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060B1 -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 Google Patents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060B1
KR101366060B1 KR1020120067738A KR20120067738A KR101366060B1 KR 101366060 B1 KR101366060 B1 KR 101366060B1 KR 1020120067738 A KR1020120067738 A KR 1020120067738A KR 20120067738 A KR20120067738 A KR 20120067738A KR 101366060 B1 KR101366060 B1 KR 101366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ding
axis
control unit
axis position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739A (ko
Inventor
황태상
김상기
문현성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Priority to KR102012006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0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에 부품(FPCB, TAB, Drive IC 등)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딩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특히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은 정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부품을 정렬하는 방식이 요구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고속 모션(motion) 요구를 충족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는,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모듈과; 상기 프리 본딩모듈과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Z축 위치제어부와; 상기 Z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Y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Y축 위치제어부; 및 상기 Y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X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X축 위치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Pre_Bonding apparatus for flexible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Flexible display panel)에 부품(FPCB, TAB, Drive IC 등)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딩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특히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은 정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부품을 정렬하는 방식이 요구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고속 모션(motion) 요구를 충족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단단한 디스플레이 판넬에 부품(FPCB, TAB, Drive IC 등)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장치는 턴테이블(Turntable)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부품 얼라인이 불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판넬을 정렬하는 장치로 되었다.
즉, 종래의 방식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의 정확한 정렬 및 본딩을 할 수 없다.
<참조 특허문헌>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97919호(2010년12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을 진공흡착 및 누름 장치로 고정하고 부품의 X,Y 변을 정렬하는 직교 로봇과 각도를 정렬하는 DD 모터를 구성하여 본딩 정밀성을 확보하고, 가반 하중을 최소화하여 고속 모션을 구현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모듈과;
상기 프리 본딩모듈과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Z축 위치제어부와;
상기 Z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Y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Y축 위치제어부; 및
상기 Y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X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X축 위치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에 의하면, 프리 본딩(Pre Bonding)시 높은 정도를 얻을 수 있다. 즉, 프리 본딩장치는 설비에서 가장 높은 정도를 요구하는 유닛(unit)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높은 정도에 부합한다.
또한, 수직하중과 회전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합형 앵귤러 베어링를 적용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 본딩 틀어짐 발생이 없다.
또한, 독립형 툴 구조로 인해 탈부착이 용이하여 사이즈(size)별 대응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높은 정도로 인한 생산 손실율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프리 본딩모듈과 Z축 위치제어부만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프리 본딩모듈과 Z축 위치제어부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프리 본딩모듈과 Z축 위치제어부만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프리 본딩모듈(툴 제외)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 본딩장치의 툴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C-C 단면도.
본 발명은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모듈과, 상기 프리 본딩모듈과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Z축 위치제어부와, 상기 Z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Y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Y축 위치제어부와, 상기 Y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X축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X축 위치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Z축 위치제어부는 상기 Y축 위치제어부에 고정되고, Z축 레일이 형성된 Z축 하우징과, 상기 Z축 하우징에 장착된 서보 모터와, 상기 서보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 Z축 레일 및 프리 본딩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으로 상기 Z축 레일에 안내되면서 상기 프리 본딩모듈을 상,하 이동되게 하는 Z축 피안내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 본딩모듈은 상기 Z축 위치제어부와 연결되어 Z축 위치제어부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본딩하우징과, 상기 본딩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DD모터와, 상기 DD모터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 마스터와, 상기 가이드 마스터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의 회전과 연동되고 내부에 제1 베어링부가 구비된 커플러와, 상기 커플러 및 제1 베어링부에 삽입되어 비회전되며 일측은 제1 베어링부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커플러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마스터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마스터의 하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의 회전과 연동되는 부싱과, 상기 부싱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부싱 및 가이드 마스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 베어링부와, 상기 가이드 마스터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며 가이드 마스터의 회전 및 상,하 이동과 연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툴을 포함하며,
상기 툴은 상부는 가이드 마스터의 하단과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부 및 평탄도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풀볼트가 구비되고 하부는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상부블럭과, 상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되 상부블럭의 하단과 간격이 생기도록 돌출부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중심홈과 상기 풀볼트의 하부와 체결되는 평탄조절탭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블럭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쉬볼트가 구비된 하부블럭과, 상기 하부블럭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툴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이하, '프리 본딩장치(1000)'라 한다)는 크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 본딩모듈(100)과, Z축 위치제어부(200)와, Y축 위치제어부(300)와, X축 위치제어부로 구성된다.
프리 본딩모듈(100)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개략적으로는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구성으로, 각도 정렬을 위한 회전장치로 DD모터(20)를 적용하고, 본딩 포스(Bonding Force)를 인가하기 위한 수직 상,하 운동이 연동되는 축으로 가이드 마스터(30)와 앵귤러 베어링을 조합한 구조인 제1 베어링부(41)을 채택하고, 실린더축에서 수직하중 대응과 가이드 마스터(30)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조합형 앵귤러 베어링을 적용한 제2 베어링부(80)를 채택하며, 툴팁(96)의 평탄 조절을 위한 푸쉬, 풀볼트의 적용 및 툴의 용이한 교환을 위한 독립구조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프리 본딩모듈(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딩하우징(10)과, DD모터(20)와, 가이드 마스터(30)와, 커플러(40)와, 연결축(50)과, 실린더와, 부싱(70)과, 제2 베어링부(80)와, 툴(90)을 포함한다.
본딩하우징(10)은 Z축 위치제어부(200)와 연결되어 Z축 위치제어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DD모터(20)는 본딩하우징(10)에 내장되고, 가이드 마스터(30)는 상기 DD모터(20)에 장착되어 DD모터(20)에 의해 회전되고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커플러(40)는 가이드 마스터(30)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과 연동되고, 내부에 앵귤러 베어링을 조합한 구조인 제1 베어링부(41)가 구비된다.
연결축(50)은 상기 커플러(40) 및 제1 베어링부(41)에 삽입되어 비회전되며, 일측은 제1 베어링부(41)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커플러(40)의 상단에 지지되는 구성이고, 실린더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축(50)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마스터(30)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부싱(70)은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과 연동되며, 이러한 부싱(70)의 외주면에는 부싱(70) 및 가이드 마스터(30)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조합형 앵귤러 베어링을 적용한 제2 베어링부(80)이 구비된다.
그리고 툴(90)은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며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 및 상,하 이동과 연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리 본딩모듈(100)은 실린더에 의해 가이드 마스터(30)가 상,하 이동되고, DD모터(20)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가이드 마스터(30)와 연결된 툴(90)은 이러한 가이드 마스터(30)의 동작과 연동되어 회전되거나,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툴(9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블럭(92)과, 하부블럭(93) 및 툴팁(9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부블럭(92)은 상부는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과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부(91) 및 평탄도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풀볼트(94)가 구비되고, 하부는 돌출된 돌출부(92a)가 구비된 구성이다.
하부블럭(93)은 상부는 상기 돌출부(92a)를 수용하되, 상부블럭(92)의 하단과 간격(L)이 생기도록 돌출부(92a)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중심홈(93a)과 상기 풀볼트(94)의 하부와 체결되는 평탄조절탭(93b)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블럭(92)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쉬볼트(97)가 구비된 구성이다.
툴팁(96)은 상기 하부블럭(93)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툴(90)에서 상부블럭(92)과 하부블럭(93)은 돌출부(92a) 및 중심홈(93a)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L)이 발생한다.
착탈부(9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을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91a)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이 결합홈(91a)에 삽입되면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91c)가 조여주어 고정한다.
풀볼트(94)는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고, 상부블럭(92)의 상부에서 관통되어 하부블럭(93)의 평탄조절탭(93b)에 체결되며, 풀볼트(94)를 조이면 하부블럭(93)을 잡아당기게 된다.
푸쉬볼트(97)는 풀볼트(94)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4개 이상 구비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블럭(93)의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면서 끝단이 상부블럭(92)의 하단과 맞닿아 있게 된다. 이러한 푸쉬볼트(97)를 조이면 상부블럭(92)을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블럭(92)의 상부의 각 코너에 구비된 풀볼트(94)와, 하부블럭(93)의 하부의 각 코너에 구비된 푸시볼트(97)를 이용하여, 하부블럭(93)을 잡아당기거나 상부블럭(92)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툴팁(96)의 평탄도를 조절할 수 있다.
Z축 위치제어부(200)는 상기 프리 본딩모듈(100)과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하 포지션 제어를 위해 볼스크류(225)와 서보 모터(220)를 채택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Z축 위치제어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축 위치제어부(300)에 고정되고 Z축 레일(211)이 형성된 Z축 하우징(210)과, 상기 Z축 하우징(210)에 장착된 서보 모터(220)와, 상기 서보 모터(2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225)와, 상기 볼스크류(225), Z축 레일(211) 및 프리 본딩모듈(100)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225)의 회전으로 상기 Z축 레일(211)에 안내되면서 상기 프리 본딩모듈(100)을 상,하 이동되게 하는 Z축 피안내구(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Z축 위치제어부(200)는 프리 본딩모듈(100)의 상,하 포지션을 제어한다.
Y축 위치제어부(300)는 상기 Z축 위치제어부(200)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Y축 리니어 모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X축 위치제어부(400)는 상기 Y축 위치제어부(300)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X축 리니어 모터(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1㎛ 단위 제어가 가능한 리니어 모터(310,410)를 채택한 구성이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프리 본딩모듈 200: Z축 위치제어부
300: Y축 위치제어부 400: X축 위치제어부
211: Z축 레일 210: Z축 하우징
220: 서보 모터 225: 볼스크류
230: Z축 피안내구 10: 본딩하우징
20: DD모터 30: 가이드 마스터
40: 커플러 41: 제1 베어링부
50: 연결축 70: 부싱
80: 제2 베어링부 90: 툴
91: 착탈부 92: 상부블럭
92a: 돌출부 93: 하부블럭
93a: 중심홈 93b: 평탄조절탭
94: 풀볼트 96: 툴팁
97: 푸쉬볼트

Claims (4)

  1.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프리 본딩모듈(100)과;
    상기 프리 본딩모듈(100)과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Z축 위치제어부(200)와;
    상기 Z축 위치제어부(200)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전,후 이동을 제어하도록 Y축 리니어 모터(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Y축 위치제어부(300); 및
    상기 Y축 위치제어부(300)와 연결되어 프리 본딩모듈(100)의 좌,우 이동을 제어하도록 X축 리니어 모터(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X축 위치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Z축 위치제어부(200)는,
    상기 Y축 위치제어부(300)에 고정되고, Z축 레일(211)이 형성된 Z축 하우징(210)과;
    상기 Z축 하우징(210)에 장착된 서보 모터(220)와;
    상기 서보 모터(22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볼스크류(225)와;
    상기 볼스크류(225), Z축 레일(211) 및 프리 본딩모듈(100)에 장착되어 상기 볼스크류(225)의 회전으로 상기 Z축 레일(211)에 안내되면서 상기 프리 본딩모듈(100)을 상,하 이동되게 하는 Z축 피안내구(2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본딩모듈(100)은,
    상기 Z축 위치제어부(200)와 연결되어 Z축 위치제어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본딩하우징(10)과;
    상기 본딩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DD모터(20)와;
    상기 DD모터(20)에 장착되어 회전되며,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 마스터(30)와;
    상기 가이드 마스터(30)의 상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과 연동되고, 내부에 제1 베어링부(41)가 구비된 커플러(40)와;
    상기 커플러(40) 및 제1 베어링부(41)에 삽입되어 비회전되며, 일측은 제1 베어링부(41)의 하단에 지지되고, 타측은 커플러(40)의 상단에 지지되는 연결축(50)과;
    상기 연결축(50)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마스터(30)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부에 장착되어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과 연동되는 부싱(70)과;
    상기 부싱(70)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부싱(70) 및 가이드 마스터(3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제2 베어링부(80); 및
    상기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며, 가이드 마스터(30)의 회전 및 상,하 이동과 연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툴(9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툴(90)은,
    상부는 가이드 마스터(30)의 하단과 착탈되도록 하는 착탈부(91) 및 평탄도 조절을 위한 복수개의 풀볼트(94)가 구비되고, 하부는 돌출된 돌출부(92a)가 구비된 상부블럭(92)과;
    상부는 상기 돌출부(92a)를 수용하되, 상부블럭(92)의 하단과 간격(L)이 생기도록 돌출부(92a)의 돌출길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중심홈(93a)과 상기 풀볼트(94)의 하부와 체결되는 평탄조절탭(93b)이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상부블럭(92)의 하단을 상측으로 밀어주는 푸쉬볼트(97)가 구비된 하부블럭(93); 및
    상기 하부블럭(93)의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 판넬과 대상부품을 열 압착하는 툴팁(9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4. 삭제
KR1020120067738A 2012-06-25 2012-06-25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KR101366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738A KR101366060B1 (ko) 2012-06-25 2012-06-25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738A KR101366060B1 (ko) 2012-06-25 2012-06-25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39A KR20140000739A (ko) 2014-01-06
KR101366060B1 true KR101366060B1 (ko) 2014-02-26

Family

ID=5013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738A KR101366060B1 (ko) 2012-06-25 2012-06-25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61B1 (ko) 2015-04-03 2016-09-19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스플레이용 프리 본딩 장치의 칩 반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581B1 (ko) * 2002-09-30 2005-05-03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실장장비의 본딩장치
KR100665577B1 (ko) 2006-01-23 2007-01-09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온 글라스의 자동 본딩방법 및 장치
KR20100086172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브이원텍 본더의 얼라인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03332B1 (ko) 2009-11-12 2012-01-11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Led 다이 본딩 머신의 칩 이젝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581B1 (ko) * 2002-09-30 2005-05-03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실장장비의 본딩장치
KR100665577B1 (ko) 2006-01-23 2007-01-09 에스이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온 글라스의 자동 본딩방법 및 장치
KR20100086172A (ko) * 2009-01-22 2010-07-30 주식회사 브이원텍 본더의 얼라인먼트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03332B1 (ko) 2009-11-12 2012-01-11 주식회사 에이에스티젯텍 Led 다이 본딩 머신의 칩 이젝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61B1 (ko) 2015-04-03 2016-09-19 주식회사 제이스텍 디스플레이용 프리 본딩 장치의 칩 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39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998603U (zh) 一种打磨机砂纸自动更换装置
JP6040382B2 (ja) 実装装置
KR101366060B1 (ko) 연성 디스플레이 판넬용 프리 본딩장치
KR101147575B1 (ko) 엘이디 제조장치용 3축 로봇시스템
CN103390970B (zh) 分体式直驱电机组装装置
CN105163554A (zh) 带有上、下限位传感器的散热型电路板组件
CN102941478B (zh) 一种全自动数控眼镜镜框加工机的夹具组件
CN201622929U (zh) 电芯隔膜包裹及收尾装置
CN106952993B (zh) 一种led固晶机晶片拾取帮头的升降旋摆装置
JP2009063540A (ja) 超高正方向負荷用位置合せ装置
CN211991378U (zh) 一种大型户外机边框四角同步摩擦焊接设备
CN109629135A (zh) 缝纫机的上机头系统
CN210081124U (zh) 一种螺丝自动缔结装置
CN204900439U (zh) 一种多附件高精度自动定位粘结的设备
KR101017522B1 (ko) 칩온글래스 본딩장치의 본딩헤드 정렬구조
CN103353483B (zh) 超声扫描显微镜步进轴的双驱结构
CN107530846A (zh) 制造作业机
CN209664071U (zh) 一种冲孔机台
CN103047306B (zh) 一种弹性连接装置
CN102045522B (zh) 平板电视前壳、装配设备及设备制造方法
CN220929884U (zh) 一种显示屏贴合定位机构
CN207915225U (zh) 后置式珩磨机往复机构防转装置
CN211759703U (zh) 一种门把手螺钉专机
CN216802092U (zh) 激光焊接机构
CN219520813U (zh) 一种超声波焊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