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595B1 -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595B1
KR101365595B1 KR1020070082286A KR20070082286A KR101365595B1 KR 101365595 B1 KR101365595 B1 KR 101365595B1 KR 1020070082286 A KR1020070082286 A KR 1020070082286A KR 20070082286 A KR20070082286 A KR 20070082286A KR 101365595 B1 KR101365595 B1 KR 10136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area
coordinate
allo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818A (ko
Inventor
정한철
권오재
신창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2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595B1/ko
Priority to US12/047,531 priority patent/US20090049404A1/en
Publication of KR2009001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고,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고, 정의된 입력 방식에 기초하여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뉴를 제어하여, 물리적으로 고정된 입력 장치의 사용 형태 및 레이아웃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므로 입력 방식의 활용 범위가 커지며, 네비게이션 입력, 문자 입력, 단순 버튼 입력 등이 통합되므로 모바일 기기의 공간적 효율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inputting of device containing display unit based on GUI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GUI의 화면에 따라 영역을 가변적으로 할당하고 할당된 영역에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여 메뉴를 제어하는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전화 등의 휴대용 기기들은 통상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된 기능인 전화 걸기, 문자 메시지 기능뿐만 아니라 다른 전자 기기의 기능을 통합 및 융합하는 쪽으로 발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휴대 전화에 MP3 플레이어의 MP3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디지털 카메라의 영상 녹화 기능 및 영상 재생 기능, 전자 사전의 기능, 인터넷 웹서핑 기능 또는 디지털 TV 기능 등 매우 많은 기능들 포함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기본적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 미디어 플레이어(PMP), 핸드폰 등의 휴대용 기기가 점차 고성능화되면서 기기의 기능의 수도 점차 증가하는 반면 기기의 물리적인 크기는 점차 소형화되고 있어, 제한된 개수의 버튼에 다수의 기능을 맵핑(mapping)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 기기등의 디바이스의 기능성 증가는 상기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의 증가를 수반하게 되는데 인간 행동학 및 생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의 복합 기능화가 전자 기기의 복잡화 및 고가화를 수반하지는 않기를 바라며, 본래 단말기의 크기에 비해 일정 수준 이상 커지는 것은 원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여러 기능들을 휴대용 기기에 통합하거나 장치를 소형화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복잡한 기능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요는 증가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입력해야 하는 키입력 단계의 증가를 줄이거나, 사진, 동영상, 음악, 이메일 등 다수의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들을 보다 쉽게 관리, 검색 및 재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다수의 기능들을 입력하기 위해 버튼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제한된 장치 크기 및 버튼 개수의 증가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복잡성 등이 문제가 되고, 키입력을 위한 버튼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 회수가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 입력의 복잡화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한 모든 기능에 대응되는 버튼 입력 및 입력 순서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그에 따라 잘못된 버튼 입력에 의해 원하지 않는 기능이 실행되는 문제가 발생한 소지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뉴 선택 버튼 및 문자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에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나타나는 GUI 메뉴를 조작하기 위한 방향 버튼(120), 확인 버튼(130) 및 취소 버튼(140)이 나타나 있고, 아울러 번호 및 문자 입력을 위한 복수의 키 버튼(150)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인터페이스 방식에서는 디바이스의 입력 조작에 필요한 여러 작업들, 특히 네비게이션을 위한 포인팅 입력, 선택 입력, 문자 입력을 위해 이를 담당하는 버튼들이 각각 별개로 나뉘어져 있어, 기기의 크기 및 버튼의 개수의 증가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복잡성 등이 문제가 되고 고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입력 방식의 유연성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GUI의 화면에 따라 영역을 가변적으로 할당하고 할당된 영역에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여 메뉴를 제어하는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단계와; 상기 정의된 입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영역을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가변적으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뉴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정의된 입력 방 식이 상대 좌표 입력 방식인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은 제1 입력 유닛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에 의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입력 유닛은 터치 패드와 택트 스위치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영역 내의 복수의 입력 유닛을 통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기능하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으로 구성된 상기 할당된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기술적 과제는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는 영역 할당부와; 상기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입력 방식 정의부와; 상기 정의된 입력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에 의해서도 해결된다.
상기 입력 방식 정의부는, 상기 할당된 영역을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할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가변적으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입력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정의된 입력 방식이 상대 좌표 입력 방식인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을 위해 제1 입력 유닛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하는 좌표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입력 유닛은 터치 패드와 택트 스위치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입력 방식 정의부는 상기 할당된 영역 내의 복수의 입력 유닛을 통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기능하도록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할당된 영역의 경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의 경계 지점에 백라이트를 표시하는 경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입력 방법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고정된 입력 장치의 사용 형태 및 레이아웃을 가변적으로 변경가능하므로 입력 방식의 활용범위가 커지며, 네비게이션 입력, 문자 입력, 단순 버튼 입력 등이 통합되므로 모바일 기기의 공간적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터치스크린방식과는 달리 물리적인 촉각 피드백을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좀더 익숙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는 단계(210)와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단계(220)와 상기 정의된 입력 방식에 기초하여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메뉴를 제어하는 단계(2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변적으로 영역 분할하여 서로 다른 입력방식을 혼용하여 쓸 수 있도록 정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되는 GUI의 화면 구성에 따라 직관적이고 즉각적으로 다양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방식에는 예를 들어, 각 메뉴를 선택하는 키 버튼 입력, 화면의 스크롤 바를 컨트롤하는 터치 스크롤 입력, 네비게이션의 포인팅을 위한 상대 좌표 입력 등이 있다.
고정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GUI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의 여러 가지 입력 방식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먼저 복수개의 입력 유닛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고(210),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버튼 입력이나 상대 좌표 입력 등의 입력 방식을 정의한 후에(220),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 예를 들어 클릭, 스크롤, 포인팅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GUI 화면의 메뉴를 제어한다(230). 이렇게 화면의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은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화면 구성에 따라 4x4 입력 유닛의 영역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스크린(310)에서 웹페이지와 같은 GUI 화면이 나타나 있고, 하단에는 4x4 입력 유닛으로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320)가 나타나 있다.
그림에서 예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320)는 4x4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구 현예에 따라서 [행 x 열]이 3x4 또는 4x3인 자판이나, 컴퓨터의 범용 키보드 자판인 QWERTY 자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입력 유닛은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터치 패드와 택트 스위치의 결합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입력 유닛(610 내지 630)에 있어서 각각의 입력 유닛은 상대 좌표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 패드(touch pad)와 버튼 역할을 하는 택트 스위치(tack switch)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터치 패드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작은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포인터가 움직이고 이러한 좌표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입력 유닛이다. 현재 노트북 컴퓨터와 일반 데스크톱 컴퓨터에서 터치 패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패드는 여러 층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데 제일 위에 있는 층이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패드이고, 바로 아래 층에는 얇은 절연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는 수평 및 수직 전극봉(electrodes)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어 격자모양을 형성하고 있다. 그보다 아래 층에는 전극봉 층이 연결된 회로판이 위치한다. 전극봉이 있는 층은 일정한 교류에 의해 충전되는데 손가락이 전극봉 격자에 접근하면 전류가 차단되고, 전류의 차단 사실이 회로판에 의해 감지된다. 패드에 손가락이 접촉한 처음 위치는 계속되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록된다.
한편, 택트 스위치는 벌크형(bulk), 래디얼형(radial), 표면 실장형(synthesizer module) 택트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유닛 각각은 클릭과 같은 버튼 입력과 상대 좌표 입력이 가능하며, 이하 도 5에서 살펴보겠지만 복수의 입력 유닛의 조합으로 보다 넓은 면적을 이루는 터치 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크린(310)에서 나타난 GUI 화면은 좌측의 4개의 메뉴(311a 내지 311d)와 본문의 웹페이지 내용이 나타나는 메인 화면(312), 그리고 화면에 미처 나타나지 않은 부분을 스크롤 할 수 있는 스크롤 바(31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입력 유닛의 영역은 상기 각각의 GUI 화면 구성에 맞추어 좌측의 4개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 영역(321a 내지 321d)과 웹페이지의 본문을 포인팅할 수 있는 터치 패드 영역(322)과 스크롤 바를 컨트롤 하는 영역(323)으로 나뉠 수 있다.
GUI 화면의 분할과 일치하도록 입력 인터페이스(320)에서 각각의 영역을 할당하고, 각 영역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입력 방식을 정의함으로써 사용자는 좌측의 4개의 버튼(321a 내지 321d)을 클릭하여 메뉴를 선택하거나, 스크롤 바 영역(323)을 터치 스크롤하여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상대 좌표 입력이 가능한 영역(322)에서 포인팅 입력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아울러, 포인터 이동 중에 상기 입력 유닛을 눌러서 해당 포인터의 위치에서 클릭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화면 구성에 따라 입력 유닛의 영역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화면의 상단에는 4개의 메뉴(411a 내지 411d)가 나 타나고, 리스트를 스크롤 할 수 있는 상/하 화살표(412, 414) 및 리스트의 본문 내용(413)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화면 구성에 있어서, 입력 유닛의 영역 분할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단의 메뉴에 1:1로 대응하는 영역(421a 내지 421d)과 상/하 스크롤을 선택하는 영역(422, 424) 및 리스트의 본문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423)으로 나눈다.
그런 다음 각 영역에 있어서, 상단의 4개의 입력 유닛(421a 내지 421d)은 버튼 입력 방식으로 정의하고, 상/하 스크롤 영역(422, 424) 및 리스트의 본문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423)은 통합된 버튼 입력 방식으로 정의한다. 즉, 예를 들어 상향 화살표가 나타난 영역(422)에서는 영역 내의 4개의 입력 유닛 중 어느 것을 클릭하더라도 리스트를 위쪽으로 스크롤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같은 기능을 여러 입력 유닛이 함께 담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복수의 입력 유닛을 통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기능하도록 정의함으로써, 방향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반대로 하향 스크롤을 하기 위해서는 하향 화살표가 있는 영역(424)의 어느 유닛을 클릭해도 아래로 스크롤 된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개의 입력 유닛으로 구성된 상기 할당된 영역의 경계를 백라이트 등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입력 유닛에서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처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접한 2개의 입력 유닛(A,B)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할당된 영역에서 정의된 입력 방식이 상대 좌표 입력 방식인 경우에 이러한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즉, 각각의 입력 유닛은 독립적인 터치 패드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나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함께 묶어서 보다 넓은 면적의 터치 패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경계점을 기준으로 제1 입력 유닛(A)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A)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B)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터치 패드인 것처럼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 원리로 인해 도 7의 문자 입력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좌표 입력에 의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크린(710)에 나타난 화면 구성과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720)의 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가 입력되는 영역(721)을 상대 좌표 입력 방식으로 정의하여, 상기 영역에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 등을 이용하여 "K"라는 문자를 입력하면 스크린(710)의 메인 화면(712)에도 동일한 문자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장치는 디바이스에 구비된 복수개의 입력 유닛(811 내지 813)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는 영역 할당부(821)와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입력 방식 정의부(822)와 상기 정의된 입력 방식에 기초하여,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840)에 표시된 메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8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컨트롤러(830)는 입력 방식에 따라 버튼 입력 제어부(831), 터치 스크롤 입력 제어부(832), 상대 좌표 입력 제어부(8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30)는 연속적인 좌표 입력을 위해 제1 입력 유닛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하는 좌표 연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840)의 GUI 화면에 나타나는 메뉴의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앞서 살펴본 여러 가지 입력 방식을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영역 할당부(821)는 복수의 입력 유닛(811 내지 813)으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할당하고, 입력 방식 정의부(822)는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버튼 입력이나 상대 좌표 입력 등의 입력 방식을 정의한다.
그런 다음 복수의 입력 유닛(811 내지 813)으로 구성된 입력 인터페이스(810)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클릭, 스크롤, 포인팅과 같은 여러 가지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받은 명령 신호를 컨트롤러(830)가 제어함에 있어서, 버튼 입력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경우에는 버튼 입력 제어부(831)에서 이를 제어하고, 터치 스크롤 입력 영역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경우에는 터치 스크롤 입력 제어부(832)에서 제어하고, 상대 좌표 입력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의 경우에는 상대 좌표 입력 제어부(833)에서 제어한다. 이렇게 다른 입력 방식으로 각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는 각각의 영역을 담당하는 제어부(831 내지 833)를 거쳐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부(840)에 표시되는 GUI 화면의 메뉴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 신호로부터 화면의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은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부가적으로, 사용자가 복수개의 입력 유닛으로 이루어진 영역의 경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당하는 경계 지점에 백라이트를 표시하는 경계 표시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력 방법 및 장치는 휴대용 기기(휴대폰,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기기등), 오픈웹 디바이스, 문자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컨트롤러(IPTV 리모콘, 조명 리모콘, PC리모콘) 및 버튼의 크기와 숫자를 변경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가정용, 차량용, 공업용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메뉴 선택 버튼 및 문자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디바이스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화면 구성에 따라 4x4 입력 유닛의 영역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른 화면 구성에 따라 입력 유닛의 영역을 할당한 경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접한 입력 유닛에서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처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입력 유닛을 구성하는 터치 패드 및 택트 스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좌표 입력에 의하여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몇 개의 도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도면 번호는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면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면이 축척에 따라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보다 잘 나타내고 설명하기 위해 어떤 특징부는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입력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들을 가지는 다수의 입력 영역들을 가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GUI의 레이아웃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영역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복수 개의 입력 방식으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가변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의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정의된 입력 방식이 상대 좌표 입력 방식인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은 제1 입력 유닛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에 의하여 문자입력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력 유닛은 터치 패드와 택트 스위치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상기 할당된 영역 내의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통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기능하도록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으로 구성된 상기 할당된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1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가지는 다수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다른 입력 방식들을 가지는 다수의 입력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된 GUI의 레이아웃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할당하는 영역 할당부와;
    상기 할당된 영역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입력 방식을 정의하는 입력 방식 정의부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복수 개의 입력 방식으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식 정의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GUI의 레이아웃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으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할당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GUI의 레이아웃에 따라 가변적으로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각각의 할당된 영역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버튼 입력, 터치 스크롤 입력 및 상대 좌표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입력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할당된 영역에서 정의된 입력 방식이 상대 좌표 입력 방식인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을 조합하여 연속적인 좌표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연속적인 좌표 입력을 위해 제1 입력 유닛이 인식한 마지막 입력 좌표와 상기 제1 입력 유닛과 인접한 제2 입력 유닛이 인식한 시작 입력 좌표를 시계열적으로 조합하여 계산하는 좌표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입력 유닛은 터치 패드와 택트 스위치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방식 정의부는,
    상기 할당된 영역 내의 복수의 입력 유닛을 통합하여 하나의 입력으로 기능하도록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된 영역의 경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입력 유닛의 경계 지점에 백라이트를 표시하는 경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082286A 2007-08-16 2007-08-16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KR10136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286A KR101365595B1 (ko) 2007-08-16 2007-08-16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US12/047,531 US20090049404A1 (en) 2007-08-16 2008-03-13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hav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based display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286A KR101365595B1 (ko) 2007-08-16 2007-08-16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18A KR20090017818A (ko) 2009-02-19
KR101365595B1 true KR101365595B1 (ko) 2014-02-21

Family

ID=4036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286A KR101365595B1 (ko) 2007-08-16 2007-08-16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49404A1 (ko)
KR (1) KR1013655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2745A (ko) * 2010-12-23 201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JP5738707B2 (ja) * 2011-07-28 2015-06-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USD752630S1 (en) * 2013-12-03 2016-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448803B1 (ko) * 2018-02-14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중 상태에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D871436S1 (en) * 2018-10-25 2019-12-31 Outbrain Inc. Mobile device display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735A (ja) 2002-08-07 2004-03-04 Minolta Co Ltd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KR20060128725A (ko) * 2005-06-10 2006-12-14 정용석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46586A (ko) * 2005-10-31 2007-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471A (en) * 1992-01-09 1997-01-14 Casco Development, Inc. Industrial touchscreen workstation with programmable interface and method
JP2986047B2 (ja) * 1993-04-29 1999-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ィジタル入力用表示装置並びに入力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5808567A (en) * 1993-05-17 1998-09-15 Dsi Datotech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three digits of a hand
US5956020A (en) * 1995-07-27 1999-09-21 Microtouch Systems, Inc. Touchscreen controller with pen and/or finger inputs
EP0922275A4 (en) * 1996-08-28 2002-08-21 Via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A TOUCH SCREEN
JPH1165811A (ja) * 1997-08-11 1999-03-09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マウス・カーソル、及びマウス・カーソルを表示する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6204837B1 (en) * 1998-07-13 2001-03-20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pointing devices
US6751651B2 (en) * 1999-11-30 2004-06-15 David A. Crockett Web-site consistency administration among inconsistent software-object libraries of remote distributed health-care providers
US6414674B1 (en) * 1999-12-17 2002-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n I/O touch pad having dynamically alterable location indicators
US6597378B1 (en) * 2000-01-18 2003-07-2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device,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27376B2 (en) * 2000-08-29 2008-02-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user collabora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I117488B (fi) * 2001-05-16 2006-10-31 Myorigo Sarl Informaation selaus näytöllä
JP2003167669A (ja) * 2001-11-22 2003-06-1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座標入力方法
JP2003316502A (ja) * 2002-04-25 2003-11-07 Sony Corp 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
US20040036680A1 (en) * 2002-08-26 2004-02-26 Mark Davis User-interface features for computers with contact-sensitive displays
US7221358B2 (en) * 2002-09-24 2007-05-22 Fujitsu Ten Limited In-vehicle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pparatus
US7230607B2 (en) * 2003-06-12 2007-06-12 Katsuyasu Ono 6-key keyboard for touch typing
US20050179647A1 (en) * 2004-02-18 2005-08-18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and switching between input modes
US7755593B2 (en) * 2004-02-20 2010-07-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me,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same, and computer program storage medium
US20060158459A1 (en) * 2004-07-20 2006-07-20 Ferguson Stuart H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user interfaces
JP2006047534A (ja) * 2004-08-03 2006-02-16 Alpine Electronics Inc 表示制御システム
US7721311B2 (en) * 2004-09-24 2010-05-18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ing EPG information on a digital television
US7710423B2 (en) * 2005-03-21 2010-05-04 Microsoft Corproation Automatic layout of items along an embedded one-manifold path
US7586936B2 (en) * 2005-04-01 2009-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ost Ethernet adapter for networking offload in server environment
US20070078857A1 (en) * 2005-09-30 2007-04-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 device for browsing information feeds
US20070152983A1 (en) * 2005-12-30 2007-07-05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with symbols based on mode
US7676763B2 (en) * 2006-02-21 2010-03-09 Sap A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utwardly expandable radial menu
US7728674B1 (en) * 2006-05-19 2010-06-01 Altera Corporatio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methods and apparatus
US8139026B2 (en) * 2006-08-02 2012-03-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entation of text and images o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orientation of the device
JP2008072095A (ja) * 2006-08-18 2008-03-27 Advanced Lcd Technologies Development Center Co Ltd 電子装置、表示装置、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差動増幅装置
KR101144423B1 (ko) * 2006-11-16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US20080146290A1 (en) * 2006-12-18 2008-06-19 Motorola, Inc. Changing a mute state of a voice call from a bluetooth headset
WO2009028889A2 (en) * 2007-08-28 2009-03-05 Mobience, Inc. Key input interface method
US8745513B2 (en) * 2007-11-29 2014-06-0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ccessing content
US8154523B2 (en) * 2007-12-13 2012-04-1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device, display and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8965787B2 (en) * 2007-12-17 2015-02-24 Smooth Productions Inc.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serving electronic content
JP4697551B2 (ja) * 2007-12-21 2011-06-0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90174675A1 (en) * 2008-01-09 2009-07-09 Dave Gillespie Locating multiple objects on a capacitive touch pad
US10031549B2 (en) * 2008-07-10 2018-07-24 Apple Inc. Transitioning between modes of input
KR20100027464A (ko) *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입력모듈과 그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8159464B1 (en) * 2008-09-26 2012-04-17 Rockwell Collins, Inc. Enhanced flight display with improved touchscreen interface
US9098192B2 (en) * 2012-05-11 2015-08-04 Perceptive Pixel, Inc. Oversca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735A (ja) 2002-08-07 2004-03-04 Minolta Co Ltd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データ入力方法
KR20060128725A (ko) * 2005-06-10 2006-12-14 정용석 전자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46586A (ko) * 2005-10-31 2007-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18A (ko) 2009-02-19
US20090049404A1 (en)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7174B2 (en)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and a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985180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a keyboard
US20190079671A1 (en) User input apparatus, computer connected to user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mputer connected to user input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1870800B1 (en) Touchpad including non-overlapping sensors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7659887B2 (en) Keyboard with a touchpad layer on keys
US20050162402A1 (en) Methods of interacting with a computer using a finger(s) touch sensing input device with visual feedback
EP2607998A1 (en) Touch keypad module and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JP2017120673A (ja) タッチ表面の端部領域におけるタッチ接触の選択的拒否
US20120146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263015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US20120306752A1 (en) Touchpad and keyboard
KR20090023208A (ko) 키 입력 인터페이스 방법
CN110633044B (zh) 一种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365595B1 (ko) Gui기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입력 방법및 그 장치
JP2015176606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101446141B1 (ko) 트리 구조의 메뉴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US20140210732A1 (en) Control Method of Touch Control Device
JP621005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KR20100034811A (ko) 다기능 터치마우스
US20190034069A1 (en) Programmable Multi-touch On-screen Keyboard
CN103576876A (zh) 周边装置及其操作方法及具有该周边装置的电子装置
JP2018180917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AU2017219061A1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