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042B1 -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 Google Patents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042B1
KR101365042B1 KR1020120042169A KR20120042169A KR101365042B1 KR 101365042 B1 KR101365042 B1 KR 101365042B1 KR 1020120042169 A KR1020120042169 A KR 1020120042169A KR 20120042169 A KR20120042169 A KR 20120042169A KR 101365042 B1 KR101365042 B1 KR 101365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pring
fence structure
prevention spring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199A (ko
Inventor
박광배
Original Assignee
박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배 filed Critical 박광배
Priority to KR1020120042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04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27Stretcher-type wire fencing; Tensioning devices for wire fen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대와 와이어로 형성되는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원인에 의하여 낮아진 와이어의 장력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지주대;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에 일정 높이로 횡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나선형 스프링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하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교차끼움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 양단의 교차끼움부를 상기 와이어에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Fence Structure having Spring Which Maintaining Tension of Wire}
본 발명은 지주대와 와이어로 형성되는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원인에 의하여 낮아진 와이어의 장력을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울타리의 형태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데, 지주대와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울타리는 주로 농가의 과수원과 전답 등 일정 면적을 차지하는 농지나 가축을 기르는 축사 등에 멧돼지와 같은 야생 동물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지주대와 와이어를 이용한 종래의 울타리 구조는 단순히 구획하고자 하는 지역에 다수개의 지주대를 일정 깊이로 지반에 삽입한 후에 지주대 사이를 와이어로 횡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와이어를 종횡으로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울타리 구조는 설치한 후 시간이 흐르면 자연적으로 날씨의 변화 등에 의하여 와이어가 처지거나, 사람이나 야생 동물이 와이어에 접촉함으로 인하여 와이어가 늘어나서 제대로 울타리의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울타리 구조에 사용되는 지주대는 와이어를 일정한 높이로 설치할 수밖에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산이나 언덕의 기슭에 인접한 지역에서는 울타리를 설치하더라도 노루나 사슴 등과 같은 야생 동물은 울타리를 뛰어 넘어 과수원이나 전답에 침입하여 과수나 농작물에 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울타리 구조에 사용되는 지주대는 단순히 일자 형태의 막대로 이루어져 강도가 약하여 토질이 단단한 지역에는 설치하기 곤란하여 드릴 등으로 미리 천공한 후에 시공하여야 하는 번잡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질이 무른 지역에서는 지반에 깊이 삽입하더라도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여 토지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울타리 구조는 일반적으로 멧돼지나 고라니 등 덩치가 큰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로 설치된 다수개의 와이어만으로 울타리를 구성하였는데, 와이어가 설치되지 않은 하단부 등으로 덩치가 작은 야생 동물이 침입하여 과수나 농작물에 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주대와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구조에 있어서 각종 원인에 의하여 와이어의 장력이 떨어지더라도 간단한 보수에 의하여 장력을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장소에 따라 와이어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어떤 지질에서라도 단단히 고정되고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는, 하단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지주대;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에 일정 높이로 횡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나선형 스프링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하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교차끼움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 양단의 교차끼움부를 상기 와이어에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주대에는 상기 지주대의 전면 또는, 전면과 후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탈부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행거부를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 깊이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X자형 보강격자를 더 형성하여 상기 지주대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주대에 지반에 삽입되는 하단부에 상방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빠짐방지갈퀴를 더 형성하여 상기 지주대가 지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 사이에 상기 와이어 이외에 그물망을 더 구비하여 보다 치밀하게 야생 동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울타리 구조에는 출입문이 형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는 나선형 스프링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고리가, 타측 단부에는 상하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교차끼움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을 더 구비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 일측의 고정 고리는 상기 출입문을 구성하는 출입문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시키고, 타측의 교차끼움부는 상기 와이어에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체결시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울타리 구조에서 상기 와이어는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에 일정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울타리 구조를 구성하는 것도 좋다.
이 때, 상기 전력공급부를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충전되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 등으로 구성하여 친환경적으로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와 지주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에 끼움형과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을 간단하게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각종 원인에 의하여 낮아지더라도 간단한 보수 작업에 의하여 원래의 장력으로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지주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의 표면에 다수 개의 행거부를 일정 높이 별로 형성하고 상기 행거부 중 필요한 높이의 행거부에 와이어를 결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설치 장소 등에 따라 울타리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지주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에 X자형 보강격자와 빠짐방지갈퀴를 형성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강도를 유지하여 드릴 천공 등의 사전 작업을 생략하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질의 상태에 상관없이 토지에서 이탈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지주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울타리 구조에 있어서, 지주대 상에 와이어와 함께 그물망을 더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공간이나 지면에 가까운 하단부 공간으로 야생 동물 등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의 설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주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주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의 결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의 결합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의 설치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는 하단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된 다수 개의 지주대(100)와,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100)에 횡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와이어(200)와, 상기 와이어(200) 상에 체결되는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과,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100)에 고정되어 설치된 그물망(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울타리 구조는 특정 구역 내로 야생 동물이나 사람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특정 구역 내의 농작물이나 가축을 야생 동물로부터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전기 울타리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와이어(200)를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 등의 재질로 제작하고, 상기 와이어(200)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공급부(도면에는 미도시)를 구비하여 야생 동물 등이 상기 와이어(200)에 접촉하였을 때 전기 충격을 가하여 구역 내로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한전 등에서 공급되는 일반적인 상용 전력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농지나 과수원 등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친환경적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것도 좋다. 즉, 태양전지판과 축전지 등을 구비하여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상기 축전지에 저장한 후 상기 와이어(200)에 일정 크기의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200)에 의하여 야생 동물이나 사람의 침입을 방지하는 이외에 별도의 그물망(400)을 더 구비하여 보다 치밀하게 야생 동물 등 침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좋다. 상기 와이어(200)만으로 상기 울타리 구조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지면과 상기 와이어(200) 사이, 또는 상기 와이어(200) 상호간 사이의 공간을 통해 덩치가 작은 야생 동물 등이 침입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서부터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부까지 전체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지만, 하단부 공간을 통해 야생 동물이 침입하는 것만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면에서부터 상기 지주대(100)의 일정 높이까지만 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울타리 구조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 전부분에 설치하지 않고 야생 동물이 침입이 잦거나 침입이 용이한 부분에만 특정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200)와 상기 그물망(400)을 모두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부에 위치하도록 시공할 수도 있지만,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부에 상기 그물망(400)은 상기 지주대(100)의 후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시공하거나 이와 반대로 상기 와이어(200)는 상기 지주대(100)의 후면부에 상기 그물망(400)은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울타리 구조를 전기 울타리 구조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200)를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야생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고 상기 와이어(200)가 야생 동물에 의하여 압력을 받더라도 상기 그물망(400)이 후면에서 어느 정도 압력을 분산시켜 상기 와이어(200)가 늘어나거나 단선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주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주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지주대(100)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주대(100)는 상기 울타리 구조에 의하여 구획되는 토지의 경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토지의 형태나 구조에 맞게 다양한 간격을 두고 일정 깊이로 지반에 삽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다수 개의 행거부(110)가 높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행거부(110)는 상기 와이어(200)를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상기 행거부(110)는 기본적으로 상기 지주대(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다가 연직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L자 형태를 이루고 있어 상기 와이어(20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끼워 넣어 결착하고 하방에서 상방으로 빼내어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행거부(110)에서 상방으로 절곡된 부분과 지주대(1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와이어(200)가 삽입되어 안착된 후 개방되어 있는 상방으로 상기 와이어(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행거부(110)의 상방 절곡 부분의 내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지주대(100)의 외면에 각각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행거부(110)는 상기 지주대(100)의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울타리 구조가 설치되는 지역의 형태나 출몰하는 야생 짐승의 종류 등에 따라 상기 와이어(200)가 설치되는 높이나 상기 와이어(200) 상호간 간격 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부까지 상기 와이어(200)가 설치되어야 하는 곳에서는 상기 지주대(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행거부(110)에까지 다수 개의 상기 와이어(200)를 각각 결착하도록 하며, 울타리를 그다지 높게 설치할 필요가 없는 곳에서는 상기 지주대(100)의 중단부 정도에 형성된 행거부(110)에까지만 다수 개의 상기 와이어(200)를 각각 결착하도록 한다. 그리고 몸집이 큰 야생 동물만 출현하는 지역 등에서는 상기 와이어(200) 상호간의 간격이 촘촘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지주대(100)에 형성된 모든 상기 행거부(110)에 상기 와이어(200)를 결착하지 않고 다수 개의 상기 행거부(110) 중 필요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일부의 상기 행거부(110)를 선택하여 상기 와이어(200)를 결착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주대(10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모두에는 상기 지주대(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격자(150)를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격자(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지주대(100)에 가해지는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돌출된 X자 형태로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서 바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보강격자(150)가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서 바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를 운반하거나 시공하는 동안에 상기 보강격자(150)가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주대(100)의 측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오목홈(130)을 일자 형태로 길게 형성한 후에 상기 오목홈(130)의 저면에서 상기 보강격자(150)가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주대(100)는 ABS 수지나 FRP 수지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상기 행거부(110)와 보강격자(150) 등이 형성된 상기 지주대(100)를 사출 등의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지주대(100)의 중심부에 철심 등을 보강하여 형성하기도 용이하여 단단한 지반 등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주대(100)에서 지반에 삽입되는 하부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민짜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짐방지갈퀴(170)를 형성하여 주는 것이 좋다.
상기 지주대(100)의 하부를 민짜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지반에 삽입하여 시공하기는 다소 용이하겠지만, 상기 울타리 구조가 시공되는 지역의 토질이 단단하지 않고 무른 성질이거나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등에는 상기 지주대(100)가 지반에서 이탈되어 상기 울타리 구조가 훼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주대(100)의 하부에서 상방 외측을 향하여 형성된 상기 빠짐방지갈퀴(170)를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지주대(100)가 지반에 삽입된 후에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200)를 이용하여 상기 울타리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200)는 금속 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와이어(200)를 아무리 단단하게 상기 지주대(100)에 결착하더라도 재질의 특성상 또는 야생 동물의 부딪침 등에 의하여 늘어나서 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떨어진 장력을 복구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을 상기 와이어(200)에 장착하도록 한다.
도 4에는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의 결합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의 작용을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은 일반적인 나선형 스프링의 양단에 교차끼움부(3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교차끼움부(311)는 나선형 스프링의 양쪽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되 상하로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절곡되어 있다.
도 4(a)에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이 상기 와이어(200)에 결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와이어(200)에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의 교차끼움부(311)를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결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200)가 상기 교차끼움부(311)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교차하여 결착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200)와 상기 교차끼움부(311)의 마찰력이 극대화되어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의 양쪽 교차끼움부(311)에서 상기 와이어(200)를 단단하게 붙잡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야생 동물이 상기 와이어(200)에 부딪쳐서 상기 와이어(20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200)에 결착된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의 나선형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200)가 늘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200)에 가해진 인장력이 제거된 후에는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200)도 함께 원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이 떨어지게 된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 양단의 교차끼움부(311) 사이에 있는 상기 와이어(200)를 가운데로 잡아서 당기거나,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을 뺀 후에 상기 와이어(200)를 잡아당겨서 가운데로 모으고 다시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을 끼워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복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늘어난 상기 와이어(200)를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 양단의 교차끼움부(311) 사이로 당겨서 모아주는 것만으로도 상기 와이어(200)와 상기 교차끼움부(311) 사이의 단단한 마찰력 때문에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200)에 야생 동물이 부딪쳐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역시 나선형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200)에 가해지는 인장력이 분산되고 인장력이 제거된 후에는 다시 복원하게 되어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와이어(200)와 상기 교차끼움부(311) 사이에 마찰력이 다소 부족하여 단단하게 결착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 양단의 교차끼움부(311) 사이로 당겨서 모아진 상기 와이어(200)를 일측의 상기 교차끼움부(311)에 다시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결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늘어난 상기 와이어(200)를 다시 상기 교차끼움부(311)에 결착시킴으로써 보다 단단하게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200)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된다. 이때, 늘어난 상기 와이어(200)를 일측의 상기 교차끼움부(311)에 결착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 상기 교차끼움부(311) 모두에 결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은 상기 와이어(200)에 필요한 수만큼 장착하도록 하며, 탈부착이 간단하여 상기 울타리 구조를 시공한 이후에도 상기 와이어(200)의 상태에 따라 더 부가하여 부착하거나 기존에 결착된 것을 탈착하는 등의 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울타리 구조에는 일반적으로 출입문이 별도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출입문을 밀고 닫거나, 혹은 열고 닫는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역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출입문에도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을 장착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시켜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을 이용하여 출입문에 형성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시킬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을 출입문 프레임(500)에 별도로 장착하여 상기 울타리 구조를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나선형 스프링의 일측에는 고정고리(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과 같은 교차끼움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고리(312)는 상기 출입문 프레임(500)에 결착되어 고정되는데, 바로 상기 고정고리(312)를 상기 출입문 프레임(500)에 끼워서 연결시킬 수도 있지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문 프레임(500)에 연결클립(510)을 장착하고 상기 연결클립(510)에 상기 고정고리(312)를 끼워서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클립(510)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을 상기 출입문 프레임(500)에 탈부착하기 용이하게 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을 더 결착한다든지, 또는 장착된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을 교체하거나 완전히 탈착하는 등 유지보수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310)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방법은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300)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지주대 110 - 행거부
130 - 오목홈 150 - 보강격자
170 - 빠짐방지갈퀴
200 - 와이어
300 -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 310 -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
311 - 교차끼움부 312 - 고정고리
400 - 그물망
500 - 출입문 프레임 510 - 연결클립
A - 지반

Claims (8)

  1. 하단부가 지반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 개의 지주대;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에 일정 높이로 횡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및
    나선형 스프링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하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교차끼움부가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끼움형 처짐방지스프링 양단의 교차끼움부를 상기 와이어에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상기 지주대의 전면 또는, 전면과 후면 모두에서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를 탈부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행거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상기 지주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 깊이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과, 상기 오목홈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상하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X자형 보강격자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지반에 삽입되는 하단부에 상방 외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빠짐방지갈퀴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지주대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그물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한 상기 지주대 한 쌍의 사이에 형성되는 출입문 프레임과,
    나선형 스프링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고리가, 타측 단부에는 상하로 반복하여 절곡되는 교차끼움부가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형 처짐방지스프링 일측의 고정 고리는 상기 출입문 프레임 일측에 고정되며, 타측의 교차끼움부는 상기 와이어에 지그재그로 교차시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기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에 일정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충전되는 하나 이상의 축전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1020120042169A 2012-04-23 2012-04-23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101365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169A KR101365042B1 (ko) 2012-04-23 2012-04-23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169A KR101365042B1 (ko) 2012-04-23 2012-04-23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99A KR20130119199A (ko) 2013-10-31
KR101365042B1 true KR101365042B1 (ko) 2014-02-20

Family

ID=4963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169A KR101365042B1 (ko) 2012-04-23 2012-04-23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653A (ko) 2015-01-30 2015-02-26 (주)희원조경 맹수류 방사장용 울타리 설치구조
CN104963553A (zh) * 2015-07-14 2015-10-07 孙立民 一种电力安全围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372997A1 (en) * 2018-10-31 2021-05-27 Emile Stassen Van Der Merwe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ified wire
US20230089591A1 (en) * 2021-09-21 2023-03-23 Vernon L. Miller Barbed Wire Snap-On Stabiliz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17Y1 (ko) 2005-06-20 2005-09-02 (주)창광이앤씨 투시 완충형 2단 가드레일
JP2007132492A (ja) 2005-11-14 2007-05-31 Alpine Electronics Inc 防振構造
KR100956284B1 (ko) 2009-06-29 2010-05-10 이하나 울타리 설치용 절연지주
KR101057631B1 (ko) 2011-01-12 2011-08-18 신풍디자인그룹 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기 휀스 및 그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517Y1 (ko) 2005-06-20 2005-09-02 (주)창광이앤씨 투시 완충형 2단 가드레일
JP2007132492A (ja) 2005-11-14 2007-05-31 Alpine Electronics Inc 防振構造
KR100956284B1 (ko) 2009-06-29 2010-05-10 이하나 울타리 설치용 절연지주
KR101057631B1 (ko) 2011-01-12 2011-08-18 신풍디자인그룹 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기 휀스 및 그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0653A (ko) 2015-01-30 2015-02-26 (주)희원조경 맹수류 방사장용 울타리 설치구조
CN104963553A (zh) * 2015-07-14 2015-10-07 孙立民 一种电力安全围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99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042B1 (ko) 처짐방지스프링을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200470590Y1 (ko) 야생동물 침입 방지용 펜스
KR20150004415U (ko) 수달 사육사 목책울타리 시공방법
CN204112854U (zh) 一种金属围栏立柱
EP2998461A1 (en) Fence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said fence arrangement
CN202738649U (zh) 简便昆虫饲养棚
JP2018143175A (ja) 電気柵用導電具
KR200457513Y1 (ko) 농업용 조립식 지주
KR200488170Y1 (ko) 철망 펜스용 고정 프레임
JP5192606B1 (ja) 支柱延長部材
KR101687401B1 (ko) 울타리용 지주 및 그 제조방법
JP3185208U (ja) 猿、猪、ハクビシンに有効な電気柵
CN210326487U (zh) 一种低压变电运行安全保护装置
CN210086975U (zh) 一种隔离多功能一体网围栏
JP2011167105A (ja) 野生シカ捕獲飼育方法とその設備
JP5384390B2 (ja) 獣害防止フェンス
JP2001245546A (ja) 獣類用柵
JP3175300U (ja) 電気柵用碍子付支柱
JP2656910B2 (ja) 電気柵
JP5162378B2 (ja) 電気柵
JP3245939U (ja) 防獣ネットの支持柵及び防獣ネットシステム
CN214195809U (zh) 电子围栏立柱
CN211524342U (zh) 一种园林景观花木卡箍式防护网
CN110905279B (zh) 围栏结构、封育围栏及荒漠化草场生态修复方法
CN217742518U (zh) 一种防护网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