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608B1 -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608B1
KR101362608B1 KR1020117005021A KR20117005021A KR101362608B1 KR 101362608 B1 KR101362608 B1 KR 101362608B1 KR 1020117005021 A KR1020117005021 A KR 1020117005021A KR 20117005021 A KR20117005021 A KR 20117005021A KR 101362608 B1 KR101362608 B1 KR 101362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book
matrix
beamforming
adaptive codebook
antenna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806A (ko
Inventor
칭후아 리
홍밍 젱
센지에 장
신티안 에디 린
샨샨 젱
구앙지에 리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8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4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1Differential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5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power constraints at power amplifier or emission constraints, e.g. constant modulus,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TECHNIQUES UTILIZING ADAPTIVE CODEBOOK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폐루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빔포밍에서,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은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beamforming matrix)을 양자화하고 양자화 인덱스(quantization index)를 다시 기지국(base station; BS)에 송신한다. BS는 피드백된 인덱스에 따라서 빔포밍 행렬을 재구성하고 빔포밍을 수행한다. 빔포밍이 링크 성능 및 시스템 처리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지만, 802.16e(WiMAX)에서,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은 일정한 양자화 코드북(constant quantization codebook)에 의해 양자화된다. 코드북은, BS에서의 송신 안테나 상관(transmit antenna correlation)이 제로인, 단일 채널 시나리오에 대하여 최적화된다. 그러나, 송신 안테나 상관은 실제로는 항상 제로가 아니고 BS에서의 안테나 간격, BS 안테나 높이, LOS/NLOS 조건, BS 및 SS 분리와 같은 몇몇 요인들에 따라 변한다. 더욱이, 최적의 양자화 코드북은 안테나 상관에 따라 변하며, 따라서 코드북을 상관에 적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코드북 및 802.16e 코드북은 높은 안테나 상관과 낮은 안테나 상관 양쪽 모두에 대해서가 아니라 둘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최적화된다. 다행히도, 안테나 상관은 단기 채널 페이딩(short-term channel fading)과 비교하여 매우 느리게 변하고, 802.16e에서 장기 정보(long term information)에 대한 피드백 메커니즘이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용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에 대한 강한 필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으로서 간주되는 내용이 자세히 지적되고 본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서 뚜렷하게 청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의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과 함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관하여, 첨부 도면들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참조할 때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6e의 코드북 분포들, DFT, 및 변환된 코드북들을 도시한다.
도 2는 낮은 안테나 상관을 갖는 3개의 코드북들: 802.16e, DFT 및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적응 코드북의 패킷 오류율들(packet error rates)을 도시한다.
도 3은 높은 안테나 상관을 갖는 3개의 코드북들: 802.16e, DFT 및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안된 적응 코드북의 패킷 오류율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단일 사용자 MIMO 및 다양한 다중 사용자 MIMO 방식들에서 3개의 코드북들의 처리량 비교를 도시한다.
설명의 간결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반드시 일정한 비례로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구성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명확성을 위해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과장되어 있다. 또한,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도면들 사이에서 참조 번호들이 반복되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특정한 상세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 기술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상세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사례들에서,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하여 잘 알려진 방법들, 절차들, 컴포넌트들 및 회로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처리"(processing), "계산"(computing), "산출"(calculating), "결정"(determining), "설정"(establishing), "분석"(analyzing), "조사"(checking) 등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한 설명들은 컴퓨터의 레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들 내의 물리적인(예를 들면, 전자적인) 양들로서 표현된 데이터를 조작하고 및/또는 컴퓨터의 레지스터들 및/또는 메모리들 또는 동작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정보 저장 매체 내의 물리적인 양들로서 유사하게 표현된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컴퓨터, 컴퓨팅 플랫폼, 컴퓨팅 시스템, 또는 다른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들) 및/또는 프로세서(들)를 나타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들 "복수"(plurality) 및 "복수의"(a plurality)는, 예를 들면, "다수"(multiple) 또는 "둘 이상"(two or more)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들 "복수" 또는 "복수의"는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둘 이상의 컴포넌트들, 디바이스들, 엘리먼트들, 유닛들, 파라미터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스테이션들"(a plurality of stations)은 둘 이상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테나 상관에 따라 변하는 적응 코드북을 제공한다. BS와 SS 양쪽 모두는 BS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화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동시에 802.16e 코드북들을 변환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코드북은 모든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경쟁 상대 코드북들보다 한결같이 성능이 우수한 것을 증명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코드북은 각각의 주어진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최적화되는 최적의 코드북들과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환은 802.16e에 대한 백워드 호환되는 해법(backward compatible solution) 및 추가로 802.16e 코드북을 제공한다.
폐루프 MIMO 빔포밍에서, 가입자국(SS)은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을 양자화하고 양자화 인덱스를 다시 기지국(BS)에 송신한다. BS는 피드백된 인덱스에 따라서 빔포밍 행렬을 재구성하고 빔포밍을 수행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빔포밍이 링크 성능 및 시스템 처리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IEEE 802.16e(WiMAX)에서,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은 일정한 양자화 코드북에 의해 양자화된다. 코드북은, BS에서의 송신 안테나 상관이 제로인, 단일 채널 시나리오에 대하여 최적화된다. 그러나, 송신 안테나 상관은 실제로는 항상 제로가 아니고 BS에서의 안테나 간격, BS 안테나 높이, LOS/NLOS 조건, BS 및 SS 분리와 같은 몇몇 요인들에 따라 변한다. 더욱이, 최적의 양자화 코드북은 안테나 상관에 따라 변하며, 따라서 코드북을 상관에 적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현재의 DFT 코드북들 및 802.16e 코드북들은 높은 안테나 상관과 낮은 안테나 상관 양쪽 모두에 대해서가 아니라 둘 중 어느 한쪽에 대하여 최적화된다. 다행히도, 안테나 상관은 단기 채널 페이딩(short-term channel fading)과 비교하여 매우 느리게 변한다. 상관의 피드백은 시스템 오버헤드(system overhead)가 거의 생기지 않는데, 그 이유는 (각 부대역(subband)에 대하여 변하는 빔포밍 행렬 피드백과 다르게) 그것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여전히 동일하고 드물게, 말하자면, 100 ms마다 피드백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테나 상관에 따라 변하는 적응 코드북을 제공한다. BS와 SS 양쪽 모두는 BS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화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동시에 802.16e 코드북들을 변환한다.
802.16e 코드북은,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이 균일하게 분포되는, 제로 안테나 상관을 위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양자화 코드워드 행렬(또는 벡터)은 양자화 공간들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802.16e 시스템에서의 빔포밍은 단지 장거리(및 NLOS) 경우에 단일 사용자 MIMO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안테나 상관은 전형적으로 제로에 가깝다. 그러나, WiMAX 2에 대해서는, 더 많은 송신 안테나(8개까지) 및 보다 가까운 안테나 설치(closer antenna mounting)(반파장)가 고려되지만, 본 발명은 이 점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안테나 상관은 어떤 경우들에 대해서는 제로가 아닌 반면 다른 경우들에 대해서는 제로에 가깝다. 예를 들면, 다중 사용자 MIMO(또는 다운링크 SDMA)는 작은 안테나 간격에서 잘 작동하는 반면 단일 사용자 MIMO는 큰 안테나 간격을 선호한다.
상이한 안테나 상관들에 대한 다수의 코드북들을 정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편적인 해법을 제공하고 모든 안테나 상관들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코드북들을 변환할 수 있다. 변환은 안테나 상관의 단순한 함수이다.
본 발명의 적응 코드북은 차동 관점(differential perspective)으로부터 바라볼 수 있다. 안테나 상관 행렬은 매우 느리게 변하고 그것은 가장 강한 수신 신호들의 평균 빔포밍 방향들을 나른다(carries). 더욱이, 순간 빔포밍 방향들의 분포는 상관이 증가할 때 평균 빔포밍 방향들에 집중한다. 양자화 코드워드들을 균일하게 전개(spreading)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양자화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코드워드들이 평균 방향들에 집중하도록 균일한 코드북을 변환한다.
적응 코드북의 개념은 다른 2개의 코드북들과 비교하여 예로서 도 1의 100으로서 일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채널은 2개의 송신 및 1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갖는 2x1 실제 채널이다. 16e 코드북(110)의 코드워드들은 반원(semicircle)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한다. 이와 대비하여, DFT 코드북(120)은 일정 계수 제약(constant modulus constraint) 때문에 2개의 유효 코드워드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3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4
만을 갖고 양자화 공간에 큰 구멍들(holes)을 남긴다. 비상관된 채널에 대하여, 양자화기에의 입력, 즉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은 반원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하고 따라서 802.16e 코드북의 코드워드 분포와 매칭한다. 고도로 상관된 채널에 대하여, 각 송신 안테나의 채널 응답 크기는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며 따라서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의 엔트리 크기도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진다. 이것은 DFT 코드북의 코드워드 분포와 매칭한다. 이것은 2개의 코드북들(110 및 120)이 2개의 극단적인 시나리오들(양쪽 모두는 아님)에 대하여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한다. DFT 코드북에서 사용되는 크기 정보 외에도, 적응 코드북(130)은 안테나 상관으로부터 획득된 위상 정보를 추가로 이용한다. 적응 코드북(130)은 입력 빔포밍 행렬이 아마 존재할 것 같은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양자화 코드워드들을 변환한다. 재배치된(relocated) 코드워드들은 빔포밍 행렬의 입력 분포와 매칭하고 따라서 양자화 오류를 감소시킨다.
신호 모델
베이스밴드 신호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5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6
은 분산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7
를 갖는 복소수 AWGN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8
는 1제곱(unit power)을 갖는
Figure 112011015166083-pct00009
×1 송신 벡터(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0
by 1 transmitted vector)이고; 는 공간 스트림의 수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2
는 수신 벡터(received vector)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3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4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5
사이즈의 채널 행렬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6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7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8
의 빔포밍 행렬(또는 벡터)이다. 레일리 페이딩(Rayleigh fading) 채널에서, 상관된 채널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019
는 하기의 수학식으로서 독립적이며, 동일하게 분포된(independent, identically distributed; i.i.d.) 엔트리들을 갖는 채널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0
로부터 생성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1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2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3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4
수신 공분산 행렬(receive covariance matrix)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5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6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7
송신 공분산 행렬(transmit covariance matrix)이다. 송신 공분산 행렬은 이론적으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8
로서 정의되거나 또는 실제로 채널 행렬 샘플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29
들에 대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0
의 경험적 평균(empirical mean)으로서 단순히 계산될 수 있다. SS 안테나 높이는 주위의 물체들에 관하여 낮기 때문에,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1
은 단위 행렬(identity matrix)에 의해 근사화될 수 있다(approximated). 따라서, 수학식 2는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단순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2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3
의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가 다음의 수학식이라고 하자.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4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5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6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7
단위 행렬(unitary matrix), 즉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8
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39
는 감소하는 순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0
로 특이값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1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2
)의 제곱근들을 갖는 대각 행렬(diagonal matrix)이다. 수학식 3에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3
의 거듭제곱(power)은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4
로서 기술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수학식 2는 상관된 채널들의 단순화된 채널 모델이고, 여기서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의 상관들은 분리되고(decoupled) 2개의 개별 행렬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5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6
에 의해 모델링된다. 그 분리가 실효성이 없는(invalid) 경우에 대하여, 채널 행렬 엔트리들의 상관 행렬(correlation matrix)은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7
로서 정의되고,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8
는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049
의 열들을 쌓아서(stack) 긴 열 벡터(column vector)를 만든다.
라이시안 페이딩(Ricean fading) 채널에서는,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수학식 2에 LOS(line-of-sight) 성분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0
가 더해진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1
송신 공분산 행렬은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정의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2
코드북 변환
균일하게 분포된 코드워드들을 갖는 양자화 코드북을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3
로 표시하고 그것의 코드워드들을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4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5
)로 표시한다. 우리는 상관된 채널들에 대한 새로운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균일한 코드북을 변환하고 싶다.
본 발명은 알려진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6
을 갖는 상관된 채널들에 대한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의 분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입력 분포를 이용하여, 많은 코드워드들을 갖는 매우 고해상도의 코드북들에 대하여, 우리는 채널 용량 손실을 최소화하는 점근적으로 최적의 변환(asymptotically optimal transformation)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변환은 초기하 함수(hypergeometric function)와 같은 고도의 복잡성 함수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동 디바이스에서 구현하기에는 실용적이지 않다. 우리는 그 변환을 단순화하고 최적에 매우 가까운 성능을 유지한다. 그 변환은 다음의 수학식의 형태를 갖는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57
여기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058
는 새로운 코드북의 i번째 코드워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059
는 입력 행렬(또는 벡터)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0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1
의 열들과 동일한 부분 공간(subspace)에 걸치는(span) 정규직교 열(orthonormal column)(들)을 갖는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로 변환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2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3
×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4
변환 행렬이다.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5
는 본질적으로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6
의 직교화(orthogonalization)이고 그랜트-슈미트(Grant-Schmidt) 및 QR 분해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간단히 구현될 수 있다. 변환 행렬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7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8
, 및 신호 대 잡음비(또는
Figure 112012068852512-pct00069
)의 함수일 수 있다. 하기에서 우리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단위 프리코딩(unitary precoding)을 이용하지만 그것은 또한 비단위 프리코딩(non-unitary precoding)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환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0
의 3개의 표현들을 제공한다.
실용성을 위해,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1
는 다음의 다항식 형태를 갖는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2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3
는 LOS 성분들의 빔포밍 방향을 포함하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4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하여 제로일 수 있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5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6
로 표시된 신호 대 잡음비(SNR)의 함수일 수 있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7
는 정수, 예를 들면, 2 또는 4일 수 있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8
는 정수 변수이다. 낮은 SNR에 대해서는, 수학식 6에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79
의 고차 항으로부터 약간 더 큰 기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중 계수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0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1
가 감소할 때 증가할 수 있다(예를 들면,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2
). 단순성을 위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3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4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5
의 조합마다 모든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6
들에 대하여 일정한 표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경우들에 대하여 다음의 수학식이 사용될 수 있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7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8
Figure 112011015166083-pct00089
제곱(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0
-th power)은 다음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는다.
[수학식 9.1]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1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2
는 임의의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3
×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4
단위 행렬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학식 8 및 9는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5
들의 상이한 선택들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들을 갖는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6
인 경우, 수학식 4에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7
의 분해는 수학식 8을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기술하는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8
Figure 112011015166083-pct00099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0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한 이상적인 빔포밍 방향들의 글로벌 및 로컬 최대치들(global and local maximums)을 포함한다. 만약 변환을 위한 최초의 코드북이 균일하게 분포된다면, 수학식 10 및 11에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1
의 회전은 드롭(drop)될 수 있고(즉,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2
) 단순화된 변환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3
는 다음의 수학식들로 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4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5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6
는 일반적인 형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7
를 갖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고,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8
는 임의의
Figure 112011015166083-pct00109
×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0
단위 행렬일 수 있다. 삼각 행렬(triangular matrix)인,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1
의 콜레스키 분해(Cholesky decomposition) 형태는 일반적인 형태의 특수한 경우이다.
요컨대, 단순화된 코드북 변환은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2
또는 동등하게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3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4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5
는 장기(long term) CSI로부터 계산되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6
는 변환된 코드워드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7
는 최초의 코드북의 코드워드이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8
는 유리한, 장기 빔포밍 방향들(favorable, long term beamforming directions)로 이루어지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19
는 그 방향들로의 집중을 특정한다. 구현의 단순성을 위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0
은 모든 경우에 대하여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고 그것은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1
의 유리수 거듭제곱(rational power)을 계산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변환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다음의 수학식으로 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2
피드백 감소를 위하여, 수신기는 상관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3
를 피드백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에, 그것은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4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5
의 부분만을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6
의 첫 번째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7
열들 및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8
의 첫 번째
Figure 112011015166083-pct00129
고유값들(eigenvalues)을 피드백할 수 있다. 송신기는 피드백된 열들에 상보적인 및 직교 열들을 더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0
를 근사화하고 작은 값들, 예를 들면, 피드백된 고유값들의 최소치를 이용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1
의 피드백되지 않은 고유값들을 대체할 수 있다. 더욱이,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2
또는 그것의 등가물들의 피드백에 차동 기법(differential technique)이 적용될 수 있다.
실제의 시스템에서 적당한 표현은 성능, 피드백 오버헤드(feedback overhead) 및 복잡성 사이의 균형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적응 코드북은 원샷(one-shot) 및 차동 피드백들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원샷 피드백에 대한 것이다. 차동 피드백은 형태 [3][4]를 갖는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3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4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5
는 시간 t 및 t+1에서의 빔포밍 행렬들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6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7
를 이용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8
Figure 112011015166083-pct00139
로 회전시키는 정방 회전 행렬(square rotation matrix)이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0
는 소위 "차동 코드북"(differential codebook)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1
의 인덱스는 수신기로부터 송신기로 피드백된다. 차동 코드북의 코드워드들은 통상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것들은 어딘가에 집중한다(예를 들면, 단위 행렬). 코드워드들의 집중은 상관으로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차동 코드북은 원샷 코드북이 수학식 7을 이용하여 행한 바와 같이 상관에 적응할 수 있다. 변환의 간단한 예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2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3
는 장기 CSI로부터 계산되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4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5
, 및 이동 속도에 의존하는 어떤 수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6
는 변환된 코드워드이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7
는 최초의 코드북의 코드워드이다.
낮은 복잡성을 갖는 변형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8
연산은 가입자국에서 복잡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우리는 상기 최초 방식의 어떤 변형들을 고안한다. 첫 번째 변형은 가장 간단하다. SS는
Figure 112011015166083-pct00149
연산을 제거하고 비직교화된 행렬(unorthogonalized matrix)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0
를 직접 이용하여 코드워드를 선택하고 코드워드 인덱스를 피드백한다.
두 번째 변형은 다음과 같다. SS는 코드북을 변환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것은 채널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1
를 변환하고 균일한 코드북(예를 들면, 16e 코드북)을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변환된 채널 행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2
의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을 양자화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3
여기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4
인 경우, 수학식 3에서 표현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5
에서의 상관은 제거되고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6
는 비상관되게 되고, 그것의 분포는 균일한 코드북과 매칭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어떤 양의 수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7
에 대하여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8
이 되게 할 수 있다. 송신기는 피드백된 인덱스를 수신하고 균일한 코드북으로부터 코드워드
Figure 112011015166083-pct00159
를 조회한다. 최초의 코드북의 코드워드는 그 후 다음의 수학식으로서 실제의 코드워드로 변환된다.
Figure 112011015166083-pct00160
이제, 대부분의 계산 부담은 BS로 전가된다.
변환 행렬의 양자화
수신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환 행렬을 피드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것은 어떤 수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1
, 예를 들면,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2
에 대한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3
의 상 삼각(upper triangle)을 반송(send back)할 수 있다. 스칼라 양자화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4
이 사용되는 경우,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5
는 에르미트(Hermitian)이기 때문에,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6
의 상(또는 하) 삼각만이 한 엔트리씩(entry by entry) 양자화된다. 양자화 전에,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7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8
로서 대각선 상의 최대 수에 의해 스케일링되고(scaled) 대각선 상의 최대 수는 1(unity)로 정규화된다.
Figure 112011042985958-pct00169
의 대각선은 실수(real)이고 양(positive)이기 때문에, 1개의 양자화 비트로 충분할 수 있고 대각선의 엔트리는 1 또는 0.8로 양자화될 수 있다.
Figure 112011042985958-pct00170
의 대각외의 엔트리(off-diagonal entry)는 통상적으로 복소수(complex)이고 엔트리마다 4개의 양자화 비트를 필요로 한다. 양자화 성상도의 16개의 점들은 단위원(unit circle) 내에 배치(allocate)될 수 있다. 성상도 점들(constellation points)은 각각 반경 0.4 및 0.9를 갖는 2개의 원들 상에 위치한다. 단일 점이 (0,0)에 위치하고 이 점은 비상관된 및 약간 상관된 채널들에 대한 정확한 양자화에 전용된다. 이 경우, 변환 동작은 실제의 채널 상관 시나리오들(즉, 상관된 또는 비상관된)에 관계없이 항상 온(on)일 수 있다. 성상도는 단지 상관된 채널들에 대한 것인데, 그 이유는 시스템은 변환이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비상관된 채널들에 대해서는 단지 최초의(균일한) 코드북을 이용하고 변환 동작을 오프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0,0)에는 어떤 점도 위치하지 않는다. 점들은 모두 0.3보다 큰 놈(norm)을 갖는다. 성상도의 안쪽 부분보다 바깥 부분에 더 많은 점들이 있을 수 있다. 세 번째 예로서,
Figure 112011042985958-pct00171
이 사용되고
Figure 112011042985958-pct00172
이 콜레스키 분해에 의해 계산되는 경우, 상 삼각 행렬인 의 상 삼각에 유사한 스칼라 양자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링크 레벨 결과들의 일부가 낮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도 2의 200으로서 일반적으로 및 높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도 3의 300으로서 일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채널 모델은 ITU 보행자 B(ITU Pedestrian B)이다. BS는 4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고 SS는 2개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다. BS 송신 안테나들의 안테나 간격들은 낮은 상관 및 높은 상관을 갖는 실제의 설치에 대하여 4 파장 및 0.5 파장이다.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이 송신된다. 변조 및 코드 레이트는 64QAM 및 0.5이다. 3개의 코드북들이 테스트된다. 첫 번째 것은 종래의 802.16e 코드북 220(낮은 상관) 320(높은 상관)이고; 두 번째 것은 DFT 코드북 210(낮은 상관) 310(높은 상관)이고; 세 번째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의 적응 코드북 230(낮은 상관) 330(높은 상관)이다. 이상적인 SVD는 240(낮은 상관) 340(높은 상관)에 도시되어 있다. 낮은 상관 및 높은 상관 양쪽 모두의 경우에 대하여, 제안된 적응 코드북은 최선의 성능들을 갖는다. 이러한 성능들은 최적의 코드북들의 성능들에 매우 가깝다. 제로 상관에 대한 최적의 코드북은 낮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거의 최적인 16e 코드북이다. 적응 코드북은 16e 코드북보다 한층 조금 더 낫기 때문에, 적응 코드북은 최적의 코드북의 성능에 매우 가까운 성능을 갖는다. 더욱이, 적응 코드북은 무한한 수의 피드백 비트들을 갖는 이상적인 성능에 매우 가까운 성능을 갖고, 이것은 높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최적의 코드북의 성능보다 한층 더 낫다. 낮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DFT 코드북은 가장 열악한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높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DFT 코드북은 802.16e 코드북보다 약 1 dB만큼 성능이 낫다.
시스템 레벨 결과들의 일부가 높은 상관의 경우에 대하여 도 4의 400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802.16e는 410으로 묘사되고, DFT는 420으로 묘사되고 변환된 것은 430으로 묘사된다. 기호(legend) "MUZF"는 다중 사용자 제로 포싱(multi-user zero-forcing) 방식을 나타내고 "SUCL"은 단일 사용자 폐루프(single-user closed-loop) MIMO 방식을 나타낸다. 링크 레벨 결과들과 동일하게, 제안된 적응 코드북은 양쪽 MIMO 방식들에 대하여 경쟁 상대인 DFT 코드북을 넘는 처리량 이득(throughputs gain)과 함께 최선의 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들이 여기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의 숙련자들은 많은 수정들, 대체들, 변경들, 및 등가물들을 생각해낼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참된 정신 안에 있는 모든 그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8)

  1.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beamforming)을 위해 적응 코드북(adaptive codebook)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 코드북의 양자화 코드워드들을 입력 빔포밍 행렬의 예측된 방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적응 코드북을 변환하기 위해 안테나 상관으로부터 획득된 위상 정보가 이용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 상관에 따라 상기 적응 코드북이 변하게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북은 상기 안테나 상관이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 상관 행렬의 평균 빔포밍 방향들(average beamforming directions)에 코드워드들(codewords)을 집중시키도록 변환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통신을 위해 기지국(BS) 및 가입자국(SS)을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S 및 SS는 BS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화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코드북들을 동기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3065340567-pct00174
    의 형태를 갖고,
    여기서,
    Figure 112013065340567-pct00235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2
    ×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3
    크기의 빔포밍 행렬(또는 벡터)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4
    의 i번째 코드워드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5
    에 대한 새로운 코드북의 i번째 코드워드이고, 여기서 i는 정수이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37
    는 입력 빔포밍 행렬(또는 벡터)
    Figure 112013065340567-pct00238
    Figure 112013065340567-pct00239
    의 열들과 동일한 부분 공간(subspace)에 걸치는(span) 정규직교 열(orthonormal column)(들)을 갖는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로 변환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40
    Figure 112013065340567-pct00241
    ×
    Figure 112013065340567-pct00242
    변환 행렬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변환의
    Figure 112012068852512-pct00175
    에 대한 표현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176
    의 다항식 형태를 갖고, 상기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177
    또는
    Figure 112012068852512-pct00178
    로서 근사화되고(approximated),
    여기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3
    는 LOS 성분들의 빔포밍 방향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4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하여 제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5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6
    로 표시된 신호 대 잡음비(SNR)의 함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7
    는 2 또는 4의 정수 값일 수 있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8
    는 정수 변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49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0
    ×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1
    송신 공분산 행렬(transmit covariance matrix)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변환의
    Figure 112012068852512-pct00179
    에 대한 표현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180
    의 다항식 형태를 갖고, 상기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181
    또는
    Figure 112012068852512-pct00182
    로서 근사화되고,
    여기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2
    는 LOS 성분들의 빔포밍 방향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3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하여 제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4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5
    로 표시된 신호 대 잡음비(SNR)의 함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6
    는 2 또는 4의 정수 값일 수 있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7
    는 정수 변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8
    는 유리한, 장기 빔포밍 방향들(favorable, long term beamforming directions)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59
    는 유리한, 장기 빔포밍 방향들로의 집중(concentration)을 특정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공분산 행렬
    Figure 112012068852512-pct00183
    는 엔트리 단위로(entry by entry) 양자화되고, 대각선 엔트리들(diagonal entries)은 양수들로서 양자화되고 상 또는 하 삼각(upper or lower triangle) 내의 대각외의 엔트리들(off-diagonal entries)은 복소수들로서 양자화되는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가입자국(SS)은 채널 행렬을 변환하고 균일한 코드북(uniform codebook)을 이용하여 변환된 채널 행렬
    Figure 112013065340567-pct00185
    의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ideal beamforming matrix)을
    Figure 112013065340567-pct00260
    로서 양자화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186
    인 경우,
    Figure 112013065340567-pct00187
    에서의 상관은 제거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188
    는 비상관되게(uncorrelated) 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61
    의 분포는 상기 균일한 코드북과 매칭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IEEE(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6e 표준에 따르는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인 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189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0
    제곱(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1
    -th power)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2
    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3
    는 임의의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4
    ×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5
    단위 행렬(unitary matrix)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2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3
    ×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4
    송신 공분산 행렬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5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한 이상적인 빔포밍 방향들의 글로벌 및 로컬 최대치들(global and local maximums)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6
    는 이상적인 빔포밍 방향들로의 집중을 특정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6
    인 경우,
    라이시안 페이딩(Ricean fading)에 대하여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7
    이고,
    레일리 페이딩(Reyleigh fading)에 대하여
    Figure 112012068852512-pct00198
    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7
    는 LOS 성분들의 빔포밍 방향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8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하여 제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69
    Figure 112012068852512-pct00270
    로 표시된 신호 대 잡음비(SNR)의 함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71
    는 2 또는 4의 정수 값일 수 있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72
    는 정수 변수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을 위한 최초의 코드북이 균일하게 분포된다면,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0
    의 회전은 드롭(drop)되고 단순화된 변환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1
    는,
    라이시안 페이딩에 대하여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2
    이고,
    레일리 페이딩에 대하여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3
    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4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5
    의 일반적인 형태를 갖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6
    는 임의의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7
    ×
    Figure 112012068852512-pct00208
    단위 행렬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Figure 112011015166083-pct00209
    의 콜레스키 분해(Cholesky decomposition) 형태는 삼각 행렬(triangular matrix)이고 일반적인 형태의 특수한 경우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단순화된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0
    또는 동등하게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1
    로서 표현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2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3
    는 장기(long term) CSI로부터 계산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4
    는 변환된 코드워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5
    는 최초의 코드북의 코드워드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6
    는 유리한, 장기 빔포밍 방향들로 이루어지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7
    는 유리한, 장기 빔포밍 방향들로의 집중을 특정하고, 변환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Figure 112012068852512-pct00218
    인 방법.
  17.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트랜스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적응 코드북의 양자화 코드워드들을 입력 빔포밍 행렬의 예측된 방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적응 코드북을 변환하기 위해 안테나 상관으로부터 획득된 위상 정보가 이용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 상관에 따라 상기 적응 코드북이 변하게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IEEE 802.16e 표준에 따르는 WMAN에서의 통신을 위해 동작 가능한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시버는 IEEE 802.16e 표준에 따르는 WMAN에서의 통신을 위해 동작 가능한 가입자국에서 사용되는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북은 상기 안테나 상관이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 상관 행렬의 평균 빔포밍 방향들에 코드워드들을 집중시키도록 변환되는 장치.
  21. 삭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통신을 위해 기지국(BS) 및 가입자국(SS)을 이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BS 및 SS는 BS 안테나 상관에 대하여 최적화된 새로운 양자화 코드북을 생성하기 위해 코드북들을 동기식으로 변환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3065340567-pct00219
    의 형태를 갖고,
    여기서,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6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7
    ×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8
    크기의 빔포밍 행렬(또는 벡터)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9
    의 i번째 코드워드
    Figure 112013065340567-pct00300
    에 대한 새로운 코드북의 i번째 코드워드이고, 여기서 i는 정수이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75
    는 입력 빔포밍 행렬(또는 벡터)
    Figure 112013065340567-pct00276
    Figure 112013065340567-pct00277
    의 열들과 동일한 부분 공간에 걸치는 정규직교 열(orthonormal column)(들)을 갖는 직교 행렬(orthogonal matrix)로 변환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78
    Figure 112013065340567-pct00279
    ×
    Figure 112013065340567-pct00280
    변환 행렬인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북 변환의
    Figure 112012068852512-pct00220
    에 대한 표현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221
    의 다항식 형태를 갖고, 상기 코드북 변환은
    Figure 112012068852512-pct00222
    또는
    Figure 112012068852512-pct00223
    로서 근사화되고,
    여기서,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1
    는 LOS 성분들의 빔포밍 방향을 포함하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2
    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들에 대하여 제로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3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4
    로 표시된 신호 대 잡음비(SNR)의 함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5
    는 2 또는 4의 정수 값일 수 있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6
    는 정수 변수이고,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7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8
    ×
    Figure 112012068852512-pct00289
    송신 공분산 행렬인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가입자국(SS)은 채널 행렬을 변환하고 균일한 코드북을 이용하여 변환된 채널 행렬
    Figure 112013065340567-pct00225
    의 이상적인 빔포밍 행렬을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0
    로서 양자화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26
    인 경우,
    Figure 112013065340567-pct00227
    에서의 상관은 제거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28
    는 비상관되게 되고,
    Figure 112013065340567-pct00291
    의 분포는 균일한 코드북과 매칭하는 장치.
  26.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액세스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을 위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적응 코드북의 양자화 코드워드들을 입력 빔포밍 행렬의 예측된 방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적응 코드북을 변환하기 위해 안테나 상관으로부터 획득된 위상 정보가 이용되고, 이에 의해 안테나 상관에 따라 상기 적응 코드북이 변하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코드북은 상기 안테나 상관이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 상관 행렬의 평균 빔포밍 방향들에 코드워드들을 집중시키도록 변환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8. 삭제
KR1020117005021A 2008-09-02 2009-08-18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 KR101362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369908P 2008-09-02 2008-09-02
US61/093,699 2008-09-02
US12/317,871 US9112562B2 (en) 2008-09-02 2008-12-29 Techniques utilizing adaptive codebook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US12/317,871 2008-12-29
PCT/US2009/054136 WO2010027647A1 (en) 2008-09-02 2009-08-18 Techniques utilizing adaptive codebook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806A KR20110081806A (ko) 2011-07-14
KR101362608B1 true KR101362608B1 (ko) 2014-02-12

Family

ID=417253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21A KR101362608B1 (ko) 2008-09-02 2009-08-18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
KR1020117005000A KR101257184B1 (ko) 2008-09-02 2009-09-01 Mimo 빔 형성 방법, 및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차등 코드북을 구성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000A KR101257184B1 (ko) 2008-09-02 2009-09-01 Mimo 빔 형성 방법, 및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차등 코드북을 구성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5) US9112562B2 (ko)
EP (3) EP2321911A4 (ko)
JP (1) JP5393789B2 (ko)
KR (2) KR101362608B1 (ko)
CN (3) CN103763009B (ko)
BR (2) BR122014005147A2 (ko)
TW (1) TWI452860B (ko)
WO (2) WO2010027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7677B2 (en) * 2007-08-10 2011-03-15 Intel Corporation Open loop MU-MIMO
US9112562B2 (en) 2008-09-02 2015-08-1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utilizing adaptive codebook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US8983397B2 (en) * 2008-10-10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feedback by multiple description 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09220A1 (en) * 2009-01-19 2010-07-21 ST-Ericsson (France) SAS Process for beamforming data to be transmitted by a base station in a MU-MIMO system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8243582B2 (en) * 2009-01-28 2012-08-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Feedback for transmit precoding in wireless networks
US8301177B2 (en) * 2009-03-03 2012-10-30 Intel Corporation Efficient paging operation for femtocell deployment
US8243610B2 (en) * 2009-04-21 2012-08-1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coding codebook adaptation with low feedback overhead
US8340207B2 (en) * 2009-04-29 2012-12-25 Intel Corporation Differential feedback scheme for closed-loop MIMO beamforming
US8315204B2 (en) 2009-07-06 2012-11-20 Intel Corporation Beamforming using base and differential codebooks
KR101092686B1 (ko) * 2010-01-08 2011-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다중안테나 무선 시스템에서 송신 빔포밍 방법 및 장치
CN102130708B (zh) * 2010-01-15 2014-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小区信道状态信息的反馈方法和用户设备
US8995551B2 (en) 2010-03-22 2015-03-3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275280B2 (ja) * 2010-03-29 2013-08-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コードブック生成方法
CN101834706B (zh) * 2010-04-05 2016-08-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信息的码本量化反馈方法及系统
BR112012025665A2 (pt) * 2010-04-06 2016-06-28 Alcatel Lucent método e dispositivo para executar retroalimentação de hierarquia com assistência de informações de espaço
EP2557723B1 (en) * 2010-04-07 2017-03-01 Alcatel Luc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system thereof
US8737199B2 (en) * 2010-04-09 2014-05-2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using differential precoding for highly correlated channels in wireless networks
US9184829B2 (en) 2010-05-02 2015-11-10 Viasat Inc. Flexible capacity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US10511379B2 (en) * 2010-05-02 2019-12-17 Viasat, Inc. Flexible beamforming for satellite communications
US20110304504A1 (en) * 2010-06-10 2011-12-1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Adaptive Beamforming
US8315221B2 (en) * 2010-06-18 2012-1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ducing feedback overhead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CA3024974C (en) 2010-12-10 2020-10-20 Sun Patent Trust Precoding method, and transmitting device
JP5753022B2 (ja) * 2011-08-15 2015-07-22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221024B1 (ko) * 2011-08-31 2013-01-2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송수신 안테나에서 동일 이득 차분 코드북 생성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JP5865688B2 (ja) * 2011-12-07 2016-02-17 株式会社東芝 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CN102801455B (zh) 2012-07-31 2015-12-16 华为技术有限公司 波束码本生成方法、波束搜索方法及相关装置
EP2930871B1 (en) * 2012-12-07 2018-03-07 Sun Patent Trust Signal genera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device
KR102048880B1 (ko) 2013-04-29 2019-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단 빔포밍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794870B2 (en) 2013-06-28 2017-10-17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user equipment feedback of flow-to-rat mapping preferences
US9814037B2 (en) 2013-06-28 2017-11-0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efficient channel estimation and beamforming in FDD system by exploiting uplink-downlink correspondence
US9479298B2 (en) 2013-07-08 2016-10-25 Intel IP Corporation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DMRS)for side information for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716572B2 (en) 2014-10-30 2017-07-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IMO based adaptive beamforming over OFDMA architecture
US10305584B2 (en) * 2015-10-20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beamforming oper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frequency division-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cheme
CN107483087A (zh) * 2016-06-08 2017-12-15 索尼公司 用于多天线通信装置的电子设备和方法
CN108282203B (zh) * 2017-01-05 2021-08-10 中国移动通信集团四川有限公司 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US10985833B2 (en) 2017-04-10 2021-04-20 Viasat, Inc. Coverage area adjustment to adapt satellite communications
DE102020107921A1 (de) 2019-04-12 2020-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mehreren plattenantennen und betriebsverfahren dafür
CN110048242A (zh) * 2019-04-26 2019-07-23 嘉兴思睿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5g网络可靠性的多天线技术
CN110247686B (zh) * 2019-06-12 2021-04-09 南瑞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码本轮转的有限反馈量化方法
US11387877B2 (en) 2020-09-25 2022-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using adaptive codebook for dual beamforming feedback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449A1 (en) * 2006-09-28 2008-04-03 Kaibin Huang Generalized codebook design method for limited feedback systems
US20080094281A1 (en) * 2006-10-24 2008-04-24 Nokia Corporation Advanced codebook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98B1 (ko) 1999-10-09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폐루프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US6650881B1 (en) * 2000-11-30 2003-11-18 Arraycomm, Inc. Calculating spatial weight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859503B2 (en) * 2001-04-07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transceiver for controll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hannel
KR100584625B1 (ko) 2001-05-17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 및 방법
JP4178501B2 (ja) * 2002-05-21 2008-1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送受信システム
US7327800B2 (en) * 2002-05-24 2008-02-05 Vecim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181246B2 (en) * 2002-06-05 2007-02-20 Neocific, Inc. Adaptiv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6952345B2 (en) 2003-10-31 2005-10-04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heat-generating structure
KR100876797B1 (ko) * 2004-07-13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장치 및 방법
JP4525227B2 (ja) * 2004-07-28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60039489A1 (en) * 2004-08-17 2006-02-2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osed-loop transmit precoding
CN101036332A (zh) * 2004-08-17 2007-09-12 德州仪器公司 用于提供闭环传输预编码的方法及设备
US7362822B2 (en) * 2004-09-08 2008-04-22 Intel Corporation Recursive reduction of channel state feedback
US7684761B2 (en) * 2004-11-04 2010-03-23 Nokia Corporation Closed-loop signalling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transmit beams and correspondingly adapted transceiver devices
US7778826B2 (en) * 2005-01-13 2010-08-17 Intel Corporation Beamforming codebook gene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20060130806A (ko) * 2005-06-08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북 기반 폐루프 방식의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송수신 장치 및 방법
WO2007022330A2 (en) 2005-08-16 2007-02-2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beamform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US8315323B2 (en) 2005-08-24 2012-1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uccessive transmit beamforming methods for multiple-antenn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US8385433B2 (en) 2005-10-27 2013-02-26 Qualcomm Incorporated Linear precoding for spatially correlated channels
US20070099578A1 (en) * 2005-10-28 2007-05-03 Kathryn Adeney Pre-coded diversity forward channel transmiss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supporting multiple MIMO transmission modes
US7602745B2 (en) * 2005-12-05 2009-10-13 Intel Corporatio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sociated methods and data structures
KR100867315B1 (ko) 2006-02-03 2008-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북 기반의 빔포밍 시스템에서 빔포밍 벡터 결정 장치및 방법
US7885348B2 (en) * 2006-02-09 2011-02-08 Intel Corporation MIM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ing using polar-cap codebooks
KR20080022033A (ko) * 2006-09-05 2008-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코딩 정보 피드백 방법 및 프리코딩 방법
KR20080026010A (ko) * 2006-09-19 2008-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상천이 기반의 프리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송수신 장치
US8023457B2 (en) * 2006-10-02 2011-09-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Feedback reduction for MIMO precoded system by exploiting channel correlation
TWI470957B (zh) 2006-10-30 2015-01-21 Interdigital Tech Corp 無線通信系統中處理反饋方法及裝置
KR100969753B1 (ko) * 2007-03-26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전 부호화 장치 및 방법
US7769098B2 (en) * 2007-06-05 2010-08-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complexity precoding matrix selection
CN101127582B (zh) * 2007-07-31 2010-08-25 北京邮电大学 基于码书的预编码系统中的自适应码书构造方法
US8116698B2 (en) * 2007-08-07 2012-02-14 Cisco Technology, Inc. Generalized MIMO-beamforming weight estimation
US8130847B2 (en) * 2007-11-09 2012-03-06 Motorola Mobility, Inc. Closed-loop transmiss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17177B2 (en) 2008-04-01 2013-12-31 Coloplast A/S Wire basket unit having fixing disk element
US8059744B2 (en) * 2008-04-25 2011-11-15 Cisco Technology, Inc. Frequency band extrapolation beamforming weight compu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8306146B2 (en) * 2008-05-01 2012-11-06 Futurewei Technologies, Inc. Progressive feedback for high resolution limited feedback wireless communication
WO2009153211A2 (en) 2008-06-19 2009-12-2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uning a gm-c filter
KR100912226B1 (ko) 2008-06-27 2009-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위한 코드북 설계 방법 및 상기 코드북의 사용 방법
US8134503B2 (en) 2008-06-30 2012-03-13 Cisco Technology, Inc. Open-loop beamforming MIMO communications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s
US7884763B2 (en) * 2008-06-30 2011-02-08 Cisco Technology, Inc. Orthogonal/partial orthogonal beamforming weight generation f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
US20090323849A1 (en) * 2008-06-30 2009-12-3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9112562B2 (en) 2008-09-02 2015-08-1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utilizing adaptive codebooks for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US20110026459A1 (en) * 2009-07-28 2011-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losed-loop transformed codebook based antenna beamfor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449A1 (en) * 2006-09-28 2008-04-03 Kaibin Huang Generalized codebook design method for limited feedback systems
US20080094281A1 (en) * 2006-10-24 2008-04-24 Nokia Corporation Advanced codebook for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21455A (en) 2010-06-01
CN102369673A (zh) 2012-03-07
US8149791B2 (en) 2012-04-03
US9094072B2 (en) 2015-07-28
CN103763009B (zh) 2018-03-02
US20140078996A1 (en) 2014-03-20
US9893787B2 (en) 2018-02-13
TWI452860B (zh) 2014-09-11
JP2012501585A (ja) 2012-01-19
US9258047B2 (en) 2016-02-09
CN101677251A (zh) 2010-03-24
WO2010027647A1 (en) 2010-03-11
US20160365910A1 (en) 2016-12-15
KR20110081806A (ko) 2011-07-14
EP2321910A4 (en) 2015-05-06
US20100056216A1 (en) 2010-03-04
EP2321911A4 (en) 2014-11-26
WO2010027647A8 (en) 2010-10-21
EP2321911A1 (en) 2011-05-18
BR122014005147A2 (pt) 2015-12-29
CN102369673B (zh) 2015-07-08
KR20110081805A (ko) 2011-07-14
EP2911318A1 (en) 2015-08-26
CN103763009A (zh) 2014-04-30
JP5393789B2 (ja) 2014-01-22
BRPI0918815A2 (pt) 2015-12-01
US9112562B2 (en) 2015-08-18
KR101257184B1 (ko) 2013-04-22
US20100054114A1 (en) 2010-03-04
EP2321910A1 (en) 2011-05-18
WO2010027974A1 (en) 2010-03-11
US20120188900A1 (en) 2012-07-26
CN101677251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608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빔포밍을 위해 적응 코드북을 이용하는 기법
US10797763B2 (en) Quantization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s
US10097246B2 (en) Transform-domain feedback signaling for MIMO communication
KR101320915B1 (ko) 다중 입력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될 데이터의 전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952351B1 (ko) 유한 레이트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을 가지는 2×2 mimo사전-코더들을 위한 교호 채널 델타 양자화기를 위한 방법및 시스템
TWI406523B (zh) Mimo預編碼器中處理通信信號的方法和系統
JP5134018B2 (ja) 多入力多出力(mimo)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チャネルの最適化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626104B2 (en) Generalized codebook design method for limited feedback systems
US20080013644A1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reception method, apparatus, codebook,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distribution medium
US20130058383A1 (en) Closed-loop multiple-input-multiple-output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hierarchical feedback
US20110150114A1 (en) Limited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error-free channel vector quanization scheme for precoding mu-mimo
US20110211651A1 (en) Precoding for time or frequency correlated MIMO channels
JP4950311B2 (ja) 量子化されたチャネルのベクトル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70191067A1 (en) Adaptive beamforming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systems
EP2557723B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system thereof
CN102725967A (zh) 用于信息反馈以及预编码的方法和装置
KR20100005649A (ko) 멀티 코드북을 이용한 프리코딩 방법
KR20090100877A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빔 성형 및 공간분할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WO2017195183A1 (en) Preco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acquisition for multi-stream transmissions in massive mimo systems
CN102696180B (zh) 空间信道状态反馈方法和装置
US8724728B2 (en) Method of generating adaptive codebook an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adaptive codebook
JP5507001B2 (ja) 変換装置および方法
EP2484025B1 (en) Methods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ing explicit feedback
US20110002404A1 (en) Rotating reference codebook that is used in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Zacarías et al. Decentralized Limited-Feedback Multiuser MIMO for Temporally Correlated Chan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