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750B1 -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50B1
KR101361750B1 KR1020120005510A KR20120005510A KR101361750B1 KR 101361750 B1 KR101361750 B1 KR 101361750B1 KR 1020120005510 A KR1020120005510 A KR 1020120005510A KR 20120005510 A KR20120005510 A KR 20120005510A KR 101361750 B1 KR101361750 B1 KR 10136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outlet
standby power
fill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737A (ko
Inventor
서덕환
윤경도
Original Assignee
서덕환
(주)아성아이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환, (주)아성아이콤 filed Critical 서덕환
Priority to KR102012000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ignal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에 매립된 콘센트들을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을 이용하여 대기전력의 일괄 또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STANDBY POWER CONTROLLING SYSTEM OF BOTTOM RECLAMATION TYPE SOCKET}
본 발명은 바닥에 매립된 콘센트들을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을 이용하여 대기전력의 일괄 또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나 사무실에서는 컴퓨터, 노트북, TV, DVD 재생기, 냉장고, 세탁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은 전자제품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자제품들은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비하고 있고 이렇게 소비되는 전력을 대기전력이라 한다.
대기 전력은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는 점에서 낭비적이며, 대기 전력을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콘센트가 개발되고 시판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센트는 일반적으로 콘센트 내에서 소비되고 있는 전력량을 측정하고 콘센트의 출력 전원 단자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있으며, 콘센트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이 기준 대기전력량 이하인 경우에 해당 콘센트의 출력 전원 단자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전력의 소비를 차단한다.
이러한 콘센트는 프로세서가 소비하는 자체 전력도 문제가 될 수 있고 또한 콘센트 프로세서의 오동작으로 인해 적절하게 대기전력을 차단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콘센트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벽면이나 바닥면에 소정에 위치에 매립되고 마찬가지로 대기전력 제어용 콘센트들도 벽면이나 바닥면에 소정 위치에 매립된다.
사무실의 경우는 전자기기들의 사용 편의를 위해 책상이나 회의실 같은 사무를 보는 위치에 콘센트들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직원들은 자신의 전용 콘센트를 사용하고 관리하게 되어 자신이 직접 대기전력 제어를 하지 않는 이상 대기전력 제어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무실의 경우는 대기전력 차단용 콘센트를 개별 제어하는 것도 필요하고 일괄 제어도 가능하여야 하며, 대기전력 차단을 제어 스위치의 사용 편의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바닥에 매립된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대기전력의 개별 또는 일괄제어가 가능하게 하되 콘센트가 장착된 곳에서의 직접제어도 가능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입문 부근에서의 각각의 콘센트를 개별 또는 일괄제어가 가능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출입문 부근에는 보통 전등스위치가 마련되는 데, 이 전등스위치와 콘센트를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ALL-ON 스위치 및 ALL-OFF 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들이 이루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그룹 단위로 일괄하여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2 이상의 그룹 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등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기전력 스위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등과 전원 라인으로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전등 스위치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들이 이루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그룹 단위로 일괄하여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2 이상의 그룹 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등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기전력 스위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등과 전원 라인으로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전등 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를 포함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바닥에 매립된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콘센트가 장착된 곳에서의 직접제어도 가능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입문 부근에서의 각각의 콘센트를 개별 또는 일괄제어가 가능하며, 전등스위치와 콘센트를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 구체적인 실시예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와 PLC통신 또는 RS485 통신에 의해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와 연결된 통합제어스위치(18)로 이루어진다.
바닥 매립형 콘센트(10)는 건물 시공시 바닥에 매립되는 전원 콘센트이며, 통합제어스위치(18)는 출입문 근방의 벽면에 설치되어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의 대기전력을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전등스위치는 출입문 근방의 벽면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쉽게 전등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마찬가지로 통합제어스위치(18)도 전등스위치가 설치된 부분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 매립형 콘센트(10)는 전원입력부(11), 스위칭부(12), 전원 출력부(13), SMPS(14), 제어부(15), 개별제어스위치(16) 및 통신부(17)를 포함하며, 이러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블록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또한 다른 구성들이 추가될 수 있다.
전원 입력부(11)는 외부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는다. 입력되는 교류 전원은 2개의 선로를 통해 입력되며, 입력된 교류 전원은 스위칭부(12), SMPS(14)로 출력되며 선택적으로 항상 교류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출력부에 직접 출력할 수도 있다.
SMPS(14)는 입력받은 교류 전원을 제어부(15)에서 사용할 직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스위칭부(12)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제어부(15)로부터 출력된 스위칭 제어 신호의 제어에 따라 출력 또는 단절된다.
스위칭부(12)는 입력되는 교류 전원의 양극 신호를 모두 끊도록 하여 전원 출력부(13)로부터 전자 제품의 플러그를 뽑는 효과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출력부(13)는 대응하는 스위칭부(12)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출력하며, 통상적으로 2개의 접속구를 구비하여, 외부 플러그를 통해 전자 제품에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개별제어스위치(16)는 사용자에 의하여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와 인접되어 설치되어 그 자리에서 각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의 대기전력 개폐를 실행시키는 스위치이다. 개별제어스위치(16)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5)는 그 신호를 스위칭부(12)에 인가하고 스위칭부(12)의 스위칭 동작에 대응하여 전원 출력부(13)로 전원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도록 한다.
통신부(17)는 다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와 통신 가능한 예를 들어 사무실의 전원 공급/중단을 제어하는 통합제어스위치(18)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에는 전력선 통신, RS485 통신 등과 같은 유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으며, 통신부(17)는 상술한 통신 방식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17)와 제어부(15) 간에는 직렬 버스 예를 들어 UART 나 SPI, I2C 등과 같은 직렬 버스 또는 제어부(15)에서 사용하는 병렬 버스에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10)의 각 블록을 제어한다. 제어부(15)는 개별제어스위치(16)의 명령을 수신하여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모드와 통신부(17)를 통해 통합제어스위치(18)의 명령을 수신하여 대기전력을 제어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은 위와 같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10)를 개별제어스위치(16)에서 개별제어될 수 있도록 하거나 통합제어스위치(18)를 통해 다수개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10)를 개별 또는 일괄 제어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하에서는, 좀 더 구체적으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제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20)은 통합제어스위치(201)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서 바닥에 매립된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211 내지 220)를 일괄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구축된다.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211 내지 220)의 인접된 부분에는 각각 대응하여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221 내지 230)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211 내지 220)는 PLC 통신 또는 RS455 통신 라인을 통해 통합제어스위치(201)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211 내지 220)는 사용자에 의해 콘센트가 위치한 곳에서 직접적으로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221 내지 230)에 의해 직접적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통합제어스위치(201)에 의해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211 내지 220)를 일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사무실에서 마지막 퇴실자에 의해 통합적으로 사무실 내의 콘센트들을 일괄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이다.
특히, 통합제어스위치(201)는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최종 퇴실자 또는 최초 입실자에 의해 최종 소등 또는 점등과 마찬가지로 최종 모든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출력을 용이하게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제2 실시예 )]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30)은 통합제어스위치(301)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서 바닥에 매립된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를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의 인접된 부분에는 각각 대응하여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321 내지 330)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는 PLC 통신 또는 RS455 통신 라인을 통해 통합제어스위치(301)에 연결된다.
통합제어스위치(301)는 각각의 콘센트에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스위치가 콘센트의 수만큼 형성되고 각각의 콘센트에 대응되는 스위치가 1:1로 통신라인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는 각각 제1 내지 제10 원격 개별제어스위치(331 내지 340)에 의해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대기전력의 차단 제어가 이루어진다.
통합제어스위치(301)에는 원격으로 개별 제어를 위한 스위치 이외에 모든 콘센트의 대기전력의 일괄 제어가 가능한 ALL-ON 스위치(341)와 ALL-OFF 스위치(3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는 사용자에 의해 콘센트가 위치한 곳에서 직접적으로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321 내지 330)에 의해 직접적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통합제어스위치(301)의 ALL-ON 스위치(341)와 ALL-OFF 스위치(342)에 의해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311 내지 320)를 일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통합제어스위치(301)의 제1 내지 제10 원격 개별제어스위치(331 내지 340)에 의해 각각의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통합제어스위치(301)는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별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제3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40)은 통합제어스위치(301)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서 바닥에 매립된 제1 그룹(400A)의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411 내지 420)와 제2 그룹(400B)의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431 내지 440)를 각 그룹별로 일괄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제1 그룹(410)의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411 내지 420)의 인접된 부분에는 각각 대응하여 제1 그룹(400A)의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421 내지 430) 및 제2 그룹(400B)의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441 내지 450)가 형성되고, 제1 그룹(400A)의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411 내지 420) 및 제2 그룹(400B)의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431 내지 440)는 PLC 통신 또는 RS455 통신 라인을 통해 통합제어스위치(401)의 제1 그룹 제어스위치(402) 및 제2 그룹 제어스위치(403)에 각각 연결된다.
바닥 매립형 콘센트(411 내지 420, 431 내지 440)는 사용자에 의해 콘센트가 위치한 곳에서 직접적으로 개별제어스위치들(421 내지 430, 441 내지 450)에 의해 직접적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통합제어스위치(401)의 제1 및 제2 그룹 제어스위치(401, 402)에 의해 바닥 매립형 콘센트들(411 내지 420, 431 내지 440)을 일괄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전등 및 대기전력의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제4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50)은 통합제어스위치(501)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서 바닥에 매립된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511 내지 520)를 개별 또는 일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고 동시에 다수개의 전등을 블럭단위(제1 전등 그룹(540) 내지 제4 전등 그룹(570))로 소등 및 점등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제1 전등 그룹(540)은 전등(541 내지 545)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등 그룹(550)은 전등(551 내지 555)으로 이루어지며, 제3 전등 그룹(560)은 전등(561 내지 565)으로 이루어지고, 제4 전등 그룹(570)은 전등(571 내지 57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511 내지 520)의 인접된 부분에는 각각 대응하여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521 내지 530)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511 내지 520)는 PLC 통신 또는 RS455 통신 라인을 통해 통합제어스위치(501)에 연결된다.
통합제어스위치(501)는 콘센트들을 일괄하여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대기전력 스위치(536)와, 제1 전등 그룹 내지 제4 전등 그룹(540 내지 570)의 블록단위로 전등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1 내지 제4 전등 그룹스위치(531 내지 534)와, 전등 전체를 일괄 소등 및 점등이 가능한 일괄 전등스위치(535)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511 내지 520)는 사용자에 의해 콘센트가 위치한 곳에서 직접적으로 제1 내지 제10 개별제어스위치(521 내지 530)에 의해 직접적 개별 제어가 가능하고, 뿐만 아니라 통합제어스위치(501)의 일괄 전등스위치(535)에 의해 모든 전등의 일괄 소등 및 점등이 가능하고, 통합제어스위치(501)의 제1 내지 제4 전등 그룹스위치(531 내지 534)에 의해 각 블록단위로 전등의 소등 및 점등이 가능하며, 통합제어스위치(501)의 대기전력 스위치(536)에 의해 제1 내지 제10 블록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511 내지 520)를 일괄적으로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통합제어스위치(501)는 출입문 근처의 벽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다른 실시예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구성된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 시스템을 제3 실시예에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면, 그룹별로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구성된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 시스템을 제4 실시예에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면, 전등 및 콘센트 대기전력의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구성된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 시스템과 제3 실시예의 그룹별 제어시스템을 제4 실시예에 적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면, 전등 및 콘센트 대기전력의 그룹별 개별제어 및 일괄제어가 가능한 대기전력 제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11 내지 220, 311 내지 320, 411 내지 420, 431 내지 440, 511 내지 520 : 바닥 매립형 콘센트
16, 221 내지 230, 321 내지 330, 421 내지 430, 441 내지 450, 521 내지 530 : 개별제어스위치
20, 30, 40, 50 :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11 : 전원입력부 12 : 스위칭부
13 : 전원출력부 14 : SMPS
15 : 제어부 16 : 개별제어스위치
17 : 통신부
18, 201, 301, 401, 501 : 통합제어스위치
331 내지 340 : 원격 개별제어스위치
341 : ALL-ON 스위치 342 : ALL-OFF 스위치
400A : 제1 그룹 전등 400B : 제2 그룹 전등
402 : 제1 그룹 제어스위치 403 : 제2 그룹 제어스위치
531, 532, 533, 534 : 전등 그룹스위치 535 : 일괄 전등스위치
540, 550, 560, 570 : 전등 그룹 536 : 대기전력 스위치

Claims (6)

  1.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다수개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2.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ALL-ON 스위치 및 ALL-OFF 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며,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3.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들이 이루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그룹 단위로 일괄하여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2 이상의 그룹 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며,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4.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등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기전력 스위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등과 전원 라인으로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전등 스위치를 포함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5.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로 이루어지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들이 이루는 2 이상의 콘센트 그룹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그룹 단위로 일괄하여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2 이상의 그룹 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로 이루어지며,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6. 건물의 바닥 전체에 걸쳐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하나 이상의 전등과;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근처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개별제어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와 PLC 통신 또는 RS485 통신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일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대기전력 스위치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전등과 전원 라인으로 연결되어 소등 및 점등을 제어하는 전등 스위치와, 상기 바닥 매립형 콘센트 각각의 대기전력을 원격에서 개별적으로 차단하거나 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개별제어스위치를 포함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통합제어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20120005510A 2012-01-18 2012-01-18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KR10136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10A KR101361750B1 (ko) 2012-01-18 2012-01-18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510A KR101361750B1 (ko) 2012-01-18 2012-01-18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37A KR20130084737A (ko) 2013-07-26
KR101361750B1 true KR101361750B1 (ko) 2014-02-13

Family

ID=4899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510A KR101361750B1 (ko) 2012-01-18 2012-01-18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54B1 (ko) * 2022-01-06 2023-01-18 이신복 전기적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직접전원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전등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456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JP2010526403A (ja) * 2007-05-04 2010-07-29 ハックスレイ マーティン 電源装置
KR100983964B1 (ko) * 2008-01-10 2010-09-27 정중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KR101108098B1 (ko) 2010-09-17 2012-01-31 세홍산업 주식회사 전력선통신 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 개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6403A (ja) * 2007-05-04 2010-07-29 ハックスレイ マーティン 電源装置
KR20090071456A (ko) * 2007-12-27 2009-07-01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KR100983964B1 (ko) * 2008-01-10 2010-09-27 정중호 유무선 제어가 가능한 지능형 전원 멀티탭 및 전원 콘센트
KR101108098B1 (ko) 2010-09-17 2012-01-31 세홍산업 주식회사 전력선통신 제어시스템의 대기전력 개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37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88780A1 (en) Automatic local electric management system
KR100909598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 및 소비전력 표시장치
KR101035127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101843820B1 (ko) 스마트 멀티탭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멀티탭 시스템
KR100909790B1 (ko) 대기전력/상시전원 선택기능을 갖는 콘센트와 이 콘센트를 이용한 대기전력 제어장치
KR20130110763A (ko) 조명제어용 터치 스위치와 대기전력차단 기능을 갖는 지능형 콘센트를 포함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시스템.
WO2011043599A2 (ko) 무선 및 터치 겸용 조명스위치장치
KR101361750B1 (ko) 바닥 매립형 콘센트의 대기전력 제어시스템
CN204348539U (zh) 一种带备用电源和照明的开关
US20120089267A1 (en) Electricty supply and control apparatus
KR101057982B1 (ko) 대기전력 차단 분전반
KR20080109529A (ko) 원격 제어 멀티탭/콘센트 장치
JP2011238395A (ja) 照明システム
KR101945238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스위치 및 조명스위치 시스템
WO2018129578A1 (en)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427741B1 (ko) 배전반용 스위치어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전반 장치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2759534U (zh) 节能视频控制装置
KR101731349B1 (ko) 분전반 및 분전반을 포함하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930289B1 (ko) 전원 제어 장치
KR101048904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콘센트 및 전기기기의 전원제어장치
KR20210081202A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CN205566758U (zh) 单火线模式的灯光控制装置
FI128767B (en) Electrical outle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outlet system
CN204558943U (zh) 一种智能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