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072A -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072A
KR20150009072A KR1020130082491A KR20130082491A KR20150009072A KR 20150009072 A KR20150009072 A KR 20150009072A KR 1020130082491 A KR1020130082491 A KR 1020130082491A KR 20130082491 A KR20130082491 A KR 20130082491A KR 20150009072 A KR20150009072 A KR 20150009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de
communication
call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식
김병수
김슬아
김찬원
엄승연
이두만
정한빛
최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072A/ko
Priority to PCT/KR2014/006247 priority patent/WO2015005718A1/en
Priority to US14/899,286 priority patent/US20160150355A1/en
Priority to EP14823197.0A priority patent/EP3020136A4/en
Priority to CN201480039797.4A priority patent/CN105474134B/zh
Publication of KR2015000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전자 장치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전자 장치와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전자 장치의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 장치는 개개인의 필수 통신 장치로 사용된다. 더욱이, 전자 장치에서 음성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데이터 통신, 동영상 재생, 오디오 재생 및 메신저, 일정관리, 알람 기능 등의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파지된 상태의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파지된 전자 장치를 사용자의 귀와 입 사이에 위치시켜야 한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손목과 같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기기(wearable device)로 상기 전자 장치와 연동이 가능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자 장치는 주머니, 가방 등에 보관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연동된 전자 장치는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로 동작하거나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제 2 전자 장치와 연동한 전자 장치에서 통화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 3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 중 미리 정한 범위 안에 제 2 전자 장치가 접근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2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은 근거리 통신, 비접촉 통신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제 2 전자 장치의 근접을 확인하는 동작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것은 통화 데이터, 상기 제 3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전자 장치와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비접촉 통신을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모션 정보, 위치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시간 정보, 주변 잡음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황 정보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태깅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인접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태깅되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확장형 스피커, 전자 시계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CDMA, W-CDMA, GSM, VoIP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거나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 동작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변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및,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최근 다양하게 이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정보의 입력과 표시를 하나의 스크린에서 수행하는 입력 또는 표시 장치이다. 이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키패드와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를 제거하여 표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전체가 터치스크린이 적용된 풀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전면을 화면으로 활용하여 화면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손목과 같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제 2 전자 장치(wearable device)와 연결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 중인 상대방 사용자와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과 같은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 손가락에 대한 입력, 음성 명령, 하드웨어적 버튼 입력 또는 기타 센서로 수신되는 특정 입력 등을 감지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제 1 통화 모드)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제 2 통화 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통화 모드 수행 중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제 1 통화 모드로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2 통화 모드 수행 중 통화가 불가능한 정도의 주변 소음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통화 모드로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통화 모드 수행 중 제 2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1 통화 모드로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통화 모드 수행 중 제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제 2 통화 모드로 변경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 2 전자 장치와의 접근을 인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의 접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주변 잡음, 현재 위치, 전자 장치의 모션 등을 감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지원하거나 또는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전자 장치는 송수신 기능 가운데 하나의 기능만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송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수신 전용의 기기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컴퓨터, 냉장고, 멀티기능 복합기 (multi-function peripheral), 비디오 게임 콘솔, 디지털 카메라, 휴대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UMPC), 네비게이션, 스마트 TV, 디지털 시계, MP3 재생기, 전자 앨범, 전자 장치를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또는 프로젝터(projector) 등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와 다른 입력수단을 가진 전자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도 본 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더하여, 본 개시에서 언급한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연동)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신체에 착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밴드 형식으로 신체에 고정되는 것이 될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신체에 매달 수 있는 것이 될 수 있다. 더하여, 지지대를 이용하여 신체에 고정시키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오디오 처리부(130), 통신 시스템(140), 입출력 제어 모듈(150), 터치스크린(160) 또는 입력 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전화번호부, 발신메시지 또는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며, 연동 가능한 제 2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 2 전자 장치에 대한 블루투스 ID, 페어링 정보 등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통화 모드 변경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접근 여부, 상황 정보 등을 이용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112)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운영체제 프로그램(113), 통신 프로그램(114), 제어 프로그램(115)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된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장치는 운영체제 모듈, 통신 모듈, 제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또는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또는 관리, 전력 제어 또는 관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체제 프로그램(113)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프로그램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은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상대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으며, 상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로 설정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한 상태에서 제 3자와 통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자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3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 상기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 등을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해당하는 통화 모드가 동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NFC,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되어야 하는 통화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은 상기 전자 장치의 모션 정보, 위치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동작되어야 하는 통화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를 인지하거나 또는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상기 응용프로그램(116)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상기와 같이 상황 정보 또는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에 따라 통화 모드가 변경되는 기능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상기 터치 스크린(16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그램은 통화 모드 변경 동작, 통화 모드 변경 조건 등을 설정하는 동작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122) 또는 인터페이스(124)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프로세서(122)와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의 연결을 제어하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100)의 통화 모드 변경 기능은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같은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131) 또는 마이크로폰(1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상기 전자 장치(100)의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시스템(1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제어 모듈(150)은 터치 스크린(160) 또는 입력 장치(1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60)은 정보의 디스플레이 또는 정보의 입력을 수행하는 입출력 장치로, 터치 입력부(161)와 디스플레이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패널을 통해 감지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 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입력부(161)는 터치 정보를 터치 다운(touch_down), 터치 움직임(touch_move) 또는 터치 업(touch_up)과 같은 명령어 구조로 변경하여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 통화 모드 변경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 등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또는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62)는 통화 모드 변경 동작, 통화 모드 변경 조건 등을 설정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장치(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 모듈(150)을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7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버튼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입력, 통화 모드 변경 조건을 설정하는 입력 등을 감지하여 상기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전자 장치(100)는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영상 데이터 획득을 위한 이미지 센서 또는 근접 센싱을 위한 근접 센서 모듈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 및 제 3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악세사리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는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호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1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통신 시스템(140)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블루투스, 무선랜, NFC 등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19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120)는 CDMA, W-CDMA, GSM, VoIP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13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13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음성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CDMA, W-CDMA, GSM, VoIP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이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에 의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시점을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서 제 2 전자 장치(190)의 접근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0)는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서 NFC,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에 대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메모리(196)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통신 시스템(194)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블루투스, 적외선, 무선랜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전자 장치(100)와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시점을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92)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전자 장치의 접근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NFC,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에 대한 신호 세기가 임계값 이상일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통화 모드 변경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쪽 손목에 제 2 전자 장치를 착용하고 다른 한손에 파지된 제 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는 NFC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NFC 모듈을 이용하여 상대 전자 장치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 및 제 2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는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호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된 제 2 전자 장치(19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통신 시스템(140)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블루투스, 무선랜, NFC 등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19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120)는 CDMA, W-CDMA, GSM, VoIP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13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13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음성을 인코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14)을 통해서 CDMA, W-CDMA, GSM, VoIP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가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이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에 의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시점을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의 상황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어 프로그램(115)을 통해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190)의 모션 정보, 배터리 잔량, 주변 잡음, 위치 정보 등이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메모리(196)의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통신 시스템(194)이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통화 음성을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상기 통신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블루투스, 적외선, 무선랜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 1 전자 장치(100)와 연결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190)의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시점을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92)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8)을 통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 및/또는 제 2 전자 장치(190)의 모션 정보, 배터리 잔량, 주변 잡음, 위치 정보 등이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프로세서(192)는 제어 프로그램(199)을 통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100)로부터 통화 모드 변경을 지시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통화 모드 변경을 위한 시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 변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이 가능하고, 제 3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기능, 무선랜 기능, NFC 기능, 적외선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01과 같이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서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이 가능한 기기로,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안경(smart glass), 블루투스 헤드셋 등과 같이 신체에 장착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03과 같이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CDMA, W-CDMA, GSM, VoIP 등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05와 같이 제 3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07과 같이 동작 모드 변경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제 1 동작 모드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동작시키는 제 2 동작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 여부를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 모드의 변경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판단하거나 NFC 등과 같은 비접촉 통신을 지원하는 기기를 감지하여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배터리 잔량, 주변 잡음, 위치 정보, 모션 정보 등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미리 정해진 동작 모드 변경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09와 같이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송수신하는 모드가 제 1 동작 모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11과 같이 제 1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중 동작 모드 변경 시점을 확인할 경우, 제 2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215와 같이 제 2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중 동작 모드 변경 시점을 확인할 경우, 제 1 동작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제 1 전자 장치)와 연동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디바이스(wearable device)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안경(smart glass), 블루투스 헤드셋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동작 301과 같이 제 1 전자 장치와 연결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무선랜, 적외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동작 303과 같이 제 2 동작 모드를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동작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로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모드를 말한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동작 305와 같이 제 2 동작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을 입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동작 307과 같이 제 1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근거리 통신의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하거나 또는 비접촉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 상황을 직접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근접되는 상황을 알리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동작 309와 같이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 상황에서는 제 2 동작 모드를 중단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는 상황에서 제 1 전자 장치가 근접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이 가능하고, 제 3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기능, 무선랜 기능, NFC 기능, 적외선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01과 같이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서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이 가능한 기기로,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안경(smart glass), 블루투스 헤드셋 등과 같이 신체에 장착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03과 같이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CDMA, W-CDMA, GSM, VoIP 등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05와 같이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07과 같이 통화 중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상황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였다고 판단될 정도로 인접하는 상황이 발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무선랜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임계값 이상의 신호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펠리카(FeliCa), RFID 통신 등과 같은 비접촉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통화 중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제 3 전자 장치와의 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09와 같이 통화 중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됨을 확인할 경우, 제 1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통화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11과 같이 제 1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됨을 확인할 경우, 제 2 통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통화 모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통화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제 1 전자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제 3 전자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415와 같이 제 2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근접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 1 통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연결은 유지한 채로 일시적으로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화로만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통화로를 해제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의 통화가 종료되기 전까지 제 2 전자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자 장치의 통화 모드 변경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와 제 1 통신이 가능하고, 제 3 전자 장치와 제 2 통신이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기능, 무선랜 기능, NFC 기능, 적외선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성통화 기능, 화상통화 기능,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01과 같이 상기 제 1 통신을 통해서 제 2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와 연동이 가능한 기기로, 일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시계(smart watch), 스마트 안경(smart glass), 블루투스 헤드셋 등과 같이 신체에 장착 가능한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03과 같이 상기 제 2 통신을 통해서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CDMA, W-CDMA, GSM, VoIP 등의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05와 같이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07과 같이 통화 모드 전환을 위한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 주변 잡음, 현재 위치, 전자 장치의 모션 등을 감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09와 같이 통화 모드 전환을 위한 상황 정보, 다시 말해서, 미리 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황 정보가 인지되면 제 1 통화 모드로 통화를 수행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통화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11과 같이 제 1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통화 모드 전환을 위한 상황 정보가 인지되면, 제 2 통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통화 모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제 2 통화 모드로 동작할 경우,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제 1 전자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제 3 전자 장치에 대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동작 515와 같이 제 2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중 상기 통화 모드 전환을 위한 상황 정보가 인지되면, 제 1 통화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의 통화가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로 제공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착용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시계)(601)가 제 2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오른손에 파지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603)가 제 1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603) 및 제 2 전자 장치(601)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펠리카(FeliCa), RFID 통신 등과 같은 비접촉식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603)는 이러한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제 2 전자 장치(601)가 근접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 변경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603)가 상기 제 1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중 상기 제 2 전자 장치(601)의 접근을 확인할 경우, 통화 모드를 제 2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603)가 상기 제 2 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중 상기 제 2 전자 장치(601)의 접근을 확인할 경우, 통화 모드를 제 1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사용자가 제 2 전자 장치(601)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인 "jeremy"와 통화중인 상황에서 제 1 전자 장치(603)를 제 2 전자 장치(601)에 접근시킨 후, 통화 모드를 변경(605)하여 제 1 전자 장치(603)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607)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상황을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가운데 제 1 전자 장치(603)를 제어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모드로 동작 중인 제 1 전자 장치(603)에 저장된 이미지, 전화 번호 등의 기록을 조회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제 2 전자 장치(601)를 제 1 전자 장치(603)를 태깅한 후 사용자의 귀로 이동시켜 통화를 유지함과 동시에 제 1 전자 장치(603)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자 장치(603)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601)와 태깅되는 시점에 통화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자는 제 2 전자 장치(601)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로 제공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착용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시계)(703)가 제 2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오른손에 파지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가 제 1 전자 장치(705)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705) 및 제 2 전자 장치(703)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705) 및 제 2 전자 장치(703)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위치(예컨대, 집)(701)에서는 제 2 전자 장치(703)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인 "jeremy"와 통화중인 상황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통화 모드를 변경(707)하여 제 1 전자 장치(705)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709)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로 제공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착용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시계)(803)가 제 2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오른손에 파지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805)가 제 1 전자 장치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805) 및 제 2 전자 장치(803)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805) 및 제 2 전자 장치(803)는 배터리 잔량을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은 사용자가 제 2 전자 장치(803)를 이용하여 상대방 사용자인 "jeremy"와 통화중인 상황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부족한 경우, 통화 모드를 변경(807)하여 제 1 전자 장치(805)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809)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전자 장치와 제 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로 제공하는 제 1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전자 장치는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통화 음성을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통화 음성을 상대방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 2 통화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 사용자의 왼쪽 손목에 착용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시계)(901)가 제 2 전자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오른손에 파지된 기기(예컨대, 스마트 폰)가 제 1 전자 장치(903)가 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 1 전자 장치(903) 및 제 2 전자 장치(901)는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전자 장치(903) 및 제 2 전자 장치(901)는 모션 변화(907)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905)한 후, 제 1 전자 장치(903)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909)할 수 있다.
더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주변 잡음을 감지하여 통화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는 주변 잡음에 의해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상기 제 1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유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가 통화 모드를 변경하는 내용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에는 확장형 스피커에 해당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서 오디오 미디어, 영상 미디어를 재생하는 도중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 미디어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제 2 전자 장치에 대한 접근 또는 상황 정보를 인지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제 1 전자 장치 또는 제 2 전자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3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 중 미리 정한 범위 안에 제 2 전자 장치가 접근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제 1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2 모드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은,
    근거리 통신, 비접촉 통신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하도록 구성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통화하는 모드인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확인하는 동작은,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제 2 전자 장치의 근접을 확인하는 동작인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것은,
    통화 데이터, 상기 제 3 전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데이터의 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인 방법.
  6. 제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 3 전자 장치와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1 전자 장치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통화 데이터를 상기 제 3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화 모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비접촉 통신을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모션 정보, 위치 정보, 배터리 잔량 정보, 시간 정보, 주변 잡음 정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황 정보를 인지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의 태깅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 2 전자 장치의 접근을 확인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전자 장치가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로 인접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자 장치와 태깅되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제 1 전자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 장치는,
    확장형 스피커, 전자 시계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CDMA, W-CDMA, GSM, VoIP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 3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화 데이터를 제 2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 1 전자 장치.
KR1020130082491A 2013-07-12 2013-07-12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50009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91A KR20150009072A (ko) 2013-07-12 2013-07-12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PCT/KR2014/006247 WO2015005718A1 (en) 2013-07-12 2014-07-11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4/899,286 US20160150355A1 (en) 2013-07-12 2014-07-11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14823197.0A EP3020136A4 (en) 2013-07-12 2014-07-11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mod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201480039797.4A CN105474134B (zh) 2013-07-12 2014-07-11 控制操作模式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491A KR20150009072A (ko) 2013-07-12 2013-07-12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72A true KR20150009072A (ko) 2015-01-26

Family

ID=5228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491A KR20150009072A (ko) 2013-07-12 2013-07-12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150355A1 (ko)
EP (1) EP3020136A4 (ko)
KR (1) KR20150009072A (ko)
CN (1) CN105474134B (ko)
WO (1) WO2015005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098A1 (en) * 2015-09-01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ach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7768A1 (en) * 2017-08-21 2019-02-2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ethod of transferring a call, user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KR102359316B1 (ko) 2017-08-31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콜 제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3994345A (zh) * 2019-04-17 2022-01-28 苹果公司 无线可定位标签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4233B2 (en) * 2000-06-21 2004-03-30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video telephone system
KR100501189B1 (ko) * 2003-05-15 2005-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착신 알림 방법
US8923835B2 (en) * 2004-11-22 2014-12-3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Bring call here selectively
JP4432787B2 (ja) * 2005-01-31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7105436A1 (ja) * 2006-02-28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ウェアラブル端末
KR101650383B1 (ko) * 2010-04-09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WO2011160273A1 (en) * 2010-06-21 2011-12-2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communication sessions
TWI487364B (zh) * 2011-12-01 2015-06-01 Amtran Technology Co Ltd 裝置間切換通話之方法及通訊電子裝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098A1 (en) * 2015-09-01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ach device
US10185429B2 (en) 2015-09-01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a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0136A1 (en) 2016-05-18
EP3020136A4 (en) 2017-02-15
WO2015005718A1 (en) 2015-01-15
US20160150355A1 (en) 2016-05-26
CN105474134B (zh) 2019-06-04
CN105474134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6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KR102152754B1 (ko) 블루루스 디바이스에서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CN104038536B (zh) 插件通信方法和装置
CN104640166B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2404444A (zh) 移动终端、电子系统以及使用其传送和接收数据的方法
CN104902059A (zh) 来电提醒方法及装置
CN104683568A (zh) 信息提醒方法和装置
CN104394500A (zh) 利用可穿戴设备寻找终端的方法及装置
KR20130111749A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731362B2 (ja) 電子機器
CN104935729B (zh) 音频输出方法和装置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600003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767857A (zh) 基于云名片的电话呼叫方法及装置
KR201500951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554631B (zh) 音频切换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8503150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のポイント報告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50009072A (ko) 동작모드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118111A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CN104881342A (zh) 终端测试方法及装置
KR2015008413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281431B (zh) 音频播放的方法及装置
KR101685361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662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5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