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811B1 -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811B1
KR101089811B1 KR1020110064104A KR20110064104A KR101089811B1 KR 101089811 B1 KR101089811 B1 KR 101089811B1 KR 1020110064104 A KR1020110064104 A KR 1020110064104A KR 20110064104 A KR20110064104 A KR 20110064104A KR 101089811 B1 KR101089811 B1 KR 101089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hands
free
fish
video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희준
박영운
조규성
Original Assignee
신일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하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 피시와 동일한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태블릿 피시와 동일하게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로서 역할을 제공하며, 태블릿 피시의 개인 통신 기능인 전화통화와 문자메세지 수신을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있어서,
태블릿 피시의 통신부에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비디오램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정보를 표시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상기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태블릿 피시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태블릿 피시와 동일한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태블릿 피시와 동일하게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로서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태블릿 피시의 개인 통신 기능인 전화통화와 문자메세지 수신을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Hands-free for Tablet PC.}
본 발명은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블릿 피시와 동일한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태블릿 피시와 동일하게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로서 역할을 제공하며, 태블릿 피시의 개인 통신 기능인 전화통화와 문자메세지 수신을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하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동전화용 핸즈프리가 있었으나, 최근의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종래의 이동전화용 핸즈프리를 그대로 전용하여 사용하는 실태이다.
이동전화용 핸즈프리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6-48283호에 서술하고 있다.
상기의 이동전화용 핸즈프리는 핸즈프리로서는 화면을 제공하는 등 최선의 사양을 가진 핸즈프리이지만, 태블릿 피시용의 핸즈프리로서는 다소 불편함 점이 있었다.
태블릿 피시(PC)는 오에이(OA) 사무용기기로서의 사무기능과 전화 통화 및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는 개인 통신 기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전화용 기기와는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었으며 태블릿 피시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및 문서 작성 및 저장 등 피시와 다를바 없는 사무용 기기로서도 손색이 없다.
그러므로 태블릿 피시를 이용한 사무 작성 프로그램 등도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태블릿 피시의 전화통화를 위하여는 종래의 이동전화용 핸즈프리를 이용하게 되는 등 새로이 개발되지 않은 핸즈프리를 사용하게 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이동전화용 핸즈프리는 화면이 터치식으로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태블릿 피시에 맞추어 사무용 프로그램을 보조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태블릿 피시에서 게임 등을 할 때에도 보조장치로서 역할도 수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고자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핸즈프리의 단점을 극복하고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태블릿 피시와 동일한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태블릿 피시와 동일하게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로서 역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태블릿 피시의 개인 통신 기능인 전화통화와 문자메세지 수신을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태블릿 피시의 저장공간을 마련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저장공간을 확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태블릿 피시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독자적으로 엠피쓰리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태블릿 피시의 통신부에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비디오램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정보를 표시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상기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태블릿 피시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태블릿 피시와 동일한 작은 사이즈의 화면을 태블릿 피시와 동일하게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하여 동기화를 함으로써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로서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태블릿 피시의 개인 통신 기능인 전화통화와 문자메세지 수신을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블릿 피시의 저장공간을 마련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저장공간을 확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태블릿 피시와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독자적으로 엠피3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및 태블릿 피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의 전체 블록도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있어서,
태블릿 피시의 통신부에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비디오램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정보를 표시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상기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태블릿 피시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태블릿 피시(100)와,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를 연동하기 위하여 연동채널(300)로 통신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에 태블릿 피시(100)의 비디오램을 연동 채널(300)을 통하여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의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하여 핸즈프리의 비디오램(220)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및 태블릿 피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는,
태블릿 피시의 통신부에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비디오램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정보를 표시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상기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태블릿 피시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설명하자면, 태블릿 피시(100)와 연결된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가 존재한다.
태블릿 피시에서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와 연동하기 위하여 연동채널(300)로는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기 위하여 블루투스칩이 설치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 망을 이용하여 연동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지 통신부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으로 기재하도록 하며 어떠한 채널로 연결하는 가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태블릿 피시(100)에서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에 태블릿 피시(100)의 비디오램을 상기 연동 채널(300)을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핸즈프리(200)의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에서 이를 수신하여 이를 핸즈프리의 비디오램(220)에 그대로 적재하게 된다.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의 비디오램에 태블릿피시의 비디오램을 적재하게 되면, 태블릿 피시와 핸즈프리의 화면이 동일하게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화면 미러링 기능'이라고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 정보를 핸즈프리 화면에 그대로 표시하게 되는 데 이를 기능하기 위한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가 있다.
상기 기능을 통하여 태블릿 피시의 화면과 핸즈프리 화면이 동일하게 하는 동기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를 화면 미러링 과정 혹은 화면 동기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태블릿 피시에서는 화면이 변경될 때에만 비디오램을 전송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직전에 보낸 화면과 대비하여 변경된 부분만의 비디오램 정보만을 별도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태블릿 피시에서는 상기에서 기재한 비디오램 정보 외에도 위젯(widget) 정보 등과 화면 센싱을 할 때 동작하기 위한 오브젝트 코드 등도 함께 전송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는 화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화면의 겉표면에는 화면을 터치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가 있다.
화면터치센서부(240)는 사용자가 화면을 손가락으로 터치를 하는 것을 인식하여 이를 데이터화하게 된다.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신호송신부(250)를 통하여 송신하여 태블릿 피시(100)로 도달하게 된다.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신호송신부(25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태블릿 피시는 신호송신부(250)를 통해 수신된 화면터치 데이터(260)를 분석하여 마치 사용자가 태블릿 피시의 화면을 터치한 것처럼 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면 동기화가 된 상태에서 핸즈프리에서 화면을 터치하면 마치 태블릿 피시에서 화면을 터치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핸즈프리를 이용한 태블릿 피시 원격조정 기능이라 하며, 이러한 원격조정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태블릿 피시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 여러명이 모여서 보고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도 프레젠테이션을 하는 사람은 굳이 태블릿 피시를 터치하지 않고서도 태블릿 피시 원격조정기능을 이용하여 핸즈프리를 가지고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더 나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프레젠테이션시 자료의 다음 장을 넘길 때도 핸즈프리에서 손가락으로 우에서 터치하여 좌로 밀면 간단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태블릿 피시와 본 발명의 핸즈프리는 연동채널(300)을 통하여 핸즈프리의 메모리를 태블릿 피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하여 태블릿 피시의 저장소로서 기능할 수도 있는 더 나은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엠피쓰리는 스피커와 마이크와 제어버튼과 저장소, 제어부, 입력부가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핸즈프리는 화면터치센서부를 입력부로 전환하면 엠피쓰리의 하드웨어를 모두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태블릿 피시의 핸즈프리로서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엠피쓰리로 전용이 가능한 더 나은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핸즈프리로 태블릿 피시의 원격조정기기로 활용할 수 있으며, 태블릿 피시의 저장공간의 확대를 꾀할 수 있고, 단독으로 사용될 때에는 엠피쓰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태블릿 피시
200 :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210 :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
220 : 태블릿피시비디오램
230 :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
240 : 화면터치센서부
250 : 신호송신부
300 : 연동채널

Claims (3)

  1.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에 있어서,
    태블릿 피시의 통신부에 연결되어 태블릿 피시의 비디오램 정보를 수신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램정보를 표시하는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230)와;
    상기 태블릿피시비디오램표시부로 구성된 화면이 터치되는 것을 인식하는 화면터치센서부(240)와;
    상기 화면터치센서부에서 인식한 화면터치 데이터를 태블릿 피시에 송신하기 위한 신호송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태블릿 피시(100)와,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를 연동하기 위하여 연동채널(300)로 통신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에 태블릿 피시(100)의 비디오램을 연동채널(300)을 통하여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200)의 태블릿피시비디오램정보수신부(210)에서 수신하여 핸즈프리의 비디오램(220)에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4104A 2011-06-29 2011-06-29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KR101089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04A KR101089811B1 (ko) 2011-06-29 2011-06-29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104A KR101089811B1 (ko) 2011-06-29 2011-06-29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9811B1 true KR101089811B1 (ko) 2011-12-08

Family

ID=4550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104A KR101089811B1 (ko) 2011-06-29 2011-06-29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34Y1 (ko) 2000-01-10 2000-06-01 주식회사세기전자산업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382089Y1 (ko) *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모비더스 휴대폰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934Y1 (ko) 2000-01-10 2000-06-01 주식회사세기전자산업 다이얼기능을 가지는 휴대폰용 이어폰
KR200382089Y1 (ko) * 2005-01-14 2005-04-18 주식회사 모비더스 휴대폰과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51636B (zh) 一种扬声器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83698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mobile device to accommodate external display
WO2016066092A1 (zh) 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201403377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through sub device that is connectabl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956025B2 (en) Gesture control method, gesture control device and gesture control system
KR101901720B1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8712577B (zh) 一种通话模式切换方法及终端设备
US20090053997A1 (en) Dynamic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nection status and method thereof
US20150067550A1 (en) Dual screen system and method
JP2010165289A (ja) 携帯電話機
KR20130021614A (ko) 휴대단말기의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14121090A (ja) テレビジョン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432071B (zh) 通话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2378440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오디오 출력 방법
US20230176806A1 (en) Screen Projection Display Method and System,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10076153A (ko) 컴퓨터 단말기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0597478A (zh) 一种音频输出方法及电子设备
KR101278027B1 (ko) 양방향통신을 이용하는 휴먼인터페이스상에서 상이 해상도 공조 가능한 모바일 장치
KR2014013657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89811B1 (ko) 태블릿 피시용 핸즈프리
KR20100117053A (ko) 앞뒤 두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스마트폰과 그 작동 방식
CN111124327A (zh) 屏幕控制方法、多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073611B2 (en) Display apparatus to display a mirroring scree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10281963A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