012010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는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경과 연동되고 손가락에 장착되어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화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는 신체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표면에 형성되고,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포인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A phoning finger mouse interlocked with smart glasses}
본 발명은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안경과 연동되고 손가락에 장착되어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자유롭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화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킨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기전자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스마트 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들이 개발되고, 대중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기술개발 경향에 따라 IT업체에서는 스마트 안경을 개발하여 보급하려 하고 있는데, 스마트 안경은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필요시 안구의 전방에 나타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인터넷과 같은 각종 컨텐츠를 3G,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고 자유롭게 각종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 안경은 머리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임에 따라,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각종 컨텐츠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므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서, 밴드 형상이나 골무 형상 또는 반지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간편하게 끼워지는 핑거마우스가 스마트 안경과 연동되면서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자유롭고 간편하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안경의 활용성, 조작성,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핑거마우스에 마이크나 스피커가 형성되도록 하여 손가락에 핑거마우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화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신체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표면에 형성되고,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포인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에서 상기 본체는 유연성 소재로 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감기면서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밴드형 본체와,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 끝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골무형 본체 및,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반지형 본체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에서 상기 포인터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적외선을 투사시키고, 상기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형성되는 마우스 포인터와 연동되어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도용 신호기와;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에 맞추어져 해당 컨텐츠의 선택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가 활성되도록 하는 컨텐츠선택용 신호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용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송화기 기능도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수화기 기능도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에 의하면, 밴드형상, 골무형상, 반지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끼워지는 핑거마우스가 스마트 안경과 연동되어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구조의 제공으로 스마트 안경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선택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스마트 안경의 활용성, 조작성,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핑거마우스에 마이크나 스피커가 형성되어 송화기와 수화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핑거마우스의 활용성이 증대되고, 핑거마우스 하나를 통해 마우스 기능과 전화기 기능을 동시에 제공받음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마우스와 연동될 수 있는 스마트 안경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가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의 (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가 손가락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통해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가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마우스, 핑거마우스, 스마트 안경, 블루투스 통신, 마이크, 스피커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핑거마우스(100)는 스마트 안경(200)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스마트 안경(200)은 3G,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과 같은 각종 컨텐츠를 안경 착용자에게 제공하여 안경 착용자가 편하고 자유롭게 각종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기기로서, 이와 같은 각종 컨텐츠는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표시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은 도 1에서와 같이 안경렌즈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안경(200)은 도 2에서와 같이 각종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을 운용하게 되는 메인 컨트롤러(220), 핑거마우스(100)와 블루투스통신하게 되는 블루투스 통신기(231)와 같은 무선통신기를 구비하게 되는 통신모듈(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안경(200)은 도 3에서와 같이 전화기의 수화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피커(24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스마트 안경(200)과 연동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마우스(100)는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0), 포인터(20), 통신모듈(30), 마이크(40), 스피커(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는 신체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체(10)는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유연성 소재로 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감기면서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밴드형 본체(10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형 본체(10a)는 일단부 상면과 타단부 저면에 벨크로(11a)(11b)가 형성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손가락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본체(10)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 끝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골무형 본체(10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는 도 8에서와 같이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반지형 본체(10c)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포인터(20)는 본체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포인터(20)는 도 9에서와 같이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으로 무선신호를 투사시키고,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형성되는 마우스 포인터(211)와 연동되어 마우스 포인터(211)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도용 신호기(21)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유도용 신호기(21)에 의해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으로 투사되는 무선신호는 적외선 신호이다. 물론 무선신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포인터(20)는 도 9에서와 같이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에 맞추어져 해당 컨텐츠의 선택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가 활성되도록 하는 컨텐츠선택용 신호기(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핑거마우스(100)는 포인터(20)를 이루는 이동유도용 신호기(21)와 컨텐츠선택용 신호기(22)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핑거마우스(100)로 구비된다. 물론, 포인터(20)를 이루는 이동유도용 신호기(21)와 컨텐츠선택용 신호기(22)가 하나의 핑거마우스(100)에 동시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신모듈(30)은 스마트 안경(200)과 블루투스통신하게 되는 블루투스 통신기(31)와 같은 무선통신기를 구비하여 스마트 안경(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통신모듈(30)은 전화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 안경(200)으로부터 외부의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스피커(50)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마이크(40)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스마트 안경(200)으로 송신하여 스마트 안경(200)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외부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40)는 본체(1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용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것으로, 전화기의 송화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스피커(50)는 본체(10)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전화기의 수화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핑거마우스(100)는 마이크(40)와 스피커(50)가 독립적으로 형성된 한쌍의 핑거마우스(100)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한쌍으로 구비되는 핑거마우스(100)는 도 10과 도 11에서와 같이 다양한 손가락 동작으로 신체와 입 부위와 귀 부위에 위치되어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 안경(200)에 전화기의 수화기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240)가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마우스(100)에는 스피커(50)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신체와 입 부위에 위치되는 하나의 핑거마우스(100)를 통해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마우스(100)는 도 9에서와 같이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의 각 위치 상에 다수의 컨텐츠가 표시되면, 이동유도용 신호기(21)가 형성된 핑거마우스(100)를 스마트 안경(200) 전방에 위치시켜 이동유도용 신호기(21)로부터 무선신호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으로 투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투사된 무선신호와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형성되는 마우스 포인터(211)가 서로 연동되면서 손가락의 이동에 따른 핑거마우스(100)의 이동유도용 신호기(21)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210)에 형성되는 마우스 포인터(211)가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마우스 포인터(211)가 사용자가 선택하고 싶어 하는 해당 컨텐츠의 위치에 맞추어지면, 컨텐츠선택용 신호기(22)가 형성된 핑거마우스(100)를 스마트 안경(200) 전방에 위치시켜 컨텐츠선택용 신호기(22)와 스마트 안경(200)의 해당 컨텐츠 간 동기화에 의해 해당 컨텐츠의 선택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해당 컨텐츠가 활성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밴드형 본체(10a), 골무형 본체(10b), 반지형 본체(10c) 등으로 이루어진 핑거마우스(100)가 손가락에 끼워져 스마트 안경(200)과 연동되어 스마트 안경(2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210) 상의 컨텐츠를 선택함에 딸, 스마트 안경(200)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선택이 간편하고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스마트 안경(200)의 활용성, 조작성, 편의성도 향상되게 된다. 또한, 핑거마우스(100)에 마이크(40)나 스피커(50)가 형성되어 전화기의 송화기나 수화기 기능도 도이에 수행함에 따라, 핑거마우스(100)의 활용성이 증대되고, 핑거마우스(100) 하나를 통해 마우스 기능과 전화기 기능을 동시에 제공받음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도 증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0a : 밴드형 본체
10b : 골무형 본체 10c : 반지형 본체
11a, 11b : 벨크로 20 : 포인터
21 : 이동유도용 신호기 22 : 컨텐츠선택용 신호기
30, 230 : 통신모듈 31, 231 : 블루투스 통신기
40 : 마이크 50, 240 : 스피커
100 : 핑거마우스 200 : 스마트 안경
210 : 디스플레이 스크린 211 : 마우스 포인터
220 : 메인 컨트롤러

Claims (5)

  1. 유연성 소재로 된 띠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감기면서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밴드형 본체와, 골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 끝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골무형 본체 및, 중공형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반지형 본체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본체와;
    상기 본체 표면에 형성되고, 스마트 안경의 안경렌즈 형상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는 포인터를 포함하되,
    상기 포인터는 상기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무선신호인 적외선 신호를 투사시키고, 상기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형성되는 마우스 포인터와 연동되어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도용 신호기와;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위치에 맞추어져 해당 컨텐츠의 선택동작을 수행하여 해당 컨텐츠가 활성되도록 하는 컨텐츠선택용 신호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용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음성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송화기 기능과 수화기 기능도 동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09720A 2012-10-02 2012-10-02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KR10136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0A KR101366173B1 (ko) 2012-10-02 2012-10-02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20A KR101366173B1 (ko) 2012-10-02 2012-10-02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173B1 true KR101366173B1 (ko) 2014-02-24

Family

ID=5027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20A KR101366173B1 (ko) 2012-10-02 2012-10-02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66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이용하여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087A (ko) * 1999-06-28 2001-01-15 박준일 반지형 터치패드
KR20050025837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5396A (ko) * 2009-04-19 2010-10-28 김기주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무선 손가락 마우스
KR20110063075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087A (ko) * 1999-06-28 2001-01-15 박준일 반지형 터치패드
KR20050025837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15396A (ko) * 2009-04-19 2010-10-28 김기주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무선 손가락 마우스
KR20110063075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처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스처 인식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366A1 (ko) * 2018-02-14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개구부들을 이용하여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US11188033B2 (en) 2018-02-14 2021-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comprising microphone for obtaining sound by using plurality of open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91045B1 (en) Wearable smart device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JP5661935B2 (ja) ユーザのための方法及びウェアラブル装置
KR2016012010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11224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19915B2 (en) Smart laser phone
KR201601225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및 제어 방법
JP2011237953A (ja)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180033185A (ko) 이어셋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6173B1 (ko) 스마트 안경 연동식 전화기겸용 핑거마우스
KR2017001855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2811A (ko) 손목착용형 디바이스를 착용한 손의 제스처를 통해 필기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475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09072A (ko)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6012211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47059B1 (ko) 착용형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원격 제어 방법
KR20100117053A (ko) 앞뒤 두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그 작동 방식
US20190025914A1 (en) Finger control device combinable with bluetooth functions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83864B1 (ko) 무선통신 기기들 간의 음성이나 데이터의 공유를 지원하기 위한 허브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4046595U (zh) 可穿戴设备
CN102572102A (zh) 利用光感应的投影手机
CN202632508U (zh) 一种多媒体移动终端的无线控制器
KR201700116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89811B1 (ko)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