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618B1 -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 Google Patents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618B1
KR101363618B1 KR1020120043293A KR20120043293A KR101363618B1 KR 101363618 B1 KR101363618 B1 KR 101363618B1 KR 1020120043293 A KR1020120043293 A KR 1020120043293A KR 20120043293 A KR20120043293 A KR 20120043293A KR 101363618 B1 KR101363618 B1 KR 10136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ow
spherical ball
coupling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0209A (ko
Inventor
신상훈
이주연
장민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61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0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8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볼과 가이드바 및 바이패스용 디스크를 적용하여 가로방향에 놓인 상태에서 미세 유량에 따른 일방향 단속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1 유체 흐름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결합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출력부와; 상기 유체 출력부의 제 1 결합관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결합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링과, 상기 원형링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상기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흐름용 홀로 이루어지는 바이패스용 디스크와; 상기 유체 흐름용 밸브의 제 1 결합관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2 유체 흐름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입력부와; 상기 제 2 유체 흐름관 내부에 결합되며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한 유체 단속용 구형볼과; 상기 유체 입력부의 제 2 결합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이 제 2 결합관의 공간부로 추락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형볼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One way valve capable of regulating flow rate delicately}
본 발명은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형볼과 가이드바 및 바이패스용 디스크를 적용하여 가로방향에 놓인 상태에서 미세 유량에 따른 일방향 단속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방향 밸브라 함은 유체의 정방향 흐름은 허용하면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곳에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단방향 밸브는 다양한 타입이 존재하는바, 크게 스프링 지지 타입과, 개폐용 디스크 타입과, 날개 구조 변환식 타입 등이 있다.
이하에서 각각의 타입을 정리하기로 한다. 먼저, 스프링 지지 타입은 공개특허공보(10-2004-0002257; 공개번호)와 공개특허공보(10-2008-0088077호; 공개번호)로 정리하고, 개폐용 디스크 타입은 등록실용신안공보(20-0370716호; 등록번호)로 정리하며, 날개 구조 변환식 타입은 공개특허(10-2008-0079868호; 공개번호)로 정리하기로 한다.
첫째 스프링 지지타입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1)의 중앙에 유체가 통과되는 밸브홀(2)이 형성되고, 밸브하우징(1)의 하단에는 상기 밸브홀(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밸브(6)가 설치되기 위한 밸브실(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실(3) 내부에는 상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밸브(6)를 형성하고, 이 밸브(6)의 하측으로 원기둥 모양의 스프링(7)을 탄지시키며, 밸브실(3)의 하단에는 상기 밸브실(3)을 밀폐시키면서 스프링(7)을 지지하는 스프링시트(4)가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시트(4)의 상면에는 원기둥 모양의 스프링(7)이 제위치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돌기(5)가 돌출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단방향 밸브구조는 스프링(7)의 탄성력보다 큰 압력의 유체가 밸브홀(2)에 가해지면 그 압력에 의해 밸브(6)가 하강하여 밸브홀(2)이 열리면서 유체가 통과하게되는 것이며,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때에는 스프링(7)의 탄성에 의해 밸브(6)가 상승하여 밸브홀(2)을 차단하므로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b는 스프링 타입의 다른 예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유체진행로에 설치되는 단방향 밸브는 유체의 정상적인 진행은 원활하게 유도하고 역류는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바디(40)에 형성된 상부유체진행로(41)와 그 상부유체진행로(4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하부바디(50)에 형성된 하부유체진행로(51)가 상호 연통되게 설치되고, 그 상호 연통되게 설치된 상기 유체진행로(41.51)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유체진행로에 설치되는 종래 단방향 밸브의 구조는 상부바디(40)에 형성된 상부유체진행로(41)의 하단에 볼(60)이 선택적으로 결합 및 이격되게 마련되고, 그 볼(60)의 하부 즉 하부바디(50)에 형성된 하부유체진행로(51)의 상부에 상기 볼(60)의 하부를 지지하며 그 볼(60)을 상부로 밀려 올리는 스프링(6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단방향 밸브에서 상부유체진행로(41)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이격시키는 볼(60)의 제조 과장은 상/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게 되고, 그 상/하부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에 상기 상/하부금형의 결합부분 즉 볼(60)의 외주 면 중앙부분에 그 볼(60)의 외주 면을 따라 피팅라인(61)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몸체(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며 내측에 나사선을 갖는 입구부(11)와 출구부(13) 중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입구부(11)에는 상기 개폐용 디스크가 힌지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도 2a, 도 2b는 개폐용 디스크 타입으로서, 입구부(11)를 개폐 가능하게 상기 개폐용 디스크(300)를 고정하는 힌지체결수단은, 몸체(10)의 외측 일측에 돌출 형성된 체결공(18)과, 상기 몸체(10)의 내측 일측에 결합공(19a)을 갖는 지지브라켓(19)과, 상기 체결공(18)과 지지브라켓(19)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개폐용 디스크(300)의 일단에 관통된 결합공(310a)을 갖는 힌지부(310)와, 상기 체결공(18)과 지지브라켓(19) 사이에 위치된 힌지부(310)가 힌지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공(18)과 상기 지지브라켓(19) 및 힌지부(310)의 결합공(310a)에 결합되는 힌지핀(50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도배관에 설치되어 수돗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일반적인 체크밸브(C)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입구부(11)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입구부(11)를 밀폐하고 있던 상기 개폐용 디스크(300)는 유체의 수압에 의해 상기 힌지핀(500)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입구부(11)를 개방하여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상기 출구부(13)를 통해 배출된다.
도 3a, 도 3b는 날개 구조 변환식 타입으로서, 밸브부(200)는 복수의 날개로 분리 형성되고, 돔 형상으로 서로 마주하는 유선형 날개로 이루어진 날개유닛(210)이 주조를 통해 제작되고 단조를 통해 마무리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유닛(210)은 구체적으로 복수의 유선형 날개(211,212,213,214)가 연결되어 돔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이 날개유닛(210)은 4등분으로 분할 형성되며, 각 날개(211,212,213,214)의 원주면과 상기 플랜지 몸체부(100)의 밸브시트부(112)가 연결핀(220)으로 연결되는 힌지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날개유닛(210)은 중앙으로 0.02mm의 홈(215)이 열십자로 파여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밸브부(200)는, 돔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 돔 형식의 날개 유닛(210)이 벌어져 (도면에서는 화살표(→)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게 되지만, 반대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게 되면 날개유닛(210)이 닫혀져 유체의 흐름을 막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단방향 밸브 구성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프링 지지 타입과, 개폐용 디스크 타입과, 날개 구조 변환식 타입은 유체의 일방향의 흐름을 단속하고 다른 일방향의 흐름을 갖기 위해서 강한 지지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즉, 스프링 지지 타입은 스프링력을 이기고 유체의 흐름을 갖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약한 유체 흐름에서는 스프링력을 넘어설 수가 없어서 유체 흐름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개폐용 디스크 타입 역시 디스크를 개방시켜야 일방향 흐름이 발생되므로 미약한 유체에서 디스크를 들어올리기가 어려워 유체 흐름이 발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날개 구조 변환식 타입 역시 유체 흐름을 단속하기 위해 날개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한 과도한 유체의 흐름이 필요로 하여 미약한 흐름에서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유체 출력부와 유체 입력부 및 구형볼을 갖되, 상기 입력부에 가로방향으로 가이드바를 다수개 설치하여 구형볼이 추락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평이동토록 구성함으로서 미세 유량에 따른 일방향 단속이 가능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일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1 유체 흐름관(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결합관(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출력부(10)와; 상기 유체 출력부(10)의 제 1 결합관(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결합관(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링(21)과, 상기 원형링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돌기(22)와, 상기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흐름용 홀(23)로 이루어지는 바이패스용 디스크(20)와; 상기 유체 출력부(10)의 제 1 결합관(12)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4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2 유체 흐름관(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입력부(40)와; 상기 제 2 결합관(42) 내부에 결합되며 바이패스용 디스크(20)에 임시결합하여 유체가 유체 출력부(10)의 제 1 유체 흐름관(11)을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1) 입구에 임시결합하여 제 2 유체 흐름관(41)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과; 상기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제 2 결합관(42)의 수평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형볼 가이드바(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형볼 가이드바(50)는, 직육면체, 삼각기둥, 반원통 또는 반타원통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형볼 가이드바(50)는, 3개 이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 출력부와 유체 입력부 및 구형볼을 갖되, 상기 유체 입력부에 가로방향으로 가이드바를 다수개 설치하여 구형볼이 추락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평이동토록 구성함으로서 미세 유량에 따른 일방향 단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스프링 타입 단방향 밸브 제 1 실시예도.
도 1b는 종래의 스프링 타입 단방향 밸브 제 2 실시예도.
도 2a, b는 종래의 개폐용 디스크 타입 단방향 밸브 실시예도.
도 3a, b는 종래의 날개구조 변환식 단방향 밸브 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를 다른 방향으로 배열한 사시도.
도 6a, 6b, 6c는 유체의 흐름이 단속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7b, 7c는 유체의 흐름이 발생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를 다른 방향으로 배열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유체 출력부(10)와, 바이패스용 디스크(20)와, 유체 단속용 구형볼(30)과, 유체 입력부(40) 및, 구형볼 가이드바(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 출력부(10)는 일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1 유체 흐름관(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결합관(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용 디스크(20)는 유체 흐름용 밸브의 제 1 결합관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결합관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링(21)과, 상기 원형링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돌기(22)와, 상기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흐름용 홀(23)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 입력부(40)는 유체 출력부(10)의 제 1 결합관(12)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4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2 유체 흐름관(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은 제 2 유체 흐름관(41) 내부에 결합되며 바이패스용 디스크(20)에 임시결합하여 유체가 유체 출력부(10)의 제 1 유체 흐름관(11)을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2) 입구에 임시결합하여 제 2 유체 흐름관(42)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형볼 가이드바(50)는 제 2 결합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이 제 2 결합관의 수평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6a, 도 6b,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 유체 출력부(10)의 제 1 유체 흐름관(11)을 통해 인입된다.
이후,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을 밀어내고, 이때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은 가이드바(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을 더 밀어서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2) 입구를 폐쇄한다.
그러면, 유체 출력부(10)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는 유체 입력부(40)를 통과하지 못하고 단속된다.
둘째,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7a, 도 7b,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2)을 통해 인입된다.
이후,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을 밀어내고, 이때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은 가이드바(5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을 더 밀어서 유체 출력부(10)에 결합된 바이패스용 디스크(20)의 입구에 밀착된다.
그러면, 유체 입력부(40)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과 바이패스용 디스크(20)의 유체 흐름용 홀(22) 사이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의 단방향 밸브가 종래의 단방향 밸브와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유체 입력부(40)에 가이드바(50)를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 가이드바(50)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수평이동하도록 유도하는바, 만약에 가이드바(50)가 존재하지 않으면 유체가 유체 출력부(10)를 통과하여 유체 입력부(40)로 진입을 시도할시에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유체 입력부(40)의 하단으로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자연스럽게 이동하지 못하여 일부의 유체 입력부(40)를 통과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가이드바(50)가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유체 출력부(10)를 통과한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밀릴시에 유체 입력부(40)의 공간부로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추락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의 나머지 공간으로 유체가 통과하면서 유체 입력부(40)로 유체 흐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의 내경은 제 2 유체 흐름관(12)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고, 이때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은 제 2 유체 흐름관의 입구를 폐쇄하는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구형볼 전후의 압력차가 적은 미세유동의 경우, 가이드바(50)가 없는 상황에서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제 2 결합관의 내측 하단으로 추락하는 현상이 반드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을 일정이상 크게 제작할 수 없는 이유는 유체 입력부(40)를 통해 유체가 진입시에는 유체 출력부(10)를 통해 유체가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의 내경이 커져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할시에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2) 입구를 용이하게 폐쇄하고, 아울러 유체의 흐름을 일으킬시에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과 바이패스용 디스크(20) 사이로 유체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의 크기를 제한하면서도 동시에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 내부에서 추락하지 않토록 가이드바(50)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이드바(50)를 구성하게 되면 유체를 단속시에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가이드바(50)를 따라 자연스럽게 수평이동하면서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을 폐쇄하기 때문에 제 2 유체 흐름관(41)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최소화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가이드바(50)는 직육면체나 삼각기둥 또는 반원통 또는 반타원통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직육면체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즉, 가이드바(50)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가이드바(50)와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은 선접촉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접면되면서 굴러가도록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가이드바(50)의 형태는 직선형태로 구성하되 구체적인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나 삼각기둥 또는 반원통 또는 반타원통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바(50)의 갯수는 3개에서 5개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한 3개는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적어도 3개는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유체 입력부(40)가 어느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의 흐름이 나타나야하기 때문이며, 만약에 2개의 가이드바(50)만을 설치한다면 설치 방향에 따라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연결관(42) 내부에서 추락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3개의 가이드바(50)를 설치하여 유체 입력부(40)를 어느 방향으로 설치하여도 가이드바(50)를 따라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가이드바(50)를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움직이도록 한다.
아울러, 가이드바(50)의 갯수를 5개 이하로 한정하는 이유는 가이드바(50)의 갯수가 늘어날 수록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는 있으나,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킬때 가이드바(50) 사이로 유체가 흘러가야 되는바, 많은 숫자의 가이드바(50)가 존재하게 되면 그만큼 유체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3개 많게는 5개의 가이드바(50)를 예시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미세유량이 흐를시에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의 자연스러운 구름 운동을 유도하여 일방향의 흐름을 단속하는 단방향 밸브의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다.
10: 유체 출력부
11: 제 1 유체 흐름관
12: 제 1 결합관
20: 바이패스용 디스크
21: 원형링
22: 내측돌기
23: 유체흐름용 홀
30: 유체 단속용 구형볼
40: 유체 입력부
41: 제 2 유체 흐름관
42: 제 2 결합관
50: 가이드바

Claims (3)

  1. 일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1 유체 흐름관(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 1 결합관(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출력부(10)와;
    상기 유체 출력부(10)의 제 1 결합관(12) 내부에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제 1 결합관(1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링(21)과, 상기 원형링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돌기(22)와, 상기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흐름용 홀(23)로 이루어지는 바이패스용 디스크(20)와;
    상기 유체 출력부(10)의 제 1 결합관(12)의 내측에 결합되는 제 2 결합관(4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유체가 통과되는 제 2 유체 흐름관(4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체 입력부(40)와;
    상기 제 2 결합관(42) 내부에 결합되며 바이패스용 디스크(20)에 임시결합하여 유체가 유체 출력부(10)의 제 1 유체 흐름관(11)을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거나, 또는 유체 입력부(40)의 제 2 유체 흐름관(41) 입구에 임시결합하여 제 2 유체 흐름관(41)을 통해 유체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는 유체 단속용 구형볼(30)과;
    상기 유체 입력부(40)의 제 2 결합관(42)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것으로, 유체 단속용 구형볼(30)이 제 2 결합관(42)의 수평 중심부에서 벗어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좌우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구형볼 가이드바(5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볼 가이드바(50)는,
    직육면체, 삼각기둥, 반원통 또는 반타원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볼 가이드바(50)는,
    3개 이상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KR1020120043293A 2012-04-25 2012-04-25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KR10136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93A KR101363618B1 (ko) 2012-04-25 2012-04-25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93A KR101363618B1 (ko) 2012-04-25 2012-04-25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09A KR20130120209A (ko) 2013-11-04
KR101363618B1 true KR101363618B1 (ko) 2014-02-19

Family

ID=4985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293A KR101363618B1 (ko) 2012-04-25 2012-04-25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58B1 (ko) * 2020-04-28 2020-09-10 이도훈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532B1 (ko) * 2013-05-29 2014-08-1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압력발생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심혈관계 시뮬레이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622A (en) 1980-01-21 1981-09-01 Youichi Ninomiya Check valve assembly
JPS59110475U (ja) * 1983-01-17 1984-07-25 鈴木 友衛 ボ−ル弁装置
JPS60112693U (ja) * 1983-12-29 1985-07-30 三洋電機株式会社 ポンプの空気補給装置
JPS6311982U (ko) * 1986-07-10 1988-01-26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6622A (en) 1980-01-21 1981-09-01 Youichi Ninomiya Check valve assembly
JPS59110475U (ja) * 1983-01-17 1984-07-25 鈴木 友衛 ボ−ル弁装置
JPS60112693U (ja) * 1983-12-29 1985-07-30 三洋電機株式会社 ポンプの空気補給装置
JPS6311982U (ko) * 1986-07-10 1988-01-2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58B1 (ko) * 2020-04-28 2020-09-10 이도훈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09A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088B2 (en) Dual-function valve with pressure adjustment and temperature control functions
US9964963B2 (en) Pressure equalizing insert
JP2005508730A5 (ko)
KR101285748B1 (ko) 유수 제어기능을 갖는 전자석 밸브
JP2002071044A (ja) 双方向型パイロット式電磁流路開閉弁と双方向型配管
KR101363618B1 (ko) 미세유량 제어용 단방향 밸브
US20070007306A1 (en) Soap dispenser extruding device
JP5614717B2 (ja) バルブ
RU2009140597A (ru) Клапанный порт для газового регулятора с улучшенн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US20120167999A1 (en) Pressure balance valve
JP4690430B2 (ja) 定流量弁
CN103711964A (zh) 自对准阀塞
CN203189820U (zh) 平衡压强调节器以及平衡阀塞组件
CN107859760B (zh) 一种双向截止阀
CN109210206B (zh) 一种电动阀
JP2013232073A (ja) 減圧弁
CN202109033U (zh) 单向阀
CN212536788U (zh) 限流单向阀
CN202867953U (zh) 闸阀与止回阀的组合阀门
CN114051568A (zh) 截止阀
CN202302162U (zh) 流体调节器、阀与阀内件组件
CN201575204U (zh) 带有逆止功能的隔离阀
CN210196547U (zh) 一种带逆止三通电磁阀
JP6099226B2 (ja) 二方電磁弁
JP6425451B2 (ja) 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