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49B1 -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49B1
KR101362249B1 KR1020120153344A KR20120153344A KR101362249B1 KR 101362249 B1 KR101362249 B1 KR 101362249B1 KR 1020120153344 A KR1020120153344 A KR 1020120153344A KR 20120153344 A KR20120153344 A KR 20120153344A KR 101362249 B1 KR101362249 B1 KR 10136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hot air
pile fabric
fabric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식
Original Assignee
전홍식
주식회사 스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홍식, 주식회사 스마일 filed Critical 전홍식
Priority to KR102012015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파일 제조시 발생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하며 파일의 구부러짐 또는 뭉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파일직물을 회전하는 가공로울러의 외주면에 감싸져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일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수단이 가공로울러의 중심을 향하도록 주변에 다수 개로 설치하며, 상기 열풍을 조사받은 파일에 빗질 방식으로 접촉하여 정렬 및 원하는 방향으로 파일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정렬부재를 가공로울러의 중심을 향해 설치 구성하여; 구부러짐이나 꼬임, 뭉침 없이 파일을 원래의 길이대로 풍성하게 할 수 있으며 파일을 원하는 방향대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Wove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일 제조시 발생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하며 파일의 구부러짐 또는 뭉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청결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은 두껍고 탄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모직, 견직, 면직, 화섬직물 등에 이용되어 카펫, 의자커버, 커튼, 방한용 복지, 예복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이러한, 파일직물은 직물면에 수많은 파일이 형성되어 있는데 파일을 생성하는 제조 단계에서 직물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파일과 직물면에서 이탈된 잔사 파일 및 제조시 각종 이물질들이 파일 내에 함유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사 파일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직경이 큰 원통 형상에 다수개의 통기공 및 배출홀이 형성된 텀블러의 내부에 파일직물을 넣고 회전시키면서 통기공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투입시켜 파일들의 사이에 존재하는 잔사 파일이나 이물질 등을 날려서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텀블러를 이용하여 파일직물에서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은 파일직물이 텀블러의 내부에서 회전할 때 일정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서로 뭉치거나 겹쳐져 압축공기가 유입되지 못하여 잔사 파일이나 이물질이 이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텀블러를 이용하여 파일직물에서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은 텀블러 내부에서 회전시 파일직물이 서로 마찰되면서 파일들이 서로 꼬임현상이나 뭉침현상이 발생되어 추후 파일을 정렬하더라도 뜯기거나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이 완성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파일원단이 펼쳐진 상태에서 이송되며 파일에 열풍을 강하게 분사시켜 꼬임이나 뭉침없이 잔사 파일이나 이물질을 말끔하게 제거하여 제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파일 직물의 후가공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무수한 파일 속에 낀 제조시 발생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부러짐이나 꼬임, 뭉침 없이 파일을 원래의 길이대로 풍성하게 할 수 있으며 파일을 원하는 방향대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일직물에 물리적인 작용력을 이용하지 않고 열풍을 이용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제조된 파일직물을 샤링가공이나 텐터가공을 거치기 전단계에서 파일의 사이에 존재하는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파일직물을 회전하는 가공로울러의 외주면에 감싸져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일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수단이 가공로울러의 중심을 향하도록 주변에 다수 개로 설치하며, 상기 열풍을 조사받은 파일에 빗질 방식으로 접촉하여 정렬 및 원하는 방향으로 파일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정렬부재를 가공로울러의 중심을 향해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무수한 파일 속에 낀 제조시 발생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부러짐이나 꼬임, 뭉침 없이 파일을 원래의 길이대로 풍성하게 할 수 있으며 파일을 원하는 방향대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효과가 있다.
더불어, 파일직물에 물리적인 작용력을 이용하지 않고 열풍을 이용함으로써 제품의 손상이 방지되어 상품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잔사제거를 위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를 나타낸 간략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를 나타낸 간략한 투영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수단의 간격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풍수단의 각도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렬부재의 각도 조절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는 통상적으로 제조된 파일직물(10)을 샤링가공이나 텐터가공을 거치기 전단계에서 파일(11)의 사이에 존재하는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파일직물(10)을 열선(21)에 의해 발열되는 가공로울러(20)에 감은 상태로 이송중에 열풍수단(30)으로 파일(11)에 열풍을 분사한 후 정렬부재(40)로 파일(11)을 정렬하도록 후가공장치(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파일직물(10)은 무수히 많은 모(毛)형태의 파일(11)을 생성시킨 직물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후가공장치(100)는 파일(11)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파일직물(10)을 회전하는 가공로울러(20)의 외주면에 감싸져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파일직물(10)의 직물면(12)은 가공로울러(20)의 외면에 밀착되고 파일(11)은 바깥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로울러(20)의 내부로 파일직물(10)에 열을 가하는 열선(21)들이 전체적으로 분포하도록 설치하여 파일직물(10)을 예열함으로써 유연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가공로울러(20)의 회전을 센서(22)로 감지하여 열선(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공로울러(20)는 회전 구동을 위해 구동모터(23)의 구동력을 기어비를 이용하여 감속시켜 가공로울러(20)에 결합된 로울러축(24)으로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로울러축(24)의 끝단에 가공로울러(20)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22)가 로울러축(24)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열선(21)에 전원 공급과 차단을 제어하는 별도의 콘트로러로 전달하여 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파일(11)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수단(30)이 가공로울러(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주변에 다수 개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열풍수단(30)은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어(31)의 송풍공기가 가열수단(32)에 의해 가열된 후 다수 방향으로 정량 분배되어 분사통(33)에 등간격 위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브로어(31)에 의해 생성된 송풍공기는 공급관(31a)을 통해 유동하며 공급관(31a)에 연결된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32)에 의해 가열공기인 열풍으로 데워지게 된다.
이러한, 열풍은 분배기(31b)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3군데로 분기되는 것을 설명하며, 분배기(31b)와 분사통(33)은 유연성을 갖는 분배관(31c)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분사통(33)의 길이를 등간격으로 등분하여 등분된 곳으로 분배관(31c)이 연결되어 열풍의 공급량 및 분사력이 분사통(33)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통(33)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축(34)이 작동수단(35)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되어, 상기 분사통(33)이 파일직물(10)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수단(35)은 실린더(35a)에서 인출입하는 실린더로드(35b)로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상기 지지축(34)은 실린더로드(35b)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축(34) 중 하나에는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36)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36)을 이용하여 지지축(34)을 회전시킴으로써 분사통(33)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분사통(33)과 지지축(34)은 결합형태는 서로 밀착되는 면에 돌기와 홈이 서로 맞물림 될 수 있도록 것으로 체결 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들(36)을 이용하여 지지축(34)을 회전시킴으로써 분사통(33)의 기울기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지지축(34) 중 하나에는 축의 회전거리 확인을 위한 눈금부재(37)가 결합되어 각각의 분사통(33)의 기울기량을 동일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분사통(33)의 기울리를 조절하는 것은 파일(1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열풍의 조사각도를 다르게 하여 잔사나 이물질의 배출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축(34)은 실린더로드(35b)와 체결을 필요에 따라 해제시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실린더로드(35b)에 부싱을 결합하고 지지축(34)을 각각 부싱에 삽입한 후 회전방지용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고정, 볼트를 풀어서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을 조사받은 파일(11)에 빗질 방식으로 접촉하여 정렬 및 원하는 방향으로 파일(11)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정렬부재(40)를 가공로울러(20)의 중심을 향해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정렬부재(40)는 정렬대(41)의 끝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파일(11)에 접촉되는 빗살(42)이나 정렬판(43)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정렬대(41)의 일 끝단에는 회전축(44)이 결합되고, 타 끝단에는 구동축(45)이 각도조절부재(46)와 기어 연결 구성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45)과 각도조절부재(46)와는 배치가 직교를 이루고 있어 기어 연결 구조는 베벨기어 연결방식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46)는 기어박스(46a)와 기어박스(46a)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조절핸들(46b)로 구성되는데, 상기 기어박스(46a)의 내부에는 조절핸들(46b)과 연결된 베벨기어와 구동축(45)과 연결된 베벨기어 서로 기어 연결되어 조절핸들(46b)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축(45)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45)은 정렬판(43)과 고정되어 있어 회전되는 구동축(45)의 회전방향으로 정렬판(43)이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재(46)를 작동시 구동축(45)이 회전으로 정렬대(41)가 함께 회전하면서 기울어져 파일(11)과 접촉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촉면적을 함께 조정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열풍수단(30)의 열풍에 의해 파일(11)에서 분리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배출수단(5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수단(50)은 강제로 흡입력을 방생시키는 팬 등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열풍에 의해 파일(11) 내에서 비산되며 이탈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말끔하게 배출시키며 작업환경이 오염되지 않도록 별도의 집진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후가공장치(100)는 잔사나 이물질이 작업공간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챔버(6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출수단(50)은 챔버(60)의 천장으로 잔사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 구성되어 흡입장치(51)의 흡입력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가공장치(100)는 파일직물(10)을 공급하는 공급로울러(14)를 통해 다수개의 텐션기능을 하는 로울러와 파일직물(10)을 평탄하게 펼치는 기능을 하는 로울러 및 파일직물(10)에 이송력을 작용하는 이송로울러 등을 통해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파일직물(10)은 가공로울러(20)의 표면에 파일(11)이 외측을 향하도록 감겨지게 되는데 감겨지는 범위는 가공로울러(20)의 둘레를 100으로 표시할 경우 약 80~90의 둘레에 감겨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23)에 구동력으로 가공로울러(20)가 회전하게 되면, 가공로울러(20)의 로울러축(24)에 접촉된 센서(22)가 회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콘트로러로 전달하여 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하게 됨으로써 파일직물(10)을 예열시키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열선(21)에 의한 파일직물(10)의 예열로 직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파일(11)의 습기제거를 통해 잔사와 이물질에 쉽게 이탈되도록 하며 파일(11)을 볼륨감 있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이후, 상기 다수개의 열풍수단(30)에서 파일직물(10)에 열풍을 강하게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풍은 브로어(31)의 송풍공기가 버너와 같은 가열수단(32)에 의해 가열된 후 유동관을 따라 이동 한 후 분배기(31b)를 통해 다수 방향으로 정량 분배되어 분사통(33)에 등간격 위치로 공급된다.
이로써, 열풍의 공급량 및 분사력이 분사통(33)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열풍수단(30)의 분사통(33)은 파일직물(10)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데, 작동수단(35)의 실린더로드(35b)가 실린더(35a)에서 인출되면 분사통(33)과 파일직물(10)의 이격거리가 가까워지고, 실린더로드(35b)가 삽입되면 분사통(33)과 파일직물(10)의 이격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즉, 상기 분사통(33)은 파일직물(10)의 파일(11)의 길이나 형태, 재질에 따라 분사압력 및 분사면적을 확대시킴으로써 파일(11)의 손상을 방지하며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통(33)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핸들(36)을 이용하여 지지축(34)을 회전시킴으로써 분사통(33)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열풍의 분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파일(11)의 길이가 긴 경우 효율적으로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열풍의 조사각도를 파일직물(10)의 파일(11)과 직각 위치로 분사하는 것을 여러 작업 결과 잔사나 이물질이 가장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상기 잔사나 이물질은 열풍의 분사로 인해 챔버(60)내부에 비산하게 되는데 배출수단(50)의 작동으로 잔사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별도의 집진장치에 수거함으로써
이렇게, 열풍에 의해 잔사나 이물질이 제거된 파일직물(10)은 파일(11)이 열풍에 의해 가지런하지 못하고 흐트러진 상태로 되어 가지런하게 정렬부재(40)를 이용하여 정렬한다.
이러한, 상기 정렬부재(40)를 이용하여 파일(11)을 정렬시 접촉 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데 각도조절부재(46)의 조절핸들(46b)을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축(45)이 회전되어 구동축(45)에 결합된 정렬판(43)이 기울기를 갖도록 회전하여 정렬판(43)이 함께 기울어져 파일(11)과 접촉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촉면적을 함께 조정된다.
즉, 상기 정렬판(43)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은 파일(1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파일(11)이 기울어지는 방향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정렬판(43)의 형태를 변화시켜 방향성을 따라 무늬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상기 파일(11)의 정렬이 완료된 파일직물(10)은 후가공 과정을 거친 후 샤링공정이나 텐터공정을 통해 완성품으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파일직물 11 : 파일
12 : 직물면 20 : 가공로울러
21 : 열선 22 : 센서
23 : 구동모터 24 : 로울러축
30 : 열풍수단 31 : 브로어
31a : 공급관 31b : 분배기
31c : 분배관 32 : 가열수단
33 : 분사통 34 : 지지축
35 : 작동수단 35a : 실린더
35b : 실린더로드 36 : 핸들
37 : 눈금부재 40 : 정렬부재
41 : 정렬대 42 : 빗살
43 : 정렬판 44 : 회전축
45 : 구동축 46 : 각도조절부재
46a : 기어박스 46b : 조절핸들
50 : 배출수단 51 : 흡입장치
60 : 챔버 100 : 후가공장치

Claims (10)

  1. 통상적으로 제조된 파일직물(10)을 샤링가공이나 텐터가공을 거치기 전단계에서 파일(11)의 사이에 존재하는 잔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11)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파일직물(10)을 회전하는 가공로울러(20)의 외주면에 감싸져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일(11)에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수단(30)이 가공로울러(20)의 중심을 향하도록 주변에 다수 개로 설치하며,
    상기 열풍을 조사받은 파일(11)에 빗질 방식으로 접촉하여 정렬 및 원하는 방향으로 파일(11)에 기울기를 부여하는 정렬부재(40)를 가공로울러(20)의 중심을 향해 설치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로울러(20)의 내부로 파일직물(10)에 열을 가하는 열선(21)들이 전체적으로 분포하도록 설치하여 파일직물(10)을 예열함으로써 유연성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로울러(20)의 회전을 센서(22)로 감지하여 열선(21)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열풍수단(30)은 공기를 공급하는 브로어(31)의 송풍공기가 가열수단(32)에 의해 가열된 후 다수 방향으로 정량 분배되어 분사통(33)에 등간격 위치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열풍의 공급량 및 분사력이 분사통(33)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통(33)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축(34)이 작동수단(35)에 회전되게 결합 구성되어, 상기 분사통(33)이 파일직물(10)과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4) 중 하나에는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36)이 결합되고,
    상기 핸들(36)을 이용하여 지지축(34)을 회전시킴으로써 분사통(33)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재(40)는 정렬대(41)의 끝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파일(11)에 접촉되는 빗살(42)이나 정렬판(43)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대(41)의 일 끝단에는 회전축(44)이 결합되고, 타 끝단에는 구동축(45)이 각도조절부재(46)와 기어 연결 구성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재(46)를 작동시 구동축(45)이 회전으로 정렬대(41)가 함께 회전하면서 기울어져 파일(11)과 접촉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접촉면적을 함께 조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수단(30)의 열풍에 의해 파일(11)에서 분리되는 잔사나 이물질을 배출수단(5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4) 중 하나에는 축의 회전거리 확인을 위한 눈금부재(37)가 결합되어 각각의 분사통(33)의 기울기량을 동일하게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KR1020120153344A 2012-12-26 2012-12-26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KR101362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44A KR101362249B1 (ko) 2012-12-26 2012-12-26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344A KR101362249B1 (ko) 2012-12-26 2012-12-26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249B1 true KR101362249B1 (ko) 2014-02-12

Family

ID=5027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344A KR101362249B1 (ko) 2012-12-26 2012-12-26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78B1 (ko) 2016-07-13 2018-03-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KR101835079B1 (ko) 2016-07-13 2018-03-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KR101835077B1 (ko) * 2016-07-13 2018-03-08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용 가열기
CN112030400A (zh) * 2020-09-18 2020-12-04 安徽翰联色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用平幅水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340Y1 (ko) 2007-02-21 2008-04-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산자용 원단 파일의 기모 시스템
KR20080000842U (ko) * 2006-10-30 2008-05-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정리장치
KR100919741B1 (ko) 2009-02-18 2009-09-29 신성재 파일원단의 파일 정리장치
KR101037514B1 (ko) 2010-07-30 2011-05-26 변종익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42U (ko) * 2006-10-30 2008-05-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정리장치
KR200439340Y1 (ko) 2007-02-21 2008-04-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산자용 원단 파일의 기모 시스템
KR100919741B1 (ko) 2009-02-18 2009-09-29 신성재 파일원단의 파일 정리장치
KR101037514B1 (ko) 2010-07-30 2011-05-26 변종익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78B1 (ko) 2016-07-13 2018-03-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KR101835079B1 (ko) 2016-07-13 2018-03-07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KR101835077B1 (ko) * 2016-07-13 2018-03-08 아성기계 주식회사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용 가열기
CN112030400A (zh) * 2020-09-18 2020-12-04 安徽翰联色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用平幅水洗机
CN112030400B (zh) * 2020-09-18 2022-04-05 安徽翰联色纺股份有限公司 一种纺织面料用平幅水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249B1 (ko) 파일직물 후가공 장치
KR101917529B1 (ko) 원단의 수축 가공장치
KR20160104395A (ko) 섬유/제지용 복합 건조 시스템
CN209722502U (zh) 一种丝绸面料处理设备
CN104499114B (zh) 梳理机的剥棉辊支承调整装置
JP2009013573A5 (ko)
JP2016529413A (ja) コーミング機械のコーミングシリンダ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194954B1 (ko)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JP2009013564A5 (ko)
CN110589620B (zh) 一种纺织机纱线理纱器
KR20110096311A (ko) 커플링 그리드 성형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1366757B1 (ko) 파일직물
US23007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imping textile fibrous material
CN107287809A (zh) 一种织物整理装置
CN204370072U (zh) 梳理机的剥棉辊支承调整装置
KR100919741B1 (ko) 파일원단의 파일 정리장치
KR101848443B1 (ko) 섬유원단의 표면무늬 가공기용 노즐장치
KR101375222B1 (ko) 회전 노즐 방식의 세정기
KR20180007516A (ko) 파일원단의 파일 가공장치
JP2004176246A (ja) 少なくとも1つの塵埃除去装置を備えた繊維機械
KR102274978B1 (ko) 전기히터가 내설되는 건조 및 다림질 장치의 롤러 구조
CN212477150U (zh) 一种高效且防静电的起毛机
KR101776025B1 (ko) 다양한 혼합사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합사장치
KR101978458B1 (ko) 니트 원단 제조장치
JP5269054B2 (ja) 全鋼製針布を形成するための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