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087B1 -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087B1
KR101366087B1 KR1020070004968A KR20070004968A KR101366087B1 KR 101366087 B1 KR101366087 B1 KR 101366087B1 KR 1020070004968 A KR1020070004968 A KR 1020070004968A KR 20070004968 A KR20070004968 A KR 20070004968A KR 101366087 B1 KR101366087 B1 KR 10136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oadcast
personal broadcast
perso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546A (ko
Inventor
류가현
조경선
염선희
박성일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087B1/ko
Priority to US12/014,953 priority patent/US20080172709A1/en
Publication of KR20080067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양방향 채널 및 방송 채널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콘텐츠를 이용하여 구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방송, 통신, 저작 도구, 콘텐츠, 서버

Description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s service an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방송 서비스를 실현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클로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클로그 서버로부터 획득한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그 서버측에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는 종래의 방법에 따른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b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 그 서버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TV(Digital Television),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방송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하게 되고, 무선 랜,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등 이동하면서도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휴대인터넷이 등장하면서 방송 통신 융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방송통신 융합을 통한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과 수신기의 개발은 미래의 새로운 IT 트랜드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아직 방송통신 융합을 적절하게 표현한 모델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현재 방송통신 융합을 표방하며 개발된 콘텐츠들은 통신망과 방송망의 데이터를 완벽하게 컨버전스한 형태가 아닌 각각의 개별망의 프로그램에서 또 다른 망으로의 프로그램으로 연결시켜 옮겨갈 수 있는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한 형태이다.
최근 방송통신 융합의 서비스로 DMB 방송 사업자들에 의해 시도된 서비스는 DMB 방송을 보다가 통신망의 서비스를 받는 형태의 것이다. 이 서비스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요 기술은 MPEG-4 시스템(ISO/IEC 14496-1)의 BIFS(Binary format for scenes)이다. BIFS는 MPEG-4 시스템의 장면 기술 정보로서 화면에 표현되어질 비디오, 오디오, 그래픽, 이미지, 텍스트 등이 언제 어디에 어떻게 나타내어질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BIFS가 가지고 있는 특징 중 하나는 웹페이지에서처럼 하이퍼링크 기능을 가지는 '앵커(Anchor)'라는 엘리먼트이다. '앵커'는 사용자의 특정한 입력이 들어왔을 때 미리 예정된 다른 서비스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현재 방송사에서 의도하고 있는 서비스는 BIFS의 '앵커'를 이용하는 것이다. DMB 방송을 시청하면서 BIFS를 통해 제공되는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통신이나 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제공되는 관련된 서비스로 옮겨가는 것이다. 다른 통신망의 서비스의 위치가 앵커 엘리먼트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BIFS 내 서비스를 선택하게 되면 기존에 보던 DMB 방송의 서비스와 결합된 형태가 아닌 별개의 서비스가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단순히 DMB 방송이 다른 망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트리거(trigger) 기능만을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서비스로 DMB에서 BWS(broadcasting website service)를 이용하여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가 가능하다. BWS는 웹사이트의 내용을 DMB 방송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방송과 인터넷이 결합된 서비스 형태이기 때문에 기존 인터넷 콘텐츠를 DMB 방송으로 바로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텐츠의 형태가 HTML 기반이기 때문에 양방향 망과의 연동도 쉽게 가능하다. 양방향 망을 가진 DMB 단말이라면 BWS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BIFS를 이용한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인터넷 망의 서비스로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할 뿐이다.
현재까지 방송 통신 융합에 대한 중요성은 충분히 강조되어 왔고, 방송 통신 융합의 새로운 서비스의 창출에 대한 필요성은 방송사, 콘텐츠 개발자, 수신기 개발자 등 모든 업계에서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방송 통신 융합에 대한 서비스는 진정한 의미의 방송과 통신 콘텐츠의 컨버전스라고 정의내릴 수 없는 상황이며 단순한 이종망 간의 결합만을 말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현재의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종망 간의 콘텐츠의 진정한 결합을 통해 각 망 간의 차별성을 특화시키면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서버는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통신부를 제어하여,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 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 및 콘텐츠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저작 도구로서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작 도구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 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양방향 통신망 또는 방송망을 통해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방송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바람직하게는, 저작 도구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이다.
바람직하게는, 화면 구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 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출력부에 출력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중 하나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방송 수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방송 서비스를 실현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방송사(100)는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이다. 방송사(100)는 클로그 서버(200)에 화살표(10)와 같이, 방송 콘텐츠 및 방송 콘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한다.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400)는 클로그 서 버(200)에 화살표(11)로 표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및 콘텐츠에 관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한다.
클로그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사(100)로부터 수신된 메타 데이터 및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메타 데이터를 화살표(12)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서버이다. 클로그는 브로드캐스트와 블로그의 합성어로, 사용자가 방송망과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정보 및 SVG(Scalable Vector Graphic) 정보와 같은 장면 구성을 위한 언어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는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temple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 데이터는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총칭한다. 따라서,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별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정보(E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 및 콘텐츠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타이틀, 크기 등 콘텐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콘텐츠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비디오 콘텐츠(또는 오브젝트)의 경우, 사용자에게 어떤 오브젝트인지 알려주기 위한 프리뷰(preview) 정보로서 인트라(Intra)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콘텐츠인 경우에도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어떤 오브젝트인지 알 수 있는 콘텐츠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는 화면 구성에 필요한 디코더 구성(configuration) 정보이다. 예를 들어, 화면 구성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A/V 오브젝트 또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인 경우, 이들 오브젝트를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나 또는 하드웨어 처리기의 초기화를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타 데이터는 화면 구성을 위한 타임 스탬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구성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A/V 오브젝트 또는 멀티미디어 오브젝트인 경우, 이들 오브젝트들의 PTS(Presentation Time Stamp) 또는 DTS(Decoding Time Stamp)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 데이터는 콘텐츠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콘텐츠가 위치하는 서버의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이용하여 선택한 콘텐츠가 클로그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로그 서 버(200)로부터 제공받은 URL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화살표(12)와 같이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획득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방송 화면에 선택되어 배치되는 콘텐츠는 클로그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고, 방송사(100) 및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즉, 방송 콘텐츠는 화살표(13)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방송사(100)로부터는 방송망을 통하여 획득되고, 콘텐츠는 화살표(14)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400)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클로그 서비스를 통해 음악 방송이 제공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악 방송의 경우, 일반적인 음악 방송은 가수의 뮤직 비디오를 주로 서비스한다. 가수나 음악에 대한 정보는 뮤직 비디오에서 제공하는 이상의 서비스를 받을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클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뮤직 비디오 외에 자신들의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부가 데이터나 다른 콘텐츠를 조합하여 새로운 음악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음악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는 방송망을 통해 뮤직 비디오를 획득하고, 주로 음악과 함께 보여지는 춤 동작에 대한 세부정보 및 백 댄서들의 신상 정보를 클로그 서버(100)나 다른 콘텐츠 서버들로부터 획득하여, 뮤직 비디오 및 위와 같은 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사용자는 뮤직 비디오의 주인공인 가수의 일상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음악에서 사용되는 악기와 악보를 제공하여 연주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클로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로부터 각각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그 서버(200)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 장치들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클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다른 사용자가 만든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의 예와 같이, 뮤직 비디오 외에 가수의 춤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만든 춤 동작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춤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클로그 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클로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저장부(230)는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 는 방송 프로그램별로 구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클로그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가능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콘텐츠가 선택되면, 클로그 서버(200)는 선택된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부(230)로부터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방송망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220)는 BIFS 정보, Laser(Lightweight Application Scene Representation) 정보 및 SVG(Scalable Vector Graphic) 정보와 같은 장면 구성을 위한 언어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작 도구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20)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로서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templet)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작 도구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장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면 그 종류나 형태에 제한이 없다.
저작 도구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시간대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구성 템플릿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12시부터 1시까지는 방송 프로그램 외에 다수의 부가 콘텐츠를 포함하는 화면으로 클로그 서비스에 따른 방송을 시청하다가, 1시부터는 방송 프로그램만을 전체 화면으로 제공하는 화면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해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를 보고 원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 구성 포맷을 획득하거나, 다른 사용자가 만든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들이 각각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요청한 횟수나 다른 소정의 기준에 따른 추천 개인용 방송 콘텐츠 리스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클로그 서버로부터 획득한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방송 수신부(310), 제어부(320), 통신부(330), 사용자 입력부(340) 및 출력부(35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부(310)는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처리한다. 방송 수신부(310)는 방송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예를 들어, 위성, 지상파, 케이블) 및 방송 서비스(예를 들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포함된 각 부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통신부(330)를 통하여 획득된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처리한다.
통신부(330)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및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접속을 제어한다.
사용자 입력부(340)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20)에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양방향 통신망 또는 방송망을 통해 획득하게 하고, 획득한 콘텐츠를 방송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한다. 콘텐츠는 클로그 서버(200),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획득되거나 방송사(1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획득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작도구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래밍을 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화면 구성 템플릿 형태의 저작 도구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40)를 통해 원하는 방송 콘텐츠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전달되는 콘텐츠를 화면 구성 템플릿에 삽입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을 화면에 배치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부(310)가 선택한 방송 프로그램이 전달되는 방 송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처리하도록 방송 수신부(3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콘텐츠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콘텐츠가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의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20)는 콘텐츠를 디코딩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거나 콘텐츠가 배치되는 화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콘텐츠의 사이즈를 조정하는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부(320)에서 처리되어 생성된 화면 구성을 출력한다. 제어부(320)는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소정의 저장 공간(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해둘 수 있다. 저장 공간은 제어부(320) 내에 위치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 외부의 저장매체에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통신부(330)를 통해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클로그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로그 서버(200)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 제어부(320)는 통신부(340)를 통해 전달된 리스트를 출력부(35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40)로부터 출력된 리스트에서 하나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20)는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통신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클로그 서비스에 따라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클로그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방송사에 제공하고, 방송사가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방송 신호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사가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EPG 정보에 클로그 서비스에 따라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도 포함시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클로그 서버(200) 뿐만 아니라 방송사를 통해서도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320)는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방송 수신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그 서버측에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 410에서 클로그 서버(200)는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S 420에서 클로그 서버(200)는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단계 S 43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클로그 서버(200)에 접속하면, 클로그 서버(200)는 방송망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한다.
한편, 클로그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관리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리스트에 포함된 소정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면 클로그 서버(200)는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 51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전달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를 제공하는 클로그 서버(200)에 접속한다.
단계 S 520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저작 도구 및 양방향 통신망 및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를 획득하는 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단계 S 530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저작 도구 및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망 및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선택된 콘텐츠를 방송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한다. 화면에 배치되는 콘텐츠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클로그 서버(200) 또는 다른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콘텐츠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처리되어 출력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개인용 방송 콘텐츠는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클로그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로그 서버(200)는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다른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전송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관리하고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리스트를 제공받아, 원하는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a는 종래의 방법에 따른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송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종래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는 방송망을 통해 제공되는 축구 경기에 대한 방송 프로그램이 전체 화면(610)에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면,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프로그램 외에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콘텐츠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6b의 화면(620)에는, 축구 경기가 제공되는 화면(621) 외에 축구 경기가 열리는 퓌젠이란 도시의 영상 정보가 화면(622)에 표시되고, 퓌젠에 대한 텍스트 정보가 화면(623)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6c의 화면(630)에는 화면(631)에는 축구 경기가 표시되고, 화면(632)에는 다른 스포츠 경기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그 중 하나의 영상 정보(633)를 선택하면, 확대된 영상(634)이 제공 된다. 또한, 도 6d의 화면(640)에는 축구 경기가 전체 화면(641)으로 제공되고, 영화가 다른 화면(642)에 제공된다. 따라서, 소정의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고 있는 현재 축구 경기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에 따라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송 화면의 구성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구성으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하는 부가 데이터에 따라, 클로그 서버(200)로부터 도 6b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클로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로그 서버 및 방법 및 클로그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순히 방송망과 양방향 망과의 결합이 아닌 서비스 컨버전스를 실현하는 클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방송망과 양방향망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 중 원하는 콘텐츠를 끌어와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른 단순히 방송망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보조 데이터의 역할을 뛰어넘어 방송망으로 제공되는 콘텐츠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새로운 서비스가 창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로그 서비스를 통해 하나의 방송 콘텐츠를 기반으로 여러 개의 서비스를 즐길 수 있고 더 나아가 좀 더 개인에 특화된 방송 서비스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방송사의 경우에는 방송 콘텐츠를 다른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제공하여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 이 때, 방송 콘텐츠와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잘 동기시키기 위해 공유되는 정보들에 차별성을 두어서 방송사는 각 컨텐츠 제공자별로 차별화된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Claims (25)

  1.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관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상기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상기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작 도구로서 방송 콘텐츠가 선택되어 삽입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6. 삭제
  7.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방송 프로그램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정보, 상기 콘텐츠의 검색을 위해 필요한 정보, 상기 콘텐츠의 디코딩에 필요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삭제
  13. 방송망을 통해 전달되는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방송 수신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접속을 제어하는 통신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양방향 통신망 또는 방송망을 통해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콘텐츠를 방송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고,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중 하나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획득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송 신호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처리하도록 상기 방송 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9.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양방향 통신망 또는 방송망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콘텐츠를 방송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여 방송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BIFS 정보, Laser 정보 및 SVG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처리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의 화면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도구는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여 삽입할 수 있는 화면 구성 템플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저작 도구을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 중 하나의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양방향 망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개인용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하는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저작 도구를 이용하여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용 방송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5.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저작 도구 및 방송망 및 양방향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작 도구 및 상기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방송 화면을 구성하여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70004968A 2007-01-16 2007-01-16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36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68A KR101366087B1 (ko) 2007-01-16 2007-01-16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US12/014,953 US20080172709A1 (en) 2007-01-16 2008-01-16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 service an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personal broadcast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968A KR101366087B1 (ko) 2007-01-16 2007-01-16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546A KR20080067546A (ko) 2008-07-21
KR101366087B1 true KR101366087B1 (ko) 2014-02-20

Family

ID=3961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968A KR101366087B1 (ko) 2007-01-16 2007-01-16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72709A1 (ko)
KR (1) KR101366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8147B2 (en) * 2008-08-20 2013-06-0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the association, customization and automation of content from multiple sources on a single display
EP2164193A1 (en) * 2008-09-11 2010-03-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gram guide and apparatus
US9271048B2 (en) * 2013-12-13 2016-02-23 The Directv Grou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563A (ko) * 2000-05-22 2001-12-07 정성목 작가양성 및 컨텐츠 개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59621A1 (en) 2000-10-11 2002-05-16 Thomas William 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KR20060037721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개인 컨텐츠 방송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그를이용한 방송 수신기
KR20060063554A (ko) * 2004-12-03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창조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0587B1 (en) * 1996-07-26 2003-05-27 Veon Ltd. System and method and linking information to a video
EP1090505A1 (en) * 1998-06-26 2001-04-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Terminal for composing and presenting mpeg-4 video programs
JP4168606B2 (ja) * 2001-06-28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DE102004048552A1 (de) * 2004-10-04 2006-04-13 Nec Europe Ltd.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Informationen betreffend Rundfunkinhalte an einen Nutzer
US7769819B2 (en) * 2005-04-20 2010-08-03 Videoegg, Inc. Video editing with timeline representa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563A (ko) * 2000-05-22 2001-12-07 정성목 작가양성 및 컨텐츠 개발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059621A1 (en) 2000-10-11 2002-05-16 Thomas William 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torage of data on servers in an on-demand media delivery system
KR20060037721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한국라임티비 개인 컨텐츠 방송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 시스템과 그를이용한 방송 수신기
KR20060063554A (ko) * 2004-12-03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창조형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2709A1 (en) 2008-07-17
KR20080067546A (ko)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3317B2 (ja) ローカルコンテンツを含むカスタムビデオモザイクページ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A2820574C (en) Method of receiving enhanced ser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thereof
JP6043089B2 (ja) 放送通信連携受信装置
CN101267543A (zh) 提供和管理元数据的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设备
KR20070027623A (ko) 비디오 온 디맨드(vod) 메타데이터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280806B1 (ko) 디지털 방송망의 미리보기 채널 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4491902B2 (ja) 摺動型グラフックウィンドウを用いたメディアコンテンツとのインターラクティブシステム
KR101366087B1 (ko) 개인용 방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및개인용 방송 콘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방법
Soares et al. Multiple exhibition devices in DTV systems
JP2009303062A (ja) 放送受信端末、放送データ合成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178357A (ja) 放送受信装置
KR100835137B1 (ko) 정보 연동형 epg 서비스 방송 시스템 정보 연동형 epg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7200326B2 (ja) 放送受信装置
JP7197661B2 (ja) 放送受信装置
JP7038650B2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N112075084B (zh) 接收装置及接收方法、发送装置及发送方法、以及收发系统及收发方法
JP6828213B2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7117991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7099947B2 (ja) 送受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方法
JP6928130B2 (ja) 放送番組の出力方法
JP2020184780A (ja) 放送受信装置
JP2021170850A (ja) 放送番組のコンテンツのコピー制御方法
JP2020182222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0202577A (ja) 放送番組のコンテンツのコピー制御方法
JP2020184781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