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902B1 -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902B1
KR101361902B1 KR1020120140413A KR20120140413A KR101361902B1 KR 101361902 B1 KR101361902 B1 KR 101361902B1 KR 1020120140413 A KR1020120140413 A KR 1020120140413A KR 20120140413 A KR20120140413 A KR 20120140413A KR 101361902 B1 KR101361902 B1 KR 101361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reproducing
unit
coupled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수
김병철
박일환
이동훈
김호경
허주호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1플랜지 재현부와, 제2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2플랜지 재현부 및 상기 제1, 2플랜지 재현부를 계측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정관 플랜지 형상 계측 작업 후 획득한 플랜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 형상을 재현함과 동시에 조정관을 제작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자유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재현조건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장치의 운용이 쉽고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A construct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adjusting pipe}
본 발명은 조정관 재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관 플랜지 형상 계측 작업 후 획득한 플랜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 형상을 재현함과 동시에 조정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은 선체블록을 각각 제작하고 선체블록을 조립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선체블록을 조립하면 실제 설계와는 달리 일정 부분 생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파이프 또한 실제 설계 도면과 달리 선체 블록 조립이나 파이프 설치 작업 과정 중에 예측 불가능한 생산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오차를 감안하여 고정관을 연결해주는 관을 조정관이라고 한다.
상기 조정관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오차로 인해 현장 맞춤식으로 제작되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고정관보다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조정관을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형취관 방법, 형합관 방법, 그리고 계측/재현 방법 등이 있다.
도 1은 형합관 방법으로서 치수적인 여유가 있는 파이프를 입고하여 현장에서 남은 치수만큼 절단 및 사상한 뒤에 플랜지를 용접하여 조정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합관 방법은 조정관을 제작 할 때, 치수적인 오차가 발생하기 쉽고, 현장에서 조정관을 제작할 때,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위험한 작업이 많고, 또한 화기 작업으로 인해 주변 파이프에 번 데미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2는 형취관 방법으로서 플랜지를 연결하여 가접한 뒤에 정반에서 조정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취관 제작 방법은 제작을 위해서 사용되는 부가재가 많이 사용되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낭비가 많으며, 제작기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제작기간 중에 선체블록에 또 다른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계측/재현방법에 의해 조정관을 제작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정밀도다. 정밀도가 높은 조정관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계측 정밀도와 재현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계측과 재현 작업에서 양쪽 모두에 오차가 발생한다면 오차가 누적되고, 또한 두 작업 중에 하나라도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면 불량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계측과 재현 작업에서 모두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리고, 재현기는 다양한 형상의 조정관 제작을 지원해야 하므로 3차원 공간 상에서 표현 할 수 있는 모든 플랜지의 위치를 재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재현기는 일정 수 이상의 자유도가 요구 된다. 충분한 자유도가 충족되지 못한다면 플랜지 위치를 재현하는데 있어 제약 조건이 따르게 되며 일부 조정관은 재현이 불가능 할 수도 있다.
기존에 개발된 재현기는 7개 이상의 자유도를 가지고 있으며 현장에서 계측한 조정관 형상요소 데이터를 통해 양쪽 플랜지의 위치를 재현한다. 기존 장비는 자유도를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플랜지 위치를 재현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자세로 플랜지 위치를 표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불필요한 자유도로 인해 제어에 있어서 복잡하고 조정관 형상요소 데이터만으로 재현기의 자세를 결정하는데 직관적이지 못하고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개발된 재현기에서 재현된 단차는 2개 이상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재현하므로 정상적으로 재현을 수행하는지 작업자가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0-1998-0006583호, 제10-2002-000367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관 플랜지 형상 계측 작업 후 획득한 플랜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 형상을 재현함과 동시에 조정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1플랜지 재현부; 제2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2플랜지 재현부; 및 상기 제1, 2플랜지 재현부를 계측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랜지 재현부는, 플랜지 간의 단차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1이송대차; 상기 제1이송대차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 상기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회전판; 및 상기 제1플랜지 회전판의 동심원 상에 제1플랜지를 탑재하는 제1플랜지 탑재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랜지 탑재베드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에 제1플랜지의 볼트공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 재현부는, 플랜지 간의 거리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2레일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2이송대차; 상기 제2이송대차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 상기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회전판; 및 상기 제2플랜지 회전판의 동심원 상에 제2플랜지를 탑재하는 제2플랜지 탑재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플랜지 탑재베드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에 제2플랜지의 볼트공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제2플랜지를 각각 제1플랜지 재현부와 제2플랜지 재현부에 탑재하는 플랜지 고정단계; 제1이동대차, 제2이동대차의 제1,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면각 생성단계; 제2이송대차를 플랜지 간의 거리조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랜지 거리 생성단계; 제1이송대차를 단차의 데이터 수치만큼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단차 생성단계; 제1이동대차, 제2이동대차의 제1플랜지 회전판, 제2플랜지 회전판을 각각 회전시켜 플랜지 볼트 구멍 위치를 재현하는 단계; 및 재현이 완료된 제1, 제2플랜지에 미리 제작된 파이프를 끼워 조정관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1플랜지 재현부와, 제2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2플랜지 재현부 및 상기 제1, 2플랜지 재현부를 계측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고정관 플랜지 형상 계측 작업 후 획득한 플랜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 형상을 재현함과 동시에 조정관을 제작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고, 자유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최적의 재현조건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장치의 운용이 쉽고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형합관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종래기술의 형취관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장치의 플랜지 탑재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방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업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형상 결정요소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면각 생성요소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거리 결정요소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정관 플랜지 형상 계측 작업 후 획득한 플랜지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지 형상을 재현함과 동시에 조정관 제작을 할 수 있는 조정관 재현장치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장치의 플랜지 탑재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장치는 제1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1플랜지 재현부(100)와, 제2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2플랜지 재현부(200) 및, 상기 제1, 2플랜지 재현부(100)(200)를 계측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플랜지 재현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플랜지 재현부(100)는, 플랜지 간의 단차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1레일부(110)와, 상기 제1레일부(110)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1이송대차(120)와, 상기 제1이송대차(120)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와, 상기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회전판(140)과, 상기 제1플랜지 회전판(140)의 동심원 상에 제1플랜지(10)를 탑재하는 제1플랜지 탑재베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레일부(110)는 제1이송대차(120)의 안정적인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3개의 레일이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사이드 레일 2개는 순수한 가이드레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가운데 레일은 구동바퀴가 접촉하여 주행하는 구동레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대차(120)는 본체 하부에 제1레일부(110)에 접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의 양측단부가 회전축 결합되는 거치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대차(120) 내부에는 제1레일부(110)의 주행 및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의 각 운동을 위한 각각의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는 플랜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하여 플랜지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에는 제1플랜지 회전판(140)이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상기 제1플랜지 회전판(140)은 제1플랜지(10)를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볼트구멍(11)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플랜지 회전판(1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 탑재베드(150)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151)에 제1플랜지(10)의 볼트공(11)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축부재의 선단을 볼트형태로 가공하고, 체결수단(30)을 너트형태로 가공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플랜지 재현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플랜지 재현부(200)는, 플랜지 간의 거리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2레일부(210)와, 상기 제2레일부(210)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2이송대차(220)와, 상기 제2이송대차(220)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와, 상기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회전판(240)과, 상기 제2플랜지 회전판(240)의 동심원 상에 제2플랜지(20)를 탑재하는 제2플랜지 탑재베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레일부(210)는 제2이송대차(220)의 안정적인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에서와 같이 3개의 레일이 바닥에 설치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사이드 레일 2개는 순수한 가이드레일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가운데 레일은 구동바퀴가 접촉하여 주행하는 구동레일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대차(220)는 본체 하부에 제2레일부(210)에 접지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의 양측단부가 회전축 결합되는 거치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대차(220) 내부에는 제2레일부(210)의 주행 및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의 각 운동을 위한 각각의 구동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는 플랜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하여 플랜지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에는 제2플랜지 회전판(240)이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상기 제2플랜지 회전판(240)은 제2플랜지(20)를 중심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볼트구멍(21)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2플랜지 회전판(24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 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랜지 탑재베드(250)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251)에 제2플랜지(20)의 볼트공(21)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00)에 대해 설명하면, 계측장치 또는 다른 제어장치에서 획득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를 받아서 재현장치의 각 구동축을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제1이송대차(120) 또는 제2이송대차(220) 내부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조정관 재현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방법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재현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작업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관 형상 결정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정관 재현방법은 크게 플랜지 고정단계, 면각 생성단계, 플랜지 거리 생성단계, 단차 생성단계, 플랜지 볼트구멍 위치 재현단계, 조정관 제작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플랜지 고정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제2플랜지(10)(20)를 각각 제1플랜지 재현부(100)와 제2플랜지 재현부(200)에 탑재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제2플랜지(10)(20)의 중심과 제1, 제2플랜지 회전판(140)(240)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제1, 제2플랜지 탑재베드(150)(250)에 체결수단(30)으로 고정하게 된다.
다음, 면각 생성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이송대차(120), 제2이송대차(220)의 제1,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130)(230)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면각 생성요소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면각의 연장선과 플랜지 중심거리 선의 관계를 계산하여 산출한 각 플랜지면의 회전각을 이용해 제1,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130)(230)를 회전시켜 면각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거리 결정요소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플랜지 거리 생성단계를 설명하면, 조정관 형상요소 중에 플랜지 중심거리와 단차를 피타고라스 정리하여 플랜지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플랜지 거리 데이터에 맞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2이송대차(220)를 이동시켜 플랜지 거리를 생성한다.
다음, 단차 생성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이송대차(120)를 단차의 데이터 수치만큼 제1레일부(110)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다음, 플랜지 볼트 구멍 위치 재현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이동대차(120), 제2이동대차(220)의 제1플랜지 회전판(140), 제2플랜지 회전판(240)을 각각 회전시켜 플랜지 볼트 구멍 위치를 재현하는 단계이다.
다음, 조정관 제작단계는 재현이 완료된 제1, 제2플랜지(10)(20)에 미리 제작된 파이프(미도시)를 끼워 최종적으로 조정관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 제1플랜지
11: 볼트구멍
20: 제2플랜지
21: 볼트구멍
30: 체결수단
100: 제1플랜지 재현부
110: 제1레일부
120: 제1이송대차
130: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
140: 제1플랜지 회전판
150: 제1플랜지 탑재베드
200: 제2플랜지 재현부
210: 제2레일부
220: 제2이송대차
230: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
240: 제2플랜지 회전판
250: 제2플랜지 탑재베드
300: 제어부

Claims (6)

  1. 제1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1플랜지 재현부(100);
    제2플랜지의 형상요소를 재현하는 제2플랜지 재현부(200); 및
    상기 제1, 2플랜지 재현부(100)(200)를 계측된 플랜지 형상요소 데이터에 따라 구동시키는 제어장치(300);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 재현부(100)는, 플랜지 간의 단차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1레일부(110);
    상기 제1레일부(110)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1이송대차(120);
    상기 제1이송대차(120)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
    상기 제1플랜지 면각 조절부(130)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1플랜지 회전판(140); 및
    상기 제1플랜지 회전판(140)의 동심원 상에 제1플랜지(10)를 탑재하는 제1플랜지 탑재베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 탑재베드(150)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151)에 제1플랜지(10)의 볼트공(11)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 재현부(200)는, 플랜지 간의 거리조정방향에 설치되는 제2레일부(210);
    상기 제2레일부(210)를 따라 왕복 주행되는 제2이송대차(220);
    상기 제2이송대차(220)의 상단부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
    상기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230)에 로테이션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제2플랜지 회전판(240); 및
    상기 제2플랜지 회전판(240)의 동심원 상에 제2플랜지(20)를 탑재하는 제2플랜지 탑재베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 탑재베드(250)는 열십자 형태로 슬라이드홈 가이드레일을 배치하고, 가이드레일 각각의 슬라이드홈에 머리부가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축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축부재(251)에 제2플랜지(20)의 볼트공(21)을 관통한 후 체결수단(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정관 재현장치.
  6. 제1, 제2플랜지(10)(20)를 각각 제1플랜지 재현부(100)와 제2플랜지 재현부(200)에 탑재하는 플랜지 고정단계;
    제1이송대차(120), 제2이송대차(220)의 제1, 제2플랜지 면각 조절부(130), (230)의 각도를 조절하는 면각 생성단계;
    제2이송대차(220)를 플랜지 간의 거리조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랜지 거리 생성단계;
    제1이송대차(120)를 단차의 데이터 수치만큼 제1레일부(110)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차 생성단계;
    제1이동대차(120), 제2이동대차(220)의 제1플랜지 회전판(140), 제2플랜지 회전판(240)을 각각 회전시켜 플랜지 볼트 구멍 위치를 재현하는 단계; 및
    재현이 완료된 제1, 제2플랜지(10)(20)에 미리 제작된 파이프를 끼워 조정관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정관 재현방법.






KR1020120140413A 2012-12-05 2012-12-05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KR101361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3A KR101361902B1 (ko) 2012-12-05 2012-12-05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413A KR101361902B1 (ko) 2012-12-05 2012-12-05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902B1 true KR101361902B1 (ko) 2014-02-13

Family

ID=5027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413A KR101361902B1 (ko) 2012-12-05 2012-12-05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9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55B1 (ko) * 2019-03-07 2019-05-13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범용 조정관 재현장치
KR102121900B1 (ko) * 2019-11-21 2020-06-11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정관 재현장치
KR102231080B1 (ko) * 2019-11-27 2021-03-24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레이저 계측을 통한 조정관 재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07U (ja) * 1991-09-03 1993-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面間合せ管用位置測定器
KR200448234Y1 (ko) 2007-12-06 2010-03-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엔진 윤활유 공급펌프 더미지그
KR101175469B1 (ko) 2010-07-27 2012-08-20 (주)금화 조정관의 길이 측정장치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007U (ja) * 1991-09-03 1993-03-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ランジ面間合せ管用位置測定器
KR200448234Y1 (ko) 2007-12-06 2010-03-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엔진 윤활유 공급펌프 더미지그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75469B1 (ko) 2010-07-27 2012-08-20 (주)금화 조정관의 길이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55B1 (ko) * 2019-03-07 2019-05-13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범용 조정관 재현장치
KR102121900B1 (ko) * 2019-11-21 2020-06-11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조정관 재현장치
KR102231080B1 (ko) * 2019-11-27 2021-03-24 우정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레이저 계측을 통한 조정관 재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555B1 (ko) 범용 조정관 재현장치
US7857558B2 (en) Compact cutting head for machining workpieces
KR101361902B1 (ko) 조정관 재현장치 및 그 방법
CN101405563B (zh) 测量工件的装置和方法
KR102121900B1 (ko) 조정관 재현장치
CN201120535Y (zh) 螺旋焊管生产线用三维滑台
CN111644942B (zh) 直焊缝钢管管端焊缝自动修磨机器人的修磨方法
CN102216726A (zh) 渐开线齿轮齿廓测量方法
JP2013218684A (ja) Cnc工作機械の誤差を補正する装置
CN103968758B (zh) 一种平面螺纹自动测量系统的机械装置
CN205302012U (zh) 一种精密五维转台
CN101629816A (zh) 可消除零件定位误差的复杂回转体轮廓测量方法及装置
JP3314706B2 (ja) 摩擦溶接装置、溶接構造物
CN105764644A (zh) 自动焊接机
TWI666421B (zh) 自動化設備之位移量測機構
CN101357437B (zh) 五轴联动叶片加工中心
JP2005331333A (ja) 軸管内径計測装置および軸管内径自動計測装置
JP5891087B2 (ja) 工具位置測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工装置
CN102607383B (zh) 一种高精度平面度测量桥板装置
CN115900599A (zh) 一种管材测量自动定位中心机构及方法
CN111545965A (zh) 快速换型高效自动焊接系统及实现方法
JP2518740B2 (ja) コルゲ―トパネルの自動溶接装置
JP7316743B2 (ja) 回転テーブル
CN111595286A (zh) 一种汽车同步器齿圈外圆的校圆检验设备
CN210524442U (zh) 一种连杆转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